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는 국제 유도 연맹 주최로 2015년 8월 24일부터 8월 30일까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의 알라우 아이스 팰리스에서 개최되었다. 120개국 729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일본이 금메달 8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로 3위를 기록했다.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곽동한(대한민국), 안바울(대한민국), 오노 쇼헤이(일본)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국제 유도 대회로, 남녀 각 8체급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종합 1위, 대한민국은 왕기춘 선수의 금메달과 최민호, 정경미 선수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200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는 2009년 8월 26일부터 8월 30일까지 남자 7체급, 여자 7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종합 1위, 대한민국이 2위, 프랑스가 3위를 기록했다.
25일 남자 66kg급, 여자 52kg급 26일 남자 73kg급, 여자 57kg급 27일 남자 81kg급, 여자 63kg급 28일 남자 90kg급, 여자 70kg급, 78kg급 29일 남자 100kg급, 100kg 초과급, 여자 78kg 초과급 30일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
2. 1. 경기 일정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6)을 따른다.[6]
경기 날짜
시작 시간
경기 상세 정보
8월 24일
11:00
남자 -60kg급, 여자 -48kg급
8월 25일
11:00
남자 -66kg급, 여자 -52kg급
8월 26일
11:00
남자 -73kg급, 여자 -57kg급
8월 27일
11:00
남자 -81kg급, 여자 -63kg급
8월 28일
11:00
남자 -90kg급, 여자 -70kg급, -78kg급
8월 29일
11:00
남자 -100kg급, +100kg급, 여자 +78kg급
8월 30일
10:00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
3. 경기 결과
3. 1. 메달 집계
순위
국가
금
은
동
합계
1
8
4
5
17
2
2
2
2
6
3
2
1
3
6
style="background:#ccf;"
4
1
1
0
2
1
1
0
2
6
1
0
0
1
1
0
0
1
8
0
2
1
3
9
0
2
0
2
10
0
1
3
4
11
0
1
0
1
0
1
0
1
13
0
0
4
4
14
0
0
3
3
0
0
2
2
16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1
합계
16
16
32
64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는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되었다. 일본이 금메달 8개, 은메달 4개, 동메달 5개로 총 1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를 차지했다. 개최국인 카자흐스탄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슬로베니아와 함께 공동 4위에 올랐다.
3. 2. 남자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남자 -90kg급(미들급)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의 곽동한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다.[11] 결승에서 곽동한은 러시아의 키릴 데니소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키릴 데니소프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일본의 베이카 마슈와 조지아(그루지야)의 바를람 리파르텔리아니에게 돌아갔다.[11]
3. 2. 1. -60kg급 (엑스트라라이트급)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남자 엑스트라-라이트급 (60 kg) 경기에서 금메달은 옐도스 스메토프 (카자흐스탄)가, 은메달은 루스탐 이브라예프 (카자흐스탄)가 획득했다.[7] 동메달은 시시메 도루 (일본)와 김원진 (대한민국)에게 돌아갔다.[7]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남자 -73kg급(라이트급) 경기에서는 일본의 오노 쇼헤이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나카야 리키를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오노 쇼헤이는 압도적인 기량으로 일본 유도의 자존심을 지켰다는 평가를 받았다.[9] 동메달은 몽골의 사인자르갈링 니암-오치르와 대한민국의 안창림이 차지했다. 특히 안창림은 준결승에서 아쉽게 패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이며 한국 유도의 밝은 미래를 보여주었다.[9]
3. 2. 4. -81kg급 (하프미들급)
81kg급(하프미들급) 경기에서는 일본의 나가세 다카노리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0]프랑스의 로이크 피에트리는 은메달을 차지했다. 동메달은 캐나다의 앙투안 발루아포르티에와 브라질의 빅토르 페나우베르에게 돌아갔다.
