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SK 와이번스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류준열 사장, 민경삼 단장, 손차훈 매니저를 포함한 프런트와 김성갑 수석코치를 중심으로 한 코칭 스태프, 그리고 선수단으로 구성되었다. 최정은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와 KBO 월간 MVP를 수상했으며, 홈런 1위, 정의윤은 최다 경기 출장 기록을 세웠다. 박희수, 켈리, 이재원, 정의윤은 올스타로 선정되었고, 최정은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등을 수상했다. 2차 드래프트에서 최정용 등을 영입하고, 김웅빈 등을 방출했다. 정영석 응원단장, 김우중 장내 아나운서, 김지훈 탑 아나운서가 응원단을 이끌었다. 최승준은 19홈런으로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으며, 전병두 은퇴식이 열렸다. 마스코트가 변경되었고, 조한욱과 이현석은 경찰 야구단에 입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K 와이번스 시즌 - 2005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5년 SK 와이번스는 신영철 사장, 민경삼 단장 체제 아래 김원형, 신승현 등이 활약하고 김재현 골든글러브 수상, 이호준, 크루즈, 이진영 KBO 월간 MVP 수상, 조동화 희생번트 기록 경신, 위재영 준플레이오프 전 경기 출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SK 와이번스 시즌 -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KBO 리그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와 이승호의 14승 활약, 틸슨 브리또의 올스타 선정, 그리고 김건한의 퓨처스리그 노히트노런 달성 등이 있었다. - SSG 랜더스 시즌 - 2005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5년 SK 와이번스는 신영철 사장, 민경삼 단장 체제 아래 김원형, 신승현 등이 활약하고 김재현 골든글러브 수상, 이호준, 크루즈, 이진영 KBO 월간 MVP 수상, 조동화 희생번트 기록 경신, 위재영 준플레이오프 전 경기 출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SSG 랜더스 시즌 -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KBO 리그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와 이승호의 14승 활약, 틸슨 브리또의 올스타 선정, 그리고 김건한의 퓨처스리그 노히트노런 달성 등이 있었다.
2016년 SK 와이번스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 SK 와이번스 |
시즌 | 2016년 |
구단주 이름 | 최창원 |
구단주 직책 | 구단주 |
감독 | 김용희 |
연고지 | 인천광역시 |
경기장 | 인천SK행복드림구장 |
리그 | 2016년 KBO 리그 |
리그 성적 | 6위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홈 평균 관중 | 12017명 |
선수 통계 | |
최다 승리 투수 | 김광현 (11승) |
최다 홈런 타자 | 최정 (40개) |
최고 타율 타자 | 김성현 (0.319) |
최다 안타 타자 | 정의윤 (179개) |
2. 프런트
3. 코칭스태프
4. 선수단
2016년 시즌 SK 와이번스의 선수단은 켈리와 김광현이 이끄는 선발진, 박희수가 마무리로 활약한 불펜으로 투수진을 구성했다. 야수진에서는 최정이 40홈런으로 KBO 리그 홈런왕을 차지하며 공격을 이끌었고, 정의윤은 100타점을 기록했다. 김성현은 주전 2루수로 자리매김하며 3할 타율을 넘겼고, 외국인 선수 고메즈는 유격수로 활약했다. 포수 마스크는 주로 이재원이 썼으며, 김강민은 중견수 자리에서 공수 양면으로 기여했다. 1루는 박정권과 최승준이 번갈아 맡았고, 좌익수 자리에서는 김재현, 이명기, 박재상 등이 기회를 받았다. 김동엽은 지명타자로 가능성을 보였다. 시즌 중 투수 세든이 라라로 교체되었고, 전병두는 시즌 마지막 등판을 끝으로 은퇴했다.
