맨위로가기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4 x 5km 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4 x 5km 계주는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으로, 각 국가별 4명의 선수가 5km씩 계주하여 순위를 결정했다. 노르웨이가 금메달, 독일이 은메달, 핀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폴란드는 선수의 도핑 적발로 실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4 x 10k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4 x 10km 계주에서는 스웨덴이 금메달, 노르웨이가 은메달, 체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스웨덴은 1988년 이후 처음으로 릴레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은 55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페테르 노르투그가 악셀 테히만을 0.3초 차이로 제치고 우승하며 올림픽 50km 경기 역사상 가장 근소한 차이로 승부가 갈린 경기로 기록되었고, 메달 시상식은 폐막식에서 진행되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경기는 2010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폴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0년 동계 패럴림픽
    2010년 동계 패럴림픽은 캐나다 밴쿠버와 휘슬러에서 개최되어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이스 슬레지 하키, 휠체어 컬링의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마스코트 '수미'를 활용한 마케팅과 장애인 스포츠 참여 증가 및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201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4 x 5km 계주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크로스컨트리 픽토그램
경기장휘슬러 올림픽 공원
날짜2월 25일
참가 선수64명 (16개 팀)
참가 국가16개국
메달 정보
금메달비베케 스코프테루드
금메달 국가노르웨이
은메달카트린 젤러
은메달 국가독일
동메달피르요 무라넨
동메달 국가핀란드
우승 기록55분 19.5초
올림픽 연혁
이전 대회2006년
다음 대회2014년

2. 경기 결과

다음은 해당 경기의 결과이다.[7]

순위BIB국가선수시간차이
14노르웨이비베케 스코프테루드
테레세 요헤우그
크리스틴 스퇴르메르 스테이라
마리트 비에르겐
55:19.5
14:49.9
14:46.5
12:53.2
12:49.9
0.0
22독일카트린 젤러
에비 자헨바허-슈테흘레
미리암 괴스너
클라우디아 뉘스타드
55:44.1
14:53.7
15:00.6
12:52.0
12:57.8
+24.6
31핀란드피르요 무라넨
비르피 쿠이투넨
리타-리사 로포넨
아이노-카이사 사아리넨
55:49.9
15:32.4
14:35.7
12:38.2
13:03.6
+30.4
45이탈리아아리아나 폴리스
마리아나 롱가
실비아 루필
사비나 발부사
56:04.9
14:58.6
14:29.4
13:01.8
13:35.1
+45.4
53스웨덴안나 올손
마그달레나 파얄라
샤를로테 칼라
이다 잉게마르스도터
56:18.9
14:47.1
15:35.6
12:25.0
13:31.2
+59.4
69프랑스오로르 퀴네
카린 로랑 필리포
셀리아 부르주아
세실 스토르티
56:30.6
15:13.3
14:38.8
12:59.9
13:38.6
+1:11.1
78러시아올가 자뱔로바
이리나 하자바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나탈리야 코로스텔레바
57:00.9
15:15.2
15:19.0
13:01.1
13:25.6
+1:41.4
87일본나쓰미 마도카
이시다 마사코
후쿠다 노부코
가시와바라 미치코
57:40.4
15:03.0
14:50.4
13:34.5
14:12.5
+2:20.9
911카자흐스탄엘레나 콜로미나
옥사나 야츠카야
타티야나 오시포바
스베틀라나 말라호바-시시키나
58:23.3
15:29.1
15:25.7
13:47.7
13:40.8
+3:03.8
1010벨라루스나스타샤 두바레자바
알레나 산니코바
올가 바실료노크
예카테리나 루다코바
58:28.4
15:36.5
15:29.2
13:22.1
14:00.6
+3:08.9
1114미국키칸 랜들
홀리 브룩스
모건 아리톨라
케이틀린 컴프턴
58:57.5
14:57.5
16:12.8
13:41.6
14:05.6
+3:38.0
1213체코에바 닐트토바
카밀라 라일도로바
이바나 야네치코바
에바 스칼니코바
59:11.2
15:15.0
15:28.9
13:34.3
14:53.0
+3:51.7
1312우크라이나테티아나 안티펜코
카테리나 그리고렌코
마리나 안치보르
발렌티나 솁첸코
59:25.7
15:38.1
16:16.7
13:34.2
13:56.7
+4:06.2
1416슬로베니아아냐 에르젠
카티아 비슈나르
베스나 파비안
바르바라 예제르셰크
59:47.5
16:00.8
16:32.3
13:25.0
13:49.4
+4:28.0
1515캐나다다리아 가이아조바
페리안 존스
찬드라 크로퍼드
매들린 윌리엄스
1:00:05.0
15:35.8
16:14.7
14:17.7
13:56.8
+4:45.5
DSQ6폴란드코르넬리아 마레크
유스티나 코발치크
파울리나 마치우셰크
실비아 야스코비에츠
56:29.4
15:25.3
14:00.3
13:38.4
13:25.4
+1:09.9