3. 2. 5. -90kg급 (미들급)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남자 -90kg급(미들급)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의 곽동한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다.[11] 결승에서 곽동한은 러시아의 키릴 데니소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키릴 데니소프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일본의 베이카 마슈와 조지아(그루지야)의 바를람 리파르텔리아니에게 돌아갔다.[11]
3. 2. 6. -100kg급 (하프헤비급)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의 -100kg급(하프헤비급) 경기는 8월 29일에 열렸다. 이 체급에서는 일본의 하가 류노스케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유도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하가 류노스케는 결승에서 독일의 카를리하르트 프라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2] 카를리하르트 프라이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벨기에의 토마 니키포로브와 독일의 디미트리 페터스에게 돌아갔다.[12]
3. 2. 7. +100kg급 (헤비급)
테디 리네르(테디 리네르/Teddy Riner프랑스어)가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남자 +100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시치노헤 류(시치노헤 류/七戸 龍일본어)는 은메달을 획득했다.[13] 아담 오크루아슈빌리(아담 오크루아슈빌리/ადამ ოქრუაშვილიka)와 야키브 하모(야키우 함모/Яків Хаммоuk)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3]
3. 2. 8. 단체전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단체전 경기는 '''일본'''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을 차지했고, '''조지아'''와 '''몽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은 에비누마 마사시, 타카이치 켄고, 나카야 리키, 오노 쇼헤이, 나가세 타카노리, 마루야마 테루키, 요시다 유야, 오지타니 타카시 등의 선수들이 출전하여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일본은 전통적으로 유도 강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대회에서도 그 명성을 입증했다.[14]
대한민국은 안바울, 안창림, 이승수, 곽동한, 김성민 선수가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선수들은 최선을 다했지만, 결승에서 일본에 패하며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하지만, 대한민국 유도는 세계적인 수준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14]
조지아는 바자 마르그벨라슈빌리, 라샤 샤브다투아슈빌리, 누그자리 타타라슈빌리, 베카 구비니아슈빌리, 바르람 리파르텔리아니 등의 선수가, 몽골은 다와도르지 툼루흐레그, 사인자르갈 냠오치르, 오트곤바타르 어간바타르, 루하그바수렌 오트곤바타르, 나이단 투브신바야르 등의 선수가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14]
3. 3. 여자
엑스트라라이트급 (-48kg)에서는 아르헨티나의 파울라 파레토가 금메달을, 일본의 아사미 하루나가 은메달을 획득했다.[15]대한민국의 정보경과 일본의 곤도 아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5]
하프라이트급 (-52kg)에서는 나카무라 미사토(일본)가 안드레아 키추(루마니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6] 이리카 미란다(브라질)와 다리야 스크리프니크(벨라루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6]
제브리즈 에마네(프랑스)가 마리아 베르나베우(스페인)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파니 에스텔 포스비트(프랑스)와 유리 알베아르(콜롬비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9]
3. 3. 6. -78kg급 (하프헤비급)
|-
|rowspan=2|하프 헤비급 (78 kg)[20]
|rowspan=2|
|rowspan=2|
|
|-
|
3. 3. 7. +78kg급 (헤비급)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여자 +78kg급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송 위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21] 일본의 다치모토 메구미는 은메달을 획득하였고,[21] 일본의 야마베 가나에와 쿠바의 이다리스 오르티스가 동메달을 차지하였다.[21]
3. 3. 8. 단체전
'''단체전'''에서는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폴란드가 은메달을, 독일과 러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일본은 나카무라 미사토, 야마모토 안즈, 다시로 미쿠, 아라이 지즈루, 눈이라 가렌, 야마베 가나에가 출전하였다. 폴란드는 카롤리나 피엔코프스카, 아를레타 포돌라크, 안나 보로프스카, 카타지나 크위스, 다리아 포고젤레츠, 아가타 오즈도바, 카롤리나 타와흐, 카타지나 푸르마네크가 출전하였다.
독일은 마린 크레, 미리암 로퍼, 마르티나 트라이도스, 산드라 디트리히, 야스민 그라보프스키, 라우라 바르가스 코흐, 비올라 베히터, 야스민 퀼브스가 출전하였고, 러시아는 율리야 리조바, 이리나 자블루디나, 예카테리나 발코바, 야나 크류코바, 안나 드미트리예바, 타티야나 카제뉴크가 출전하였다.
