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P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GPS(Assisted GPS)는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더 빠르게 포착하고 위치를 계산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이동통신망이나 Wi-Fi를 통해 A-GPS 서버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와 시간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S-GPS(Standalone GPS)의 느린 위치 획득 속도 문제를 해결한다. A-GPS는 MS(이동국)-Based와 MS(이동국)-Assisted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하며, 많은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 위치 획득 체계 등 다른 위치 획득 서비스와 함께 사용된다. A-GPS는 3GPP와 OMA에서 정의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제어 평면 프로토콜과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이 있다. A-GPS는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고 데이터 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며, Wi-Fi 모델 태블릿에서는 옥외 측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PS -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는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달을 의미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과학의 합성어로, 차량 텔레매틱스를 중심으로 자동차 자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과 연계되어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며 미래 교통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GPS - 지오캐싱
지오캐싱은 GPS 기술을 활용하여 숨겨진 보물(캐시)을 찾고 기록하는 야외 레크리에이션 활동이며,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개의 캐시가 존재하고, 안전, 법적, 환경 문제와 관련된 사건도 발생한다. - 모바일 기술 - 중계기
중계기는 전기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신호를 증폭하거나 재생성하여 통신 거리를 연장하는 장치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 모바일 기술 -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MBMS)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며, 3GPP 표준에 의해 기술 규격이 정의되고 5G 네트워크에서도 기술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 A-GPS | |
|---|---|
| 개요 | |
| 종류 | 측위 시스템 |
| 특징 | 초기 위치 파악 시간 단축 네트워크 연결 필요 |
| 기술 방식 | 네트워크 기반 A-GNSS 단말 기반 A-GNSS |
| 기술적 세부 사항 | |
| 사용 목적 | GNSS 수신기의 TTFF (Time-To-First-Fix, 최초 위치 결정 시간) 향상 |
| 작동 원리 | 네트워크를 통해 GNSS 위성 정보 (궤도, 시간 등) 제공 수신기의 위치 계산 속도 향상 |
| 필요 조건 | 무선 통신 네트워크 연결 (예: 이동 통신) A-GNSS 서버 |
|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SUPL (Secure User Plane Location) OMA LPPe (OMA Location Protocol for Positioning) LPP (LTE Positioning Protocol) |
| 정확도 | 일반적인 GNSS와 유사하거나 약간 향상됨 |
| 장점 | 빠른 TTFF 실내/도심 환경에서 GNSS 성능 향상 |
| 단점 | 네트워크 연결 필요 네트워크 사용에 따른 비용 발생 가능성 |
| 활용 분야 | 스마트폰 차량 내비게이션 위치 추적 장치 |
| 네트워크 기반 A-GNSS | |
| 특징 | 네트워크에서 위치 계산 수행 위치 정보 정확도가 높음 |
| 장점 | 단말기의 연산 부담 감소 배터리 소모량 감소 |
| 단점 | 네트워크 의존성 높음 통신 지연 발생 가능성 |
| 단말 기반 A-GNSS | |
| 특징 | 단말기에서 위치 계산 수행 네트워크는 보조 정보 제공 |
| 장점 |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해도 위치 파악 가능 개인 정보 보호 강화 |
| 단점 | 단말기의 연산 능력 필요 배터리 소모량 증가 |
| 기타 정보 | |
| 관련 기술 | GPS GLONASS Galileo BeiDou |
| 참고 사항 | A-GPS는 A-GNSS의 한 종류이며, 다른 GNSS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 |
2. 동작 원리
A-GPS는 GPS 위성의 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3G, 4G, 5G) 및 Wi-Fi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GPS 수신기의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을 돕는다.[11]
A-GPS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동작한다.
1. MS-Based (Mobile Station Based): GPS 수신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A-GPS 서버로부터 위성의 궤도 정보(궤도력, 앨마낙)와 시간 정보를 받아 위치 획득 속도를 높인다.
