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흥시는 함경남도에 위치한 도시로, 동해와 접하며 성천강이 시내를 관통한다. 최고봉은 형제봉이며,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인다. 북쪽의 개마고원으로 가는 교통 요지이며, 농산물의 집산지이자 흥남에는 항만이 위치한다. 1세기 고구려 영토가 되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함주로 불리다가 조선 시대에 함흥부로 승격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함흥부로 승격되었으며, 1945년 함흥시로 개칭되었다. 한국전쟁으로 도시가 파괴되었지만, 천리마운동 시기에 재건되었다. 현재 7개의 구역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쌀, 사과, 보리 등을 재배하고, 비날론 공업 등 화학 공업이 발달했다. 교통의 요충지로, 철도와 도로가 발달했으며, 함흥대학, 함흥 대극장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있다. 상하이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성계, 안수길 등 출신 인물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의 도시 - 신포시
신포시는 함경남도에 위치한 동해 연안 도시로, 수산업 및 원양어업 기지이자 잠수함 기지로서의 중요성을 가지며 과거 경수로 건설 사업이 추진되었던 곳이다. - 함경남도의 도시 - 단천시
단천시는 함경남도에 위치한 동해 연안의 도시로, 남대천과 단천평야를 끼고 있으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풍부한 지하자원과 화학 공업, 철도 교통의 요지이다. - 함흥시 - 김정숙해군대학
- 함흥시 - 흥남구역
흥남구역은 함흥시 남동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일제강점기 질소 비료 공장이 들어서며 중화학공업 도시로 성장했고 한국 전쟁 중 흥남 철수 작전이 벌어졌으며 현재는 비날론을 이용한 경공업과 화학 공업이 중심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원산시
원산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의 항구 도시로, 개항 이후 주요 무역항으로 성장, 일제강점기 함경남도청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산업과 수산물 가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해주시
해주시는 황해남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해주만을 접하고 산을 등진 지형적 특징으로 정치·군사적 요충지이자 국제 무역항으로 지정된 해주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북한 9대 공업지구 중 하나이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역사 유적 및 문화재를 보유한 고구려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도시이다.
함흥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함흥시 |
현지 이름 | 함흥시 (조선글) |
현지 이름 (한자) | 咸興市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Hamhŭng-si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 Hamheung-si |
별칭 | 없음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
행정 구역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역 | 관남 |
도 | 함경남도 |
하위 행정 구역 | 7개 구역 |
면적 | |
총 면적 | 330 km² |
인구 | |
인구 (2008년) | 768,551명 |
인구 밀도 | 2,328명/km² |
방언 | 함경 방언 |
정치 | |
정부 | 해당사항 없음 |
시장 | 해당사항 없음 |
시간대 | |
시간대 | 평양 시간 |
UTC 오프셋 | +9 |
기타 정보 | |
지역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추가 정보 | |
설립 | 해당사항 없음 |
설립자 | 해당사항 없음 |
명명 유래 | 해당사항 없음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이미지 | |
![]() | |
![]() | |
![]() | |
![]() |
2. 지리
함흥시는 함경남도 북동부, 함흥 평야 동쪽 부분의 성천강 좌측 지류에 위치해 있다. 동해에 면한 함흥 평야에 위치하며, 성천강이 시내를 관통한다. 시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319m의 동흥산이며, 시 전체의 최고봉은 형제봉이다.
북쪽의 개마고원으로 가는 교통의 요지이며, 농산물의 집산지가 되고 있다. 함흥만과 면한 흥남에는 거대한 항만이 있다.
2. 1. 기후
함흥시는 동해에 접해 있으며, 최고봉은 형제봉이다. 주요 하천은 성천강이다. 해안에 위치하여 기온이 비교적 따뜻하며, 함경산맥이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푄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함흥시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상 Dwa)에 속한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겨울은 비교적 춥고 건조한 특징을 보인다. 동해의 영향을 받아 같은 위도의 서해안 지역보다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은 시원한 편이다. 이러한 기후 조건 덕분에 따뜻한 기간이 길어 작물 재배에 유리하다.[2]
1세기 무렵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8세기 이후에는 발해의 영토가 되었다. 《삼국사기》 제8권 성덕왕 20년 기록에는 하슬라주(오늘날의 강릉시) 이북에 군사 2천여 명을 선발하여 하슬라주와 용흥강 일대를 지키도록 했다는 내용이 있다. 한편, 발해의 5경 중 하나인 남경 남해부가 현재의 함경남도 함흥시와 북청군, 락원군 일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에 함흥군 함흥면이 함흥부로 승격되었다. 1941년 4월 1일에는 함주군 주서면 일부 등을 편입하여 구역이 확장되었다.[32]
3. 역사
고려 시대에는 '함주'(咸州)로 불렸다. 1108년(예종 3년) 함주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1369년(공민왕 18년)에는 함주목(咸州牧)으로 승격되었다.[4] 그러나 1258년 조휘의 반란으로 철령 이북 지역이 원나라 쌍성총관부 소관이 되면서 함흥은 고려 영토에서 벗어나 쌍성총관부에 속하게 되었다. 1356년, 고려 공민왕은 원나라가 홍건적으로 인해 혼란한 틈을 타 북방 영토를 수복하였고, 이때 함흥도 고려의 영토로 돌아왔다.