4. 대한민국 선수단
4. 1. 메달리스트
4. 2. 세계 랭킹 1위 선수 성적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당시 남자 60kg급 세계 랭킹 1위였던 오르한 사파로프(아제르바이잔)와 73kg급 세계 랭킹 1위였던 루스탐 오르조프(아제르바이잔)는 불참했다.[26] 남자 66kg급 세계 랭킹 1위 게오르기 잠타라야(우크라이나)는 첫 경기에서 패배했다.[26] 남자 81kg급 세계 랭킹 1위 압탄딜 치리키시빌리(조지아)와 100kg급 세계 랭킹 1위 루카시 크르팔레크(체코)는 5위를 기록했다.[26] 남자 90kg급 세계 랭킹 1위 토트 크리스티안(헝가리)는 7위를 기록했다.[26] 유일하게 남자 100kg 이상급 세계 랭킹 1위 테디 리네르(프랑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26]
여자 48kg급 세계 랭킹 1위 뭉흐바트 우란체체그와 78kg급 세계 랭킹 1위 케이일라 해리슨(미국)는 3회전에서 탈락했다.[26] 여자 52kg급 세계 랭킹 1위 안드레아 키투(루마니아)와 57kg급 세계 랭킹 1위 코리나 차프리오리우(루마니아)는 은메달을 획득했다.[26] 여자 63kg급 세계 랭킹 1위 티나 트르스테냐크와 78kg 초과급 세계 랭킹 1위 위쑹(중국)은 금메달을 획득했다.[26] 여자 70kg급 세계 랭킹 1위 킴 폴링은 7위를 기록했다.[26]
5. 상금
수상자에게 지급되는 상금은 개인전 총 20만 달러, 단체전 총 10만 달러를 기준으로 한다.[1]
이번 대회에서는 메달리스트 외에 해당 코치에게도 상금이 지급되기로 했다. 개인전 우승자에게는 7,200달러, 해당 코치에게 1,800달러, 2위에게는 4,800달러, 해당 코치에게 1,200달러, 3위에게는 2,400달러, 해당 코치에게 600달러가 지급된다. 단체전 우승팀에게는 4만 달러, 해당 코치에게 1만 달러, 2위에게는 2만 4천 달러, 해당 코치에게 6,000달러, 3위에게는 8,000달러, 해당 코치에게 2,000달러가 지급된다.[27]
5. 1. 개인전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개인전 수상자에게는 금메달 총 6,000$(선수 4,800$, 코치 1,200$), 은메달 총 4,000$(선수 3,200$, 코치 800$), 동메달 총 2,000$(선수 1,600$, 코치 400$)가 수여된다.[1] 이번 대회에서는 메달리스트 외에 해당 코치에게도 상금이 지급되기로 했다.[27]
메달
총액
유도 선수
코치
6,000$
4,800$
1,200$
4,000$
3,200$
800$
2,000$
1,600$
400$
5. 2. 단체전
단체전 수상자에게는 금메달 총 25,000$(선수 20,000$, 코치 5,000$), 은메달 총 15,000$(선수 12,000$, 코치 3,000$), 동메달 총 5,000$(선수 4,000$, 코치 1,000$)가 지급된다.[1] 이번 대회에서는 메달리스트 외에 해당 코치에게도 상금이 지급되기로 결정되었다. 단체전 우승팀에게는 4만 달러, 해당 코치에게 1만 달러, 2위에게는 2만 4천 달러, 해당 코치에게 6,000달러, 3위에게는 8,000달러, 해당 코치에게 2,000달러가 지급된다.[27]
메달
총액
유도 선수
코치
금메달
25,000$
20,000$
5,000$
은메달
15,000$
12,000$
3,000$
동메달
5,000$
4,000$
1,000$
6. 방송
이번 대회는 후지 TV계열에서 방송되었다. 해설은 아나이 다카마사, 사토 아이코가 맡았고, 실황은 스즈키 요시히코, 후쿠나가 가즈시게가, 리포터는 마쓰야마 미시로가 담당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