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69 브라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969 브라유는 1992년 발견된 화성 궤도 교차 소행성으로, 점자 발명가 루이 브라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궤도는 특이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약 4000년 안에 지구 궤도 교차 소행성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감람석과 휘석으로 구성된 Q형 소행성이며, 크기는 대략 2.1km × 1km × 1km이다. 1999년 딥 스페이스 1 탐사선이 근접 통과하며 상세한 정보가 얻어졌으며, 딥 스페이스 1 임무는 기술 시험과 함께 브라유에 대한 과학적 가치를 높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형 소행성 - 4 베스타
1807년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발견하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명명한 4 베스타는 소행성대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자 분화된 내부 구조와 레아실비아 크레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진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며, 2011년 탐사선 돈의 관측을 통해 지질학적 역사와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가 밝혀졌다. - V형 소행성 - 1981 미다스
- 1992년 발견한 천체 - 15760 알비온
15760 알비온은 1992년에 발견되어 윌리엄 블레이크의 신화 속 인물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카이퍼 벨트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카이퍼 벨트 소행성이다. - 1992년 발견한 천체 - 피스톨별
피스톨별은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발견된 밝은 청색변광성으로, 태양의 330만 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방출하며 킨투플렛 성단 내에 위치하고 과거 질량 방출로 거대한 성운을 형성했고, 1백만 년에서 3백만 년 후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 화성 횡단 소행성 - 433 에로스
1898년 카를 구스타프 비트가 발견한 433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 이름을 딴 최초의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남성 이름의 소행성으로, NEAR 슈메이커 탐사선의 탐사 결과 땅콩 모양이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 화성 횡단 소행성 - 1134 케플러
1134 케플러는 태양을 약 4년 5개월 주기로 공전하는 S형 소행성으로, 행성 운동 법칙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의 300주기 사망 기념으로 명명되었으며 지름은 약 3~8km로 추정된다.
9969 브라유 | |
---|---|
개요 | |
![]() | |
MPC 명칭 | (9969) 브라이유 |
다른 이름 | 1992 KD |
명명 유래 | 루이 브라유 (점자 창시자) |
소행성 분류 | 화성 횡단 소행성 |
궤도 특성 | |
궤도 기준 시점 | 2017년 9월 4일 (JD 2458000.5) |
불확실성 | 0 |
관측 호 | 24.93년 (9,107일) |
원일점 거리 | 3.3557 AU |
근일점 거리 | 1.3263 AU |
궤도 장반축 | 2.3410 AU |
궤도 이심률 | 0.4334 |
공전 주기 | 3.58년 (1,308일) |
평균 궤도 경사 | 16.880° |
궤도 경사 | 28.999° |
승교점 경도 | 241.95° |
근일점 편각 | 356.11° |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3154 AU (122.9 LD) |
물리적 특성 | |
크기 | 1.600 ± 0.511 km |
질량 | 7.8×1012 kg |
밀도 | 3.9 g cm−3 |
자전 주기 | 226 시간 |
표면 반사율 | 0.1289 ± 0.2441 |
스펙트럼 분류 | SMASS = Q |
절대 등급 | 15.8 |
발견 정보 | |
발견일 | 1992년 5월 27일 |
발견자 | E. F. 헬린, K. J. 로렌스 |
발견 장소 | 팔로마 천문대 |
2. 발견 및 작명
1992년 5월 27일 E. F. 헬린과 K. J. 로렌스가 NASA의 행성 교차 소행성 조사(PCAS)를 팔로마 천문대에서 수행하던 중 발견했으며, 임시 명칭 '1992 KD'가 부여되었다.[2][8] 이후 행성협회가 주관한 '이 소행성에 이름을 붙이자' 캠페인에서 케네디 우주 센터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였던 케리 밥콕의 제안으로, 점자를 발명한 루이 브라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9][10] 공식 명명 인용문은 1999년 7월 28일 소행성 센터에서 발표되었다.
