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8월 블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월 블록은 1912년 레프 트로츠키 주도로 비엔나에서 열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조직 통합 회의를 지칭한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을 이루기 위한 시도로, 멘셰비키, 볼셰비키 등 다양한 분파가 참여했으나, 레닌의 반대와 이념적 갈등으로 인해 실패했다. 이 회의는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의 초기 형태를 담은 정치 결의안을 채택했으나, 결국 조직위원회는 붕괴되었고, 트로츠키는 이후 권력 투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4년 러시아 - 타넨베르크 전투 (1914년)
    1914년 동프로이센에서 독일 제8군이 러시아 제2군을 격파하며 러시아군의 침공을 저지한 타넨베르크 전투는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를 스타로 만들었으나 서부 전선의 취약성을 드러냈고 러시아군의 보급 및 지휘 문제와 독일군의 정보전이 승패에 영향을 미쳤다.
  • 1914년 러시아 - 사리카미스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중 캅카스 전역에서 벌어진 사리카미스 전투는 오스만 제국이 러시아군을 포위하여 카르스와 바투미를 탈환하려 했으나, 추위, 보급 부족, 러시아군의 저항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배하여 캅카스 전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8월 블록
개요
1907년 8월 블록의 국회 의원들
1907년 8월 블록의 국회 의원들
기본 정보
창립1907년
해체1912년
이념자유주의
진보주의
민족주의
정치적 입장중도에서 중도우파
관련 정당자유사상 연합
독일 인민당
독일 진보인민당

2. 배경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극심한 분열은 8월 블록의 탄생 배경이 되었다. 레프 트로츠키는 당의 계속된 분열이 러시아 혁명의 성공적인 수행을 저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 1. 당내 분파 통합 시도

1910년 1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중앙위원회는 총회에서 통합 운동과 관련된 총의 소집에 만장일치로 찬성하였다.[2] 레프 트로츠키멘셰비키볼셰비키를 포함한 다양한 분파들을 통합하려 노력했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청산파와 전진파는 트로츠키의 주장에 동조하였다.[7] 1913년 기준으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무당파 비중은 42.1%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논쟁은 이 무당파가 통합파로 흘러가느냐, 볼셰비키로 흘러가느냐와 관련된 현실적인 의미에서 권력 투쟁의 성격도 존재하였다.[4]

블라디미르 레닌은 멘셰비키와의 화해를 이 통합 운동과 동일시하였다. 볼셰비키는 ‘트로츠키에 대한 투쟁 강화’를 슬로건으로 내세웠고, 통합 운동과 관련된 모든 회의에 들어가는 당 자금 집행의 감산을 요구하였다.[5] 1911년 2월 말 당 기관지 프라우다는 트로츠키와 레닌 사이의 대립에 대해서 처음으로 공식적인 보도를 하였다. 프라우다는 트로츠키의 이해가 당에 반영될 경우 상류층 노동계급의 입당이 수월해질 것이라는 논평을 기재했다.[8]

1911년 6월 10일, 블라디미르 레닌은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와 함께 파리에서 ‘중앙위원회 위원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는 트로츠키의 통합 운동을 공개적으로 비판하였다. 이후 레닌, 지노비예프, 알렉세이 리코프, 야나 티스키, 펠릭스 제르진스키는 위원 회의의 실질적 활동에 필요한 조직위원회 구성에 찬성하였다. 레닌은 트로츠키에게 조직위원회에 가입할 것을 요구했으나, 트로츠키는 이 제안을 거절했다.[8]

2. 2. 베른 회의 (1911년)

1911년 8월 20일부터 8월 23일까지 스위스 베른에서 멘셰비키 해외국 가맹 회의가 열렸다. 미하일 리베르, 보리스 고레프, 솔로몬 슈바르츠, 표도르 단 등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중앙위원회 총회가 주최한 회의를 소집하기 위한 해외 지원에 관련된 논의’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 토론에서 단과 트로츠키는 최종적인 의견을 담은 〈전(全)당원에 호소한다〉를 채택하였다. 이 문서는 볼셰비키의 통합 거부와 별도의 당 회의 개최에 대한 비판이 담겨져 있다.[9]

베른 회의 이후 러시아 제국 내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모든 분파에게 통합 노력을 위한 여러 가지 행동 방침이 주어졌다. 또한, 통합을 원하는 모든 지역당 및 분파에게 정기적으로 지역 통합 회의에 초대됐다. 한편으로, 볼셰비키는 이 통합 운동에 찬성하는 기회주의자와 개량주의자에 대한 비판을 당내 소규모 토론을 통하여 추진했다. 멘셰비키의 경우는 다수가 이미 볼셰비키와 통합할 의향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멘셰비키는 이 통합 운동의 주도자인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과 기타 혁명 이론에 반대하고 있었으며, 그를 통합 회의에서 고립시켰다. 이는 통합 회의 분열의 시초적 발현이었다.[10] 트로츠키는 지속적으로 볼셰비키 당 조직에 통합 회의에 참석할 것을 요구했으나, 레닌은 이를 거절하였다.[10]

