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제는 479년부터 502년까지 존속한 중국 남조 시대의 왕조이다. 소도성이 유송 순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건국했으며, 고제, 무제의 치세를 거치며 영명의 치로 불리는 번영을 누렸다. 이후 명제의 공포 정치와 폐제 소보권의 폭정으로 혼란을 겪다가 소연에게 멸망했다. 북위와의 전쟁, 문화 발전 등의 특징이 있으며, 고제, 무제, 명제, 폐제, 화제 등 여러 황제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 (남조) - 소승지
소승지는 남조 송나라의 무장으로, 남제 고제의 아버지이며, 북위의 침공을 막고 구지 세력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사후 추증되었고, 아들 소도성이 남제를 건국한 후 선황제로 추존되었다. - 제 (남조) - 소부 (남제)
소부는 남제 시대에 학문을 좋아해 여러 관직을 거친 인물로, 남량 건국 후 추증되었으며 영양군왕으로 추봉되었다. - 남조 (중국) - 양 (남조)
남조 시대의 왕조인 양은 소연이 남제로부터 선양받아 건국하여 무제 시기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후경의 난으로 쇠퇴, 진패선에게 선양되어 멸망 후 후량으로 분열되었다. - 남조 (중국) - 후량 (남조)
후량은 6세기 중엽 소찰이 세운 국가로, 강릉 주변을 통치하며 북방 왕조의 제후국 역할을 수행했지만 양나라 문화를 계승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남제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명 | 제 |
로마자 표기 | Qi |
별칭 | 남제 남조제 소제 |
역사 | |
건국 | 479년 6월 3일 |
멸망 | 502년 4월 24일 |
이전 | 유송 |
이후 | 양나라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수도 | 건강 |
통치자 | |
초대 황제 | 고제 (479년–482년) |
마지막 황제 | 화제 (501년–502년) |
통화 | |
통화 | 중국 주화 중국 엽전 |
기타 | |
현재 국가 | 중국 베트남 |
2. 역사
479년 소도성은 송나라의 순제에게 선양을 받아 제나라를 건국했다. 고제 사후 무제는 태사 파견 중지, 호적 조사 등 개혁 정치를 펼쳐 '영명의 치'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무제 사후 즉위한 명제는 왕위 유지를 위해 고제와 무제의 아들들을 살해하고 주사(主師)를 파견하는 등 공포정치를 펼쳤다.[5][6]
제6대 황제 소보권은 황족, 관료, 백성을 가리지 않고 살육하고 사치를 일삼아 정치가 혼란스러웠다. 결국 소연이 반란을 일으켜 동혼후를 살해하고 화제를 옹립했으나, 502년 화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양나라를 건국하면서 남제는 멸망했다.[7]
당시 제나라 문화의 중심은 무제의 둘째 아들 경릉왕 소자량의 저택이었다. 그의 저택에 있던 서쪽 처소에는 당대 최고의 문인들이 모였는데, 이들을 경릉팔우(竟陵八友)라고 불렀다. 소연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
남제(南齊)는 479년, 소도성(蕭道成)이 유송(劉宋) 순제(順帝)를 폐위하고 황위를 찬탈하면서 시작되었다. 남제서(齊書)에는 소도성이 이전에 제나라를 지배했던 강씨 또는 천씨와 혈연관계가 있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4] 23년간 지속된 남제는 대체로 불안정한 시대였다. 명제는 즉위 후 고제와 무제의 아들들과 자신에게 반역을 꾀할 것이라고 의심했던 관리들을 대대적으로 처형했다.[5][6] 이러한 자의적인 처형은 명제의 뒤를 이은 그의 아들 소보권(蕭寶卷) 때 더욱 심해졌다.