조선 시대에 들어 1416년(태종 16년) '부'로 승격되면서 '함흥'이라는 현재의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름에 더해진 한자어 '흥'(興)은 도시가 번창하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4] 조선 초기 함흥 일대는 여진족과 외적의 침입을 막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태조 이성계는 1400년 아들 태종 이방원이 일으킨 반정 이후 왕위에서 물러나 1403년까지 이곳 함흥에 머물렀다. 태종이 화해를 위해 사신을 보냈으나 태조가 사신들을 만나지 않거나 죽였다는 일화에서 '함흥차사'라는 말이 유래했다.[5]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 시기에는 함경남도에 소속되어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식 이름인 '간코'(咸興, Kankō)로 불렸다. 1930년 10월, 함흥군 함흥면 및 주위 지역이 통합되어 함흥부로 승격되었다. 일제는 1920년대부터 개마고원의 전원 개발과 함께 함흥 남쪽 흥남 지역에 일질 콘체른의 조선질소비료 주식회사 등 대규모 화학 공업 단지를 건설했다. 1941년 4월 1일에는 함주군 일부 지역을 함흥부에 편입하여 행정 구역을 확장했다.[32]조선총독부령 제84호 (1941.4.1 시행)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함주군 주서면 서상리, 신상리, 흥도리, 구억리, 십이리, 풍호리 함흥부 일부 편입 함주군 운남면 당북리, 당흥리, 대흥리, 련봉리, 중리, 자흥리, 풍동리, 운곡리, 초흥리, 동흥리, 신흥리, 보고리, 인흥리, 신보리, 중보리, 상보리 함주군 동천면 하수리, 상수리, 부평리, 회양리, 경흥리, 심동리
1945년 8월 22일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고, 이후 함흥시로 개칭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는 미국 공군의 공습으로 도시의 80~90%가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6] 1950년 10월 17일부터 12월 17일까지는 대한민국군이 점령하기도 했다. 전쟁 후 1955년부터 1962년까지 동독의 대규모 지원을 받아 도시 재건 및 개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는 건설 산업 육성과 함께 한국인 기술자 및 도시 계획가 양성이 포함되었다. 바우하우스 출신 건축가 콘라트 퓌셸을 단장으로 한 약 175명의 독일 함흥 실무단(DAG, Deutsche Arbeitsgruppe Hamhŭng)이 파견되어 재건 사업을 주도했다.[6] 천리마운동 시기에는 2차선 도로와 고층 아파트가 건설되며 새로운 시가지가 형성되었는데, 이 역시 소련과 동독의 지원을 받았다. 새 시가지는 중앙유럽 공산주의 국가들의 도시처럼 바둑판 형태의 계획도시로 조성되었다. 그러나 동독의 재건 지원 사업은 중소 분쟁에 대한 북한과 동독의 입장 차이로 인해 예정보다 2년 일찍 종료되었다.[7]
1960년 10월, 함흥시는 흥남시, 퇴조군(현 락원군) 등을 흡수하며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1970년 7월 다시 함경남도 소속의 일반시로 변경되었고, 퇴조군(이후 락원군)이 다시 분리되었다. 이후 행정구역 명칭 변경이 여러 차례 있었다. 예를 들어, 1977년 반룡구역이 동흥산구역으로, 1990년 성천구역이 성천강구역으로, 룡성구역이 해안구역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에는 조선인민군 일부 군인들이 기근으로 인한 불만으로 평양으로 행진하려다 진압된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는 북한 정권에 대한 유일하게 기록된 도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해당 부대는 해산되었다.[8]
1990년대 북한 대기근 당시 함흥은 특히 큰 피해를 입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전 USAID 관리자이자 『위대한 북한 기근』의 저자인 앤드루 나시오스는 함흥을 "기근으로 가장 황폐화된 도시"라고 묘사했다.[9] 당시 보도에 따르면 주변 언덕에 새로운 무덤이 많이 생겨났고, 많은 아동이 영양실조로 인한 발육 부진을 겪었다.[10][11] 한 생존자는 도시 인구의 10% 이상이 사망하고, 또 다른 10%가 식량을 찾아 도시를 떠났다고 증언했다.[12]
2001년 8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함흥시에서 흥남구역, 해안구역, 흥덕구역 등 일부를 분리하여 흥남시를 다시 설치하고 함흥시의 구역 제도를 폐지했다. 동시에 함주군과 평안남도 대흥군 일부 지역에 래일로동자구를 신설하여 함흥시에 편입시켰다. 그러나 2005년 10월, 흥남시는 다시 함흥시에 편입되었고, 함흥시는 7개 구역 체제로 복귀했다.