2. 3. 프라하 회의 (1912년)

1912년 1월 프라하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6차 당대회가 열렸다. 같은 시기, 볼셰비키는 '프라하 회의'를 개최하여 멘셰비키와의 통합을 반대했다. 레닌은 멘셰비키와 함께 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소부르주아적 개인주의를 배격하고 당원의 지식 수준과 투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시기 열린 '전(全)민족 사회민주당 조직 회의'에는 폴란드 및 리투아니아 지역 대표와 일부 멘셰비키 분파가 참석하였다. 트로츠키는 이 회의에서 레닌의 정예주의를 비판하며, 더 많은 대중을 당에 참여시키는 것이 당의 외연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 국가 두마 총선이라는 합법적 틀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이점을 얻으려면 더 많은 대중을 포섭해야 하며, 이것이 혁명 성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전(全)민족 사회민주당 조직 회의의 목적이 당 통합을 위한 공식 위원회 구성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레닌은 회의 이후 팜플렛을 통해 트로츠키가 겉으로는 의회 활동과 비합법 활동의 전략적 연계를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이 둘을 분리해서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의회 활동과 비합법 활동의 연계는 고도의 지식과 활동력을 갖춘 당원이 당의 세포를 구성해야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11]

파벨 악셀로드는 두 회의에 대해 "레닌이 공동의 적에 대한 공동 투쟁에 진지하게 고려할 소망이 없는 인상을 남겼다"라고 평가하며, 통합 논의가 비현실적이라는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8월 13일, 마르토프는 악셀로드에게 서한을 보내 통합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독려했지만, 악셀로드는 회의적인 입장을 거두지 않았다.[13]

마르토프는 8월 25일 비엔나 회의에 참석할 것을 공개적으로 밝혔으나, 당 통합 논의의 전망이 비참하다고 주장했다. 트로츠키는 레닌에게 비엔나 회의에 참석할 것을 요구했지만, 레닌은 이를 거절하였다.[13]

3. 비엔나 8월 회의 (1912년)

1912년 8월 말, 레프 트로츠키 주도로 비엔나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조직 통합 회의가 열렸다. 같은 해 10월 8일자 러시아 제국 경찰국 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의에 대표 18명과 자문위원 10명이 참가했다.[14] 참가자들은 이 회의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재건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표단은 크게 영토별 대표단과 러시아 제국 내 식민지 지역 지부(리투아니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조지아, 폴란드) 및 각 분파의 통합 대표단으로 나눠져 있었다. 트로츠키는 비엔나 회의가 러시아 제국 내에서 조직된 마르크스주의 조직의 모든 것이 모여 있다고 자평하였다. 참석자 중에는 볼셰비키파도 존재하였다. 대표단 구성원 및 핵심 참석자를 분파로 나눌 경우, 무당파 17명, 멘셰비키 11명, 볼셰비키 4명이었다. 회의를 통해 조직위원회가 구성되었고, 조직위원회는 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모색하였다.[14]

이 회의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트로츠키는 독일 사회민주당으로부터 80000마르크를 지원받았으며,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으로부터도 자금을 받았다.[15]

트로츠키가 작성한 정치 결의안은 영구혁명론의 초기 형태가 반영되어 있으며, 농촌에서 농업 프롤레타리아를 혁명적으로 조직하는 여러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의회 활동과 비합법 활동의 결합 등의 내용이 들어가 있다. 동시에 제4대 러시아 국가 두마 총선에 관해서도 세밀히 언급하였다. 트로츠키는 보편적인 자유선거의 실시를 주장하였고, 러시아 내 유대인 박해 중지, 노동운동 합법화를 요구하였다.[16]

4. 블록의 붕괴

비엔나 회의를 통해 구성된 조직위원회는 각국에서 체포를 당했다. 조직위원회의 활동은 소수의 멘셰비키 지도자 및 무당파 주요 일원에 의해 지도되었다. 그러나 비엔나 회의가 시작된 지 몇 주 후, 이 활동이 통합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에서 크게 일어났다. 한편, 볼셰비키 중앙위원회는 비엔나 회의에 참석한 자들을 청산주의자라고 비판하였고, 여러 회의를 주도하여 지속적으로 블록의 활동을 비판했다.[17]

동시에 멘셰비키 및 무당파 대표단을 중심으로 조직위원회 내에서 반(트로츠키) 대열이 굳어졌다. 이들은 트로츠키의 혁명 이론이 좌경적이며, 당의 대중성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조직위원회는 다시 트로츠키 지지파와 반대파로 나뉘어 이념적으로 분열되기 시작했다.

