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칼리오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2 칼리오페는 지름 약 166km의 M형 소행성으로, 철-니켈 금속과 규산염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칼리오페는 리누스라는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2006년에는 리누스에 의한 별 엄폐 현상이 관측되었다. 22 칼리오페는 약 9억 년 전에 형성된 소행성족의 일부이며, 자전축은 103° 기울어져 약간 역행하는 자전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형 소행성 - 21 루테티아
21 루테티아는 골드시미트가 발견한 소행성으로, 로제타 탐사선의 근접 비행을 통해 질량, 밀도, 구성 성분 등이 밝혀졌으며, 특히 표면이 레골리스로 덮여 있고 태양계 초기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소행성이다. - M형 소행성 - 16 프시케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 있는 16 프시케는 금속 핵으로 추정되는 큰 M형 소행성으로, NASA의 탐사선이 2029년 도착하여 행성 핵 연구 및 태양계 초기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1852년 발견한 천체 - 황소자리 T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젊은 별인 황소자리 T는 지구에서 약 580 광년 떨어져 있으며, 강착류, 반사 성운, 허빅-아로 천체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이는 황소자리 T형 별의 원형별이다. - 1852년 발견한 천체 - 21 루테티아
21 루테티아는 골드시미트가 발견한 소행성으로, 로제타 탐사선의 근접 비행을 통해 질량, 밀도, 구성 성분 등이 밝혀졌으며, 특히 표면이 레골리스로 덮여 있고 태양계 초기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소행성이다. - 그리스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433 에로스
1898년 카를 구스타프 비트가 발견한 433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 이름을 딴 최초의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남성 이름의 소행성으로, NEAR 슈메이커 탐사선의 탐사 결과 땅콩 모양이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 그리스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243 이다
243 이다는 1884년 발견된 소행성으로,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S형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위성 다크틸을 가지고 있다.
22 칼리오페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22 칼리오페 |
명명 유래 | Καλλιόπη Kalliopē |
소행성 분류 | 주 소행성대 |
발견 | |
발견자 | 존 러셀 하인드 |
발견일 | 1852년 11월 16일 |
MPC 명칭 | (22) Kalliope |
궤도 특성 | |
궤도 기준 | 2010년 7월 23일 (JD 2455400.5) |
긴반지름 | 435.09 Gm (2.9112 AU) |
근일점 거리 | 391.03 Gm (2.6139 AU) |
원일점 거리 | 479.98 Gm (3.2085 AU) |
궤도 이심률 | 0.10213 |
공전 주기 | 1814.3일 (4.97년) |
궤도 경사 | 13.703° |
승교점 경도 | 66.17° |
근일점 인수 | 355.03° |
평균 궤도 이각 | 282.54° |
위성 수 | 1 (리누스) |
물리적 특성 | |
크기 | 235 × 144 × 124 km |
평균 지름 | 150 ± 5 km |
납작률 | 0.41 |
질량 | 7.7 ± 0.4 × 10^18 kg |
밀도 | 4.36 ± 0.50 g/cm3 |
자전 주기 | 4.1483시간 |
스펙트럼 분류 | M (Tholen) X (SMASS) X (Bus-DeMeo) |
절대 등급 | 6.81 |
알베도 | 0.198 |
2. 특징
칼리오페는 약간 길쭉하고 비대칭적인 형태를 가진 소행성이다. 지름은 약 166km이며,[9] 밀도는 약 3.4g/cm3이다.[9] M형 소행성으로, 철-니켈 금속과 규산염 혼합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광물 수화 작용 및 낮은 레이더 알베도 등 암석 표면 조성의 증거도 존재한다.[5][6][10] 칼리오페의 극은 황도 좌표계 (β, λ) = (−23°, 20°)를 향하며, 축 기울기는 103°로 자전은 약간 역행한다.[7][11]
2004년에서 2021년 사이에 22 칼리오페는 15개의 별을 엄폐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2022년에는 22 칼리오페가 약 9억 년 전에 형성된 소행성족의 일부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위성인 리누스는 같은 시기에 형성되었을 수 있다.[8]
2. 1. 형태 및 크기

칼리오페는 약간 길쭉하며, 대략 지름이 166km이고,[9] 유럽 남방 천문대(European Southern Observatory)의 초대형 망원경(VLT)으로 촬영한 해상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약간 비대칭적이다.[9]
2. 2. 밀도 및 구성 성분
칼리오페의 스펙트럼은 M형 소행성으로 분류되며, 이는 표면이 부분적으로 철-니켈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칼리오페의 밀도는 약 3.4g/cm³이다.[9] 소행성이 암석 덩어리일 가능성을 고려하면, 20–40%의 다공성을 전제할 때 물질 밀도는 4.2–5.8g/cm³로 추정된다. 이는 칼리오페가 금속과 규산염의 혼합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의미한다.[9] 그러나 분광학적 연구에서는 광물 수화 작용된 광물[5]과 규산염[6]의 증거도 발견되어, 암석 표면 조성 가능성도 제기된다. 칼리오페는 낮은 레이더 알베도를 보이는데,[10] 이는 순수한 금속 표면과는 상반되는 특징이다.2. 3. 자전
광도 곡선 분석에 따르면, 칼리오페의 극은 황도 좌표계 (β, λ) = (−23°, 20°)를 향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10°의 불확실성을 가진다.[7][11] 이는 칼리오페가 103°의 축 기울기를 가짐을 나타낸다. 따라서 칼리오페의 자전은 약간 역행한다.3. 위성
칼리오페는 리누스라고 불리는 하나의 자연 위성을 가지고 있다. 리누스는 지름이 약 28km로, 그 자체로도 상당한 크기의 소행성이 될 수 있다. 리누스는 칼리오페 중심에서 약 1100km 떨어진 궤도를 돌고 있으며, 이는 칼리오페 반지름의 약 13.2배에 해당한다.[9]
2006년 11월 8일, 간토 지방에서 도호쿠 지방에 걸쳐 칼리오페와 리누스에 의한 항성의 엄폐가 아마추어 천문가들에 의해 관측되었고, 칼리오페와 리누스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밝혀졌다. 이는 엄폐 외의 방법으로 발견된 소행성의 위성을 엄폐를 통해 관측한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 2007년 1월에도 구마모토현에서 엄폐가 관측되었지만, 이때는 칼리오페만 관측되었다.