브라유는 특이하게 기울어진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화성 궤도 교차 소행성으로 알려진 다소 희귀한 부류의 소행성에 속한다. 딥 스페이스 1 프로젝트 과학자들의 궤도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약 4000년 안에 지구 궤도 교차 소행성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된다.[4] 태양과의 가장 가까운 접근 거리가 화성 궤도보다 가깝지만, 궤도가 매우 타원형이어서 원일점에서는 목성까지 거의 절반이나 도달하며, 따라서 장반경이 아모르 소행성으로 분류되기에는 너무 크다.
9969 브라유는 불규칙한 모양의 소행성으로, 크기는 대략 2.1km × 1km × 1km이다. 초기 지상 관측에서는 V형 소행성일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이후 딥 스페이스 1호의 관측 결과 Q형 소행성으로 확인되었다.
3. 궤도
4. 물리적 특성
4. 1. 구성 성분
브라유는 주로 감람석과 휘석으로 구성된 Q형 소행성이다. 초기 지상 관측에서는 훨씬 더 큰 4 베스타와 유사한 조성을 가진 V형 소행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되었다.
5. 탐사
'''·''' '''·''' '''·''' ]]
1999년 7월 29일, NASA의 딥 스페이스 1호 탐사선이 브라유에 26km까지 근접 통과하며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5]
5. 1. 딥 스페이스 1호

딥 스페이스 1호는 기술 시험을 주목적으로 발사되었지만, 브라유와의 근접 통과는 과학적으로도 큰 가치가 있었다. 자외선 분광기는 고장 났지만, CCD 이미지와 적외선 스펙트럼 자료를 얻는 데 성공했다. 추적 시스템 문제로 인해, 탐사선은 당초 계획보다 먼 거리(약 14000km)에서 브라유를 관측해야 했다.[5][1]
5. 1. 1. 관측 결과
브라유에 대한 상세 정보는 주로 1999년 7월 29일 딥 스페이스 1 탐사선이 소행성 26km 이내를 통과하면서 수행된 관측과, 임무와 함께 진행된 광범위한 지상 관측을 통해 얻어졌다.[5][1] 딥 스페이스 1이 브라유에 도달했을 때는 자외선 분광기가 고장난 상태였지만, 근접 조우 동안 중간 해상도의 CCD 이미지 두 장과 적외선 스펙트럼 세 개를 얻을 수 있었다. 탐사선은 브라유에서 26km 이내까지 접근했지만, 추적 시스템 문제로 인해 이미지와 전자기 스펙트럼은 약 14000km 거리에서 촬영되었다.
딥 스페이스 1 임무의 주요 목적은 기술 시험이었으나, 브라유와의 조우는 과학적으로도 큰 가치가 있었다. 이전에 브라유처럼 작은 소행성이 이처럼 가까운 거리에서 관측된 적은 없었기 때문이다.
참조
[1]
OED
Braille
[2]
웹사이트
Spacecraft Target Asteroid Named in Planetary Society Contest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8-01-08
[3]
웹사이트
Asteroid target gets new name
http://www.cnn.com/T[...]
Cable News Network
2008-01-08
[4]
웹사이트
Asteroid Braille
http://www.solarview[...]
[5]
웹사이트
A CLOSE-UP OF AN ASTEROID
https://web.archiv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6]
서적
シリーズ現代の天文学 9巻太陽系と惑星
日本評論社
[7]
저널
9969 브라유: 딥 스페이스 1호의 적외선 분광, 기하학적 반사도 및 분류(9969 Braille: Deep Space 1 infrared spectroscopy, geometric albedo, and classification)
http://adsabs.harvar[...]
2008-01-07
[8]
웹인용
Spacecraft Target Asteroid Named in Planetary Society Contest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8-01-08
[9]
문서
MPC 35492 소행성 센터(Minor Planet Center)
[10]
웹인용
소행성 목표물이 새 이름을 얻다(Asteroid target gets new name)
http://www.cnn.com/T[...]
Cable News Network
2008-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