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탕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탕가스는 필리핀 바탕가스 주의 도시로, 1572년 스페인 선교사들이 기독교를 전파하면서 시작되었다. 미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폭격을 받았으며, 독립 이후 시로 승격되었다. 바탕가스 시는 바탕가스 만에 위치하며, 105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이며, 2020년 인구는 351,437명이다. 경제적으로는 바탕가스 항만의 확장과 산업 발달을 통해 농업에서 상업, 산업 경제로 변화하고 있다. 주요 산업으로는 정유, 석유화학, 상업 등이 있으며, 농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탕가스 시는 '판싯 나 풀라'와 '닐루팍'과 같은 특색 있는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지프니와 삼륜차를 포함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교육 시설로는 대학교, 공립 및 사립 학교가 있으며, 지역 방송국과 신문을 통해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바탕가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바탕가스 시 깃발
바탕가스 시 깃발
바탕가스 시 문장
바탕가스 시 문장
공식 명칭Lungsod ng Batangas
별칭칼라바르손의 산업 항구
과거, 현재, 미래의 생태 관광 도시
녹색 도시 바탕가스
표어All here So near
Eto Batangueño Disiplinado (모든 것이 여기에, 매우 가까이에. 이것이 바탕가스 시민의 규율이다)
시가Batangas, Lungsod Kong Mahal (바탕가스, 나의 사랑하는 도시)
국가필리핀
지방칼라바르손 지방
바탕가스 주
설립1917년 3월 10일
시 승격1969년 7월 23일
바랑가이 수105개 ( 바랑가이 목록 참조 )
시장Beverley Rose A. Dimacuha-Mariño
부시장Alyssa Renee A. Cruz-Atienza
하원의원Marvey Mariño
시의회Hamilton G. Blanco
Karlos Emmanuel A. Buted
Andrea Loise F. Macaraig
Nestor E. Dimacuha
Oliver Z. Macatangay
Armando C. Lazarte
Nelson J. Chavez
Jose Jonash Luis F. Tolentino
Zester Carlo M. Hernandez
Isidra M. Atienza
Lorenzo A. Gamboa Jr.
Michael C. Villena
유권자 수명 ( )
면적km2
고도m
최대 고도965 m
최소 고도0 m
인구 (2020년)
가구 수가구
인구 통계바탕게뇨 (남성), 바탕게냐 (여성), 바탕게누에안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리
경제
빈곤율 (2015년)4.63%
수익()
자산()
지출()
부채()
교통
주요 고속도로





언어
서비스 제공자
전기}}
기타 정보
축제일1월 16일

2. 역사

(내용 없음)

2. 1. 스페인 식민 시대

1572년, 최초의 스페인 선교사들이 집단 이주를 통해 바탕가스 지역에 도착했다.[3][4] 이후 1581년, 필리핀을 통치하던 스페인 당국은 쿠밍탕 왕국이 공식적으로 멸망한 뒤, 현재의 바탕가스 지방청사가 위치한 언덕(현재의 '힐탑')을 포함하는 지역에 푸에블로(마을)를 건설했다. 이 마을은 지역에 '바탕'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통나무가 풍부했기 때문에 "바탕간"(Batanganes)으로 명명되었다. 스페인 정부는 돈 아구스틴 카실라오(Don Agustín Casilaoes)를 바탕간의 초대 gobernadorcillo|고베르나도르실로es(작은 지사)로 임명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를 아구스티노(Agustinoes) 또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oes)로 언급하기도 한다. 푸에블로 또는 도시의 수장을 의미하는 고베르나도르실로 칭호는 1894년에 "수도 시"(Capital Municipales)로 대체되었다. 카실라오의 후임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수도 시 직책의 후임 임명 여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3][4]

2. 2. 미국 식민 시대

1923년경 바탕가스 항공 사진


1900년대 초 미국인들이 도착하면서 바탕가스의 지방 민간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는 1901년 7월 4일에 효력이 발생했으며, 호세 비야누에바가 초대 '시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임기는 1903년에 만료되었다.[3]

이후 선거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시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바탕가스 시 시장 (1904–1940) [3]
임기이름
1904–1905후안 팔라시오스
1906호세 아르궤예스
1907마르셀로 야나
1908–1909시세난도 페리올스
1910–1914벤투라 톨렌티노
1915훌리안 로살레스
1916–1919후안 구티에레스
1920–1922훌리안 로살레스
1923–1930후안 부에나페
1931–1937페르펙토 콘데스
1938–1940후안 부에나페



1941년 '시 시장'이라는 칭호는 '시청 시장'으로 변경되었고, 페드로 베르베라베가 초대 시청 시장으로 선출되었다.[3]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12월 12일, 바탕가스 시는 일본군 A6M 제로 전투기의 폭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알랑길란 바랑가이에 위치한 바탕가스 공항은 완전히 파괴되었다.[5][40]

