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는 1883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볼셰비키의 주요 인물이었다. 1901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블라디미르 레닌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10월 혁명 이후 코민테른 의장 등을 역임하며 소련 내 권력 투쟁에 참여했다. 레닌 사후에는 레프 트로츠키를 견제하며 이오시프 스탈린과 연합했으나, 이후 스탈린과의 갈등으로 인해 숙청되어 1936년 처형되었다. 1988년 소련 정부는 그의 혐의를 사면했다.

2. 초기 이력

1901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소련 공산당의 전신)에 입당하였다.[1] 1906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사회민주노동당 위원회 위원이 되어, 신문 "전진"지의 편집부원 및 노조 조직 활동을 하였다. 1907년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08년 체포되어 병 때문에 석방된 후 망명했다.[3]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위스로 망명하여 레닌과 가족끼리 친밀하게 교류했다. 1917년 4월, 레닌과 함께 "봉인 열차"를 타고 러시아로 돌아왔다. 같은 해 7월, 페트로그라드 무장 봉기에 반대하여 이를 막으려 했으나, 오히려 음모 교사 및 조직 혐의로 고발당해 레닌과 함께 체포를 피해 잠복했다. 10월 10일10월 16일 당 중앙위원회에서 레프 카메네프와 함께 즉각적인 무장 봉기를 주장하는 레닌에게 반대하며 신문에 봉기 계획을 미리 폭로하기도 했다.

2. 1. 출생과 성장

러시아 제국 헤르손현 옐리사베트그라드(Елисаветград|옐리사베트그라드ru, 현 우크라이나 크로피우니츠키)의 유대인 농부 가정에서 태어났다.[1] 1883년 9월 23일(그레고리력 1883년 9월 11일)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젖소를 사육하는 농장주였다.

소년 시절부터 혁명 운동에 참여했으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입당했다. 1902년 스위스 베른으로 망명하여 파리에서도 활동하며 출입국을 반복했다. 이 기간 동안 베른 대학교 화학부와 법학부를 다녔다.[3]

2. 2. 혁명 운동 참여

1901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훗날 소련 공산당의 전신)에 입당하였다.[1]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멘셰비키로 분당될 때, 블라디미르 레닌을 지지하여 볼셰비키에 가담하였다.[3] 이후 10월 혁명 이전까지 레닌의 가장 가까운 측근이자 보좌관으로 활동하였다. 1907년에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3]

3. 2월 혁명과 10월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스위스에 망명 중이던 지노비예프는 1917년 2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붕괴하자 4월 블라디미르 레닌과 함께 밀봉열차를 타고 적국 독일 제국을 횡단하여 러시아로 돌아왔다.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는 쿠데타에 성공하여 케렌스키 정부를 타도하고 정권을 잡았다.

이 사건은 지노비예프의 정치 이력에 전환점이 되었고, 그 때문에 레프 트로츠키가 당내에서 제2인자의 위치를 확고히 하게 되었다. 이후 지노비예프는 트로츠키와 앙숙이 되어 그를 당에서 몰아내려고 힘쓰게 되었다.[4]

3. 1. 2월 혁명 직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지노비예프는 스위스에 망명 중이었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붕괴하자, 4월에 레닌과 함께 유명한 밀봉열차를 타고 적국인 독일 제국을 횡단하여 러시아로 돌아왔다.[4] 그는 그 해 대부분 동안 볼셰비키 지도부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7월 사건 이후에는 레닌과 함께 은신 생활을 하였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1918년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의장, 정치 위원들 사이

3. 2. 10월 혁명에서의 역할

케렌스키 정부가 7월 쿠데타 미수 혐의로 블라디미르 레닌과 지노비예프를 수배하자 둘은 도피 생활을 하였다. 레닌은 다시 쿠데타 계획을 꾸몄으나, 지노비예프는 레프 카메네프와 함께 이에 반대하여 레닌과 사이가 벌어졌다. 레닌은 그 둘을 추방할 것을 요구하기도 하였다.[4] 1917년 10월 10일(율리우스력),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무장 봉기에 반대 투표를 한 유일한 두 명의 중앙 위원회 위원이었다.[4]

