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국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LG 트윈스와 플레이오프에서 kt 위즈가 맞붙어 LG 트윈스가 4승 1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정규 시즌 순위는 LG 트윈스, kt 위즈, SSG 랜더스, NC 다이노스, 두산 베어스, KIA 타이거즈,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키움 히어로즈 순이었다. 포스트시즌에서 NC 다이노스는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치며 kt 위즈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LG 트윈스의 오지환이, 5차전 MVP는 박해민이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T 위즈 포스트시즌 - 2021년 KBO 포스트시즌
2021년 KBO 포스트시즌은 정규 시즌 상위 5개 팀이 참가하여 와일드카드 결정전부터 한국시리즈까지 진행되었으며, KT 위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두산 베어스는 7년 연속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 KT 위즈 포스트시즌 - 2024년 KBO 포스트시즌
2024년 KBO 포스트시즌은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kt 위즈가 참여하여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에서 KIA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가 맞붙을 예정이다. - 2023년 야구 - 2023년 KBO 리그
2023년 KBO 리그는 샐러리캡 신설, 2연전 폐지, 막대 풍선 반입 금지 등 규정 변경과 감독진 변화 속에서 LG 트윈스가 정규 시즌 1위 및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시즌이다. - 2023년 야구 -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2023년 3월에 일본, 대만, 미국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하고 오타니 쇼헤이가 MVP로 선정되었으며, 역대 WBC 최고 관중 수를 기록했다. - KT 위즈 - 수원케이티위즈파크
수원케이티위즈파크는 1989년에 개장하여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3년 리모델링을 거쳐 2015년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을 개최한 대한민국 수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KT 위즈 - 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2023년 한국시리즈 | |
---|---|
시리즈 정보 | |
연도 | 2023년 |
국가 | 한국 |
우승 팀 | LG 트윈스 (4) |
우승 팀 감독 | 염경엽 |
우승 팀 정규시즌 성적 | 86승 2무 56패 (0.606) |
준우승 팀 | KT 위즈 (1) |
준우승 팀 감독 | 이강철 |
준우승 팀 정규시즌 성적 | 79승 3무 62패 (0.559) |
경기 날짜 | 2023년 11월 7일 – 11월 13일 |
MVP | 오지환 (LG 트윈스) |
방송 정보 | |
텔레비전 방송사 | KBS (대한민국 – 한국어) MBC (대한민국 – 한국어) SBS (대한민국 – 한국어) |
텔레비전 방송 해설 | 강승화, 권성욱, 박용택, 윤희상, 장성호 (KBS) 한명재, 김나진, 이상훈, 정민철, 박재홍, 김선우 (MBC) 정우영, 윤성호, 이순철 (SBS) |
라디오 방송사 | (정보 없음) |
라디오 방송 해설 | (정보 없음) |
경기장 | |
경기장 정보 | 잠실야구장 (LG 트윈스 홈) 수원야구장 (KT 위즈 홈) |
심판 | |
심판 정보 | 박기택, 박근영, 전일수, 박종철, 이민호, 김병주, 최수원 |
시리즈 로고 | |
![]() | |
시리즈 이전/이후 정보 | |
이전 시리즈 | 2022년 |
다음 시리즈 | 2024년 |
2. 정규 시즌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연속 | 게임차 | 포스트시즌 |
---|---|---|---|---|---|---|---|---|---|
1 | LG 트윈스 | 144 | 86 | 2 | 56 | 0.606 | 1승 | 0.0 | 한국시리즈 진출 |
2 | kt 위즈 | 144 | 79 | 3 | 62 | 0.560 | 3승 | 6.5 | 플레이오프 진출 |
3 | SSG 랜더스 | 144 | 76 | 3 | 65 | 0.539 | 2승 | 9.5 | 준플레이오프 진출 |
4 | NC 다이노스 | 144 | 75 | 2 | 67 | 0.528 | 2패 | 11.0 |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
5 | 두산 베어스 | 144 | 74 | 2 | 68 | 0.521 | 3패 | 12.0 |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
6 | KIA 타이거즈 | 144 | 73 | 2 | 69 | 0.514 | 2승 | 13.0 | 진출 실패 |
7 | 롯데 자이언츠 | 144 | 68 | 0 | 76 | 0.472 | 1승 | 19.0 | 진출 실패 |
8 | 삼성 라이온즈 | 144 | 61 | 1 | 82 | 0.427 | 1패 | 25.5 | 진출 실패 |
9 | 한화 이글스 | 144 | 58 | 6 | 80 | 0.420 | 1패 | 26.0 | 진출 실패 |
10 | 키움 히어로즈 | 144 | 58 | 3 | 83 | 0.411 | 2패 | 27.5 | 진출 실패 |
