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은 김일성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1982년 처음 개최된 국제 예술 축전이다. 평양에서 열리며, 4월 15일을 전후한 시기에 진행된다. 1985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김일성의 생일인 태양절을 기념한다. 1984년부터 2007년까지는 매년, 2009년부터는 짝수 해에 열리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에는 취소되었다. 축전은 자주, 평화, 친선을 이념으로 하며, 북한, 재외 조선인, 러시아, 중국 등 수십 개국에서 수많은 예술가들이 참가하여 공연을 펼친다. 2001년에는 대한민국 가수 김연자가 초청되어 공연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제 -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89년 평양에서 177개국 22,000여 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반제국주의 연대, 평화와 우정을 위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으나,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고 남북 관계 악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제 - 아리랑 축제
    아리랑 축제는 북한에서 열리는 대규모 집단체조 및 예술 공연으로, 아리랑을 주제로 김일성, 김정일 부자를 칭송하고 북한 체제를 선전하며 대집단체조, 군악대 공연, 카드섹션 등으로 구성된다.
  • 평양시의 문화 - 봄이 온다
    봄이 온다는 남북 평화 협력을 기원하는 콘서트로, 대한민국에서는 다양한 가수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삼지연관현악단이 참여했다.
  • 평양시의 문화 -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89년 평양에서 177개국 22,000여 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반제국주의 연대, 평화와 우정을 위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으나,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고 남북 관계 악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982년 설립 - 케언스 그룹
    케언즈 그룹은 1986년 설립된 농업 수출국 연합체로, WTO 등 다자간 무역 협상에서 개발도상국의 이익을 대변하고, 선진국의 농업 보조금 감축 및 농산물 시장 접근 확대를 통해 공정한 농업 무역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
  • 1982년 설립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은 1982년 개장하여 롯데 자이언츠의 제2 홈구장과 NC 다이노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는 NC 다이노스 2군 홈구장 및 훈련장으로 사용되고, 과거 프로야구 전지훈련 장소로도 활용되었다.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기본 정보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로고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로고
장르음악
예술
개최 시기4월
위치평양
활동 기간1982년–현재
창립자알 수 없음
주최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조직위원회
웹사이트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김일성의 생일(태양절)을 기념하여 4월 15일을 전후한 시기에 열린다. 제1회는 1982년, 제2회(1984년)부터 제25회(2007년)까지 매년 개최되었다. 제26회(2009년), 제27회(2011년) 이후 제28회(2012년)부터는 짝수 해에 개최되었으며[4], 4월의 봄 인민예술축전(제1회는 2008년)과 번갈아 개최되었다[5].

자주, 평화, 친선의 이념 아래, 북한 내 예술가와 일본 등 재외 조선인을 비롯하여 러시아, 중국 등 우호국 등 수십 개국에서 100여 개의 예술단, 수천 명의 예술가가 참가하여 다채로운 연목을 선보이는 대규모 국제 예술 축제이다. 평양직할시 내 각 극장에서 각 부문, 단체별 공연이 열린다. 특히 김일성이 관람하는 공연은 특별 공연으로 북한 내 언론에서도 여러 번 소개되었다.

2. 1. 시작과 명칭 변경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은 1982년 김일성의 70세 생일을 계기로 마련되었다. 1982년 4월 평양직할시에서 '''4.15경축 세계 여러 나라 예술인들의 친선음악회'''로 처음 시작하였는데, 1985년부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6]

2. 2. 개최 주기 및 규모 변화

1984년부터 2007년까지는 매년 축전이 개최되었으며, 2007년부터는 2년마다 축전이 열리고 있다.[6] 2011년 6월 3일에는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기금이 창설되어 후원을 받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축전이 취소되었다.[7]

