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AFC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AFC컵은 총 31개 팀이 참가하여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서아시아에서는 쿠웨이트 SC가 2009년 AFC컵 우승 자격으로 참가했으며, 동아시아에서는 홍콩,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몰디브, 싱가포르의 클럽들이 참가했다. 조별 예선 결과 각 조 1, 2위 팀이 16강에 진출했으며,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 16강, 8강, 준결승을 거쳐 결승에서 알이티하드 (알레포)가 알카디시야 쿠웨이트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컵 시즌 - 2020년 AFC컵
2020년 AFC컵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중단 및 취소되었으며, 조별 리그 일정이 발표되었으나 일부 경기만 진행된 후 연기되었다가 최종적으로 취소되었다. - AFC컵 시즌 - 2014년 AFC컵
2014년 AFC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지 못하는 클럽들이 서아시아와 동아시아에서 참가하여 자국 리그나 컵 대회 성적을 바탕으로 출전 자격을 얻어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전을 거쳐 쿠웨이트의 알 카디시야가 우승한 클럽 대항전이다. - 2010년 축구 - 2010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은 아프리카 대륙 최초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어 스페인이 우승했으나, 부패 의혹과 개최국의 조별 리그 탈락, 자불라니와 부부젤라 소리 등 여러 화제를 낳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이미지 제고와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대회이다. - 2010년 축구 - 2010년 AFC 챌린지컵
2010년 AFC 챌린지컵은 스리랑카에서 개최되어 북한이 투르크메니스탄을 꺾고 우승했으며, 인도, 타지키스탄 등 8개 팀이 참가했고 량용기가 득점왕과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2010년 AFC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개요 | |
| 대회 명칭 | AFC컵 |
| 개최 연도 | 2010년 |
| 기간 | 2010년 2월 23일 – 2010년 11월 6일 |
| 참가 팀 수 | 31개 팀 (26+5) |
| 참가 협회 수 | 17개 |
| 대회 결과 | |
| 우승 팀 | 알-이티하드 알레포 |
| 우승 횟수 | 1회 |
| 준우승 팀 | 알-카디시야 |
| 공동 3위 팀 | 무앙통 유나이티드 알-리파 SC |
| 대회 통계 | |
| 총 경기 수 | 111경기 |
| 총 득점 수 | 338골 |
| 총 관중 수 | 782483명 |
| 득점왕 | 아폰수 아우베스 (9골) |
| 이전/다음 대회 | |
| 이전 시즌 | 2009년 AFC컵 |
| 다음 시즌 | 2011년 AFC컵 |
2. 참가 팀
2010년 AFC컵에는 총 31개 팀이 참가했다.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당초 33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국제 축구 연맹(FIFA)이 이라크 축구 협회에 내린 자격 정지 처분이 2010년 1월 6일까지 해제되지 않아 이라크의 2개 팀(아르빌 FC, 나자프 FC)이 실격 처리되면서 31개 팀으로 축소되었다.[4] 이로 인해 플레이오프를 치를 예정이었던 우즈베키스탄의 나사프 카르시와 카타르의 알라이얀은 자동으로 조별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4]
2009년 AFC컵 우승 팀인 쿠웨이트 SC는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을 충족하지 못해 AFC컵에 참가하게 되었다.[3]
| 서아시아 | 동아시아 | ||
|---|---|---|---|
| 팀 | 참가 자격 | 팀 | 참가 자격 |
| 쿠웨이트 SC | 2009 AFC컵 우승 | 스리위자야 | AFC 챔피언스리그 2010 동아시아 플레이오프 패자 |
| 처칠 브라더스 | AFC 챔피언스리그 2010 서아시아 플레이오프 패자 | 다낭 | AFC 챔피언스리그 2010 동아시아 플레이오프 패자 |
| 알카라마 | AFC 챔피언스리그 2010 서아시아 플레이오프 패자 | 무앙통 유나이티드 | AFC 챔피언스리그 2010 동아시아 플레이오프 패자 |
| 리파 클럽 | 바레인 프리미어리그 2008-09 준우승 | 타이 포트 | 태국 FA컵 2009 우승 |
| 이스트 벵골 | 인도 페더레이션 컵 우승 | 빈즈엉 | V-리그 2009 준우승 |
| 알와흐다 | 요르단 리그 2009 우승 | 사우스 차이나 | 홍콩 1부 리그 2008-09 우승 |
