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령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령왕은 백제 제25대 왕으로, 462년 또는 461년에 일본 규슈에서 태어났다. 동성왕이 암살된 후 즉위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고구려와 말갈의 침입을 격퇴했다. 또한 중국 남조와 외교 관계를 맺고, 왜에 문물을 전파하며 교류했다. 523년에 사망했으며, 1971년 무령왕릉 발굴을 통해 백제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확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23년 사망 - 교황 호르미스다
    교황 호르미스다는 6세기 초에 재위했으며 아들 실베리오를 둔 인물로, 아카키우스 분열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한 1세와의 협상을 통해 519년 로마 교회와의 친교를 회복시켰다.
  • 461년 출생 - 소부 (남제)
    소부는 남제 시대에 학문을 좋아해 여러 관직을 거친 인물로, 남량 건국 후 추증되었으며 영양군왕으로 추봉되었다.
무령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무령왕
한자 표기武寧王
로마자 표기Muryeong-wang
다른 로마자 표기Munyeong-wang, Muyeong-wang
본명부여사마 (扶餘斯麻), 부여융 (扶餘隆)
출생일461년 6월 25일 (양력) 또는 462년 7월 14일 (양력)
출생지일본
사망일523년 6월 7일
사망지백제
매장지무령왕릉
즉위501년
재위501년 ~ 523년
시호무령(武寧)
칭호어라하
묘호없음
왕조백제
정치
전임자동성왕
후임자성왕
왕위 계승백제 국왕
가족 관계
아버지동성왕
어머니미상
배우자왕대비(王大妃) 대부인(大夫人)
자녀순타태자(純陀太子), 성왕(聖王), 사아군(斯我君)
기타 정보
종교불교
이미지
무령왕의 초상
무령왕의 모습

2. 생애

무령왕은 무령왕릉 지석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462년에 태어났으며, 이 해는 개로왕 8년에 해당한다.[13]

동성왕이 귀족들의 반발을 사서 백가를 위시한 반대파에게 살해당한 뒤,[17] 무령왕은 501년 정월 가림성에서 저항하던 백가를 토벌하고,[17] 왕권을 강화하였다. 22개 담로(백제의 지방행정조직)를 왕족이 통치하도록 하여 중앙집권화를 강화하였고, 좌평제 개편을 통해 귀족 세력을 서열화하고 국정을 분담시킴으로써 신·구세력을 통제하였다.

동성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무령왕은 고구려, 말갈의 침입에 맞서 싸우고, 양나라 및 와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512년과 521년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강화했으며,[17] 521년 양 무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영동대장군(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寧東大將軍)' 작호를 받았다.[17] 503년 인물화상경을 일본 천황에게 보냈으며,[21] 513년과 516년에는 각각 오경박사 단양이[22]고안무[23]를 왜에 보내 백제의 문화를 전파했다.

무령왕릉 지석에 따르면, 523년 음력 5월 7일 62세로 사망하였다.[2] 525년 음력 8월 12일 현재의 위치(현,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이장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

2. 1. 탄생과 초기 생애

무령왕은 462년(혹은 461년) 음력 6월 1일 일본 규슈 쓰쿠시(築紫) 북쪽 가카라시마(현 일본 규슈 사가현 가라쓰시)의 동굴 또는 해변에 정박 중 태어났다.[13] 아버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는데, 삼국사기삼국유사에는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라 기록되어 있고, 일본서기속일본기에는 비유왕 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15][16] 일본서기에 따르면, 개로왕이 임신한 후궁을 그의 동생 곤지에게 주어 왜로 보냈고, 461년 규슈 쓰쿠시(筑紫)의 각라도(各羅島 또는 加唐島)에서 무령왕이 태어났다고 한다.[1] 백제인들은 가카라시마를 니리무세마(主島), 즉 임금의 섬이라 불렀다고 한다.[13]

섬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사마'라는 이름을 얻었다. 무령왕릉 지석에는 '영동대장군백제사마왕(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서기에서 그를 '도군(嶋君)' 즉 '시마키시'로 불렀다는 기록과 일치한다.[14] 무령왕릉 발굴 당시 발견된 무령왕릉 지석을 통해 그의 출생년월일과 사망 당시 나이가 확인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그는 키가 8척(180cm~2m로 추정)이며, 이목구비가 수려했다고 한다.