북위(北魏)의 토발 선비(吐拔鮮卑) 공주 중 50% 이상이 남조(南朝)의 황족이나 귀족 중 북위에 귀순하여 북쪽으로 이주한 남쪽 한족(漢族) 남성들과 결혼했다.[10] 토발 선비의 남양장공주(南陽長公主)는 남제 황족 출신 한족인 소보인(蕭寶夤)과 결혼했다.[11] 북위 효장제(孝莊帝)의 여동생인 수양공주(壽陽公主)는 양나라 무제의 아들 소종(蕭綜)과 결혼했다.[12]
479년, 소도성이 유송의 왕위를 찬탈한 후, 북위 황제는 465년 이후 위에 망명해 있던 유송 문제의 아들 유장을 옹립한다는 명분으로 침공을 준비했다. 위군은 수양을 공격하기 시작했지만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남제는 북위의 추가 침략을 막기 위해 수도 건강을 요새화하기 시작했다. 481년까지 여러 차례의 포위 공격과 소규모 충돌이 있었지만, 전쟁에서 큰 전투는 없었다. 490년 남제 무제와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역대 황제
시호 | 성 및 이름 | 재위 기간 | 연호 |
---|---|---|---|
남제 고조 (齊高帝) | 소도성(蕭道成) | 479–482 | 건원(建元) 479–482 |
남제 무제 (齊武帝) | 소자(蕭賾) | 482–493 | 영명(永明) 483–493 |
– | 소조업 (蕭昭業) | 493–494 | 륭창(隆昌) 494 |
– | 소조문 (蕭昭文) | 494 | 연흥(延興) 494 |
남제 명제 (齊明帝) | 소란(蕭鸞) | 494–498 | 건무(建武) 494–498 영태(永泰) 498 |
– | 소보권 (蕭寶卷) | 499–501 | 영원(永元) 499–501 |
남제 화제 (齊和帝) | 소보융(蕭寶融) | 501–502 | 중흥(中興) 501–502 |
2. 1. 건국
송나라 말기 소도성은 난릉(蘭陵) 출신의 하급병사로 유휴범의 반란을 진압하여 권력자가 된 뒤 황제를 폐위하기로 결정하고 479년 순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제나라를 건국했다.[4] 소도성(蕭道成)은 전한(前漢) 고조 유방(劉邦)을 도운 공신 소하(蕭何)의 자손이라고 자칭했다. 남조송(南朝宋)의 군인으로서 점차 출세하여 북위(北魏) 전선에서 군벌화하여 실력자로 성장했다. 남조송 명제(明帝) 시대에 실력을 키우기 시작한 소도성은 명제 사후 발생한 황족 강주(江州)(장시성) 자사이자 계양왕 유휴범(劉休範)과 형주(荊州) 자사 심유지(沈攸之) 등의 반란을 진압했다. 한편 황제 후폐제(後廢帝)(유욱, 劉昱)은 잔혹하여 소도성의 실력을 두려워하여 제거하려 했기 때문에, 477년 소도성은 유욱을 죽이고 그의 동생인 순제(順帝)를 옹립했다. 이렇게 황제의 폐립을 결정할 수 있게 된 소도성은 479년 순제로부터 선양(禪讓)을 받아 남조제(南朝斉)를 열었다.2. 2. 무제(武帝)의 치세
482년 고제가 즉위 3년 만에 죽자, 아들 무제가 즉위했다. 제2대 황제 무제는 아들 경릉왕(竟陵王) 소자량(蕭子良)을 상류로 보내 송나라 효무제 이래 실시했던 태사(台使) 파견을 중지했다. 태사는 조세대납 지역에 대해 중앙에서 그 감시를 위해 내려보내는 관리였으나 부정부패가 심했고, 명문 출신 지방관과 대립하여 악평이 많았다.무제는 또한 교적관(校籍官)을 시켜 호적을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수년에 걸친 토지조사 및 호적조사로 부정부패 때문에 토지를 빼앗기고 국경 근처에서 떠돌던 많은 백성들이 호적에 복귀하였다. 무제는 중서사인 채법량, 여문도를 시작으로 한문 출신의 인재를 등용하여 귀족을 제압했다. 이로 인해 귀족의 지지는 잃어버렸으나, 치세 전반에 걸쳐 백성들의 삶은 윤택해지고, 도시가 번영하였다는 평이 전해졌다. 무제의 치세는 영명의 치(永明의 治)라 불리며 11년간 계속되었다.