과거 외국인에게 폐쇄되었던 도시였으나, 현재는 승인된 일부 북한 여행사를 통해 제한적으로 외국인의 방문이 가능하다.[13] 한편, 함흥은 화학 공업 단지가 발달해 있어 북한의 메스암페타민 생산의 중심지일 수 있다는 추측도 제기된다.[14]
4. 행정 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함주군 주서면 서상리, 신상리, 흥도리, 구억리, 십이리, 풍호리 함흥부 일부 운남면 당북리, 당흥리, 대흥리, 련봉리, 중리, 자흥리, 풍동리, 운곡리, 초흥리, 동흥리, 신흥리, 보고리, 인흥리, 신보리, 중보리, 상보리 동천면 하수리, 상수리, 부평리, 회양리, 경흥리, 심동리
한국전쟁 이후 천리마운동 시기에 도시 재건이 이루어지면서 새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는 소련과 독일민주공화국의 지원이 있었다.
1960년 함흥시는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이때 흥남시와 퇴조군(현 락원군) 등이 함흥직할시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에 다시 함경남도 소속의 일반시로 변경되면서 퇴조군이 분리되었다. 이후 행정구역 명칭 변경이 있었는데, 1977년에는 반룡구역(盤龍區域)이 동흥산구역으로, 1990년에는 성천구역(城川區域)이 성천강구역으로, 룡성구역(龍城區域)이 해안구역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2001년 8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함흥시의 흥남구역, 해안구역, 흥덕구역 전부와 사포구역 일부를 분리하여 흥남시를 다시 설치하고, 함흥시의 구역 제도를 일시적으로 폐지하였다. 동시에 함주군 상창리와 평안남도 대흥군 흑수리 일부 지역에 래일로동자구를 설치하여 함흥시에 편입시켰다. 래일로동자구는 김정일이 "고난의 행군" 시기 '함흥시 청년 야기 목장'을 방문했을 때 명명한 곳으로, '래일(來日)'은 '내일'이라는 뜻이다. 이 구역은 함주군, 영광군, 평안남도 대흥군에 둘러싸인 월경지이다.
2005년에 흥남시가 다시 함흥시로 편입되었고, 함흥시의 행정 구역은 7개 구역으로 복구되었다.[1] 현재 함흥시는 7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함흥시 전체는 7구역, 99동, 2노동자구, 19리를 관할한다. 세부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함흥시 하위 행정 구역 목록 | |
---|---|
함흥시 (본청 관할: 56동·1노동자구·14리) | 흥남구역 (43동·1노동자구·5리) |
valign="top" | | valign="top" | |
=== 과거 행정 구역 ===
함흥시는 과거 여러 하위 행정 구역을 두었으며, 일부 구역은 설치, 폐지, 명칭 변경 등의 과정을 거쳤다. 대표적으로 성천강구역(1990년 이전 성천구역)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60년 10월: 함흥직할시 '''성천구역''' 설치 (16개 동 관할).
- 1963년: 상신흥동 신설 등 (17개 동).
- 1967년: 룡흥동 분할 등 (18개 동).
- 1970년 7월: 함흥시가 일반시로 격하됨에 따라 함경남도 함흥시 '''성천구역'''이 됨.
- 1985년: 일부 동 명칭 변경 (역전1동, 역전2동).
- 1990년: 성천구역 → '''성천강구역'''으로 개칭.
- 1993년: 중앙동 → 은정동으로 개칭.
- 2001년 8월: 성천강구역 폐지, 관할 동들은 함흥시 직속으로 편입됨.
