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PCN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PCN 2는 총 2.56 Tbit/s의 대역폭 용량을 가진 해저 케이블 네트워크로, 4쌍의 광섬유와 자가 치유 링 구성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 케이블 시스템은 미국, 유럽, 호주 및 아시아 지역을 연결하며, 2007년 1월부터 운영되었다. APCN 2는 KT, NTT, KDDI, 차이나텔레콤, 차이나 유니콤, 차이나 모바일, PCCW, PLDT, 텔레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텔레콤 등 다양한 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며, 2006년 항춘 지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등 여러 차례의 사고로 손상되어 아시아 지역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APCN 2
기본 정보
시스템 이름APCN-2 (제2 아시아 태평양 케이블 네트워크)
지역아시아 태평양
케이블 종류해저 광케이블
총 길이19,000 km
용량2.56 Tbps (1단계), 3.84 Tbps (2단계)
가동 시작일2001년 10월
건설 완료2002년 5월
운영연합체
착륙 지점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중국
대한민국
일본
타이완
기술 정보
케이블 유형광섬유
전송 속도2.56 테라비트/초 (1단계) / 3.84 테라비트/초 (2단계)
기술SDH (동기식 디지털 계층)
광섬유8쌍
중계기 간격50km ~ 70km
설계 수명25년
역사
착공2000년 7월
시스템 준비 완료2001년 10월
시스템 건설 완료2002년 5월
추가 정보
링크APCN-2 해저 케이블 시스템 개요
운영 주체APCN-2 운영 위원회

2. 성능

APCN 2의 총 대역폭 용량은 2.56Tbit/s이며, 4쌍의 광섬유로 구성된다. 각 광섬유 쌍은 10Gbit/s 파장의 밀집 파장 분할 다중화를 통해 640Gbit/s를 제공한다. 19000km 길이의 APCN 2 케이블 시스템은 자가 치유 링 구성으로 구축되어,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전송을 신속하게 재경로 지정할 수 있다.[10] 2007년 1월 기준으로 해당 케이블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APCN 2는 미국, 유럽, 호주 및 아시아의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다른 주요 해저 케이블 네트워크와의 상호 연결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NEC가 소유하고 있으며,[10] 건설 비용은 약 1250억이고, 케이블 총 연장은 19000km이다.[10] 일본 측에서는 이바라키현키타이바라키시와 지바현치쿠라(현: 미나미보소시)의 2곳에서 상륙한다. 회선 일부에 장애가 발생해도 짧은 시간에 자동 복구할 수 있는 자가 치유 기능(셀프 힐링 기능)에 대응하고 있지만, 이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최초의 도입 사례이다. 운용 초기 회선 용량은 80Gbit/s였지만, 2002년에는 2배인 160Gbit/s로 증속했다. 2006년 1월 16일, NEC는 케이블 용량을 280Gbit/s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고, 2007년에 완료되었다.[12]

3. 구성

아시아 태평양 케이블 네트워크 2(APCN 2)는 총 대역폭 용량 2.56 Tbit/s의 4쌍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광섬유 쌍은 10Gbit/s 파장의 밀집 파장 분할 다중화 기술을 통해 640 Gbit/s를 제공한다. 총 길이 19,000km로,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전송을 신속하게 재경로 지정할 수 있는 자가 치유 링 구성으로 구축되었다.[10] 2007년 1월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호주 및 아시아의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다른 주요 해저 케이블 네트워크와의 상호 연결을 제공한다.

NEC가 소유하고 있으며[10], 건설 비용은 약 1250억이다.[10] 일본 측에서는 이바라키현키타이바라키시와 지바현치쿠라(현: 미나미보소시) 두 곳에서 상륙한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최초로 도입된 자가 치유 기능(셀프 힐링 기능)을 갖추고 있어 회선 일부에 장애가 발생해도 짧은 시간에 자동 복구가 가능하다. 운용 초기 회선 용량은 80Gbit/sec였으나, 2002년 160Gbit/sec로 증속되었다. 2006년1월 16일 NEC는 케이블 용량을 280Gbps로 업그레이드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2007년 완료되었다.[12]

3. 1. 대한민국 구간

KT가 운영하며, 부산광역시에 위치한다.[1]

대한민국 APCN 2 구간
운영사위치
KT부산광역시


3. 2. 기타 국가 구간

APCN 2는 다음의 여러 통신 회사가 소유하고 있다.

국가위치통신사
일본 이바라키현NTT
일본 치쿠라KDDI
대한민국 부산KT
중화인민공화국 숭명현차이나텔레콤
중화인민공화국 숭명구차이나 유니콤
중화인민공화국 단수이구차이나 모바일
홍콩 란터우섬리치(PCCW)
필리핀 바탕가스PLDT
말레이시아 쿠안탄텔레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카톤싱가포르텔레콤


4. 주요 손상 사례

APCN2 케이블은 여러 차례 손상되어 아시아 지역의 인터넷 연결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손상 사례는 다음과 같다.