2. 1. 경기 진행

첫 번째 주자로 나선 스웨덴의 안나 올손이 가장 빨랐으며, 이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던 노르웨이독일이 선두권을 형성했다.[7]

두 번째 주자에서는 폴란드유스티나 코발치크가 가장 빠른 기록을 세웠다. 클래식 주법 구간에서 코발치크의 활약으로 폴란드는 6위에서 선두로 올라섰고, 이탈리아가 2위, 노르웨이가 3위로 뒤를 이었다.[7]

세 번째 주자에서는 스웨덴의 샤를로테 칼라가 가장 빨랐다. 칼라는 자유형 주법 구간에서 스웨덴의 순위를 8위에서 5위까지 끌어올렸다. 세 번째 주자 교체 시점에서는 노르웨이가 선두를 달렸고, 이탈리아가 2위, 독일과 핀란드(당시 세계 챔피언)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7]

마지막 앵커 주자로 나선 노르웨이마리트 비에르겐은 팀의 우승을 확정 지었다. 이로써 노르웨이는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 이후 26년 만에 이 종목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7][8]

한편, 기대를 모았던 러시아는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만이 이전 멤버로 남은 가운데 8위라는 다소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었다.[7][9] 마지막 월드컵 대회 우승팀이었던 스웨덴은 당시 우승 멤버 중 칼라만이 유일하게 출전하여 5위를 기록했다.[8][9] 폴란드는 6위로 경기를 마쳤으나 이후 코르넬리아 마레크의 도핑 적발로 실격 처리되었다.[7]