2023년 KBO 포스트시즌은 정규리그 1위 LG 트윈스와 플레이오프 승리팀인 2위 kt 위즈가 맞붙은 한국시리즈를 포함하여,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순으로 진행되었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는 NC 다이노스가 두산 베어스를 꺾고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준플레이오프에서는 NC 다이노스가 SSG 랜더스를 3승 무패로 제압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kt 위즈가 NC 다이노스에 2패를 먼저 당한 후 3연승하여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1]
3. 포스트시즌
3. 1. 와일드카드 결정전
2020년 우승 이후 3년 만에 가을야구에 복귀한 정규리그 4위 NC 다이노스와 지난 시즌 9위의 부진을 딛고 2년 만에 가을야구를 하는 정규시즌 5위 두산 베어스가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맞붙었다. 1승 어드밴티지를 가진 NC는 서호철과 김형준의 활약에 힘입어 두산을 14:9로 꺾고 1차전에서 준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서호철은 만루 홈런을 포함해 3안타 6타점을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결정전 MVP에 선정되었고, 김형준은 홈런 두 방을 터뜨리며 활약했다.[1]
3. 2.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통과한 정규시즌 4위 NC 다이노스와 지난 시즌 우승팀이었던 정규시즌 3위 SSG 랜더스가 대결해 NC가 3승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차전에서 김성욱의 결승 2점 홈런을 앞세워 선승을 한 NC는 2차전에서 김광현을 무너뜨리며 적지에서 2승을 거뒀고, 3차전에서는 경기 초반 난타전에서 마틴의 결승 3점 홈런과 불펜진의 이어 던지기로 승리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시리즈 MVP는 3경기 동안 1승 2홀드를 기록하며 활약한 NC의 왼손 중간 계투 요원인 김영규가 차지했다.[1]
3. 3. 플레이오프
NC 다이노스는 준플레이오프에서 SSG 랜더스를 3승 무패로 꺾고 올라왔으며, 플레이오프에서 정규리그 2위 kt 위즈와 맞붙었다. 1차전에서 쿠에바스를 무너뜨리고, 2차전에서 접전 끝에 신승을 거두면서 NC의 기세가 이어지는 듯했다. 그러나 kt는 3차전에서 고영표의 호투와 배정대, 문상철의 홈런을 앞세워 승리했고, 4차전에서는 1차전 부진을 만회한 쿠에바스의 호투와 타선의 폭발로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그리고 5차전을 1점 차 신승으로 잡아내며 리버스 스윕으로 kt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시리즈 MVP는 5경기 모두 등판해 1승 1홀드를 기록한 kt의 우완 불펜 손동현이 차지했다.[1]
4. 한국시리즈
2023년 한국시리즈는 LG 트윈스와 kt 위즈가 맞붙어 LG 트윈스가 시리즈 전적 4승 1패로 1994년 이후 29년 만에 우승을 차지한 경기이다.[4] 1차전에서는 kt 위즈가 승리했지만, 이후 LG 트윈스가 내리 4연승을 거두었다.
4. 1. 경기 기록
일시 | 경기 | 원정팀(선공) | 스코어 | 홈팀(후공) | 개최 구장 | 개시 시각 | 관중수 | 경기 MVP |
---|---|---|---|---|---|---|---|---|
11월 7일(화) | 1차전 | kt 위즈 | 3 - 2 | LG 트윈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8시 30분 | 23,750명 (매진) | 문상철 (kt 위즈) |
11월 8일(수) | 2차전 | kt 위즈 | 4 - 5 | LG 트윈스 | 23,750명 (매진) | 박동원 (LG 트윈스) | ||
11월 10일(금) | 3차전 | LG 트윈스 | 8 - 7 | kt 위즈 | 수원KT위즈파크 | 17,600명 (매진) | 오지환 (LG 트윈스) | |
11월 11일(토) | 4차전 | LG 트윈스 | 15 - 4 | kt 위즈 | 14시 00분 | 17,600명 (매진) | 김윤식 (LG 트윈스) | |
11월 13일(월) | 5차전 | kt 위즈 | 2 - 6 | LG 트윈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8시 30분 | 23,750명 (매진) | 박해민 (LG 트윈스) |
우승: LG 트윈스 (3번째), 한국시리즈 MVP: 오지환 (LG 트윈스) |
4. 2. 1차전
2023년 11월 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kt 위즈 | 1 | 0 | 0 | 1 | 0 | 0 | 0 | 0 | 1 | 3 | 7 | 1 | 4 |
LG 트윈스 | 2 | 0 | 0 | 0 | 0 | 0 | 0 | 0 | 0 | 2 | 7 | 4 | 2 |
- 애국가: 장사익 (음악가 겸 국악 연주가)
- 시구: 김용수 (前 LG 트윈스 투수) / 시포: 김동수 (前 LG 트윈스 포수)
- 1차전 MVP: kt 문상철 - 4타수 1안타 1타점 (9회초 결승 1타점 2루타)
- LG 수비진, 2회초 삼중살 (한국시리즈 2번째, 포스트시즌 통산 4번째)
1차전에서 LG는 켈리, kt는 고영표가 각각 선발 등판했다. 양 팀은 1회부터 점수를 주고받았다. kt는 1회초 공격에서 선두 타자로 안타를 치고 출루한 김상수가 2루 도루를 성공시킨 직후 LG 포수 박동원의 송구 실책으로 3루까지 갔고, 황재균의 내야 땅볼로 득점에 성공했다. LG는 곧바로 이어진 1회말 1사 1, 3루에서 오스틴의 내야 땅볼을 kt 2루수 박경수가 병살타로 처리하려고 했으나 시도하던 도중 송구 실책을 저질렀고 이 틈을 타 박해민이 득점해 동점, 1사 만루에서 문보경의 희생 플라이로 리드를 잡았다.