| 샤바브 알오르돈 | 요르단 FA컵 2009 우승 | 신제 리얼티 워푸 타이포 | 홍콩 FA컵 2008-09 우승 |
| 알카디시야 | 쿠웨이트 프리미어리그 2008-09 우승 | 페르시와 와메나 | 리가 슈퍼 인도네시아 2009 준우승 |
| 카즈마 | 쿠웨이트 프리미어리그 2008-09 준우승 | 슬랑오르 FA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08-09 우승 |
| 알네즈메 |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2008-09 우승 | VB 스포츠 클럽 | 몰디브 리그 2009 우승 |
| 알아헤드 | 레바논 FA컵 2009 우승 | 빅토리 SC | 몰디브 FA컵 2009 우승 |
| 알나흐다 클럽 | 오만 리그 2008-09 우승 | 게일랑 유나이티드 | S리그 2008-09 준우승 |
| 사함 클럽 | 술탄 카부스 컵 2009 우승 | rowspan="6" | | |
| 알라이얀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08-09 3위 | ||
| 알이티하드 | 시리아 프리미어리그 2008-09 준우승 | ||
| 알자이시 | 시리아 프리미어리그 2008-09 3위 | ||
| 나사프 카르시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09 3위 | ||
| 알힐랄 | 예멘 리그 2009 우승 | ||
| 알아흘리 | 예멘 프레지던트컵 우승 | ||
2. 1. 서아시아
| 서아시아 (A~E조) | |||
|---|---|---|---|
| 팀 | 출전 자격 | 참가 횟수 | 최근 참가 |
| الكويت|알쿠웨이트ar | 2009년 AFC컵 우승 2009 쿠웨이트 에미르컵 우승 | 2회 | 2009 |
| Churchill Brothers|처칠 브라더스영어 | 2010 AFC 챔피언스 리그 서아시아 플레이오프 패자 | 1회 | |
| الكرامة|알카라마ar | 2010 AFC 챔피언스 리그 서아시아 플레이오프 패자 | 2회 | 2009 |
| الرفاع|알리파ar | 2008–09 바레인 축구 리그 준우승 | 1회 | |
| Kingfisher East Bengal|킹피셔 이스트 벵골영어 | 2009–10 인도 연맹컵 우승 | 4회 | 2008 |
| الوحدات|알와흐다트ar | 2008–09 요르단 리그 우승 2008–09 요르단 FA컵 우승 | 5회 | 2009 |
| شباب الأردن|샤바브 알오르돈ar | 2008–09 요르단 리그 준우승 | 3회 | 2008 |
| القادسية|알카디시야ar | 2008–09 쿠웨이트 프리미어 리그 우승 | 1회 | |
| كاظمة|카즈마ar | 2008–09 쿠웨이트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 | 1회 | |
| النجمة|알네즈메ar | 2008–09 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우승 | 5회 | 2007 |
| العهد|알아헤드ar | 2008–09 레바논 FA컵 우승 | 4회 | 2009 |
| النهضة|알나흐다ar | 2008–09 오만 리그 우승 | 2회 | 2008 |
| صحم|사함ar | 2009 술탄 카부스 컵 우승 | 1회 | |
| الريان|알라이얀ar | 2008–09 카타르 스타스 리그 3위 | 1회 | |
| الاتحاد|알이티하드ar | 2008–09 시리아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 | 1회 | |
| الجيش|알자이시ar | 2008–09 시리아 프리미어 리그 3위 | 2회 | 2004 |
| Nasaf Qarshi|나사프 카르시uz | 2009 우즈베크 리그 3위 | 1회 | |
| الهلال|알힐랄ar | 2008–09 예멘 리그 우승 | 3회 | 2009 |
| الأهلي|알아흘리ar | 2009 예멘 대통령컵 우승 | 2회 | 2008 |
2. 2. 동아시아
| 동아시아 (F~H조) | |||
|---|---|---|---|
| 팀 | 예선 방식 | 참가 횟수 | 최근 참가 |
| 사우스 차이나 | 2008–09 홍콩 1부 리그 우승 | 3회 | 2009 |
| 타이 포 | 2009 홍콩 FA컵 우승 | 1회 | |
| 페르시와 와메나 | 2008–09 인도네시아 슈퍼 리그 준우승 | 1회 | |
| 셀랑고르 | 2009 말레이시아 슈퍼 리그 우승 | 2회 | 2006 |
| VB 스포츠 클럽 | 2009 디베히 리그 우승 | 3회 | 2009 |
| 빅토리 SC | 2009 몰디브 FA컵 우승 | 3회 | 2008 |
| 게일랑 유나이티드 | 2009 싱가포르컵 우승 | 2회 | 2004 |
| 타이 포트 | 2009 태국 FA컵 우승 | 1회 | |
| 빈즈엉 | 2009 V-리그 준우승 | 2회 | 2009 |
| 스리위자야 FC | 2010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 플레이오프 패자 | 1회 | |
| SHB 다낭 | 2010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 플레이오프 패자 | 1회 | |
| 무앙통 유나이티드 | 2010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 플레이오프 패자 | 1회 | |
[2]
네게리 셈빌란 FA (말레이시아)가 기권하여 페르시와 와메나로 교체되었다.