1913년부터 조직위원회 내 볼셰비키 참석자가 참여를 거부하기 시작하였고, 조직위원회는 점점 멘셰비키의 외곽 조직으로 전락했다. 결국 트로츠키는 1914년 2월에 비엔나 회의에 기초한 조직위원회 활동을 포기하였다. 조직위원회는 2월 혁명이 일어날 때까지 해체되지 않았는데, 트로츠키가 이탈한 후 이 조직은 멘셰비키의 당 조정 기구로 남아 있었으며, 통합에 관해서는 유명무실한 것이 되었다.[18]

5. 영향과 비판

8월 블록은 제한적인 영향만 남겼지만, 소비에트 연방 성립 후에도 비판이 이어졌다. 트로츠키는 훗날 8월 블록 조직을 후회하며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

5. 1. 블라디미르 레닌의 비판

Влади́мир Ильи́ч Ле́нин|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ru은 트로츠키가 주도한 통합 논의 과정에서 트로츠키를 '예수를 판 유다', '부르주아 정치패거리', '비열하고 해로운 자', '청산주의자' 등으로 강하게 비판했다.[19] 레닌은 멘셰비키와의 통합이 부르주아 종파와의 통합을 의미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한편, 트로츠키는 저서 《나의 생애》에서 당시 볼셰비키 내 분파 통합 여론은 긍정적이었고, 자신도 통합이 잘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졌다고 썼지만, 당시 볼셰비키 중앙위원 대다수는 통합에 반대했으며, 이는 평당원들의 지지를 받는 것이었다.

5. 2. 이오시프 스탈린의 비판

1923년부터 이오시프 스탈린레프 트로츠키를 정치적으로 공격하기 위해 8월 블록에 대한 비판을 행했다. 스탈린은 소부르주아 조직이자, 수정주의 일파인 멘셰비키를 통합의 대상으로 설정한 트로츠키의 무지를 비판하였으며, 이러한 블록을 주도했다는 것을 근거로 트로츠키가 멘셰비키의 사상적 조류에 편승했을 뿐 아니라, 반당 활동에 적극 가담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20] 하지만, 트로츠키는 8월 블록 시기에 멘셰비키에 공식적으로 가담한 적이 없으며, 블록 내에서도 여러 멘셰비키 지도자와 사상 차이로 논쟁을 벌였다.[20]

5. 3.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의 비판

소비에트 연방의 교육위원장인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트로츠키의 정치 결의안을 비판했다. 이 결의안에는 토지 몰수를 위한 직접적인 투쟁 방법론, 지주 토지 몰수, 각 민족의 자결권 보장, 민주공화국 성립을 위한 실질적인 요구가 없었으며, 오로지 헌법 개정, 노동조합 활동권의 부분적 보장, 기타 개인의 권리 보장, 각 민족의 ‘자치권’ 보장에 관련된 내용만이 존재했다는 것이다.[21]

참조

[1] 간행물 Введение. Две конференции: причины, решения, результаты РОССПЭН 2008
[2] 문서
[3] 간행물 Введение. Две конференции: причины, решения, результаты РОССПЭН 2008
[4] 간행물 Введение. Две конференции: причины, решения, результаты РОССПЭН 2008
[5] 간행물 Введение. Две конференции: причины, решения, результаты РОССПЭН 2008
[6] 문서
[7] 간행물 Большевики: Документы по истории большевизма с 1903 по 1916 год бывш. Московского Охранного Отделения Задруга 1918
[8] 간행물 В преддверии полного раскола. Противоречия и конфликты в российской социал-демократии 1908—1912 гг. 2010
[9] 서적 «Правда» и августовский блок. Попытка создания межфракцио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Центрполиграф 2012
[10] 서적 «Правда» и августовский блок. Попытка создания межфракцио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Центрполиграф 2012
[11] 서적 The Bolsheviks and the World War: The Origin of the Third International Stanford University Press 1940
[12] 서적 Lenin Collected Works Progress Publishers
[13] 서적 «Правда» и августовский блок. Попытка создания межфракцио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Центрполиграф 2012
[14] 서적 «Правда» и августовский блок. Попытка создания межфракцио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Центрполиграф 2012
[15] 간행물 Введение. Две конференции: причины, решения, результаты РОССПЭН 2008
[16] 서적 «Правда» и августовский блок. Попытка создания межфракцио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Центрполиграф 2012
[17] 간행물 Большевики: Документы по истории большевизма с 1903 по 1916 год бывш. Московского Охранного Отделения Задруга 1918
[18] 간행물 Введение. Две конференции: причины, решения, результаты РОССПЭН 2008
[19] 간행물 Августовский антипартийный блок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49
[20] 간행물 Августовский антипартийный блок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49
[21] 간행물 Августовский антипартийный блок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