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포항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포항 지진은 2018년 2월 11일 오전 5시 3분 41초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북북서쪽 5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6의 지진이다. 경북 지역에서 최대 진도 V가 관측되었고, 울산에서는 진도 IV, 경남과 대구에서는 진도 III이 관측되었다. 이 지진으로 43명이 부상을 당하고 포항역 등 354곳에서 시설물 피해가 발생했으며, 흥해 실내체육관에 400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포항시 내 학교 및 교육기관, 보경사 등 문화재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월 11일 - 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 사고
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 사고는 2018년 2월 11일 모스크바에서 오르스크로 향하던 여객기가 이륙 6분 만에 추락하여 탑승자 71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조종사의 실수로 인한 피토 튜브 결빙이 사고 원인으로 밝혀졌다. - 2월 11일 - 세계 여성과학인의 날
세계 여성 과학인의 날은 과학 분야 여성의 평등한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유엔이 지정한 기념일로, 매년 2월 11일에 기념 행사를 개최하여 여성의 과학 분야 참여 확대를 위한 활동을 장려한다. - 경상북도의 재난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경상북도의 재난 - 2016년 경주 지진
2016년 경주 지진은 2016년 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서 발생한 대한민국 관측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건물 및 문화재 피해, 원자력 발전소 가동 중단 등의 영향을 미쳤다. - 포항시의 역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포항시의 역사 - 장기군
장기군은 신라 지답현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 장기현을 거쳐 조선시대에는 경주부의 영현이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영일군과 경주군에 편입된 경상북도의 옛 행정구역이다.
2018년 포항 지진 | |
---|---|
지진 정보 | |
발생 시간 | 2018년 2월 11일 05시 03분 03초 (UTC+9) |
진앙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북서쪽 5km 지역 |
깊이 | 9km |
![]() | |
규모 | |
지진 규모 | 릭터 규모 |
규모 | 4.6 |
규모 기타 | 모멘트 규모 4.5 |
진도 | |
진도 종류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진도 | V |
진도 지점 | 경북 |
피해 정보 | |
쓰나미 | 없음 |
산사태 | 없음 |
인명 피해 | 43명 부상 (40명 경상) |
2. 지진 발생
2018년 2월 11일 오전 5시 3분 41초,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북북서쪽 5km 지역에서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했다.[3]
2. 1. 진도
2018년 포항 지진한국어의 진도는 경북 지역에서 최대 V로 측정되었으며, 울산에서는 IV, 경남과 대구에서는 III으로 측정되었다.[3]3. 피해 상황
2018년 포항 지진으로 43명이 부상을 입었고,[4] 포항시 보경사 법당 내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문화재 피해도 있었다.[7] 2월 16일 기준으로 시설 피해 신고는 1,438건으로 집계되었다.
3. 1. 시설물 피해
포항역 등 354곳에서 시설물 피해가 발생했다.[4] 지진 공포가 확산하면서 흥해 실내체육관에 대피한 이재민은 400명을 넘어섰다.[5]경북 포항 시내 학교 47곳과 도서관 등 교육기관 4곳에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흥초등학교와 포항여자중학교 등에서 미장이 탈락하거나 벽체 균열이 일어났고, 영일공공도서관 등에서도 천장 타일 일부가 내려앉았다.[6]
포항시 보경사의 법당 내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문화재가 일부 훼손되었다.[7]
사유시설 피해는 80건으로 집계되었으며, 2월 16일 기준으로 시설피해 신고는 날이 갈수록 늘어나 1,438건이다.
3. 2. 이재민 발생
지진으로 인한 공포가 확산되면서 흥해 실내체육관에 대피한 이재민은 400명을 넘어섰다.[5]참조
[1]
뉴스
포항서 규모 4.6 지진…피해신고 속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02-11
[2]
뉴스
4.6 지진에 놀란 포항 '긴급 대피'…재난문자 '늑장'
https://news.sbs.co.[...]
SBS
2018-02-12
[3]
웹인용
발표정보 > 지진 > 지진·화산 > 날씨 > 기상청
http://www.weather.g[...]
2020-09-25
[4]
뉴스
"진정제 먹어도…" 지진 불안감에 밤잠 설친 포항 이재민
https://news.jtbc.jo[...]
연합뉴스
2018-02-12
[5]
뉴스
작은 소리에도 극심한 공포…포항 주민들 '지진 트라우마'
https://news.sbs.co.[...]
SBS
2018-02-12
[6]
뉴스
벽 균열에 계단 파손…포항 학교 47곳 지난해 지진 이어 또 수난(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02-12
[7]
뉴스
휴일 새벽잠 깨운 4.6지진…포항여진중 최대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18-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