2. 2. 즉위와 내정

동성왕이 귀족들의 반발을 사서 위사좌평 백가를 위시한 반대파에게 살해당했다.[17] 일본서기에 의하면 동성왕이 왜의 사신에게 무례하게 굴어서 귀족들이 이를 빌미로 동성왕을 암살하고 무령왕을 추대했다고 한다. 무령왕은 501년 정월 가림성에 근거를 두고 저항하던 백가를 토벌하고,[17] 왕권을 강화하였다. 《양서》의 백제전에 따르면 22개 담로(백제의 지방행정조직)를 왕족이 통치하도록 하여 중앙집권화를 강화하였다. 무령왕은 통치에 왕족을 이용함으로써 토목공사에 필요한 노동력을 강제 동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를 통해 왕족들은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또한 좌평제 개편을 통해 귀족 세력을 서열화하고 국정을 분담시킴으로써 신·구세력을 통제하였다.

2. 3. 대외 관계

동성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무령왕은 고구려말갈의 침입에 맞서 싸우고, 양나라 및 와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 '''고구려와의 관계''': 501년 백가의 반란을 진압하고 고구려 변경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18] 503년과 507년에는 말갈족의 침입을 막아냈으며,[19] 512년 고구려의 공격을 격퇴했다. 523년에는 쌍현성(雙峴城)을 쌓아 국경 방어를 강화했다. 이러한 군사적 노력을 통해 고구려와의 세력 균형을 이루고, 가야 지역으로 진출하여 섬진강 일대를 확보했다.
  • '''중국 남조와의 관계''': 512년과 521년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강화했으며,[17] 521년 양 무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영동대장군(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寧東大將軍)' 작호를 받았다.[17] 이는 무령왕릉 지석의 기록과도 일치한다.
  • '''왜와의 관계''': 503년 인물화상경을 일본 천황에게 보냈으며,[21] 513년과 516년에는 각각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22]고안무(高安茂)[23]를 왜에 보내 백제의 문화를 전파했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따르면, 백제는 임나 4현과 기문(己汶), 체사(滯沙)를 왜국으로부터 양도받았다.

2. 3. 1. 고구려와의 관계

동성왕의 반대파에 의해 추대된 무령왕은 501년 정월 한솔 해명과 함께 가림성에 근거를 두고 저항하던 백가를 토벌하고[17], 그 해 11월에 고구려의 변경을 침공했으나 실패하였다.[18] 503년 고목성에 쳐들어온 말갈족을 막아냈고[19], 507년 고구려의 지시를 받은 말갈족이 다시 고목성에 쳐들어오자, 남쪽에 2개의 책(柵)을 세우고 장령성(長嶺城)을 쌓았다. 512년에 고구려가 가불성과 원산성을 함락시키자 군사 3,000명을 이끌고 위천(葦川)의 북쪽으로 진출해 겨우 무찔렀다. 523년 좌평 인우와 달솔 사오로 하여금 쌍현성(雙峴城)을 쌓게 했다.

고구려와의 전쟁을 통해 세력의 균형을 이룬 무령왕은 가야를 공략하여 임실, 남원 방면에서 내륙으로 동진하여 섬진강 일대를 확보하고 경남서해안으로 진출하였으며 새로 확보한 지역에 군령과 성주를 파견하였다.

2. 3. 2. 중국 남조와의 관계

무령왕은 512년과 521년에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강화했다.[17] 521년 양 무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영동대장군(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寧東大將軍)' 작호를 받았다.[17] 이는 무령왕릉 지석에서도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嶺東大將軍 百濟 斯麻王)'으로 기록되어 있어 문헌 기록과 일치한다.

2. 3. 3. 왜와의 관계

스다하치만 신사(隅田八幡神社)에 소장된 일본 국보 「인물화상경(人物畵像鏡)」에는 무령왕(사마)이 503년에 일본 천황에게 이 거울을 보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21] 513년에는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22]를, 516년에는 고안무(高安茂)[23]를 왜에 보내 백제의 문화를 전파하였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따르면, 512년에 임나의 상다리(上哆唎, 현재 전라북도 진안군 및 완주군)·하다리(下哆唎, 충청북도 옥천군 및 논산시)·사다(娑陀, 전라남도 구례군)·무로(牟婁,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의 4현과 513년 기문(己汶, 전라북도 남원시)·체사(滯沙, 경상남도 하동군) 땅을 왜국에서 백제에 양도했다. 백제는 이에 대한 답례로 516년에 일본에 파견했던 박사 단양이를 대신하여 오경박사 한고안무를 헌상했다.