순위BIB국가시간차이
14노르웨이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테레세 요헤우그
크리스틴 스퇴르메르 스테이라
마리트 비에르겐
55:19.5
14:49.9
14:46.5
12:53.2
12:49.9
0.0
22독일
카트린 젤러
에비 자헨바허-슈테흘레
미리암 괴스너
클라우디아 뉘스타드
55:44.1
14:53.7
15:00.6
12:52.0
12:57.8
+24.6
31핀란드
피르요 무라넨
비르피 쿠이투넨
리타-리사 로포넨
아이노-카이사 사아리넨
55:49.9
15:32.4
14:35.7
12:38.2
13:03.6
+30.4
45이탈리아
아리아나 폴리스
마리아나 롱가
실비아 루필
사비나 발부사
56:04.9
14:58.6
14:29.4
13:01.8
13:35.1
+45.4
53스웨덴
안나 올손
마그달레나 파얄라
샤를로테 칼라
이다 잉에마르스도테르
56:18.9
14:47.1
15:35.6
12:25.0
13:31.2
+59.4
69프랑스
오로르 퀴네
카린 로랑 필리포
셀리아 부르주아
세실 스토르티
56:30.6
15:13.3
14:38.8
12:59.9
13:38.6
+1:11.1
78러시아
올가 자뱔로바
이리나 하자바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나탈리야 코로스텔레바
57:00.9
15:15.2
15:19.0
13:01.1
13:25.6
+1:41.4
87일본
나쓰미 마도카
이시다 마사코
후쿠다 노부코
가시와바라 미치코
57:40.4
15:03.0
14:50.4
13:34.5
14:12.5
+2:20.9
911카자흐스탄
엘레나 콜로미나
옥사나 야츠카야
타티야나 오시포바
스베틀라나 말라호바-시시키나
58:23.3
15:29.1
15:25.7
13:47.7
13:40.8
+3:03.8
1010벨라루스
나스타샤 두바레자바
알레나 산니코바
올가 바실료노크
예카테리나 루다코바
58:28.4
15:36.5
15:29.2
13:22.1
14:00.6
+3:08.9
1114미국
키칸 랜들
홀리 브룩스
모건 아리톨라
케이틀린 컴프턴
58:57.5
14:57.5
16:12.8
13:41.6
14:05.6
+3:38.0
1213체코
에바 닐트토바
카밀라 라일도로바
이바나 야네치코바
에바 스칼니코바
59:11.2
15:15.0
15:28.9
13:34.3
14:53.0
+3:51.7
1312우크라이나
테티아나 안티펜코
카테리나 그리고렌코
마리나 안치보르
발렌티나 솁첸코
59:25.7
15:38.1
16:16.7
13:34.2
13:56.7
+4:06.2
1416슬로베니아
아냐 에르젠
카티아 비슈나르
베스나 파비안
바르바라 예제르셰크
59:47.5
16:00.8
16:32.3
13:25.0
13:49.4
+4:28.0
1515캐나다
다리아 가이아조바
페리안 존스
찬드라 크로퍼드
매들린 윌리엄스
1:00:05.0
15:35.8
16:14.7
14:17.7
13:56.8
+4:45.5
DSQ6폴란드
코르넬리아 마레크
유스티나 코발치크
파울리나 마치우셰크
실비아 야스코비에츠
56:29.4
15:25.3
14:00.3
13:38.4
13:25.4
+1:09.9


2. 2. 최종 순위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테레세 요헤우그
크리스틴 스퇴르메르 스테이라
마리트 비에르겐55:19.5
14:49.9
14:46.5
12:53.2
12:49.90.022독일
카트린 젤러
에비 자헨바허-슈테흘레
미리암 괴스너
클라우디아 뉘스타드55:44.1
14:53.7
15:00.6
12:52.0
12:57.8+24.631핀란드
피르요 무라넨
비르피 쿠이투넨
리타-리사 로포넨
아이노-카이사 사아리넨55:49.9
15:32.4
14:35.7
12:38.2
13:03.6+30.445이탈리아
아리아나 폴리스
마리아나 롱가
실비아 루필
사비나 발부사56:04.9
14:58.6
14:29.4
13:01.8
13:35.1+45.453스웨덴
안나 올손
마그달레나 파잘라
샤를로테 칼라
이다 잉게마르스도터56:18.9
14:47.1
15:35.6
12:25.0
13:31.2+59.469프랑스
오로르 퀴네
카린 로랑 필리포
셀리아 부르주아
세실 스토르티56:30.6
15:13.3
14:38.8
12:59.9
13:38.6+1:11.178러시아
올가 자뱔로바
이리나 하자바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나탈리야 코로스텔레바57:00.9
15:15.2
15:19.0
13:01.1
13:25.6+1:41.487일본
나츠미 마도카
이시다 마사코
후쿠다 노부코
가시와바라 미치코57:40.4
15:03.0
14:50.4
13:34.5
14:12.5+2:20.9911카자흐스탄
엘레나 콜로미나
옥사나 야츠카야
타티야나 오시포바
스베틀라나 말라호바-시시키나58:23.3
15:29.1
15:25.7
13:47.7
13:40.8+3:03.81010벨라루스
나스타샤 두바레자바
알레나 산니코바
올가 바실료노크
예카테리나 루다코바58:28.4
15:36.5
15:29.2
13:22.1
14:00.6+3:08.91114미국
키칸 랜들
홀리 브룩스
모건 아리톨라
케이틀린 콤프턴58:57.5
14:57.5
16:12.8
13:41.6
14:05.6+3:38.01213체코
에바 닐트토바
카밀라 라일도로바
이바나 예네치코바
에바 스칼니코바59:11.2
15:15.0
15:28.9
13:34.3
14:53.0+3:51.71312우크라이나
테티아나 안티펜코
카테리나 그리고렌코
마리나 안시보르
발렌티나 솁첸코59:25.7
15:38.1
16:16.7
13:34.2
13:56.7+4:06.21416슬로베니아
안야 에르젠
카트야 비슈나르
베스나 파비안
바르바라 예제르셰크59:47.5
16:00.8
16:32.3
13:25.0
13:49.4+4:28.01515캐나다
다리아 가이아조바
페리안 존스
찬드라 크로포드
매들린 윌리엄스1:00:05.0
15:35.8
16:14.7
14:17.7
13:56.8+4:45.5DSQ6폴란드
코르넬리아 마레크
유스티나 코발치크
폴리나 마시우셰크
실비아 야슈코비에츠56:29.4
15:25.3
14:00.3
13:38.4
13:25.4+1:09.9


