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농구 아시아 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농구 아시아 연맹(FIBA 아시아)은 아시아 지역의 농구 발전을 관할하는 기구이다. 6개의 하위 지역 협회(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걸프, 중앙아시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 협회는 FIBA 아시아컵 예선 등 주요 대회를 주관한다. FIBA 아시아는 44개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FIBA 아시아컵, FIBA 여자 아시아컵, FIBA 3x3 아시아컵 등 다양한 국가대표팀 및 클럽팀 대회를 주최한다. 아시아 국가들의 FIBA 세계 랭킹은 FIBA 아시아의 활동과 연관되어 있으며, 하계 올림픽 및 FIBA 농구 월드컵과 같은 국제 대회에서의 성적도 기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트리트볼 단체 - 국제 농구 연맹
국제 농구 연맹(FIBA)은 1932년 창설되어 올림픽 농구 종목 채택에 기여하고 FIBA 농구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를 주관하며 각국 농구 협회를 회원으로 둔 농구 종목의 국제적인 관리 기구이다. - 스트리트볼 단체 - 국제 농구 오세아니아 연맹
국제 농구 오세아니아 연맹(FIBA 오세아니아)은 FIBA의 산하 단체로서 오세아니아 지역의 농구를 관할하며, 농구 관련 대회 주최 및 농구 발전 활동을 수행한다.
| 국제 농구 아시아 연맹 | |
|---|---|
| 개요 | |
| 이름 | FIBA 아시아 |
| 종류 | 국제 스포츠 연맹 |
| 조직 | |
| 설립 | 1960년 |
| 본부 | 베이루트, 레바논 |
| 회원 | 44 (+22)개 회원 협회 |
| 공식 언어 | 영어 |
| 리더십 | |
| 회장 | 켐파 고빈다라지 |
| 웹사이트 | |
| 공식 웹사이트 | FIBA 아시아 공식 웹사이트 |
| 관련 단체 | |
| 상위 단체 | 국제 농구 연맹 |
| 하위 단체 | 걸프 농구 협회 남아시아 농구 협회 동남아시아 농구 협회 동아시아 농구 협회 서아시아 농구 협회 중앙아시아 농구 협회 |
2. FIBA 아시아 내 지역 협회
FIBA 아시아는 6개의 하위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 협회는 해당 지역의 농구 발전과 대회 운영을 담당한다. 각 지역 협회는 FIBA 아시아컵 예선 등 주요 대회 예선을 주관하며, 지역 내 농구 교류 증진에 힘쓰고 있다.
FIBA 아시아를 구성하는 6개의 하위 지역 협회는 다음과 같다.
- 중앙아시아 농구 협회(CABA)
- 동아시아 농구 협회(EABA)
- 걸프 농구 협회(GBA)
- 남아시아 농구 협회(SABA)
- 동남아시아 농구 협회(SEABA)
- 서아시아 농구 협회(WABA)
2. 1. 중앙아시아 농구 협회 (CABA)
중앙아시아 농구 협회(CABA)는 중앙아시아 5개 국의 농구 협회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 | 협회 |
|---|---|
| 우즈베키스탄 농구 연맹 | |
| 카자흐스탄 농구 연맹 | |
| 키르기스스탄 농구 연맹 | |
| 타지키스탄 공화국 농구 연맹 | |
| 투르크메니스탄 농구 연맹 |
2. 2. 동아시아 농구 협회 (EABA)
동아시아 농구 협회(EABA)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마카오, 몽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총 8개국의 농구 협회로 구성되어 있다.| 동아시아 (EABA) |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북한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2. 3. 걸프 농구 협회 (GBA)
걸프 농구 협회(GBA)는 걸프 지역 6개국 농구 협회로 구성되어 있다.| 걸프 (GBA) |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2. 4. 남아시아 농구 협회 (SABA)
남아시아 농구 협회(SABA)는 남아시아 8개국의 농구 협회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 | 협회 |
|---|---|
| 아프가니스탄 국가 농구 연맹 | |
| 방글라데시 농구 연맹 | |
| 부탄 농구 연맹 | |
| 인도 농구 연맹 | |
| 몰디브 농구 협회 | |
| 네팔 농구 협회 | |
| 파키스탄 농구 연맹 | |
| 스리랑카 농구 연맹 |
2. 5. 동남아시아 농구 협회 (SEABA)
동남아시아 농구 협회(SEABA)는 동남아시아 10개국의 농구 협회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 | 협회 | 코드 | 지역 |
|---|---|---|---|
| 라오스 농구 연맹 | LAO | 동남아시아 | |
| 말레이시아 농구 협회 | MAS | 동남아시아 | |
| 미얀마 농구 연맹 | MYA | 동남아시아 | |
| 베트남 농구 협회 | VIE | 동남아시아 | |
| 브루나이 농구 협회 | BRU | 동남아시아 | |
| 싱가포르 농구 협회 | SGP | 동남아시아 | |
| 인도네시아 농구 협회 | INA | 동남아시아 | |
| 캄보디아 농구 연맹 | CAM | 동남아시아 | |
| 태국 농구 체육 협회 | THA | 동남아시아 | |
| 필리핀 농구 연맹 | PHI | 동남아시아 |
2. 6. 서아시아 농구 협회 (WABA)
서아시아 농구 협회(WABA)는 서아시아 지역의 농구 협회이다. 소스에 따르면, 다음 7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가 | 협회 |
|---|---|
| 이란 농구 연맹 | |
| 이라크 농구 연맹 | |
| 요르단 농구 연맹 | |
| 레바논 농구 연맹 | |
| 팔레스타인 농구 연맹 | |
| 시리아 농구 연맹 | |
| 예멘 농구 협회 |
FIBA 아시아에는 44개의 회원국이 있으며, 각 회원국은 해당 국가의 농구 협회를 통해 FIBA 아시아의 활동에 참여한다.