발생일내용영향비고
2009년 8월 12일APCN2 케이블 추가 손상홍콩, 중국, 타이완, 필리핀, 싱가포르, 도쿄 간 연결에 영향[5]
2010년 6월해저 케이블 장애 발생필리핀 인터넷 접속 중단
2014년 3월 23일S4A 구간 해저 케이블 파손 (3월 21일)으로 APCN2 케이블 손상상세 불명[6][7]
2015년 1월 7일싱가포르-아시아 태평양 간 APCN2 케이블 장애싱가포르-아시아 태평양 대역폭 제한 및 지연 (1월 31일 복구)
2017년 4월 22일APCN2 케이블 손상타이완 인터넷 사용자 영향[8]
2020년 4월 10일APCN2 케이블 손상말레이시아 및 인근 국가 인터넷 사용자 영향[9]


4. 1. 2006년 항춘 지진

2006년 12월 27일, 恆春으로 중국 산터우와 타이완 담수를 잇는 APCN 2 해저 케이블과 홍콩 란타우섬과 중국 충밍을 잇는 APCN 2 해저 케이블이 손상되어 아시아 지역에서 해외 웹사이트 접속이 한 달 이상 중단되었다.[1][2][3][4]

4. 2.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11년 3월 11일,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APCN2 케이블이 손상되었다.[4]

4. 3. 기타 손상 사례

2006년 12월 27일, 2006년 항춘 지진으로 중국 산터우와 타이완 담수이를 잇는 APCN 2 해저 케이블, 그리고 홍콩 란타우섬과 중국 충밍을 잇는 APCN 2 해저 케이블이 손상되어 아시아 지역에서 해외 웹사이트 접속이 한 달 이상 중단되었다.[1][2][3][4]

2009년 8월 12일, APCN2 케이블 추가 손상으로 홍콩, 중국, 타이완, 필리핀, 싱가포르, 도쿄 간 연결에 영향을 미쳤다.[5]

2010년 6월, 해저 케이블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여 필리핀의 인터넷 접속이 중단되었다.

2011년 3월 11일,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APCN2 케이블이 손상되었다.

2014년 3월 23일, 3월 21일에 발생한 S4A 구간 해저 케이블 파손으로 APCN2 케이블이 손상되었다.[6][7]

2015년 1월 7일, 싱가포르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연결하는 APCN2 케이블에 장애가 발생하여, 2015년 1월 31일에 복구되기 전까지 싱가포르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의 대역폭 제한과 심각한 지연 현상이 발생했다.

2017년 4월 22일, APCN2 케이블 손상으로 타이완 인터넷 사용자들이 영향을 받았다.[8]

2020년 4월 10일, APCN2 케이블 손상으로 말레이시아와 인근 국가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영향을 받았다.[9]

참조

[1] 뉴스 Internet Access to overseas website disrupted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Communications cut off after earthquake strikes Taiwan https://web.archive.[...] 2007-01-03
[3] 웹사이트 Internet access in Singapore severely affected by Taiwan quake https://web.archive.[...] 2006-12-27
[4] 문서 Taiwan earthquake https://www.hkcolo.c[...] 2023-08-27
[5] 뉴스 Asian undersea cable disruption slows Internet access http://www.computerw[...] 2015-11-03
[6] 웹사이트 PLDT Explains Internet Speed Problems in the Philippines From March 28 Onwards http://philnews.ph/2[...] Philnews.ph 2014-05-09
[7] 뉴스 Damaged undersea cables affect Internet in PH, Asia-Pacific http://www.rappler.c[...] 2015-11-03
[8] 웹사이트 Damaged APCN2 undersea cables affecting internet in Taiwan http://focustaiwan.t[...] Focus Taiwan 2017-04-23
[9] 웹사이트 Internet slowdown caused by submarine cable fault, says TM https://www.thestar.[...] TheStar 2020-04-22
[10] 웹사이트 APCN-2 Submarine Cable System Overview - Submarine Networks https://www.submarin[...] 2022-08-19
[11] 웹사이트 APCN 2 Submarine Cable System Ready for Services - Submarine Networks https://www.submarin[...] 2022-08-19
[12] 웹사이트 APCN-2 to Upgrade Capacity to 280Gbps - Submarine Networks https://www.submarin[...] 2022-08-19
[13] 웹사이트 Internet Access to overseas website disrupted https://web.archive.[...] 2022-08-19
[14] 웹사이트 Communications cut off after earthquake strikes Taiwan http://www.sunstar.c[...] 2007-01-03
[15] 웹사이트 Update: Asian undersea cable disruption slows Internet access https://www.computer[...] 2022-08-19
[16] 웹사이트 PLDT Explains Internet Speed Problems in the Philippines From March 28 Onwards https://philnews.ph/[...] 2022-08-19
[17] 웹사이트 Damaged undersea cables affect Internet in PH, Asia-Pacific https://www.rappler.[...] 2022-08-19
[18] 기타 (出典: Singtel / Singnet TAC) 2015-01-29
[19] 웹사이트 Damaged APCN2 undersea cables affecting internet in Taiwan - Focus Taiwan https://focustaiwan.[...] 2022-08-19
[20] 웹사이트 Internet slowdown caused by submarine cable fault, says TM https://www.thestar.[...] 2022-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