4. 1. 선발투수
wikitext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켈리 | 31 | 200.1 | 9 | 8 | 0 | 0 | 152 | 3.68 |
김광현 | 27 | 137 | 11 | 8 | 1 | 0 | 116 | 3.88 |
윤희상 | 23 | 122.2 | 9 | 6 | 0 | 0 | 74 | 4.84 |
박종훈 | 28 | 140 | 8 | 13 | 0 | 0 | 104 | 5.66 |
문승원 | 20 | 63.2 | 4 | 4 | 0 | 0 | 49 | 6.64 |
세든 | 12 | 62 | 5 | 5 | 0 | 0 | 43 | 5.37 |
전병두 | 1 | 0.1 | 0 | 0 | 0 | 0 | 0 | 0.00 |
임준혁 | 6 | 16 | 1 | 4 | 0 | 0 | 8 | 10.13 |
라라 | 17 | 48.1 | 2 | 6 | 1 | 0 | 40 | 6.70 |
4. 2. 구원투수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채병용 | 68 | 83.2 | 6 | 3 | 9 | 2 | 67 | 4.30 |
김주한 | 39 | 59.1 | 3 | 1 | 2 | 1 | 50 | 4.25 |
김태훈 | 15 | 14.2 | 0 | 1 | 0 | 0 | 9 | 4.30 |
박민호 | 32 | 36.2 | 0 | 1 | 3 | 0 | 18 | 4.91 |
정영일 | 21 | 24.2 | 1 | 0 | 1 | 0 | 18 | 4.74 |
서진용 | 25 | 26.2 | 0 | 0 | 3 | 0 | 30 | 4.73 |
전유수 | 46 | 54.1 | 2 | 4 | 3 | 0 | 45 | 5.13 |
이건욱 | 1 | 0.2 | 0 | 0 | 0 | 0 | 1 | 27.00 |
신재웅 | 35 | 18 | 0 | 1 | 4 | 0 | 17 | 5.50 |
김승회 | 23 | 24.1 | 1 | 1 | 4 | 0 | 19 | 5.92 |
고효준 | 5 | 9.2 | 0 | 0 | 0 | 0 | 7 | 11.17 |
박정배 | 49 | 51.2 | 2 | 3 | 11 | 2 | 26 | 5.40 |
문광은 | 17 | 17 | 1 | 1 | 1 | 0 | 13 | 9.53 |
4. 3. 마무리투수
wikitext
4. 4. 포수
wikitext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이재원 | 130 | 119 | 15 | 64 | 49 | 1 | .290 | .800 |
김민식 | 88 | 37 | 2 | 14 | 17 | 1 | .257 | .720 |
이현석 | 11 | 2 | 0 | 0 | 1 | 0 | .182 | .364 |
4. 5. 1루수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박정권 | 125 | 117 | 18 | 59 | 59 | 4 | .277 | .797 |
최승준 | 76 | 53 | 19 | 42 | 31 | 0 | .266 | .942 |
김기현 | 14 | 3 | 0 | 0 | 3 | 0 | .188 | .485 |
4. 6. 2루수
wikitext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김성현 | 138 | 153 | 8 | 65 | 66 | 3 | .319 | .794 |
최정민 | 88 | 51 | 0 | 11 | 29 | 8 | .329 | .754 |
나주환 | 24 | 22 | 5 | 12 | 13 | 0 | .386 | 1.119 |
유서준 | 8 | 0 | 0 | 0 | 0 | 0 | .000 | .000 |
4. 7. 유격수
wikitext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고메즈 | 117 | 129 | 21 | 62 | 74 | 16 | .283 | .813 |
박승욱 | 36 | 24 | 3 | 13 | 19 | 2 | .276 | .802 |
조성모 | 3 | 1 | 0 | 0 | 1 | 0 | .500 | 1.000 |
4. 8. 3루수
wikitext
4. 9. 좌익수
wikitext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김재현 | 100 | 54 | 1 | 18 | 27 | 13 | .321 | .807 |
이명기 | 99 | 78 | 1 | 22 | 29 | 14 | .272 | .666 |
박재상 | 94 | 76 | 6 | 35 | 37 | 3 | .298 | .794 |
한유섬 | 6 | 5 | 0 | 0 | 3 | 1 | .278 | .628 |
4. 10. 중견수
wikitext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김강민 | 115 | 109 | 10 | 47 | 59 | 12 | .298 | .808 |
4. 11. 우익수
wikitext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정의윤 | 144 | 179 | 27 | 100 | 68 | 2 | .311 | .857 |
이진석 | 41 | 8 | 0 | 2 | 6 | 0 | .186 | .478 |
조동화 | 76 | 34 | 0 | 16 | 24 | 6 | .238 | .596 |
4. 12. 지명타자
wikitext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김동엽 | 57 | 48 | 6 | 23 | 19 | 2 | 0.336 | 0.877 |
임석진 | 11 | 2 | 0 | 0 | 3 | 0 | 0.182 | 0.432 |
5. 주요 기록
2016년 시즌 SK 와이번스 선수들은 여러 부문에서 주목할 만한 기록과 수상을 남겼다. 최정은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고, 홈런과 사구에서 리그 1위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다수의 시상식에서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최승준은 6월 월간 MVP의 영예를 안았다. 박정권은 1루수로서 뛰어난 수비(자살 1위, ADT캡스 수비상)를 선보였고 사랑의 골든글러브도 수상했다. 김강민 역시 중견수 부문 ADT캡스 수비상을 받았다. 정의윤은 팀 내 최다 경기에 출장했다. 올스타전에는 박희수, 켈리, 이재원, 정의윤이 추천선수로 참가하여 박희수와 켈리가 각각 이벤트 게임에서 우승했다. 김광현은 개막전 선발로 나섰으며,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70주년 기념 올스타에 박재홍(OB), 김광현, 최정, 정의윤(현역)이 이름을 올렸다.