| 순위 | 협회 | 출장 쿼터 | |
|---|---|---|---|
| 조별 리그 | 플레이오프 | ||
| 2010년 ACL 플레이오프 동부 지역 패자 | 3 | 0 | |
| 인도네시아 | 1 | 0 | |
| 싱가포르 | 1 | 0 | |
| 태국 | 1 | 0 | |
| 베트남 | 1 | 0 | |
| 홍콩 | 2 | 0 | |
| 몰디브 | 2 | 0 | |
| 말레이시아 | 1 | 0 | |
| 합계 | 참가 협회: 7 | 12 | 0 |
| 12 | |||
| 동아시아 (그룹 F-H) | ||
|---|---|---|
| 팀 | 출전 자격 | 출전 횟수 |
| 스리위자야 | ACL 2010 동부 지역 플레이오프 탈락 | 1회 |
| 다낭 FC | ACL 2010 동부 지역 플레이오프 탈락 | 1회 |
| 무앙통 유나이티드 | ACL 2010 동부 지역 플레이오프 탈락 | 1회 |
| 페르시와 와메나 | 2008-09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준우승 | 1회 |
| 게일랑 유나이티드 | 2009 싱가포르컵 우승 | 2회 |
| 포트 FC | 2009 태국 FA컵 우승 | 1회 |
| 베카멕스 빈즈엉 | 2009 V리그 준우승 | 2회 |
| 사우스 차이나 | 2008-09 홍콩 1부 리그 우승 | 3회 |
| 타이포 | 2008-09 홍콩 FA컵 우승 | 1회 |
| VB | 2009 디베히 리그 우승 | 3회 |
| 빅토리 | 2009 몰디브 FA컵 우승 | 3회 |
| 슬랑고르 FA | 2008-09 말레이시아 슈퍼 리그 우승 | 2회 |
2010년 AFC컵 조별 예선은 서아시아(A조~E조)와 동아시아(F조~H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의 1위 팀과 2위 팀은 16강에 진출했다.[8] 조별 리그는 2010년 2월 23일부터 4월 28일까지 진행되었다.[5]
3. 조별 예선
각 팀은 같은 조의 다른 세 팀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두 번씩, 총 6번의 경기를 치렀다. 경기 결과에 따라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획득하며, 승점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승점이 같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했다.
1. 승점이 같은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2. 승점이 같은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골득실
3. 승점이 같은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득점
4.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5.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득점
6. 두 팀만 승점이 같고, 두 팀 모두 경기장에 있는 경우 승부차기
7. 조별 리그 경기에서 받은 경고와 퇴장 점수가 적은 팀 (경고 1점, 경고 2회로 인한 퇴장 3점, 바로 퇴장 3점, 경고 후 바로 퇴장 4점)
8. 추첨
16강에 진출한 팀은 다음과 같다.3. 1. A조
알카라마 (시리아)와 샤바브 알오르돈 (요르단)이 16강에 진출했다.
| 알아흘리 | 알카라마 | 사함 클럽 | 샤바브 알오르돈 | |
|---|---|---|---|---|
| style="text-align:right;"| | 0-1 | 2-2 | 0-1 | |
| style="text-align:right;"| | 2-0 | | | 2-0 | 1-1 |
| style="text-align:right;"| | 1-0 | 1-4 | | | 0-0 |
| style="text-align:right;"| | 6-1 | 2-2 | 3-1 | | |
3. 2. B조
3. 3. C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카즈마 | 6 | 4 | 1 | 1 | 6 | 3 | +3 | 13 |
| 나사프 카르시 | 6 | 3 | 2 | 1 | 12 | 4 | +8 | 11 |
| 알자이시 | 6 | 2 | 2 | 2 | 10 | 8 | +2 | 8 |
| 알아헤드 | 6 | 0 | 1 | 5 | 5 | 18 | -13 | 1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 알아헤드 | | | 1-1 | 1-2 | 0-4 |
| 알자이시 | 6-3 | | | 0-1 | 1-1 |
| 카즈마 | 1-0 | 0-1 | | | 0-0 |
| 나사프 카르시 | 4-0 | 2-1 | 1-2 | | |
카즈마 (쿠웨이트)와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가 16강에 진출했다.