2. MS-Assisted (Mobile Station Assisted): GPS 수신기가 수신한 위성 신호 정보를 A-GPS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가 위치를 계산하여 수신기로 보내준다. 서버는 더 나은 위성 신호 수신 환경과 강력한 계산 능력을 갖추고 있어, 약한 신호도 분석하여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전리층 상태 등 GPS 신호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여 정확도를 높인다.[11]
일반적으로 A-GPS 수신기는 데이터 연결을 통해 A-GPS 서버의 정보를 이용한다.[12] 데이터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S-GPS로 동작하여 시간이 더 걸리지만 네트워크 없이도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A-GPS 기기는 S-GPS 동작 옵션을 제공하지 않기도 한다.[12]
많은 휴대전화는 A-GPS 외에도 Wi-Fi 측위 시스템, 이동 전화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 획득 등 다양한 위치 획득 서비스를 함께 사용한다. 애플 아이폰은 하이브리드 위치 획득 시스템을 사용한다.[13]
2. 1. Standalone GPS (S-GPS)의 한계
S-GPS는 GPS 위성 신호만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위성 신호 수신이 어려운 환경(예: 건물 내부, 도심 지역)에서는 위치 정보 획득에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아예 불가능할 수 있다.[11] 특히, 최초 위치 획득(Time To First Fix, TTFF)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위성에서 궤도 정보(궤도력, 앨마낙)를 다운로드하는 데 최대 12분 30초가 소요될 수 있으며,[11] 이 과정에서 신호가 약해지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2]이는 위성 신호의 데이터 속도가 50bps로 매우 느리기 때문이다. 1개의 서브프레임은 300bit로 구성되고 5개의 서브프레임이 모여 한 개의 프레임을 구성한다(1,500bit 프레임이 필요하며, 50bps로 30초간 전송된다). 각각의 위성은 총 25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롱프레임 형태로 구현된다(롱프레임의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12분 30초가 필요하다).[11]
GPS 수신기는 GPS 위성이 발신하는 전파 신호(위성 궤도 정보와 정밀한 시각 정보, 보정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정보 및 그 도착 시각의 미세한 차이로부터 위성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삼각 측량법에 의해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러나 위성으로부터 발신되는 정보의 전송 속도는 초당 50비트로 매우 느리고,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궤도 정보를 실제로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12.5분 정도의 긴 시간이 소요된다.[7] 또한, 정보를 획득하는 도중에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며, 더욱 긴 시간이 소요된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엔진 시동 후 즉시 자기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은, 위성으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정보를 본체의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유피텔(Yupiteru)의 휴대용 내비게이션 제품은 취급 설명서에 "본기를 처음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GPS 측위가 완료될 때까지 20분 이상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라고 기재하고 있다.[8] 또한, 장기간에 걸쳐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나, 자력으로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캐리어카, 카 트레인, 카 페리 등으로 이송되는 등,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채 자기 위치가 크게 바뀐 경우에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그때 수신할 수 있는 위성으로부터의 정보가 괴리되기 때문에 측위에 시간이 소요된다.
2. 2. A-GPS의 작동 방식
A-GPS는 이동통신망이나 Wi-Fi 네트워크를 통해 A-GPS 서버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 시간 정보 등을 빠르게 다운로드 받는다. A-GPS 서버는 위성으로부터 궤도 정보를 미리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A-GPS 수신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2][3] A-GPS 수신기는 A-GPS 서버로부터 받은 정보를 활용하여 위성 신호를 빠르게 포착하고, 위치를 계산한다.GPS 수신기는 GPS 위성이 보내는 전파 신호 (위성 궤도 정보와 정밀한 시각 정보, 보정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정보 및 그 도착 시각의 미세한 차이로부터 위성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삼각 측량법에 의해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하지만, 위성으로부터 발신되는 정보의 전송 속도는 초당 50비트로 매우 느리고,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궤도 정보를 실제로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12.5분 정도의 긴 시간이 소요된다.[7] 또한, 정보를 획득하는 도중에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며, 더욱 긴 시간이 소요된다.