국제 농구 아시아 연맹(FIBA 아시아)는 아시아 지역의 농구 발전을 위해 다양한 연령대와 수준별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3. 회원국
국가 협회 FIBA
가맹 연도중앙아시아 (CABA)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농구 연맹 1992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농구 연맹 1992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농구 연맹 1994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농구 연맹 1998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농구 연맹 1992 동아시아 (EABA) 중국 중국 농구 협회 1974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농구 협회 1981 홍콩 홍콩 농구 협회 1957 일본 일본 농구 협회 1936 마카오 마카오-중국 농구 협회 1979 몽골 몽골 농구 협회 20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마추어 농구 협회 1947 대한민국 대한민국 농구 협회 1947 페르시아만 (GBA) 바레인 바레인 농구 협회 1975 쿠웨이트 쿠웨이트 농구 협회 1959 오만 오만 농구 협회 1987 카타르 카타르 농구 연맹 1977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 아라비아 농구 연맹 1964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농구 협회 1976 남아시아 (SABA)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농구 연맹 (ANBF) 1968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농구 연맹 1978 부탄 부탄 농구 연맹 1983 인도 인도 농구 연맹 1936 몰디브 몰디브 농구 협회 1997 네팔 네팔 농구 협회 2000 파키스탄 파키스탄 농구 연맹 1958 스리랑카 스리랑카 농구 연맹 1959 동남아시아 (SEABA) 브루나이 브루나이 농구 협회 1970 캄보디아 캄보디아 농구 연맹 1958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농구 협회 (PERBASI) 1954 라오스 라오스 농구 연맹 1965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농구 협회 1957 미얀마 미얀마 농구 연맹 1949 필리핀 필리핀 농구 협회 1936 싱가포르 싱가포르 농구 협회 1954 태국 태국 농구 스포츠 협회 1953 베트남 베트남 농구 연맹 1952 서아시아 (WABA) 이란 이란 농구 연맹 1947 이라크 이라크 농구 협회 1948 요르단 요르단 농구 연맹 1957 레바논 레바논 농구 연맹 1947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농구 연맹 1963 시리아 시리아 농구 연맹 1947 예멘 예멘 농구 협회 (YBA) 1971
4. 주요 주최 대회
4. 1. 국가대표팀 대회
4. 2. 클럽팀 대회
4. 3. 기타 범아시아 대회
| 토너먼트 | 연도 | 우승팀 | 횟수 | 준우승팀 | 다음 대회 |
|---|---|---|---|---|---|
| 클럽팀 | |||||
| 농구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 2024 | Al Riyadi|알 리야디영어 | 3회 | Shabab Al Ahli|샤밥 알 아흘리영어 | 2025 |
| 동아시아 슈퍼 리그 | 2023-24 | Chiba Jets|지바 제츠일본어 | 1회 | 서울 SK 나이츠 | 2024-25 |
| 서아시아 슈퍼 리그 | 2023-24 | Al Riyadi Club Beirut|알 리야디 클럽 베이루트영어 | 1회 | Sagesse SC|사제세 SC영어 | 2024-25 |
4. 4. 지역 협회 주최 대회
| 대회 |
|---|
| 동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동남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서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중앙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걸프 농구 선수권 대회 |
| SABA 선수권 대회 |
| ASEAN 농구 리그 (클럽팀 대회) |
| WABA 챔피언스컵 (클럽팀 대회) |
5. 국제 대회 성적
FIBA 랭킹은 남자,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실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현재(INSERT_UPDATE_DATE 기준) 아시아 지역 FIBA 남자 랭킹과 여자 랭킹은 다음과 같다.[1]
| FIBA 랭킹 | +/- | 국가대표팀 | 점수 |
|---|
| FIBA 랭킹 | +/- | 국가대표팀 | 점수 |
|---|
- FIBA 랭킹 점수를 기반으로 한 지역 랭킹이다.
5. 1. 하계 올림픽 (남자)
| 순위 | 설명 |
|---|---|
| 1위 | 금메달 |
| 2위 | 은메달 |
| 3위 | 동메달 |
| SF | 준결승 |
| FR | 결선 라운드 |
| QF | 8강 |
| R16 | 16강 |
| RD2 | 2라운드 |
| RD1 | 예선 라운드 |
| WD | 기권 |
| DQ | 실격 |
| style="border:3px solid red" | | 개최국 |
5. 2. 하계 올림픽 (여자)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0위
11위
12위
8위
10위
8위
8위
12위
12위
12위
12위
9위
12위
11위
11위
9위
1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