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자명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자명왕은 고구려의 제21대 왕으로, 장수왕의 손자이며 고조다의 아들이다. 491년 장수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519년까지 재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부여를 복속시키고 신라와 백제와 군사적 대립을 벌였으며, 497년에는 신라의 우산성을 함락시키기도 했다. 대외적으로는 중국 남북조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북위로부터 책봉을 받기도 했다. 519년 사망 후 아들 흥안이 안장왕으로 즉위했으며, 동명왕릉이 문자명왕릉이라는 주장이 있다.

2. 생애

장수왕의 손자인 문자명왕은 아버지가 일찍 사망하여 할아버지 밑에서 자라 태손이 되었다.[14] 491년 장수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494년 부여를 복속시키고, 백제, 신라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나제동맹을 맺은 백제와 신라는 협력하여 고구려에 맞섰다.

498년 왕자 흥안을 태자로 삼았다.[15]

519년 문자명왕이 사망(薨)하니, 시호를 문자명왕(文咨明王)이라 하였다.[14] 무덤은 동명왕릉이라는 주장이 있다.[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76899]

2. 1. 가계 및 즉위

장수왕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고추대가 조다이다. 조다가 일찍 죽자 장수왕이 문자명왕을 궁중에서 길러 태손으로 삼았다.[14] 491년 장수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2. 2. 대외 관계

문자명왕은 장수왕의 외교 정책을 계승하여 중국 남북조의 여러 나라 및 부여, 말갈을 포함하는 한반도 국가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494년 부여가 고구려에 복속된 이후, 고구려는 백제, 신라와 지속적으로 대립하였다. 나제동맹을 맺은 백제와 신라는 고구려에 맞서 협력하였다. 494년부터 512년까지 고구려, 백제, 신라 사이에는 여러 차례 전투가 벌어졌다.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연도고구려백제신라비고
494년살수(薩水) 전투에서 신라군 포위3,000명 구원군 파견패주 후 견아성(犬牙城) 농성
495년백제 치양성(雉壤城) 포위-장군 덕지(德智) 파견, 백제 구원
496년신라 우산성(牛山城) 공격-이하(泥河)에서 패배
497년신라 우산성 재공격, 함락--
503년-수곡성(水谷城) 침범-
506년백제 공격--큰 눈으로 회군
507년말갈과 함께 백제 한성(漢城) 공격 시도--횡악(橫岳)에서 패배
512년백제 가불(加弗)·원산(圓山) 함락기병 3,000명으로 반격-고구려 대패


2. 2. 1. 중국과의 관계

장수왕의 외교 정책을 계승하여 문자명왕은 북위, 남제, 등 중국 남북조의 여러 나라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5] 제서에 따르면 고구려 왕에게 칭호가 수여되었는데,[6] 이는 양나라와의 관계가 성립되었음을 의미한다. 문자명왕은 북위와의 우호 관계를 바탕으로 요동 반도 점령을 안정화시켰다.[7]

문자명왕은 남북조 양쪽 모두와 교류했다. 북위로부터는 <사지절·도독요해제군사·정동장군·영호동이중랑장·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으로, 남제로부터는 <사지절·산기상시·도독영평이주·정동대장군·낙랑공>으로 책봉되었다. 그 후에도 남북조(502년에 으로 바뀜) 양쪽에 조공하여 중국 측으로부터 책봉 체제 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양나라로부터는 502년에 차기대장군, 508년에 <무군대장군·개부의동삼사>로 진호되었다(『삼국사기』에는 "군을 동이라고 쓴 것도 있다"는 분주가 있다). 그러나 북위에서 세자의 입조를 요구했을 때 병을 이유로 세자 대신 아버지의 종제를 보내는 등, 일방적으로 중국 왕조에 종속되지는 않았다.

