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라운드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예선 1라운드는 A, B, C, D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3개 팀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뉴질랜드, 중국, 홍콩과 함께 A조에 편성되어 4승 2패, 조 2위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1]
B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일본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특히 필리핀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 벌어진 필리핀-호주 농구 난투극 사건은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켰다.[1]
C조에서는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요르단과 레바논은 1승 1패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요르단(+3)이 레바논(-3)에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1]
D조에서는 이란, 카자흐스탄, 카타르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카타르는 이라크에 2승을 거두며 상대 전적에서 우위를 점했다.
3. 1. A조
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6 | 5 | 1 | 579 | 439 | +140 | 11 | 2라운드 진출 |
Korea|대한민국한국어 | 6 | 4 | 2 | 530 | 502 | +28 | 10 |
China|중국중국어 | 6 | 3 | 3 | 503 | 414 | +89 | 9 |
Hong Kong|홍콩영어 | 6 | 0 | 6 | 404 | 661 | -257 | 6 |
뉴질랜드, 대한민국, 중국이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1]
'''A조 경기 결과'''팀1 | 점수 | 팀2 |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80-86 | Korea|대한민국한국어 |
China|중국중국어 | 96-44 | Hong Kong|홍콩영어 |
Korea|대한민국한국어 | 81-92 | China|중국중국어 |
Hong Kong|홍콩영어 | 74-133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Korea|대한민국한국어 | 93-72 | Hong Kong|홍콩영어 |
China|중국중국어 | 73-82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Korea|대한민국한국어 | 84-93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Hong Kong|홍콩영어 | 58-111 | China|중국중국어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124-65 | Hong Kong|홍콩영어 |
China|중국중국어 | 74-82 | Korea|대한민국한국어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67-57 | China|중국중국어 |
Hong Kong|홍콩영어 | 91-104 | Korea|대한민국한국어 |
3. 2. B조
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6 | 5 | 1 | 525 | 392 | +133 | 11 | 2라운드 진출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6 | 4 | 2 | 470 | 482 | -12 | 10 |
日本|일본일본어 | 6 | 2 | 4 | 469 | 464 | +5 | 8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6 | 1 | 5 | 426 | 552 | -126 | 7 | |
B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일본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특히 필리핀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 벌어진 필리핀-호주 농구 난투극 사건은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켰다.[1]
3. 3. C조
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요르단 | 6 | 5 | 1 | 575 | 452 | +123 | 11 | 2라운드 진출 |
레바논 | 6 | 5 | 1 | 531 | 398 | +133 | 11 |
시리아 | 6 | 2 | 4 | 402 | 503 | -101 | 8 |
인도 | 6 | 0 | 6 | 413 | 568 | -155 | 6 | |
- 요르단과 레바논 간의 상대 전적은 1승 1패이지만 골득실에서 요르단이 +3, 레바논이 -3이므로 요르단이 우위를 점했다.[1]
3. 4. D조
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이란 | 6 | 5 | 1 | 454 | 351 | +103 | 11 | 2라운드 진출 |
카자흐스탄 | 6 | 3 | 3 | 420 | 436 | -16 | 9 |
카타르 | 6 | 2 | 4 | 408 | 465 | -57 | 8 |
이라크 | 6 | 2 | 4 | 412 | 442 | -30 | 8 | |
- 카타르는 이라크를 상대로 2승을 거두어 우위에 있다.
4. 2라운드
2라운드는 1라운드를 통과한 팀들이 두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E조에는 뉴질랜드, 대한민국, 요르단, 레바논, 중국, 시리아가 편성되었다. 각 팀은 1라운드에서 맞붙었던 팀을 제외한 다른 팀들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가졌다. 1라운드 성적을 포함하여 각 조 상위 3팀과 각 조 4위 팀 중 승점이 높은 팀이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
대한민국은 2라운드에서 10승 2패를 기록하며 조 2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뉴질랜드와는 1승 1패를 기록했지만, 골득실에서 밀려 조 2위가 되었다.[1] 중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으며, E조 4위를 기록했지만, E조 5위인 레바논이 F조 4위인 필리핀보다 성적이 낮아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4. 1. E조
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뉴질랜드 | 12 | 10 | 2 | 1090 | 861 | +229 | 22 | 본선 진출 |
대한민국 | 12 | 10 | 2 | 1062 | 927 | +135 | 22 |
요르단 | 12 | 7 | 5 | 1037 | 951 | +86 | 19 |
중국 | 12 | 7 | 5 | 1004 | 834 | +170 | 19 |
레바논 | 12 | 6 | 6 | 945 | 858 | +87 | 18 | |
시리아 | 12 | 2 | 10 | 793 | 1088 | -295 | 14 | |
- 개최국 중국은 자동 본선 진출[1]
- 뉴질랜드와 대한민국 간의 상대 전적은 1승 1패이지만 골득실에서 뉴질랜드가 +3, 대한민국이 -3이므로 뉴질랜드가 우위[1]
- 요르단과 중국 간의 상대전적은 1승 1패이지만 골득실에서 요르단이 +15, 중국이 -15이므로 요르단이 우위[1]
- E조 4위가 중국이나 개최국이므로 E조 5위인 레바논이 F조 4위인 필리핀과 성적 비교를 하게 되었으나 성적 열세로 탈락[1]
4. 2. F조
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호주 | 12 | 10 | 2 | 1055 | 727 | +328 | 22 | 본선 진출 |
일본 | 12 | 8 | 4 | 988 | 844 | +144 | 20 |
이란 | 12 | 8 | 4 | 890 | 811 | +79 | 20 |
필리핀 | 12 | 7 | 5 | 970 | 935 | +35 | 19 |
카자흐스탄 | 12 | 4 | 8 | 828 | 963 | -135 | 16 | |
카타르 | 12 | 2 | 10 | 732 | 1027 | -295 | 14 | |
- 일본이 이란 상대로 2승을 거두어 우위에 있다.
- F조 4위인 필리핀이 E조 5위인 레바논과 성적 비교를 통해 성적 우세로 본선에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