2. 3. 혼란과 멸망
소도성은 송나라 말기 유휴범의 반란을 진압하며 권력을 장악하고, 479년 송 순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제나라를 건국했다.[4] 무제는 즉위 후 태사 파견을 중지하고 호적을 정비하는 등 개혁을 추진하여 '영명의 치'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무제 사후 명제는 자신의 아들의 왕위를 위해 고제와 무제의 아들들을 살해하고, 종실제왕을 감시하는 주사를 파견하는 등 공포정치를 펼쳤다.[5][6]제6대 황제 소보권은 황족, 관료, 백성들을 가리지 않고 살육하고 사치를 일삼아 정치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결국 소연이 반란을 일으켜 동혼후를 살해하고 화제를 옹립했으나, 502년 화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양나라를 건국하면서 남제는 멸망했다.[7]
3. 북위(北魏)와의 전쟁
479년, 소도성이 유송의 왕위를 찬탈한 후, 북위는 465년부터 망명해 있던 유송 문제의 아들 유장을 옹립한다는 명분으로 침공을 준비했다.[1] 북위군은 수양을 공격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했다.[1] 남제는 북위의 추가 침략을 막기 위해 수도 건강을 요새화하기 시작했다.[1]
481년까지 여러 차례 포위 공격과 소규모 충돌이 있었지만, 큰 전투는 없었다.[1] 490년 남제 무제와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
4. 문화
당시 남제 문화의 중심은 무제의 둘째 아들 경릉왕 소자량 (460년 - 494년)의 저택이었다. 그의 저택에 있던 서쪽 처소에는 당대 최고의 문인들이 모였는데, 이들을 대표적인 8명을 가리켜 경릉팔우(竟陵八友)라고 불렀다. 소연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1]
5. 역대 황제
시호 | 성 및 이름 | 재위 기간 | 연호 |
---|---|---|---|
남제 고제 (齊高帝) | 소도성(蕭道成) | 479년–482년 | 건원 479년–482년 |
남제 무제 (齊武帝) | 소색(蕭賾) | 482년–493년 | 영명 483년–493년 |
– | 소조업 (蕭昭業) | 493년–494년 | 융창 494년 |
– | 소조문 (蕭昭文) | 494년 | 연흥 494년 |
남제 명제 (齊明帝) | 소란(蕭鸞) | 494년–498년 | 건무 494년–498년 영태 498년 |
– | 소보권 (蕭寶卷) | 499년–501년 | 영원 499년–501년 |
남제 화제 (齊和帝) | 소보융(蕭寶融) | 501년–502년 | 중흥 501년–502년 |
6. 황실 가계도
남제 황제 가계도 | |||||
---|---|---|---|---|---|
1세 | 2세 | 3세 | 4세 | 비고 | |
소승지(蕭承之) | 소도생(蕭道生) | 소도성(蕭道成) (고제) | 소색(蕭賾) (무제) | ||
rowspan="4" | | rowspan="4" | | 소의(蕭嶷) | |||
소란(蕭鸞) (명제) | 소보권(蕭寶卷) (동혼후) | ||||
소보인(蕭寶夤) | |||||
소보융(蕭寶融) (화제) | |||||
rowspan="2" | | 소장무(蕭長懋) (문황제) | 소소업(蕭昭業) (울림왕) | |||
소소문(蕭昭文) (해릉왕) |
참조
[1]
서적
Book of Southern Qi, vol. 1
http://zh.wikisource[...]
[2]
서적
Zizhi Tongjian, vol. 145
http://zh.wikisource[...]
[3]
웹사이트
汉典:萧齐
https://www.zdic.net[...]
[4]
서적
Book of the Southern Qi 南齊書, chapter 1
[5]
서적
中国の歴史、中華の崩壊と拡大、魏晋南北朝
川本
[6]
서적
中国の歴史、中華の崩壊と拡大、魏晋南北朝
川本
[7]
서적
中国の歴史、中華の崩壊と拡大、魏晋南北朝
川本
[8]
서적
Cultural Convergence in the Northern Qi Period: A Flamboyant Chinese Ceramic Container : a Research Monograph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7
[9]
논문
Teng-Hsien: An Important Six Dynasties Tomb
https://www.jstor.or[...]
1980
[10]
논문
Divorce and the Divorced Woman in Early Medieval China (First through Sixth Century)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05
[11]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
[12]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vol.3 & 4): A Reference Guide, Part Three & Four
https://books.google[...]
BRILL
2014-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