2. 4. 사망

무령왕릉 지석에 따르면, 523년 음력 5월 7일 62세로 사망하였다.[2]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등에는 그의 사망 원인에 대한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2] 무령왕릉 지석에는 525년 음력 8월 12일 현재의 위치(현,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이장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

3. 무령왕릉

1971년 충청남도 공주시(옛 웅진) 송산리 고분군에서 무령왕릉이 발굴되었다. 무령왕릉에서는 지석, 금제관식, 금제뒤꽂이, 은제팔찌, 청동신수경, 석수 등 2,900여 점에 달하는 유물이 출토되었다.[2] 무령왕릉의 지석에는 묻힌 이와 능의 축조 연대가 기록되어 있는데,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은 62세로, 계묘년(523년) 5월 7일에 붕어하였다."라는 내용이 새겨져 있어 왕의 생몰년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무령왕릉 입구


무령왕릉은 왕과 왕비를 함께 묻은 벽돌무덤(전축분)이며, 출토된 관은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고야마키(고노마키)로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져 큰 화제가 되었다. 이는 백제 사이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평가된다. 이 외에도 금으로 만든 고리 귀고리, 금박을 입힌 베개와 발받침, 관 장식 등 금세공품, 중국 남조에서 수입한 동경, 도자기 등 약 3,000점에 가까운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동성왕삼국사기》, 《삼국유사》 기록.
아버지곤지일본서기》 기록.
어머니-미상
왕비무령왕후이름 미상
아들성왕제26대 왕
아들순타태자일본에 정착, 야마토 씨족의 시조
아들사아군(斯我君)505년 일본 부레쓰 천황에게 인질로 보내짐


5. 대중 문화

2013년 MBC 드라마 《제왕의 딸 수백향》에서 이재룡이 무령왕 역을 맡았다.

6. 평가 및 의의

무령왕은 백제의 중흥을 이끈 군주로 평가받는다. 대내적으로는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화를 통해 국가 기틀을 다졌고, 대외적으로는 고구려와의 대립 속에서 중국 남조, 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여 백제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2] 1971년 무령왕릉 발굴은 백제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를 제공했으며, 특히 일본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들은 한일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512년 고구려에 큰 타격을 입혔다. 521년 중국 남조 양에 "백제는 옛날 고구려에게 패하여 수년간 쇠약하였으나, 고구려를 격파하고 강국이 되었으므로 조공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상표하여, 양으로부터 〈사지절·도독백제제군사·녕동대장군·백제왕〉으로 작호가 승진되었다.

1971년 충청남도 공주시(옛 웅진) 송산리 고분군에서 비석이 출토되어 무령왕릉으로 확인되었다. 비석에는

: “寧東大将軍百済斯麻王、年六十二歳、癸卯年(523년)五月丙戌朔七日壬辰崩到”

라고 기록되어 있어, 왕의 생몰년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왕비를 함께 묻은 벽돌로 만든 무덤(전실분)이며, 관이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コウヤマキ(고노마키)로 밝혀진 것도 큰 화제가 되었다. 이 외에도 금제 고리 귀고리, 금박을 입힌 베개와 발받침, 관 장식 등 금세공품, 중국 남조에서 수입한 동경, 도자기 등 약 3000점에 가까운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和歌山県 隅田八幡神社 소장(도쿄국립박물관 기탁) 국보인물화상경」 명문에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계미년」(503년), 「남제왕」(武烈天皇(무열천황) 또는 継体天皇(계체천황))이 「의사사가궁」(인사카궁, 이시사카궁)에 있었을 때, 거울을 만들게 하여 남제왕의 장수를 기원하며 거울을 봉헌한 「사마」가 알려져 있다. 이는 무령왕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참조

[1] 서적 全現代語訳 日本書紀 講談社学術文庫 1988
[2] 웹사이트 Guardian.co.uk https://www.theguard[...]
[3] 논문 5世紀の韓日関係史-『宋書』倭国伝の検討- https://www.jkcf.or.[...]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
[4] 서적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Changbi Publishers, Inc. 2010-12-24
[5] 뉴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https://www.khan.co.[...] 2021-06-28
[6] 논문 石上神宮 七支刀에 대한 一考察 https://www.krm.or.k[...] 한일관계사학회 2009
[7] 서적 백제의 주민과 이주 여성 한국여성사학회 2017
[8] 서적 일본서기
[9] 기타 무령왕 지석(誌石)
[10] 서적 삼국사기 1145
[11] 서적 삼국사기 1145
[12] 서적 삼국사기 - 백제본기 https://db.history.g[...]
[13] 서적 일본서기(日本書紀)
[14] 서적 일본서기(日本書紀)
[15] 웹사이트 일본 다시보기-사가현 III http://www.bostonkor[...]
[16] 서적 인민을 위한 백제의 역사와 문화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6
[17] 서적 삼국사기 1145
[18] 서적 삼국사기 1145
[19] 서적 삼국사기
[20] 서적 삼국사절요
[21] 웹사이트 게이타이천황은 무령왕의 아우 http://www.pressian.[...]
[22] 서적 일본서기 720
[23] 서적 일본서기 720
[24] 논문 『日本書記』에 인용된 百濟三書에 관한 연구 http://academic.nave[...]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