하지만, kt는 4회초 1사 1, 2루에서 장성우가 적시타를 터트리며 다시 동점을 만들었다. 그 이후로는 소강 국면으로 이어졌으며 kt 선발 고영표는 6이닝 2실점(1자책), LG 선발 켈리는 6.1이닝 2실점(1자책)으로 호투했다.
경기의 승부는 9회초에 갈렸다. 9회초 kt는 LG 마무리 고우석을 상대로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배정대가 볼넷으로 출루했고, 문상철이 좌측 담장을 때리는 1타점 2루타를 작렬시키며 전세를 뒤집는데 성공했다. 문상철은 앞선 2회초 무사 1, 2루에서 희생번트를 시도했으나, 번트 실패로 병살타가 되고 주루사까지 나와 삼중살이 나오는 최악의 상황을 겪었으나 9회초 천금같은 결승타를 터트리며 완벽히 만회했다. 이후 kt는 9회말 박영현이 마무리 투수로 올라와 삼자범퇴로 경기를 끝냈고 한국시리즈 1차전 선승으로 기선 제압에 성공했다.[1]
4. 3. 2차전
2차전은 2023년 11월 8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렸다. LG 트윈스는 최원태를, kt는 쿠에바스를 선발 투수로 내세웠다. 경기 초반은 kt가 주도했다. 1회초 만루 기회에서 장성우의 2타점 2루타로 최원태를 강판시켰고, 이정용을 상대로 배정대가 2타점 적시타를 터뜨려 4점을 먼저 얻었다. kt 선발 쿠에바스도 6이닝 2실점으로 호투했다.그러나 LG는 불펜 투수들을 투입하여 kt의 흐름을 끊고 추격했다. 3회말 1사 1, 3루에서 오스틴의 적시타, 6회말 오지환의 1점 홈런, 7회말 박해민이 볼넷으로 출루한 2사 1루에서 김현수의 1타점 2루타로 1점 차까지 따라붙었다. 8회말 오지환의 볼넷과 문보경의 희생번트로 만들어진 1사 2루에서 박동원이 박영현의 초구를 받아쳐 역전 2점 홈런을 터뜨렸다.
마무리 고우석이 9회초를 삼자범퇴로 막아내며 LG는 4점을 먼저 내주고도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는 2002년 한국시리즈 5차전 승리 이후 7,620일 만의 한국시리즈 승리였다.
2차전 MVP는 4타수 2안타(1홈런) 2타점을 기록한 LG 박동원에게 돌아갔다. 특히 8회말에 터뜨린 결승 2점 홈런이 결정적이었다.
kt는 한국시리즈 1회초 최다 득점 타이(4점) 기록을 세웠다.[1]
구분 | 내용 |
---|---|
2023년 11월 8일 (수) 18:30 KST | |
잠실 야구장 (서울) | |
23,750명 | |
함덕주 (1승) | |
박영현 (1패) | |
고우석 (1세이브) | |
오지환 (6회, 1점, 쿠에바스), 박동원 (8회, 2점, 박영현) | |
박동원 (4타수 2안타(1홈런) 2타점) |
4. 4. 3차전
2023년 11월 10일 수원KT위즈파크에서 열린 3차전은 LG 트윈스와 kt 위즈의 치열한 접전으로 펼쳐졌다.LG 트윈스는 3회초 오스틴 딘의 3점 홈런으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kt 위즈는 3회말 황재균의 1타점 2루타와 5회말 김민혁, 알포드의 연속 적시타, 조용호의 적시타를 묶어 역전에 성공했다.
LG 트윈스는 6회초 박동원의 2점 홈런으로 다시 리드를 잡았으나, kt 위즈는 8회말 황재균의 동점 1타점 2루타와 박병호의 역전 2점 홈런으로 응수했다.
