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체력은 천체의 위치를 계산하고 예측하기 위한 자료 및 계산 방법을 의미한다. 기원전 2천년기부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고대 바빌로니아, 그리스, 이슬람, 중국 등 여러 문명에서 천체력을 제작했다. 현대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적 계산이 주류를 이루며, 우주선 항행, 천문 관측, GPS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도 천체력을 발행하고 있다.
천체력의 역사는 고대 문명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천문학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현대 천체력은 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천체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과학적 사용에 있어서, 현대의 천체력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시간에 대한 행성과 위성, 소행성, 혜성의 위치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로 만들어진다.[22]
2. 역사
시기 주요 내용 1679년 장 피카르에 의해 La Connaissance des Temps ou calendrier et éphémérides du lever & coucher du Soleil, de la Lune & des autres planètes가 처음으로 연간 출판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발행되고 있다. 1975년 오웬 진저리치는 현대 행성 이론과 디지털 컴퓨터를 사용하여 16세기의 행성 실제 위치를 계산하고, 요하네스 슈톨러, 요하네스 스타디우스 등의 천체력으로 예측된 행성 위치의 오류를 그래프로 작성했다. 진저리치에 따르면, 오류 패턴은 "지문만큼 독특하며, 기초가 되는 표의 특징을 반영한다. 즉, 슈톨러의 오류 패턴은 스타디우스의 오류 패턴과 다르지만, 스타디우스의 오류 패턴은 마에스틀린, 조반니 안토니오 마기니, 데이비드 오리가누스 및 코페르니쿠스 매개변수를 따른 다른 사람들의 오류 패턴과 매우 유사하다."[7]
천체력은 태양계 내 천체의 위치에 대한 다양한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역학적 이론 예측이 이에 부합하도록 구축된다. 따라서 천체력은 천체의 위치 예측뿐만 아니라, 이론의 매개변수가 되는 행성의 질량 등 다양한 천문 상수를 동시에 결정하며, 이들의 정보원이 되기도 한다. 현대에는 레이더를 이용한 행성의 거리 측정이나 행성 탐사선과의 통신 데이터 활용 등 현대적인 기법의 발달로 인해 천체력의 정밀도는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천체력을 위한 역학적 계산에는 오랫동안 섭동론에 기초한 해석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주류였다. 현재에도 프랑스 천체역학력 계산 연구소(IMCCE)의 VSOP는 이러한 생각으로 제작되었다. 일본에서도 2009년(헤이세이 21년) 3월 13일 발행된 헤이세이 22년(2010년) 판까지 해상보안청 해양정보부에서 연간 천체력 《천체 위치표》가 간행되었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수치 적분에 의한 대규모 계산이 가능해지면서 수치적으로 구한 천체력이 주류가 되고 있다. 특히 행성 탐사선의 운용에 필요했기 때문에 미국과 러시아에서 정밀한 천체력이 만들어졌다.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의 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IAA)의 EPM(), 프랑스 천체역학력 계산 연구소(IMCCE)의 INPOP()가 이러한 수치적 천체력으로서 대표적인 것이다.
2. 1. 고대 및 중세
2. 2. 근대
3. 현대 천체력
천체 역학 분야의 발전으로, 이러한 천문력 소프트웨어는 과거와 미래를 포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문력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는 영년 변화가 있다. 무수한 소행성들의 질량과 궤도가 잘 알려지지 않아 그 영향력 또한 분명치 않은데, 그것들의 섭동에 의해서도 행성의 위치에 불확실성이 야기된다. 새로운 관측 자료들이 계속해서 생겨나므로, 제트 추진 연구소는 20년 간격으로 천문력을 개정해서 출판한다.[22]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 항행 위성은 정확한 천체의 위치와 상태를 포함하는 천문력 자료에 대한 전자 신호를 전송하며, GPS 송신기는 삼변측량술을 사용하여 지구의 특정 위치를 계산한다.
최근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응용 천문학 연구소의 EPM과 프랑스 국립천문관측소(IMCCE)의 INPOP 같은 새로운 천체력들이 개발되었다. 천체력은 태양계 내 천체의 위치에 대한 다양한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역학적 이론 예측이 이에 부합하도록 구축된다. 따라서 천체력은 천체의 위치 예측뿐만 아니라, 이론의 매개변수가 되는 행성의 질량 등 다양한 천문 상수를 동시에 결정하며, 이들의 정보원이 되기도 한다. 현대에는 레이더를 이용한 행성의 거리 측정이나 행성 탐사선과의 통신 데이터 활용 등 현대적인 기법의 발달로 인해, 천체력의 정밀도는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3. 1. 계산 방식
과거에는 섭동론에 기초한 해석적 방법이 천체력 계산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컴퓨터의 발달로 수치 적분을 이용한 계산이 주류가 되었다.[8] 수치 적분 기반 천체력으로는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의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의 '''EPM''' (), 프랑스 천체역학력 계산 연구소 (IMCCE)의 '''INPOP''' () 등이 대표적이다.[11][12][13]
3. 2. 활용 분야
천체 역학의 발전으로 현대의 천체력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되며, 과거와 미래의 천체 위치를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소행성들의 섭동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제트 추진 연구소는 20년 간격으로 천체력을 개정하여 출판한다.[22]
태양계 천체력은 우주선 항행, 행성, 천연 위성, 항성, 은하 관측에 필수적이다. 천문 관측자용 천체력은 주로 적경과 적위로 천체 위치를 표시하며, 분점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거의 모든 경우에, 그것은 현재나 올해에 유효한 실제 분점이거나, 일반적으로 J2000.0, B1950.0 또는 J1900인 "표준" 분점들 가운데 하나이다.