10월 혁명 직후, 비크젤에 있던 전러시아 철도 노동조합은 볼셰비키가 다른 사회주의 정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하지 않으면 파업을 벌일 것이라고 위협하였다. 만약 파업을 벌인다면 전국적인 볼셰비키의 지배력이 약화되고, 반혁명세력을 진압하기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볼셰비키 중앙위원회가 이들과 협상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잠시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페트로그라드에서 반혁명세력이 진압되어 상황이 유리해지자, 레닌과 레프 트로츠키는 협상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항의하여 지노비예프 등은 중앙위원회를 사퇴하였고, 레닌은 이들을 "탈주자"라고 비난하였다.[5] 레닌은 후에 유언에서도 이 일을 언급하여 지노비예프의 "불성실한 당성"을 상기시키기도 하였다.[6]

4. 러시아 내전

지노비예프는 1918년 3월 제7회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다시 선출되었다. 그는 페트로그라드의 당 및 방위 담당자가 되었다. 1919년 제8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이 신설되자, 투표권이 없는 정치국원이 되었으며, 같은 해 3월 코민테른 의장이 되었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의장이 10월 혁명 이후 첫 번째 국제 노동절에 군중에게 연설하고 있다. (1918년 5월 1일)


러시아 내전 동안, 붉은 군대를 총지휘한 전쟁인민위원(국방장관) 레프 트로츠키는 볼셰비키파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이는 지노비예프와 트로츠키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트로츠키는 지노비예프의 리더십을 낮게 평가했다.[9]

5. 권력 투쟁

1921년 초, 내전에서 승리한 볼셰비키파는 공산당으로 이름을 바꾸고 여러 분파로 갈라져 당내 권력 투쟁에 들어갔다. 레닌에게서 잠시 떠났던 지노비예프는 다시 레닌 분파를 지지하여 제10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정식 위원이 되었다.

1922년-1923년 레닌이 병으로 국정을 볼 수 없는 상태가 되자, 지노비예프는 소련 내 최고 권력자 중 한 명으로 떠올랐다. 1924년 레닌이 사망한 후, 제12차, 제13차 당대회에서 레닌 생전의 일에 대한 중앙위원회 결정 사항을 전달하며, 당내 최고 권력자이자 이론가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10]

코민테른 수장이었던 그는 1923년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한 독일 혁명 실패에 대한 책임을 추궁받았으나, 카를 라데크에게 그 책임을 넘겼다.[10]

5. 1. 레닌 사후 권력 부상 (1921-1923)

1921년 초, 내전에서 승리한 볼셰비키파가 이름을 바꾼 공산당은 여러 분파로 갈라져 당내 권력 투쟁에 들어갔다. 잠시 레닌을 떠났던 지노비예프는 다시 레닌의 분파를 지지하여 제10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정식 위원이 되었다.[10]

레닌이 병으로 자리에 누워 국정을 볼 수 없는 상태가 된 1922~1923년에 지노비예프는 소련 내 최고 권력자 중 하나로 떠올랐다. 1924년 레닌이 사망한 후, 제12차, 제13차 당대회에서 레닌이 생전에 한 일에 대한 중앙위원회의 결정 사항을 전달했다. 그는 당내에서 최고의 권력자이자 최고의 이론가 중 한 명으로 간주되었다.[10]

코민테른의 수장으로서 1923년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한 독일 혁명 실패의 책임을 추궁받았지만, 카를 라데크에게 책임을 넘겼다.[10]

트로츠키스탈린의 임명이 지노비예프의 초기 추천 덕분이라고 보았다.[11] 이 견해는 여러 역사가들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12][13] 러시아 역사가 바딤 로고빈에 따르면, 스탈린의 선출은 제11차 당 대회 (1922년 3월~4월) 이후에 이루어졌는데, 레닌은 건강이 좋지 않아 간헐적으로만 참여했고, 12번의 회의 중 4번만 참석했다.[14]

5. 2. 반트로츠키 삼두동맹 (1923-1924)

1923년 지노비예프는 카메네프와 스탈린과 함께 당내에서 삼두동맹을 결성하여 트로츠키를 권력에서 밀어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924년 1월에 열린 제13차 당대회에서 그는 의원의 과반수를 확보하여 트로츠키와 트로츠키주의를 비판하였다. 그리하여 트로츠키 지지자들을 당에서 강등하거나 추방하였고, 그는 이때 권력의 정점에 다다랐지만, 그의 영향력은 레닌그라드(페트로그라드) 영역에 한정되었고, 당의 권력 기관 대부분은 스탈린의 영향권으로 들어갔다.