3. 4. D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알카디시야 | 6 | 4 | 2 | 0 | 14 | 5 | +9 | 14 |
| 알이티하드 | 6 | 3 | 1 | 2 | 10 | 8 | +2 | 10 |
| 알네즈메 | 6 | 3 | 1 | 2 | 12 | 8 | +4 | 10 |
| 이스트 벵골 | 6 | 0 | 0 | 6 | 5 | 20 | -15 | 0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 알이티하드 | | | 4-2 | 0-0 | 2-1 |
| 알네즈메 | 1-0 | | | 1-3 | 3-0 |
| 알카디시야 | 3-0 | 1-1 | | | 4-1 |
| 이스트 벵골 | 1-4 | 0-4 | 2-3 | | |
알카디시야 (쿠웨이트)와 알이티하드 (시리아)가 16강에 진출했다.
3. 5. E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알라이얀 | 6 | 5 | 0 | 1 | 16 | 7 | +9 | 15 |
| 리파 클럽 | 6 | 4 | 1 | 1 | 7 | 5 | +2 | 13 |
| 알웨흐다트 | 6 | 2 | 1 | 3 | 8 | 10 | -2 | 7 |
| 알나흐다 클럽 | 6 | 0 | 0 | 6 | 3 | 12 | -9 | 0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 알나흐다 클럽 | | | 0-2 | 0-1 | 1-3 |
| 알라이얀 | 3-2 | | | 0-2 | 3-0 |
| 리파 클럽 | 1-0 | 1-4 | | | 2-1 |
| 알웨흐다트 | 2-0 | 2-4 | 0-0 | | |
E조에서는 알라이얀(카타르)과 리파 클럽(바레인)이 16강에 진출했다.
3. 6. F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스리위자야 | 6 | 4 | 1 | 1 | 17 | 3 | +14 | 13 |
| 빈즈엉 | 6 | 4 | 1 | 1 | 14 | 2 | +12 | 13 |
| 슬랑오르 FA | 6 | 1 | 1 | 4 | 7 | 16 | -9 | 4 |
| 빅토리 SC | 6 | 1 | 1 | 4 | 2 | 19 | -17 | 4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 빈즈엉 | | | 4-0 | 2-1 | 3-0 |
| 슬랑오르 FA | 0-0 | | | 0-4 | 5-0 |
| 스리위자야 | 1-0 | 6-1 | | | 5-0 |
| 빅토리 SC | 0-5 | 2-1 | 0-0 | | |
스리위자야 (인도네시아)와 빈즈엉 (베트남)이 16강에 진출했다.
3. 7. G조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 무앙통 유나이티드 | | | 4-1 | 0-1 | 3-1 |
| 페르시와 와메나 | 2-2 | | | 0-2 | 2-3 |
| 사우스 차이나 | 0-0 | 6-3 | | | 3-1 |
| VB 스포츠 클럽 | 2-3 | 4-0 | 1-0 | | |
사우스 차이나 (홍콩)와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가 16강에 진출했다.
3. 8. H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SHB 다낭 | 6 | 4 | 2 | 0 | 12 | 6 | +6 | 14 |
| 타이 포트 | 6 | 3 | 2 | 1 | 8 | 5 | +3 | 11 |
| 게일랑 유나이티드 | 6 | 0 | 4 | 2 | 7 | 9 | -2 | 4 |
| 신제 리얼티 워푸 타이포 | 6 | 0 | 2 | 4 | 3 | 10 | -7 | 2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 게일랑 유나이티드 | | | 1-1 | 1-1 | 0-1 |
| 신제 리얼티 워푸 타이포 | 1-1 | | | 1-2 | 0-1 |
| SHB 다낭 | 3-2 | 3-0 | | | 0-0 |
| 타이 포트 | 2-2 | 2-0 | 2-3 | | |
SHB 다낭 (베트남)과 타이 포트 (태국)이 16강에 진출했다.
4. 토너먼트
2010년 AFC컵 토너먼트는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16강전은 단판 승부로, 8강전과 준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은 2010년 5월 11일과 5월 12일에 열렸으며, 8강전은 2010년 9월 14일과 9월 21일에, 준결승전은 2010년 10월 5일과 10월 19일에 각각 열렸다.
4. 1. 16강전
(승부차기 6-5)(승부차기 2-4)
(승부차기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