200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7개 구역 체제가 복구되었으나, 대한민국 통일부는 2006년 9월 기준으로 일부 구역(성천강구역, 동흥산구역, 회상구역, 사포구역, 해안구역)이 폐지된 상태로 파악하고 있어 실제 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과거 존재했던 각 구역의 주요 산업 특징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5. 산업
함흥시는 북한의 다른 도시들보다 경제적으로 훨씬 더 다양하며, 많은 독특한 산업을 가지고 있다.[15] 함흥은 북한 대외 무역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하는 공업 도시이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섬유 (특히 비날론), 금속 제품, 기계, 정제유 및 가공 식품 등이 있다.[16]
함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요한 화학 산업 중심지이다.[15] 주요 화학공장으로는 소위 '주체섬유'를 개발했다고 알려진 2·8비날론연합기업소가 있으며[16], 이곳에서는 합성 섬유(비날론) 및 화학 섬유, 수산화 나트륨, 비료 등을 생산한다. 흥남구역은 항만부의 화학 공업 지대이며, 과거 사포구역 역시 화학 섬유 생산이 많았다.
기계 공업 등 중공업도 발달하여, 다른 도시에서 사용되는 중공업 장비의 상당수가 함흥에서 생산된다. 이러한 생산은 조선로동당이 추진하는 프로젝트에 따른 기념비적인 건물 건설에 기여하기도 한다.[15] 과거 해안구역(옛 용성구역)은 기계 공업의 중심지였다. 또한 성천강구역에서는 방적 공업이 중심이었다.
함흥평야에서는 쌀이 많이 생산되며, 그밖에 사과, 보리, 밀, 콩을 재배한다. 함흥의 농촌 지역은 농지와 식량 배급을 위해 공동체를 통해 운영되며, 주로 논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작물도 소량 재배된다.[15]
목재를 이용한 가공업으로는 펄프공장, 노트공장, 종이공장이 발전했다. 함흥시 수산사업소에서는 게와 물고기, 오징어 등을 잡고 있다.
한국의 해방 이전에는 일제강점기 일본의 파괴적인 행위로 인해 경제 발전이 더뎠으나[15], 전력, 항만, 공장 등의 기반은 이때 형성되기도 했다. 해방 이후 도시가 빠르게 발전하여 새로운 산업 지구를 건설하고 식민지적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고자 했다.[15]
과거 함흥시에는 성천강구역(방적 중심), 동흥산구역, 회상구역, 사포구역(화학 섬유 생산), 해안구역(기계 공업 중심, 옛 용성구역) 등 여러 하위 행정 구역이 존재했으나, 2006년 9월 현재 대한민국 통일부는 이들 구역이 폐지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현재 주요 산업 관련 구역으로는 화학 공업 중심의 흥남구역이 있다.
6. 교통
함흥시는 동해안의 여러 항구와 북부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철도 ===
평라선 철도가 함흥의 중심역인 함흥역을 통과하며, 청진 방면 및 개마고원의 장진호, 부전호 방면으로 연결된다. 함남선, 신흥선, 장진선 등은 주로 목재 수송에 이용된다. 함흥을 경유하거나 기점으로 하는 주요 철도 노선은 다음과 같다.
- '''평라선''': 함흥역 - 함흥조차장 - 창흥역 - 흥남역 - 서호역 - 마전역
- '''신흥선''': 함흥조차장 - 가담역 - 부민역
- '''서호선''': 서함흥역 - 사포역 - 상수역 - 성천역 - 운중역 - 룡성역 - 하덕역 - 서호역. 이 노선은 2.8 비날론 연합 기업소를 경유하여 서함흥과 흥남을 연결하는 협궤 통근 철도로도 운영된다.[17]
- '''비날론선''': 함흥조차장 - 비날론역 - 흥덕역 - 흥남역
- '''창흥선''': 창흥역 - 련흥역
=== 도로 ===
주요 도로가 도시를 통과하며, 7번 국도(부산-온성선)가 함흥을 지난다.
=== 항공 ===
함흥 시내에는 덕산비행장이 위치해 있다. 주로 군사용으로 이용되지만, 평양과 청진으로 가는 주 1회 정기 항공편이 이곳에서 발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민간 항공 교통은 인근의 선덕비행장을 이용한다.
=== 시내 교통 ===
함흥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전차(트램) 노선망이 운영되고 있다. 1973년 호양-덕성 노선 운행을 시작으로, 북쪽 덕성 종점에 차고지를 두고 있다. 1991년 7월 27일에는 함흥역에서 흥남 지역으로 향하는 두 개의 시외 노선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이 노선들은 각각 흥덕과 룡성으로 가는 지선을 포함했으며, 흥덕에 차고지가 있었다. 하지만 룡성행 지선은 2000년대 초반에 폐쇄되고 철거되었다. 두 개의 분리된 노선(호양-덕성, 함흥역-흥남)을 연결하는 가공 전선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구간에서 정기적인 운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2013년 기준으로 총 28대의 전차가 운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18]
7. 교육
함흥시에는 함흥대학, 함흥의학대학, 함흥화학공업대학, 함흥수리동력대학, 고려약학대학, 함흥교육대학, 함흥약학대학, 함흥공업대학 등 여러 대학이 있다. 또한 함흥품질관리전문학교, 함흥수력발전전문학교, 함흥전자자동화전문학교와 같은 전문대학과 과학 분원도 자리하고 있다.