2. 2. 1. 상세 기록

다음은 해당 경기의 결과이다.[7]

첫 주자에서는 스웨덴의 안나 올손이 14:47.1로 가장 빨랐고, 이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리스트인 노르웨이독일이 각각 2위와 3위로 뒤를 이었다. 두 번째 주자에서는 폴란드코발치크가 14:00.3이라는 가장 빠른 기록으로 클래식 주법 구간에서 폴란드를 6위에서 선두권으로 끌어올렸다. 이 시점에서 이탈리아가 4위, 노르웨이가 2위였다. 세 번째 주자에서는 스웨덴의 칼라가 12:25.0으로 가장 빠른 기록을 세우며 자유형 주법 구간에서 스웨덴의 순위를 8위에서 5위까지 끌어올렸다. 세 번째 주자 교체 시점에서는 노르웨이, 이탈리아, 독일, 핀란드(당시 세계 챔피언)가 선두권을 형성했다. 마지막 주자로 나선 노르웨이의 비에르겐은 12:49.9로 구간 1위를 기록하며 팀에 1984년 동계 올림픽 이후 26년 만의 올림픽 금메달을 안겼다. 러시아는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가 분전했으나 8위에 머물렀다. 이전 월드컵 우승팀이었던 스웨덴은 당시 멤버 중 칼라만 출전하여 5위로 경기를 마쳤다.[8][9]