GPS 장치는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위성에 대한 궤도 데이터가 필요하다. 위성 신호의 데이터 속도는 50 bit/s에 불과하므로, 궤도 정보(예: 궤도력 및 앨마낙)를 위성으로부터 직접 다운로드하는 데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며, 이 정보를 얻는 동안 위성 신호가 손실되면 폐기되고 독립형 시스템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특히 신호 상태가 좋지 않은 환경(예: 도시 지역)에서는 위성 신호가 구조물에 반사되거나, 기상 조건 또는 나무의 덮개에 의해 다중 경로 전파 현상이 발생하거나 약화될 수 있다.[2]
A-GPS에서 이동통신사는 GPS 데이터를 위한 서버인 A-GPS 캐시 서버를 구축한다. 이러한 A-GPS 서버는 위성으로부터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A-GPS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는 이러한 서버에 연결하여 GSM, CDMA, WCDMA, LTE와 같은 이동통신망 무선 베어러 또는 Wi-Fi나 LoRa와 같은 다른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이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베어러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기 때문에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데 시간이 덜 걸린다.[3]
보조 GPS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나 인터넷 등, 위성으로부터의 수신에 비해 충분히 고속인 지상계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이러한 위성의 궤도 정보나 보정 정보를 수신기에 제공한다. 위성의 ID(SVN; 우주기 번호) 몇 번 위성의 궤도 정보(언제 어디를 비행하고 있는지)라는 비교적 큰 정보를 고속으로 획득할 수 있다면, 위성에서는 위성 ID와 시각 정보 등 작은 데이터만 수신하면 된다. 수신기는 위성에서 수신한 시각 정보의 도착 시간차를 바탕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작업에 즉시 착수할 수 있기 때문에, 최초 측위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나 Wi-Fi 네트워크에서는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 정보나, 복수의 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의 차이 등의 정보로부터, 마찬가지로 삼각 측량법에 의해 단말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GPS만으로는 전파의 수신 상태의 변동에 따라 측위 결과가 크게 변동될 수 있지만, 비교적 오차가 적은 LPS(LTE 측위 시스템)나 WPS(Wi-Fi 측위 시스템)라고 하는 이러한 지상계 측위 기술을 병용함으로써, 현재 위치 확정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9]
3. 운영 모드
A-GPS는 크게 이동국 지원 방식(MSA)과 이동국 기반 방식(MSB) 두 가지 운영 모드로 동작한다. MSA는 A-GPS 수신기가 서버로부터 궤도 정보, 기준 시간 등의 보조 데이터를 받아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고, MSB는 수신기 자체적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3. 1. 이동국 지원 방식 (Mobile Station-Assisted, MSA)
A-GPS 수신기는 A-GPS 서버로부터 궤도 정보, 기준 시간 등의 보조 데이터를 받는다.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A-GPS 수신기는 보이는 위성에서 신호를 받고, 측정된 정보를 A-GPS 서버로 전송한다.[12] A-GPS 서버는 수신기로부터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위치를 계산하여 다시 A-GPS 장치로 보낸다.[12] 서버의 도움을 받기 때문에, 수신기의 중앙 처리 장치와 프로그램 로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서버와의 레이턴시에 영향을 받으므로 지속적인 추적에는 적당하지 않다.3. 2. 이동국 기반 방식 (Mobile Station-Based, MSB)
A-GPS 수신기는 A-GPS 서버로부터 궤도, 시간 정보 등을 받아 위성 신호를 포착하고, 수신기 자체적으로 위치를 계산한다.[12] 서버로부터 초기 정보를 받은 후에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서버와의 연결이 끊어져도 위치 정보를 계속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내비게이션과 같이 빠른 위치 획득 응답을 요구하는 경우에 적당하다.4. 표준
A-GPS 프로토콜은 3GPP와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라는 두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정의된 위치 프로토콜의 일부이다.[1]
;제어 평면 프로토콜
: 3GPP에서 다양한 세대의 휴대폰 시스템을 위해 정의했으며, 회선 교환 네트워크용으로 정의되었다. 여기에는 RRLP, TIA 801, RRC 위치 프로토콜, LPP 등이 있다.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 OMA에서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위치 결정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 정의했다. 보안 사용자 평면 위치(SUPL) V1.0, V2.0, V3.0 등이 있다.
4. 1. 3GPP 제어 평면 프로토콜
3GPP는 회선 교환망을 위한 제어 평면 프로토콜을 정의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RRLP: GSM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1]
- TIA 801: CDMA2000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1]
- RRC 위치 프로토콜: UMTS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1]
- LPP: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1]
4. 2. OMA (Open Mobile Alliance)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에서 정의한 패킷 교환 네트워크용 프로토콜이다. 보안 사용자 평면 위치(SUPL) V1.0, V2.0, V3.0 등이 있다. SUPL은 모바일 네트워크로 제한된 제어 평면과 달리, 인터넷의 TCP/IP 인프라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그 응용은 원래 의도했던 모바일 장치를 넘어 일반적인 컴퓨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5] SUPL 3.0은 WLAN 및 광대역 연결에 대한 접속을 추가하여 이러한 사용을 정당화한다.[6]SUPL 3.0에 의해 정의된 작업에는 지오펜싱 및 과금과 같은 광범위한 서비스가 포함된다. A-GNSS 기능은 SUPL Positioning Functional Group에 정의되어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6]
- SUPL 보조 전송 기능(SADF): A-GNSS 모드에서 장치로 전송되는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 SUPL 참조 검색 기능(SRRF): 위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위에 언급된 정보를 서버가 준비하도록 지시한다.