제13차 당대회에서 트로츠키를 제거한 후, 스탈린과 지노비예프-카메네프 간에는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스탈린을 서기장직에서 제거하라는 레닌의 유언에 맞서, 스탈린이 서기장 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도왔다. 이후 트로츠키는 권력의 주변부로 밀려난 후, "10월의 교훈"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는데, 이는 1917년의 여러 사건들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트로츠키는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가 볼셰비키 무장봉기를 반대했다는 것을 상기시켰다.

이는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를 자극하여 반트로츠키 삼두동맹의 2차 국면을 전개시켰다. 지노비예프와 그 추종자들은 트로츠키가 러시아 내전에서 범한 여러 과오들을 들춰내었고, 이것은 트로츠키의 군사적 명성에 흠집을 내어, 1925년 1월 트로츠키는 전쟁인민위원에서 사퇴할 수밖에 없었다. 지노비예프는 한발 더 나아가 트로츠키를 당에서 축출할 것을 요구하였는데, 트로츠키와 앙숙인 스탈린은 예상외로 이를 반대하였다. 스탈린은 이 국면에서 능숙하게 중도적인 입장을 가장하고 있었다.

5. 3. 스탈린과 결별 (1925)

트로츠키가 몰락하면서 지노비예프, 카메네프, 스탈린의 삼두 동맹은 해체되기 시작했다. 이후 거의 1년 동안 이들은 다음 단계의 권력 투쟁을 위해 지지자를 모으는 데 힘을 쏟았다. 스탈린은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의 편집장 니콜라이 부하린과 소련 총리 알렉세이 리코프와 연합하였다.

한편,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레닌의 미망인 나데즈나 크룹스카야, 소련 재정인민위원(재정장관) 그레고리 소콜니코프와 연합하였다.

이 두 그룹의 권력 투쟁은 1925년 9월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시작되었고, 1925년 12월 제14차 당 대회에서 정점에 달했다.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레닌그라드 대의원의 지지만을 얻는 데 그쳐 소수파로 전락하며 당 대회에서 대패하였다. 지노비예프는 정치국 정식위원에 재선되었으나, 카메네프는 정식위원에서 투표권 없는 후보위원으로 강등되었고, 소콜니코프는 아예 정치국에서 탈락하였다.

스탈린은 당 대회 기간 동안 레닌그라드 지역당을 장악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여 지노비예프를 그 지역의 책임자 자리에서 해임하는 데 성공하였다. 코민테른만이 지노비예프의 잠재적 정치적 기반으로 남게 되었다.

5. 4. 스탈린에 대항하여 트로츠키와 연합 (1926-1927)

1926년 당내 권력 투쟁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자, 권력에서 밀려난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파는 트로츠키파 및 당내 기타 소수파와 연합하여 '''통합반대파'''를 결성했다. 1926년 5월, 스탈린몰로토프와 자신의 일파에게 지노비예프를 집중 공격할 것을 지시했다.[17]

스탈린파는 지노비예프가 코민테른 기구를 자신의 파벌 활동에 사용한 것(라셰비치 사건)을 비난했고,[17] 지노비예프는 1926년 7월 중앙위원회 격론 끝에 정치국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코민테른 의장직은 폐지되었고, 지노비예프는 주요 직책을 잃었다.

지노비예프는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스탈린의 주요 반대파로 남아있었지만, 1927년 10월 결국 스탈린에 의해 중앙위원회에서도 추방되었다. 통합반대파는 1927년 11월 볼셰비키 집권 10주년 기념식에서 반스탈린 시위를 기도했으나, 이는 폭력적으로 진압되었고, 그 책임을 물어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는 11월 12일 당에서 추방되었다.[17] 카메네프 및 그들의 추종자들은 1927년 12월에 열린 15차 당대회에서 대거 추방되었고, 요주의 인사로 사찰 대상이 되거나 유배되기도 하였다.

6. 스탈린에게 굴종 (1928-1934)

트로츠키는 당에서 추방되고 유배되었음에도 스탈린에게 시종일관 반대 자세를 굽히지 않았지만, 지노비예프카메네프는 바로 스탈린에게 굴종하여 자신의 일파에게도 대세에 순응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들은 공개적으로 자신의 과오를 시인하여 6개월의 근신 기간 후, 공산당에 재입당하는 것을 허가받았다.