5. 1. 타이틀
wikitext부문 | 수상자 | 비고 |
---|---|---|
골든글러브 (3루수) | 최정 | |
KBO 월간 MVP | 최승준 | 6월 |
타자 최다 출장 | 정의윤 | 144경기 |
홈런 1위 | 최정 | 40개 |
사구 1위 | 최정 | 23개 |
1루수 자살 1위 | 박정권 | 947개 |
사랑의 골든글러브 | 박정권 | |
올스타 추천선수 | 박희수, 켈리, 이재원, 정의윤 | |
올스타전 퍼펙트피처 우승 | 박희수 | |
올스타전 번트왕 우승 | 켈리 | |
ADT캡스 수비상 | 박정권 (1루수), 김강민 (중견수) | |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조아바이톤상 | 최정 | |
스포츠서울 올해의 기록상 | 최정 | |
한국갤럽 선정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 김광현 | 6위 |
황금사자기 70주년 기념 OB 올스타 | 박재홍 (외야수) | |
황금사자기 70주년 기념 현역 올스타 | 김광현 (좌완투수), 최정 (3루수), 정의윤 (외야수) |
5. 2. 개인 기록
- 타자 출장: 정의윤 (144)
- 홈런: 최정 (40)
- 사구: 최정 (23)
- 자살: 박정권 (947)
- 골든글러브: 최정 (3루수)
- KBO 월간 MVP: 최승준 (6월)
- 사랑의 골든글러브: 박정권
- 올스타 추천선수: 박희수, 켈리, 이재원, 정의윤
- 퍼펙트피처 우승: 박희수
- 번트왕 우승: 켈리
- ADT캡스 수비상: 박정권 (1루수), 김강민 (중견수)
- 조아제약 프로야구 대상 조아바이톤상: 최정
- 스포츠서울 올해의 기록상: 최정
- 한국갤럽 선정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김광현 (6위)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70주년 기념 OB 올스타: 박재홍 (외야수)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70주년 기념 현역 올스타: 김광현 (좌완투수), 최정 (3루수), 정의윤 (외야수)
- 개막전 선발투수: 김광현
5. 3. 퓨처스리그
조용호는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퓨처스리그 우수선수상을 수상했으며, 희생타 8개를 기록했다. 또한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이건욱은 1번의 완투와 2번의 완봉을 기록했다. 퓨처스 올스타에는 이건욱, 조이현, 노관현, 최정용, 이진석이 선정되었다.6. 2차 드래프트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일부 선수를 영입하고, 일부 선수는 타 팀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6. 1. 영입
2차 드래프트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선수들을 영입하였다.라운드 | 선수 |
---|---|
1라운드 | 최정용 |
2라운드 | 김정민 |
3라운드 | 박종욱 |
6. 2. 방출
7. 응원단
- 응원단장: 정영석
- 장내 아나운서: 김우중
- 탑 아나운서: 김지훈
8. 특이 사항
- LG 트윈스 시절 백업 선수였던 최승준은 SK 와이번스로 이적한 첫 해인 이 시즌에 처음으로 주전으로 기용되어 1루수와 지명타자로 번갈아 출전하며 19홈런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쳐 개인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10월 8일에 전병두의 은퇴식이 열렸다. 이날 전병두는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첫 타자 한 명만 상대하고 마운드를 내려왔는데, 이는 SK 와이번스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열린 은퇴 경기였다.
- 마스코트가 '아테나'와 '와울'로 변경되었다. 이 마스코트들은 팀이 신세계로 인수되기 직전인 2020년까지 사용되었다.
- 시즌 종료 후 조한욱과 이현석은 경찰 야구단에 입대했는데, 이들은 SK 와이번스 소속 선수 중 마지막으로 경찰 야구단에 입대한 선수들이 되었다.
- 2000년에 등번호 00번을 사용했던 김경기를 제외하면 0으로 시작하는 등번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나, 이 시즌부터 신인 선수들에게 0으로 시작하는 등번호를 부여하기 시작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