- SUPL 위치 계산 기능(SPCF):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요청하도록 한다. 서버에서 생성된 위치는 MSA 또는 모바일 셀에서 나올 수 있다. MSB(SET 기반) 모드가 사용되면, 클라이언트는 대신 서버에 자신의 위치를 보고한다.
통신의 세부 사항은 SUPL 제품군의 ULP(Userplane Location Protocol) 하위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2018년 12월 현재, 지원되는 GNSS 시스템에는 GPS, 갈릴레오, GLONASS 및 베이두가 있다.[6]
5. 기술적 특징 및 장점
A-GPS는 GPS 위성의 무선 신호 외에도 무선 네트워크(3G/4G/WIFI)를 활용하여 위치 획득 시간을 단축하고, 수신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향상된 결과를 제공한다.[11] 도시 환경처럼 위성 신호가 약한 곳에서는 건물에 의한 반사로 다중 경로 전파 현상이 발생하거나, 대기, 벽, 나무 등을 통과하며 전파 감쇄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환경에서 Standalone GPS (S-GPS)는 신호 수신에 어려움을 겪거나 부정확한 위치를 제공하며, 최대 12분 30초 동안 양호한 신호를 받지 못하면 GPS 불능으로 표시된다.[11] 이는 GPS 앨마낙 및 궤도력 데이터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이다.[2]
A-GPS는 이러한 S-GPS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 구분 | 설명 |
|---|---|
| 위성 위치 정보 획득 보조 (A-GPS, MS-Based) | -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GPS 궤도 정보(Almanac)와 천체력 데이터(Ephemeris)를 GPS 수신기에 제공하여 위성 데이터 링크를 빠르게 고정한다. - 정확한 시간을 획득한다. |
| 위치 계산 보조 (A-GPS, MS-Assisted) | - GPS 수신 정보를 보조 서버에 전송하여 위치 계산을 수행한다. - 보조 서버는 양호한 위성 신호 수신 환경과 높은 계산 능력을 바탕으로 약한 신호도 분석 가능하다. - 기지국을 통해 정확한 좌표와 전리층 상황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인다. |
MS-Assisted 방식은 대부분의 신호 계산을 보조 서버에 맡겨 중앙 처리 장치와 프로그램 로직 부담을 줄이지만, 서버 레이턴시에 영향을 받는다. MS-Based 방식은 초기 위성 정보 획득에만 데이터 연결을 사용하고 이후에는 S-GPS처럼 동작하여 빠른 위치 획득이 필요한 내비게이션 등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A-GPS 수신기는 보조 서버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 연결을 시도하지만, S-GPS로도 동작 가능하다. S-GPS는 위성 데이터 링크 고정 시간이 더 오래 걸리지만, 네트워크 의존적이지 않아 통신망 범위를 벗어난 지역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데이터 이용료가 부과되지 않는다.[12]
많은 휴대전화는 A-GPS 외에도 AP를 통한 Wi-Fi 측위 시스템, 기지국을 통한 위치 획득 등 다른 위치 획득 서비스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애플 아이폰은 하이브리드 위치 획득 시스템을 사용한다.[13]
GPS L1 프런트 엔드 무선 수신기만 있고 GPS 획득, 추적 및 위치 결정 엔진이 없는 모바일 장치는 인터넷 연결이 있을 때만 작동한다. GPS 칩셋이 있는 모바일 장치는 GPS 위성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고 자체적으로 위치 고정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GPS 데이터를 캡처하고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데이터 연결을 사용할 수 있으면 모바일 장치의 GPS 칩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보조 GPS는 휴대전화 네트워크나 인터넷 등, 위성으로부터의 수신에 비해 충분히 고속인 지상계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위성의 궤도 정보나 보정 정보를 수신기에 제공한다. 위성의 ID(SVN; 우주기 번호)와 궤도 정보(언제 어디를 비행하고 있는지)라는 비교적 큰 정보를 고속으로 획득할 수 있다면, 위성에서는 위성 ID와 시각 정보 등 작은 데이터만 수신하면 된다. 수신기는 위성에서 수신한 시각 정보의 도착 시간차를 바탕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작업에 즉시 착수할 수 있기 때문에, 최초 측위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나 Wi-Fi 네트워크에서는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 정보나, 복수의 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의 차이 등의 정보로부터, 마찬가지로 삼각측량법에 의해 단말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GPS만으로는 전파의 수신 상태 변동에 따라 측위 결과가 크게 변동될 수 있지만, 비교적 오차가 적은 LPS(LTE 측위 시스템)나 WPS(Wi-Fi 측위 시스템) 같은 지상계 측위 기술을 병용함으로써, 현재 위치 확정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많은 휴대전화는 이러한 위치 특정 시스템을 보조 GPS와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9]
6. 한계 및 주의점
A-GPS는 이동통신망이나 Wi-Fi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다.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S-GPS로 동작하거나 위치 정보 획득이 불가능할 수 있다.[12] A-GPS 서버와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 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며,[3] 일부 이동통신 사업자는 로밍 지역에서 A-GPS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휴대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도, 로밍 지역에서는 기지국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Wi-Fi만 이용하는 태블릿 단말의 경우, 옥외에서 모바일 Wi-Fi 라우터가 WPS 측위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어, 잦은 측위가 필요한 내비게이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애플 아이패드 Wi-Fi 모델에는 GPS 기능이 없고, LTE 모델에만 GPS가 탑재되어 있다.