2018년에는 평양 외 지역에서는 최대 규모인 남함경도 과학기술도서관이 함흥시에 개관했다.[24]
8. 문화
함흥에는 북한에서 가장 큰 극장인 함흥대극장과 국립 박물관이 있다.[19]
함흥은 전통 한국식 냉면인 함흥냉면으로도 유명하다.[20][21] 함흥냉면은 평양냉면과 달리 더 맵고 톡 쏘는 맛이 나며, 메밀국수 위에 고명이 더 많이 얹어지는 경향이 있다.[22][23]
주요 명소 및 시설은 다음과 같다.
9. 출신 인물
10. 자매 도시
함흥시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상하이, 중화인민공화국 - 1982년 이후[27]
참조
[1]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09-02
[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2-02-21
[3]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3
[4]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2-02-21
[5]
서적
How Koreans Talk
UnhengNamu
[6]
논문
Die Planung des Wiederaufbaus der Städte Hamhung und Hungnam in Nordkorea durch die DAG-Städtebaubrigade der DDR von 1955 - 1962
http://edoc.sub.uni-[...]
HafenCity Universität Hamburg
2016
[7]
서적
Die DDR und Nordkorea. Der Wiederaufbau der Stadt Hamhŭng von 1954–1962
Shaker
1996-12
[8]
서적
Rogue Regime: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5
[9]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Famine in North Korea
http://www.usip.org/[...]
2009-01-31
[10]
뉴스
Beyond a Wall of Secrecy, Devastation
https://www.washingt[...]
2010-05-04
[11]
뉴스
North Korea: Whole Generation of Children Affected by North Korean Famine.
http://www.itnsource[...]
1999-05-19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hamhung.co.tv[...]
2011-07-08
[13]
웹사이트
Recent news.
http://www.youngpion[...]
2010-06-25
[14]
뉴스
North Korea's Addicting Export: Crystal Meth
http://pulitzercente[...]
2011-06-27
[15]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2-02-20
[16]
웹사이트
2·8비날론 연합기업소
http://encykorea.aks[...]
2021-11-30
[17]
웹사이트
Hamhung — Narrow Gauge S-Bahn Hamhung — Haenam
https://transphoto.o[...]
2020-10-16
[18]
웹사이트
Hamhung
https://transphoto.o[...]
2022-02-20
[19]
서적
Korea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3-04-05
[20]
웹사이트
[Weekender] Pyongyang vs. Hamhung: Naengmyeons of Korea
https://www.koreaher[...]
2024-06-20
[21]
웹사이트
Cold noodles - how wintertime specialty became year-round dish
https://www.koreatim[...]
2024-06-20
[22]
웹사이트
Naengmyeon (Cold Noodles)
https://www.koreanba[...]
2024-06-20
[23]
웹사이트
Hamheung Naengmyeon: The Cold Noodle Dish from North Korea 🙂 East Asia Wonderlust
https://www.eastasia[...]
2024-06-20
[24]
뉴스
New North Korean Sci-Tech Library officially opens after long delay
https://www.nknews.o[...]
NK News
2018-12-31
[25]
웹사이트
The Hidden Gulag – Exposing Crimes against Humanity in North Korea's Vast Prison System (p. 93 - 100)
http://www.hrnk.org/[...]
2014-05-02
[26]
웹사이트
Is this the only modern Korea-related novel published by Penguin Classics? | London Korean Links
https://londonkorean[...]
2011-06-22
[27]
서적
Global Connectivity and Local Transformation: A Micro Approach to Studying the Effect of Globalization on Shangha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8]
웹사이트
在日1世が開発「平壌冷麺」…のれん守り半世紀
https://www.mindan.o[...]
민단新聞
2024-03-06
[29]
웹사이트
함경남도 함흥시 역사
http://www.cybernk.n[...]
[30]
문서
북한에서 쓰고 있는 도・시・군・구역〔北韓で使われている道・市・郡・区域〕
대한민국 통일부
2006-09
[31]
웹사이트
북한통계>인구일제조사>2008년>인구>도, 시/구역/군, 도시/농촌별, 성별인구
http://kosis.kr/bukh[...]
통계청
2018-10-07
[32]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84호
1941-03-26
[33]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