9회초 2사 1, 2루, 오지환은 김재윤을 상대로 극적인 역전 3점 홈런을 터뜨리며 LG 트윈스에 8-7 리드를 안겼다. 9회말 이정용이 김상수를 상대로 1-2-3 병살타를 유도하며 경기는 LG 트윈스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3차전 MVP는 9회초 결승 3점 홈런을 포함해 5타수 2안타 3타점을 기록한 LG 트윈스의 오지환에게 돌아갔다. 한편, 이날 경기에서 kt 위즈 감독 이강철은 한국시리즈 6번째 퇴장(포스트시즌 8번째, 감독 3번째)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1]
이 경기는 한국시리즈 역사에 길이 남을 명승부로, 4번의 역전이 거듭되는 혈투였다.
4. 5. 4차전
2023년 11월 11일 수원KT위즈파크에서 4차전이 열렸다.[4] kt는 엄상백, LG는 김윤식을 선발 투수로 내세웠다.[4] 3차전에서 대역전승을 거둔 LG의 타선은 이날 경기에서도 폭발했다.[4]1회초 1사 1루에서 김현수가 엄상백을 상대로 2점 홈런을 터뜨리며 LG가 선취점을 얻었다.[4] 5회초에는 kt의 두 번째 투수 김재윤을 상대로 1사 2루에서 홍창기가 적시타를 기록했다.[4] 6회초에는 문보경이 김재윤을 상대로 2점 홈런을 쳐 LG가 점수 차를 벌렸다.[4]
6회말 kt가 김상수의 2루타와 황재균의 적시타로 1점을 만회했다.[4] 그러자 LG는 7회초 공격에서 오지환의 3점 홈런, 문성주의 2타점 3루타, 8타자 연속 안타, 신민재의 내야 땅볼 타점을 묶어 대거 7점을 뽑아내며 사실상 승부를 결정지었다.[4] 8회초에도 LG는 1사 1, 2루에서 오지환의 적시타, 문보경의 희생 플라이, 허도환의 1타점 2루타로 3점을 추가했다.[4]
kt는 8회말 만루에서 밀어내기 사사구로 2점을 얻고, 9회말 이호연의 희생 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지만, 이미 점수 차가 크게 벌어진 뒤였다.[4] LG는 선발 김윤식이 5.2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 4차전을 대승으로 이끌었고, 시리즈 전적 3승 1패로 29년 만의 통합 우승에 단 1승만을 남겨두게 되었다.[4]
이날 LG는 한국시리즈 한 이닝 최다 안타(8개), 포스트시즌 최다 연속 타자 안타(8타자) 신기록을 세웠다.[4] 김현수는 포스트시즌 통산 최다 타점(44타점) 신기록을, 오지환은 단일 시즌 최초 한국시리즈 최다 연속 경기 홈런(3경기) 신기록을 달성했다.[4]
4차전 MVP는 5.2이닝 3피안타 1사사구 3탈삼진 1실점(투구수 87개)을 기록한 LG 김윤식에게 돌아갔다.[4]
4. 6. 5차전
5차전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2023년 11월 13일에 열렸다. LG는 켈리, kt는 고영표를 선발 투수로 내세웠다.LG는 3회말 공격에서 문성주의 안타, 신민재의 볼넷, 홍창기의 희생 번트로 만들어진 1사 2, 3루 기회에서 박해민의 2타점 2루타로 선취 득점에 성공했다. 이어서 박해민의 3루 도루와 김현수의 땅볼 타구 때 kt 1루수 박병호의 실책으로 추가 득점하며 3:0으로 앞서나갔다.
kt는 5회초와 7회초에 폭투로 각각 1점씩을 얻었지만, LG는 5회말 김현수의 2타점 적시타와 6회말 문성주의 적시타로 점수를 추가하며 6:2로 승리했다.
LG는 선발 켈리가 5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고, 유영찬, 함덕주, 고우석이 이어 던지며 승리를 지켰다. 특히 고우석은 9회초에 등판하여 마지막 아웃 카운트를 잡아내며 LG 트윈스의 29년 만의 통합 우승을 확정지었다.
5차전 MVP는 3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한 박해민이 차지했다.[1]
5. 한국시리즈 출장자 명단
팀 | 선수 명단 |
---|---|
6. 중계 일정
2023년 한국시리즈는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G Twins manager says team ready against anyone in Korean Series
https://www.koreatim[...]
2023-11-01
[2]
웹사이트
LG Twins clinch KBO pennant, advance to Korean Series
https://www.koreatim[...]
2023-10-03
[3]
뉴스
Wiz beat Dinos to advance to Korean Series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23-11-05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