그들은 중앙위원회에 다시 진입하지는 못했지만 소련 관료제에서 중간 수준의 직위를 받았다. 부하린이 스탈린에 반대해 벌였던 짧고, 후에 파멸적인 결과를 초래할 권력 투쟁 초기에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를 끌어들이려고 하였다. 이는 스탈린에게 보고되었고, 후에 부하린 숙청의 구실이 되었다.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정치적 활동 없이 지내다가 1932년 10월 류틴 사건에서 반대파를 당에 고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당에서 다시 추방되었다. 그들은 다시 자신의 "과오"를 시인하여 1933년 12월 복당되었다. 그들은 1934년 1월 제17차 당 대회에서 의기양양한 스탈린 앞에서 자아비판을 하도록 강요받았다.[8]

7. 재판과 처형 (1935-1936)

1934년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 이후 1935년 재판에서 '도덕적 공범'으로 10년형을 선고받은 지노비예프는 1936년 8월, 내무인민위원회(NKVD)의 각본에 따라 다시 기소되었다. '트로츠키-지노비예프 파 테러조직 재판' 또는 '16인의 재판'으로 불리는 이 재판에서 지노비예프를 포함한 16명은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스탈린 암살 미수, 테러 조직 구성, 반(反)볼셰비키 선동 등의 혐의를 받았다.[32] 피고들은 간첩 활동, 독살, 사보타주 등 극악무도한 죄를 자백했고, 지노비예프는 1936년 8월 25일 처형되었다.

이 사건은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파의 사례를 경계하며 트로츠키조차 국외 추방으로 처리했던 스탈린이, 고참 볼셰비키 혁명 동지들을 처형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1937~1938년 대대적인 체포와 처형이 이어지면서, 대부분의 고참 볼셰비키들이 숙청되었다.

1988년 고르바초프 시절, 지노비예프를 포함한 피고들은 소련 정부에 의해 모든 혐의에서 사면되었다.

7. 1. 키로프 암살 연루

1934년 12월 1일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 이후, 스탈린의 대숙청이 시작되었고,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 그리고 그들의 측근들은 당에서 축출되고 체포되었다.[32] 1935년 1월 그들은 기소되었고, 키로프 암살의 "도덕적 공범"임을 자백하였다.[32] 지노비예프는 10년 징역형을 받았고, 그 밖의 연루자들도 다양한 징역형을 받았다.[32]

7. 2. 모스크바 재판

1936년 8월, 소련의 비밀경찰 내무인민위원회(NKVD)의 치밀한 각본과 준비 끝에 지노비예프 및 14명은 다시 기소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레닌의 동지인 고참 볼셰비키였다. 이번에는 이들에게 세르게이 키로프를 암살하고, 스탈린을 암살하려 한 테러조직을 구성한 혐의가 추가되었다. 또한 제14차 당 대회의 토론에서 쿠르스크 지방 당 대표자회의에서 행한 일련의 기회주의 발언이 조명되었고, 그 결과 반(反)볼셰비키 선동이라는 죄도 추가되었다.[32]

이 재판은 첫 번째 모스크바 재판으로서 "트로츠키-지노비예프 파 테러조직 재판" 또는 "16인의 재판"이라고 불린다. 이 각본 재판에서 피고들은 간첩활동, 독살, 사보타주 등의 극악무도한 죄를 범했다고 자백하였다. 다른 피고인들과 마찬가지로 지노비예프는 유죄 판결을 받고 1936년 8월 25일에 처형되었다.

지노비예프 등의 처형은 그동안 금기시 되어 오던 고참 볼셰비키 혁명동지에 대한 처형의 문을 활짝 열었다. (그 이전에는 스탈린조차도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파의 혁명동지들에 대한 처형의 악순환을 경고하면서, 불구대천의 앙숙이었던 트로츠키조차도 처형 대신 유배나 국외추방으로 처리할 정도였다.) 그리하여 1937-1938년에는 보다 대대적인 체포와 처형이 벌어져 고참 볼셰비키들은 대부분 스탈린의 비밀경찰의 손에 최후를 맞았다.