과학적 천체력은 천체의 위치, 이각, 광도, 거리, 속도, 겉보기 직경, 위상각, 출몰 시각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토성의 천체력은 고리의 겉보기 기울기를 포함하기도 한다.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 위성은 천체력 정보를 전송하여 지구상 위치 계산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응용 천문학 연구소의 EPM과 프랑스 국립천문관측소(IMCCE)의 INPOP 등 새로운 천체력들이 개발되었다.
측위 위성이나 지구 관측 위성과 같은 인공 천체・인공위성을 측지학, 지구물리학, 지구과학의 연구, 교육, 상업적 목적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러한 궤도를 사전에 추산하거나 관측을 통해 사후에 결정한 것을 천체력으로 발행하고 있다. GNSS 위성의 궤도력은 국제 GNSS 사업(IGS)이, 리트로 반사기를 탑재하는 인공위성의 궤도력은 국제 레이저 측거 사업(ILRS)이, DORIS를 탑재하는 인공위성의 궤도력은 국제 DORIS 사업(IDS)이 각각 발행한다.
GPS 위성 자체도 측위 계산에 필요한 사전 추산 천체력 정보를 송신 신호에 실어 방송하고 있다. 또한, 보다 장기간 적용 가능한 (단, 개략적인 정밀도) 사전 추산 천체력도 함께 방송하고 있으며, 이것은 GPS의 사양서에서는 올마낙(알마낙, "almanac")이라고 불러 구분하고 있다.
3. 3. 주요 천체력
국가 | 기관 | 천체력 이름 | 설명 |
---|---|---|---|
대한민국 | 한국천문연구원(KASI) | 천체력 |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천체력이다. |
미국 |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 | DE | 수치 적분을 통해 계산되며, 행성 탐사선 운용에 필요한 정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1981년 이후 거의 매년 수정되어 출판되고 있다.[8] |
러시아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응용 천문 연구소 (IAA) | EPM | 행성 및 달의 천체력(Ephemerides of Planets and the Moon)으로, 수치 적분 방식으로 계산된다. |
프랑스 | IMCCE | VSOP | 섭동론에 기초한 해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
프랑스 | IMCCE | INPOP | 파리 천문대의 행성 수치 적분기(Intégrateur numérique planétaire de l'Observatoire de Paris)로, 수치 적분 방식으로 계산된다.[12][13] |
일본 | 해상보안청 해양정보부 | 천체 위치표 | 2010년판까지 연간 발행되었다. |
4. 인공위성 천체력
측위 위성이나 지구 관측 위성과 같은 인공위성의 궤도를 측지학, 지구물리학, 지구과학 연구, 교육,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궤도를 사전에 추산하거나 관측을 통해 사후에 결정한 것을 천체력으로 발행한다. GNSS 위성의 궤도력은 국제 GNSS 사업(IGS)이, 리트로 반사기 탑재 위성의 궤도력은 국제 레이저 측거 사업(ILRS)이, DORIS 탑재 위성의 궤도력은 국제 DORIS 사업(IDS)이 각각 발행한다.[22]
GPS 위성 자체도 측위 계산에 필요한 사전 추산 천체력 정보를 송신 신호에 실어 방송한다. 또한, 장기간 적용 가능하지만 개략적인 정밀도를 가진 사전 추산 천체력 정보(올마낙, almanac)도 함께 방송한다.[22]
참조
[1]
LSJ
ἐφημερίς
[2]
Merriam-Webster
ephemeris
[3]
웹사이트
ephemeris
https://lexilogos.co[...]
[4]
간행물
The Role of Ephemerides from Ptolemy to Kepler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5]
웹사이트
Navigat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9-03-13
[6]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11-28
[7]
간행물
"Crisis" versus Aesthetic in the Copernican Revolution
https://dash.harvard[...]
Elsevier BV
2016-06-23
[8]
기타
Secular Increase of Astronomical Unit from Analysis of the Major Planet Motions, and its Interpretation
https://link.springe[...]
2004
[9]
서적
American Practical Navigator: An Epitiome of Navigation
http://msi.nga.mil/N[...]
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
2002
[10]
웹사이트
Almanacs and Other Publications — Naval Oceanography Portal
http://www.usno.navy[...]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2016-11-11
[11]
간행물
The dynamical model of the planet motions and EPM ephemerides
2006-08
[12]
웹사이트
INPOP10e, a 4-D planetary ephemeris
http://www.imcce.fr/[...]
IMCCE
2013-05-02
[13]
간행물
INPOP17a planetary ephemerides
2017-08-01
[14]
웹사이트
天文単位は永年増加するか!? 太陽系天体の精密位置測定からの新たな問題
http://www.jasmine-g[...]
JASMINE ホームページ
2022-12-17
[15]
간행물
地球惑星間距離の永年的変化 : 太陽系天体の精密位置計測からの新たな問題提起(交流)
日本物理学会
2024-06-04
[16]
웹사이트
各種天体暦の刊行案内
https://www1.kaiho.m[...]
海上保安庁
2010-06-01
[17]
간행물
The Planetary and Lunar Ephemeris DE 421
https://tda.jpl.nasa[...]
[18]
간행물
High-precision ephemerides of planets—EPM and determination of some astronomical constants
https://ui.adsabs.ha[...]
[19]
웹사이트
About - International GNSS Service
https://igs.org/abou[...]
International GNSS Service
2020
[20]
웹사이트
ILRS - About ILRS
https://ilrs.gsfc.na[...]
NASA
2024-04-07
[21]
웹사이트
Terms of Reference - International DORIS Service
https://ids-doris.or[...]
International DORIS Service
2023-06-29
[22]
기타
Secular Increase of Astronomical Unit from Analysis of the Major Planet Motions, and its Interpretation
http://iau-comm4.jpl[...]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