7. 관련 기술
A-GPS는 S-GPS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위성 위치 정보를 빠르게 획득하도록 돕는 MS-Based 방식이고, 두 번째는 GPS 수신기의 신호 처리를 보조 서버에서 수행하는 MS-Assisted 방식이다.[11]
- MS-Based 방식:
-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GPS 궤도 정보(Almanac)와 천체력 데이터(Ephemeris)를 GPS 수신기에 제공하여, 위성과의 데이터 링크를 빠르게 연결한다.
- 정확한 시간을 제공하여 위치 획득 시간을 단축시킨다.
- 이후에는 S-GPS처럼 동작하므로 내비게이션과 같이 빠른 위치 획득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 MS-Assisted 방식:
- GPS 수신기의 신호 정보를 보조 서버로 전송하여 위치 계산을 수행한다.
- 보조 서버는 양호한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많은 양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어 약한 신호도 분석 가능하다.
- 기지국을 통해 정확한 좌표와 전리층 상황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위치 계산의 정확도를 높인다.
- 신호 처리에 필요한 중앙 처리 장치와 프로그램 로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 서버와의 레이턴시에 영향을 받으므로 지속적인 추적에는 적당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A-GPS 수신기는 데이터 연결을 통해 보조 서버의 정보를 이용하지만,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S-GPS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성과의 데이터 링크가 고정되기까지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지만, 네트워크 통신망 범위를 벗어난 지역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데이터 이용료가 부과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12]
많은 휴대 전화는 A-GPS 외에도 와이파이 측위 시스템, 기지국 삼변 측량 등 다양한 위치 정보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애플 아이폰과 같은 경우는 하이브리드 측위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13]
고감도 GPS (High Sensitivity GPS)는 A-GPS와는 다르게 추가적인 인프라 없이 GPS 수신기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켜 약한 신호에서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이다.[4] 그러나 GPS 수신기가 오랫동안 꺼져 있었을 경우에는 즉각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8. 한국의 A-GPS 현황 및 전망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 결과를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ssisted GPS: A Low-Infrastructure Approach
http://www.gpsworld.[...]
GPS World
2002-03-01
[2]
웹사이트
NavCen GPS User. 3.5.3 Almanac Collection
http://www.navcen.us[...]
2017-04-02
[3]
웹사이트
Phones
http://www.cnet.com.[...]
CNET
2017-04-02
[4]
웹사이트
iPhone Secrets and iPad Secrets and iPod Touch Secrets
http://www.edepot.co[...]
2010-09-30
[5]
웹사이트
Global receiver parameters
https://gnss-sdr.org[...]
2022-07-17
[6]
웹사이트
Secure User Plane Location Architecture - Candidate Version 3.0 [OMA-AD-SUPL-V3_0-20110920-C]
http://www.openmobil[...]
2011-09-20
[7]
문서
NavCen GPS User. 3.5.3 Almanac Collection
http://www.navcen.us[...]
[8]
문서
ユピテル YPB735ML 取扱説明書
https://www2.yupiter[...]
[9]
문서
Hybrid system
http://www.edepot.co[...]
[10]
웹인용
Assisted GPS: A Low-Infrastructure Approach
http://www.gpsworld.[...]
GPS World
2002-03-01
[11]
문서
NavCen GPS User. 3.5.3 Almanac Collection
http://www.navcen.us[...]
[12]
뉴스
Watch out for data charges on your GPS phone
http://www.cnet.com.[...]
CNET
2007-08
[13]
문서
Hybrid system
http://www.edepot.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