2023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사상 처음으로 국제통신을 통해 제출한 공연 녹화 자료들을 TV와 인터넷을 통해 방영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회차연도개막일폐막일규모비고
11982년4월 6일4월 20일8개국 12개 단체 390명의 예술인
21984년4월 7일4월 17일14개국 20개 단체 155명의 예술인
31985년4월 6일4월 18일37개국 57개 단체 377명의 예술인
41986년4월 5일4월 18일45개국 75개 단체 605명의 예술인
51987년4월 6일4월 19일75개국 99개 단체 536명의 예술인
61988년4월 7일4월 18일44개국 69개 단체 452명의 예술인
71989년4월 7일4월 18일60개국 79개 단체 597명의 예술인
81990년4월 7일4월 18일60개국 90개 단체 820명의 예술인
91991년4월 7일4월 18일55개국 84개 단체 784명의 예술인
101992년4월 7일4월 19일45개국 70개 단체 783명의 예술인
111993년4월 7일4월 18일40개국 55개 단체 554명의 예술인
121994년4월 9일4월 18일32개국 45개 단체 493명의 예술인
131995년4월 9일4월 18일35개국 53개 단체 642명의 예술인
141996년4월 7일4월 17일30개국 52개 단체 577명의 예술인
151997년4월 7일4월 18일38개국 60개 단체 596명의 예술인
161998년4월 8일4월 18일48개국 83개 단체 675명의 예술인
171999년4월 10일4월 18일44개국 77개 단체 608명의 예술인
182000년4월 10일4월 18일39개국 72개 단체 680명의 예술인
192001년4월 10일4월 18일46개국 85개 단체 745명의 예술인함경남도 함흥시에서 개최
202002년4월 14일4월 25일51개국 99개 단체 1,129명의 예술인
212003년4월 10일4월 18일36개국 75개 단체 597명의 예술인
222004년4월 10일4월 18일40개국 82개 단체 632명의 예술인
232005년4월 10일4월 18일36개국 71개 단체 650명의 예술인
242006년4월 10일4월 18일38개국 66개 단체 652명의 예술인
252007년4월 10일4월 18일30개국 65개 단체 660명의 예술인
262009년4월 10일4월 18일24개국 52개 단체 651명의 예술인
272011년4월 10일4월 18일16개국 44개 단체 441명의 예술인
282012년4월 11일4월 19일24개국 52개 단체 803명의 예술인
292014년4월 11일4월 17일21개국 36개 단체 467명의 예술인
302016년4월 11일4월 17일17개국 37개 단체 343명의 예술인
312018년4월 11일4월 17일19개국 45개 단체 628명의 예술인
322022년4월 10일4월 20일28개국 63개 단체 ???명의 예술인



축전은 초기 8개국 12개 단체 390명의 예술인이 참가하였으나, 이후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수십 개국에서 100여 개 이상의 예술단, 수천 명의 예술가가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 행사로 성장하였다.

2. 3. 역대 축전 상세 정보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은 1982년 김일성의 70번째 생일을 계기로 마련되었다. 1982년 4월 평양에서 '''4.15경축 세계 여러 나라 예술인들의 친선음악회'''로 처음 시작하였는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1985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6] 1984년부터 2007년까지는 매년마다 축전이 개최되었으며, 2007년부터는 2년마다 축전이 열리고 있다. 2011년 6월 3일에는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기금이 창설되어 후원을 받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축전이 취소되었다.[7]

2023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사상 처음으로 국제통신으로 제출한 공연록화자료들을 TV와 인터넷을 통하여 방영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회차연도개막일폐막일규모비고
11982년4월 6일4월 20일8개국 12개 단체 390명
21984년4월 7일4월 17일14개국 20개 단체 155명
31985년4월 6일4월 18일37개국 57개 단체 377명
41986년4월 5일4월 18일45개국 75개 단체 605명
51987년4월 6일4월 19일75개국 99개 단체 536명
61988년4월 7일4월 18일44개국 69개 단체 452명
71989년4월 7일4월 18일60개국 79개 단체 597명
81990년4월 7일4월 18일60개국 90개 단체 820명
91991년4월 7일4월 18일55개국 84개 단체 784명
101992년4월 7일4월 19일45개국 70개 단체 783명
111993년4월 7일4월 18일40개국 55개 단체 554명
121994년4월 9일4월 18일32개국 45개 단체 493명
131995년4월 9일4월 18일35개국 53개 단체 642명
141996년4월 7일4월 17일30개국 52개 단체 577명
151997년4월 7일4월 18일38개국 60개 단체 596명
161998년4월 8일4월 18일48개국 83개 단체 675명
171999년4월 10일4월 18일44개국 77개 단체 608명
182000년4월 10일4월 18일39개국 72개 단체 680명
192001년4월 10일4월 18일46개국 85개 단체 745명함경남도 함흥시에서 개최
202002년4월 14일4월 25일51개국 99개 단체 1129명
212003년4월 10일4월 18일36개국 75개 단체 597명
222004년4월 10일4월 18일40개국 82개 단체 632명
232005년4월 10일4월 18일36개국 71개 단체 650명
242006년4월 10일4월 18일38개국 66개 단체 652명
252007년4월 10일4월 18일30개국 65개 단체 660명
262009년4월 10일4월 18일24개국 52개 단체 651명
272011년4월 10일4월 18일16개국 44개 단체 441명
282012년4월 11일4월 19일24개국 52개 단체 803명
292014년4월 11일4월 17일21개국 36개 단체 467명
302016년4월 11일4월 17일17개국 37개 단체 343명
312018년4월 11일4월 17일19개국 45개 단체 628명
322022년4월 10일4월 20일28개국 63개 단체 ???명