1936년 감옥에서 NKVD가 촬영한 지노비예프의 경찰 사진

8. 사후

1988년 페레스트로이카에 따라 "역사 재검토"의 일환으로 명예가 회복되었다.[1] 지노비예프의 가족 또한 유죄 판결을 받고 살해당하여 그의 혈통은 끊어졌다.[1]

9. 지노비예프 서한

1924년 10월 25일, 총선 나흘 전에 공개된 "지노비예프 서한"으로 영국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 서한은 영국의 공산주의자들에게 혁명을 준비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이 문서는 현재 조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1924년 10월 27일자 지노비예프의 서한에서 그가 한 진술을 통해 이를 뒷받침한다.[27]

지노비예프는 자신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1924년 9월 15일자 서한에 대해 "처음부터 끝까지 위조"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이 의장으로 있는 조직의 공식 명칭은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집행위원회'''인데, 서한에는 '''제3공산주의 인터내셔널 집행위원회'''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서명도 '''주석 의장'''으로 잘못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1924년 9월 15일 당시 키슬로보츠크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었기 때문에 어떠한 공식 문서에도 서명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27]

지노비예프는 자유-보수 블록 지도자들이 선거 직전 영국과 소련 간 조약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을 혼란에 빠뜨리기 위해 문서 위조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사회주의 노동당 출신 최초의 총리인 램지 맥도날드가 보수당의 스탠리 볼드윈으로 교체된 후 12월에 서한이 공개된 점을 언급하며, 맥도날드 총리의 통제를 받는 영국 외무부가 이러한 위조 문서를 활용한 것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27]

참조

[1] 기록 1883 Yelisabetgrad births fond 185, op. 1, delo 64, image 131 of 152, record #260
[2] 백과사전 Zinoviev, Grigori
[3] 웹사이트 Grigori Zinoviev https://www.oxfordre[...] 2024-04-19
[4] 웹사이트 Letter to Bolshevik Party Members http://www.marx2mao.[...]
[5] 웹사이트 From the C.C. to Party Members & the Working Classes http://www.marx2mao.[...]
[6] 웹사이트 Letter to the Congress http://www.marxists.[...]
[7] 문서 Zinoviev's Eulogy of Moisei Uritsky Bezbozhnik 1938-09-12
[8] 웹사이트 Baku Congress of the Peoples of the East http://marxists.org/[...]
[9] 서적 Zinoviev and Martov: Head to Head in Halle November Publications 2011
[10] 서적 A Dictionary of 20th-Century Communism (2010)
[11] 서적 Writings of Leon Trotsky: 1936-37 https://books.google[...] Pathfinder Press 1970
[12] 서적 The Secret File of Joseph Stalin: A Hidden Lif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1-23
[13] 서적 Joseph Stalin: A Reference Guide to His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8-23
[14]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
[15] 서적 Trotsky and the struggle for "Lenin's heritage". In The Trotsky reappraisal.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2
[16]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
[17] 서적 Works: 1926, January-November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54
[18] 서적 Stalin: Court of the Red Tsar
[19] 서적 Stalin: Court of the Red Tsar
[20] 서적 A History of Love and Hate in 21 Statues https://books.google[...] Aurum 2021-09-14
[21] 학술지 Why Tyrants Go Too Far: Malignant Narcissism and Absolute Power 2002
[22] 서적 Laughter in the Dark: Humour under Stalin https://books.opened[...] Presses universitaires de Perpignan 2010
[23] 서적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https://books.google[...] Orion 2010-06-03
[24] 서적 Stalin and his Hangmen: The Tyrant and Those who Killed for Him Random House 2004
[25] 서적 A History of Love and Hate in 21 Statues https://books.google[...] Aurum 2021-09-14
[26] 뉴스 Court Vindicates 2 Stalin Victims Who Were Close Allies of Lenin's https://www.nytimes.[...] 2022-03-29
[27] 간행물 Declaration of Zinoviev on the Alleged 'Red Plot' https://www.marxists[...] Communist Party of Great Britain 1924-12
[28] 뉴스 トロツキーとジノビエフが党の政策を攻撃 時事新報 1926-10-05
[29] 뉴스 反対分子を一掃、スターリンのひとり舞台 東京朝日新聞 1926-10-26
[30] 뉴스 中央執行委員からも除名 東京日日新聞 1928-01-04
[31] 뉴스 トロツキーら反革命で流刑 東京朝日新聞 1928-01-18
[32] 문서 1925년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 제14차 대표자회의 발언 및 답신 프라우다 제291호 1925-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