순위BIB국가선수개인 기록총 시간차이
14노르웨이비베케 스코프테루드
테레세 요헤우그
크리스틴 스퇴르메르 스테이라
마리트 비에르겐
14:49.9
14:46.5
12:53.2
12:49.9
55:19.50.0
22독일카트린 젤러
에비 자헨바허-슈테흘레
미리암 괴스너
클라우디아 뉘스타드
14:53.7
15:00.6
12:52.0
12:57.8
55:44.1+24.6
31핀란드피르요 무라넨
비르피 쿠이투넨
리타-리사 로포넨
아이노-카이사 사아리넨
15:32.4
14:35.7
12:38.2
13:03.6
55:49.9+30.4
45이탈리아아리아나 폴리스
마리아나 롱가
실비아 루필
사비나 발부사
14:58.6
14:29.4
13:01.8
13:35.1
56:04.9+45.4
53스웨덴안나 올손
마그달레나 파잘라
샤를로테 칼라
이다 잉게마르스도터
14:47.1
15:35.6
12:25.0
13:31.2
56:18.9+59.4
69프랑스오로르 퀴네
카린 로랑 필리포
셀리아 부르주아
세실 스토르티
15:13.3
14:38.8
12:59.9
13:38.6
56:30.6+1:11.1
78러시아올가 자뱔로바
이리나 하자바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나탈리야 코로스텔레바
15:15.2
15:19.0
13:01.1
13:25.6
57:00.9+1:41.4
87일본나츠미 마도카
이시다 마사코
후쿠다 노부코
가시와바라 미치코
15:03.0
14:50.4
13:34.5
14:12.5
57:40.4+2:20.9
911카자흐스탄엘레나 콜로미나
옥사나 야츠카야
타티야나 오시포바
스베틀라나 말라호바-시시키나
15:29.1
15:25.7
13:47.7
13:40.8
58:23.3+3:03.8
1010벨라루스나스타샤 두바레자바
알레나 산니코바
올가 바실료노크
예카테리나 루다코바
15:36.5
15:29.2
13:22.1
14:00.6
58:28.4+3:08.9
1114미국키칸 랜들
홀리 브룩스
모건 아리톨라
케이틀린 콤프턴
14:57.5
16:12.8
13:41.6
14:05.6
58:57.5+3:38.0
1213체코에바 닐트토바
카밀라 라일도로바
이바나 예네치코바
에바 스칼니코바
15:15.0
15:28.9
13:34.3
14:53.0
59:11.2+3:51.7
1312우크라이나테티아나 안티펜코
카테리나 그리고렌코
마리나 안시보르
발렌티나 솁첸코
15:38.1
16:16.7
13:34.2
13:56.7
59:25.7+4:06.2
1416슬로베니아안야 에르젠
카트야 비슈나르
베스나 파비안
바르바라 예제르셰크
16:00.8
16:32.3
13:25.0
13:49.4
59:47.5+4:28.0
1515캐나다다리아 가이아조바
페리안 존스
찬드라 크로포드
매들린 윌리엄스
15:35.8
16:14.7
14:17.7
13:56.8
1:00:05.0+4:45.5
DSQ6폴란드코르넬리아 마레크
유스티나 코발치크
폴리나 마시우셰크
실비아 야슈코비에츠
15:25.3
14:00.3
13:38.4
13:25.4
56:29.4+1:09.9


3. 올림픽 기록

해당 경기의 올림픽 기록에 대한 정보는 현재 제공되지 않았다. 정보가 확인되는 대로 추가될 예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2010 Winter Olympics cross-country skiing schedule http://www.vancouver[...] 2009-11-03
[2] 웹사이트 2006 Winter Olympics women's 4 x 5 km relay results https://web.archive.[...] 2009-11-03
[3] 뉴스 FIS Doping Panel delivers two decisions http://www.fis-ski.c[...] FIS 2009-12-23
[4] 웹사이트 FIS Nordic World Ski Championships 2009 women's 4 x 5 km relay results http://www.fis-ski.c[...] 2009-11-03
[5] 웹사이트 FIS Nordic World Ski Championships 2007 women's 4 x 5 km relay results http://www.fis-ski.c[...] 2009-11-22
[6] 웹사이트 FIS Cross-Country Skiing World Cup 22 November 2009 women's 4 x 5 km relay results http://www.fis-ski.c[...] 2009-11-22
[7] 웹사이트 2010 Winter Olympics results: Ladies' 4x5 km Relay Classic/Free http://www.fis-ski.c[...] 2010-09-08
[8] 웹사이트 2010 Winter Olympics 25 February 2010 women's 4 x 5 km relay http://www.fis-ski.c[...] 2010-11-26
[9] 서적 The Complete Book of the Winter Olympics: 2010 Edition Aurum Press Limited 2009
[10] 웹사이트 2010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시간표 https://web.archive.[...] 2010-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