3. 주요 특징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은 김일성의 생일(태양절)을 기념하여 4월 15일을 전후한 시기에 열리는 행사이다. 1982년 제1회 행사가 열렸고, 1984년 제2회 행사부터 2007년 제25회 행사까지는 매년 개최되었다. 2009년 제26회, 2011년 제27회 행사를 거쳐 2012년 제28회 행사부터는 짝수 해에 개최되고 있으며, 4월의 봄 인민예술축전과 번갈아 개최되고 있다.[4]

3. 1. 이념 및 참가 대상

자주, 평화, 친선의 이념 아래 북한 내 예술가와 일본 등 재외 조선인을 비롯하여 러시아, 중국 등 우호국 등 수십 개국에서 100여 개의 예술단, 수천 명의 예술가가 참가하여 다채로운 연목을 선보이는 대규모 국제 예술 축제이다.[4]

3. 2. 공연 장소 및 내용

평양직할시 내 각 극장에서 부문별, 단체별 공연이 진행된다. 특히 김일성 또는 김정일이 관람하는 공연은 특별 공연으로 지정되어 북한 언론에 자주 소개되었다.[4]

4. 수상

1990년 제8회 축전부터 우수한 공연을 펼친 단체에는 축전 대회상컵을, 개인에게는 축전 상장을 수여하고 있으며, 1997년부터는 개막 공연에서 김일성장군의 노래를 지휘하는 사람에게 지휘봉과 목란띠를 주고 있다.[8]

5. 대한민국과의 관계

남한 가수로는 처음으로 김연자가 2001년과 2002년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에 참가하여 공연한 것은 남북 문화 교류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8][9]

5. 1. 김연자 초청 공연

김연자남한 가수로는 처음으로 2001년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열린 제19차 축전과 2002년에 열린 제20차 축전에 참가하여 공연하였다. 김연자는 2001년 4월 7일에 평양 청년중앙회관에서 공연했고, 4월 11일에는 제19차 축전이 열린 함흥시에서 공연했는데, 이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참관했다고 한다.[8][9] 김연자의 평양 공연은 4월 12일 조선중앙방송조선중앙텔레비죤을 통해 방영되었다. 당시 조선중앙방송은 김연자가 반갑습니다, 내 나라 제일로 좋아, 휘파람 등 조선가요와 자신의 애창곡을 불렀다고 전했다.[8][9]

6. 기록영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3년에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의 지난 20년간 발자취를 담은 기록영화 《세기를 이어가는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을 제작했다. 이 기록영화에는 제1차 축전부터 제20차 축전까지의 과정이 담겨 있으며, 김일성이 1982년부터 1994년까지 축전을 참관하는 장면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가수 김연자를 만나는 장면 등이 수록되어 있다.[10]

7. 축전가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을 대표하는 곡으로, 외국 손님들을 환영하는 평양축전가가 있다.[11][12] 친선과 단결을 노래하며 자주의 길을 힘차게 나가자는 내용이 담겨있다. 축전에서 참가 대표단들은 평양축전가 반주에 맞춰 관객들의 환영을 받으며 입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http://www.uriminzok[...] 2020-11-09
[2] 웹사이트 500 foreigners to attend N. Korea's Spring Friendship Art Festival in April https://www.nknews.o[...] nknews 2020-11-09
[3] 문서 朝鮮語の公式表記《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は直訳すると「4月の春親善芸術祝典」。メディアによっては「4月の春親善芸術祭典」という表記も見られる。
[4] 웹사이트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연혁자료 http://www.uriminzok[...] 4月の春親善芸術祝典組織委員会 2018-05-06
[5] 뉴스 全国のアーティストが熱演/「第5次4月の春人民芸術祝典」開催 http://chosonsinbo.c[...] 朝鮮新報社 2017-04-18
[6] 뉴스 북 신문, 4월의봄 축전...'권위·특색 겸비한 국제적 대예술회합'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8-04-11
[7] 뉴스 북한, 코로나19 여파 다음달 예정 친선예술축전 취소 http://news.kbs.co.k[...] KBS 2020-03-21
[8] 뉴스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http://nk.chosun.com[...] NK Chosun 2013-10-29
[9] 뉴스 김정일, '4월의 봄 예술축전'서 김연자씨 공연 관람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2001-04-12
[10] 뉴스 북, `4월 친선예술축전` 영화로 제작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03-03-27
[11] Youtube KBS 남북의 창 - 북한 가요(평양축전가) https://mn.kbs.co.kr[...] 2007-04
[12] Youtube KBS 남북의 창 - 북한 가요(평양축전가) http://mn.kbs.co.kr/[...] 20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