2. 2. 2. 한반도 내 정세

494년 부여 왕이 처자를 데리고 고구려에 항복하여 부여를 복속시켰다.[7] 같은 해 7월, 실죽(實竹)이 이끄는 신라군과 살수(薩水)에서 전투가 벌어졌는데, 신라군이 패주하여 견아성(犬牙城)으로 들어가 농성하자 이를 포위하였다. 그러나 백제가 3,000명의 구원군을 보내어 공격하므로 고구려는 후퇴하였다.[14] 495년에는 군사를 보내 백제의 치양성(雉壤城)을 포위하였으나, 신라가 장군 덕지(德智)를 보내 백제를 구원하므로 물러났다.[14] 496년에는 신라의 우산성(牛山城)을 공격하였으나 이하(泥河)에서 패하였고, 497년에 다시 우산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14]

이처럼 백제와 신라의 동맹(나제동맹)은 고구려와의 전장에서 서로 협력하며 강화되었다.[8]

503년 백제의 달솔(達率) 우영(優永)이 군사 5,000명을 거느리고 수곡성(水谷城)을 침범하였으나 고구려는 이를 막아내었다.[15] 506년 겨울, 고구려는 백제를 공격하였으나 큰 눈이 내려 병사들이 동상에 걸리자 회군하였다.[15] 507년 고로(高老)를 시켜서 말갈군과 함께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하려 하였으나, 횡악(橫岳)과 싸우다가 물러났다.[15] 512년 9월, 백제를 공격하여 가불(加弗)·원산(圓山) 두 성을 함락시키고, 포로 남녀 1,000여 명을 사로잡았다. 그러나 백제군이 기병 3,000명으로 반격하였고, 고구려는 백제왕군의 수가 적음을 보고 쉽게 생각하여 진영을 만들지도 않다가 대패하였다.[15]

2. 3. 내치

498년 정월, 왕자 흥안(興安)을 태자로 삼았다.[15] 소수림왕 때 고구려는 왕실에서 불교를 수용하였는데, 문자명왕 또한 불교 발전을 장려하여[5] 498년 평양에 금강사를 창건하였다.[11]

2. 4. 사망

519년 문자명왕이 사망(薨)하였다.[14] 재위 기간은 28년이었다. 시호는 문자명왕(文咨明王)이다. 무덤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동명왕릉이 문자명왕의 무덤이라는 주장이 있다.[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76899] 사망 후, 북위의 영태후로부터 <차기대장군>을 추증받았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장수왕 (394~491) - 제20대 국왕
조모미상
아버지고조다
어머니미상
왕비미상
장남안장왕 (?~531) - 제22대 국왕
차남안원왕 (?~545) - 제23대 국왕


4. 연표

문자명왕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11년12년13년14년15년
서력491년492년493년494년495년496년497년498년499년500년501년502년503년504년505년
단기2824년2825년2826년2827년2828년2829년2830년2831년2832년2833년2834년2835년2836년2837년2838년
간지신미임신계유갑술을해병자정축무인기묘경진신사임오계미갑신을유
문자명왕16년17년18년19년20년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
서력506년507년508년509년510년511년512년513년514년515년516년517년518년519년
단기2839년2840년2841년2842년2843년2844년2845년2846년2847년2848년2849년2850년2851년2852년
간지병술정해무자기축경인신묘임진계사갑오을미병신정유무술기해


참조

[1] 서적 Koguryŏ-ŭi yŏksa Kimyŏngsa 2005
[2] 서적 Koguryo Tomb Murals: World Cultural Heritage https://books.google[...] Giljabi Media 2016-02-02
[3] 서적 Koguryŏ = Koguryo, the origin of Korean power & pride Northeast Asia History Foundation 2007
[4]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 House 2016-02-02
[5] 서적 The history of accepting Buddhism during Goguryeo https://books.google[...] Kyŏngsŏwŏn 2008
[6] 서적 Book of Qi http://db.history.go[...] 2016-02-03
[7] 서적 The History of Goguryeo (高句麗史) https://books.google[...] Ehwa yŏja taehakkyo 2016-02-03
[8] 서적 The annals of Goguryeo in one hand https://books.google[...] Ungjin Tatk'ŏm 2008
[9] 서적 Samguk sagi (三國史記) http://db.history.go[...] 2016-02-03
[10] 서적 The Study on Architecture history in North Korea (북한에서의 건축사 연구) https://books.google[...] Parŏn 2016-02-03
[11] 서적 Buddhist Art in Korea (한국의 불교미술) https://books.google[...] Taewŏnsa 2016-02-03
[12] 문서 ただしこの戦勝記事については、対応する『三国史記』百済本紀・[[武寧王]]12年9月条には、高句麗の戦勝後に武寧王が精兵3千騎を用いて急襲し、高句麗兵を壊滅させたと記している。
[13] 서적 2002-03-01
[14] 문서 삼국사기 제19권 고구려본기 제7(三國史記 卷第十九 高句麗本紀 第七)
[15] 문서 七年 春正月 立王子興安爲太子, 《삼국사기》고구려본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