3. 1. 발견 및 명칭
리누스는 2001년 8월 29일 장-뤽 마르고와 마이클 E. 브라운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3일 후 윌리엄 멀린이 이끄는 팀도 독립적으로 발견했다.[10][11] 처음에는 “S/2001 (22) 1”이라는 임시 명칭이 붙여졌으나, 이후 칼리오페의 아들인 리노스의 이름을 따서 리누스로 명명되었다.3. 2. 크기 및 궤도
리누스는 지름이 약 28km이며, 칼리오페 중심에서 약 1100km 떨어진 궤도를 공전하고 있다. 이는 칼리오페 반지름의 약 13.2배에 해당한다.[9] 리누스는 2001년 8월 29일 장-뤽 마르고와 마이클 E. 브라운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윌리엄 멀린이 이끄는 또 다른 팀도 3일 후에 위성을 독립적으로 발견했다.[10][11]4. 항성 엄폐
2006년 11월 7일, 일본 관측팀은 리누스에 의한 최초의 별 엄폐 현상을 성공적으로 관측했다.[12] 이는 베르티에 등이 지상 기반 망원경의 적응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여 칼리오페 이중계에 대해 5년 이상 정기적으로 관측한 것을 기반으로, 단 하루 전에 예측한 결과였다.[13] 리누스의 관측된 현은 달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를 제공했으며, 그 크기는 20~28km로 추정되었다.
4. 1. 2006년 관측
2006년 11월 8일, 간토 지방에서 도호쿠 지방에 걸쳐 칼리오페와 리누스에 의한 항성의 엄폐가 아마추어 천문가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이 관측으로 칼리오페와 리누스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밝혀졌다.[12] 이는 엄폐 외의 방법으로 발견된 소행성의 위성을 엄폐를 통해 관측한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 2007년 1월에도 구마모토현에서 엄폐가 관측되었지만, 이 때는 칼리오페뿐이었다.[13]4. 2. 2007년 관측
2006년 11월 8일, 간토 지방에서 도호쿠 지방에 걸쳐 칼리오페와 리누스에 의한 항성의 엄폐가 아마추어 천문가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이를 통해 칼리오페와 리누스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밝혀졌는데, 이는 엄폐 외의 방법으로 발견된 소행성의 위성을 엄폐를 통해 관측한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 2007년 1월에도 구마모토현에서 칼리오페에 의한 엄폐가 관측되었다.5. 명명
칼리오페는 1852년 영국의 천문학자 존 하인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당시 케임브리지 천문대장 존 쿠치 아담스가 명명하였다.
칼리오페(Calliope영어)는 그리스 신화에서 문학을 관장하는 여신 무사(뮤즈) 아홉 중 영웅 서사시를 담당하는 칼리오페에서 유래한다. 칼리오페의 소지품은 서판과 철필이다.
참조
[1]
OED
calliope
[2]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2 Kalliope
http://ssd.jpl.nasa.[...]
2010-07-22
[3]
논문
VLT/SPHERE imaging survey of the largest main-belt asteroids: Final results and synthesis
2021-10
[4]
웹사이트
EAR-A-5-DDR-TAXONOMY-V6.0
https://sbn.psi.edu/[...]
2018-04-16
[5]
논문
The nature of M-class asteroids from 3-micron observations
2000
[6]
논문
UBV photometry of the M-type asteroids 16 Psyche and 22 Kalliope
1982
[7]
논문
Models of Twenty Asteroids from Photometric Data
http://www.rni.helsi[...]
2002
[8]
논문
Discovery of an asteroid family linked to (22) Kalliope and its moon Linus
2022
[9]
논문
New determination of the size and bulk density of the binary asteroid 22 Kalliope from observations of mutual eclipses
2008
[10]
논문
A Low-Density M-type Asteroid in the Main Belt
2003
[11]
논문
A three-dimensional solution for the orbit of the asteroidal satellite of 22 Kalliope
2003
[12]
논문
'Occultation by Kalliope (22) and its satellite Linus'
2006
[13]
논문
'Prediction of stellar occultations by satellite of asteroids'
2004
[14]
웹사이트
小惑星日本語表記索引 : 1 - 50
http://planetary.jp/[...]
日本惑星協会
2019-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