1943년 10월 14일, 일본의 점령 하에 필리핀 제2공화국이 수립된 후, 시의원이었던 로만 L. 페레즈가 일본에 의해 시장으로 임명되었다.[5][41]

1944년 3월 11일, 미국 제6군 사령부 예하 제158 연대 전투단(158th Regimental Combat Team, 158 RCT)이 바탕가스 시 포블라시온(중심 시가지)에 도달하면서 1944–45년 필리핀 해방 작전의 일환으로 해방이 시작되었다.[5][6][41] 그 해 4월 말까지 제11 공수 사단의 제188 글라이더 보병 연대 일부 병력은 연합군 주력이 케손 주로 진격하는 동안, 바탕가스 시 동쪽 바랑가이와 남쪽 산악 지역의 일본군 잔당 소탕을 위해 남겨졌다.[5]

이 과정에서 퀘존 대통령의 친위 게릴라 (PQOG)를 비롯한 필리핀 현지 게릴라 부대와 비정규군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연합군의 진격을 돕기 위해 일본군 방어선과 이동 경로에 대한 주요 도로 정보 등을 제공하며 협력했다.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적대 행위는 점차 종료되었다.[5][6][41]

2. 4. 독립 이후

해방 이후, 마누엘 로하스 대통령은 로만 L. 페레즈를 시장으로 다시 임명했다. 페레즈 시장은 1944년 선거에서 승리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 열린 선거였다. 그러나 1949년 11월, 그는 정체불명의 암살자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아틸라노 마가디아 부시장이 1951년까지 시장직을 수행했다. 1951년에는 마카리오 차베스가 시장으로 선출되어 1955년까지 4년 임기를 마쳤다.[3]

1956년, 주민들은 페드로 S. 톨렌티노를 압도적인 지지로 시장으로 선출했다. 그는 이후 세 차례 더 재선되었다.[3]

1965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은 법률 제4586호에 서명하여 바탕가스를 시로 승격시키려 했다. 이 법안에는 바탕가스의 이름을 타나우안 출신의 전 대통령 호세 P. 라우렐을 기려 '라우렐'로 바꾸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7] 하지만 시민권 부여와 개명 안은 국민투표에서 유권자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 1969년 6월 21일, 바탕가스를 원래 이름 그대로 시로 승격시키는 법률 제5495호가 제정되었다.[8] 같은 해 7월 23일, 일주일 전에 서명된 선포령 제581호에 따라 바탕가스는 공식적으로 시가 되었다.[9] 초대 시장은 페드로 S. 톨렌티노였다.

톨렌티노 시장 이후의 역대 시장은 다음과 같다.[10]

시장재임 기간
마카리오 M. 멘도사1974–1979
알프레도 M. 보르본1979–1980
콘라도 C. 베르베라베1980–1986
호세 M. 아티엔자1986–1987
마리오 M. 페레즈1987
에두아르도 B. 디마쿠하1988–1998, 2001–2010, 2013–2016
앙헬리토 A. 디마쿠하1998–2001
빌마 A. 디마쿠하2010–2013
베벌리 로즈 A. 디마쿠하2016–현재



한편, 2008년 1월 19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은 바탕가스 시 국제 컨테이너 항만 2단계 사업의 개통식에 참석했다. 이 항만은 필리핀 항만청으로 이관되었다. 아로요 대통령은 또한 남부 타갈로그 지역의 주요 도로 사업들을 시찰했다. 여기에는 리파 (19.74km)와 바탕가스 및 남 루손 고속도로(SLEX)를 연결하는 15억필리핀 페소 규모의 남부 타갈로그 간선 도로(STAR) 2단계-1단계 구간 건설, 바탕가스에서 SLEX 도로 확장 및 STAR 톨게이트 개발 사업 등이 포함되었다.[11] 같은 날, 바탕가스 시 국제 화물항 2단계 공사도 시작되었다.

3. 지리

바탕가스 시는 바탕가스 주 최남단에 위치하며, 바탕가스 만을 마주보고 있다. 북쪽으로는 산호세, 남쪽으로는 베르데 섬 해협, 동쪽으로는 이반, 타이산, 로보, 서쪽으로는 산 파스쿠알과 접해 있다. 칼룸팡 강이 도시를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가로지른다. 칼룸팡 강 서쪽 지역은 일반적으로 평야이며 동쪽 지역은 대부분 구릉과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탕가스 시는 마닐라에서 105km 떨어져 있다.

3. 1. 행정 구역

바탕가스 시는 105개의 바랑가이로 정치적으로 세분화되어 있다.[12][13] 각 바랑가이는 푸로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

바랑가이2020년 인구2015년 인구
알랑길란1566913332
발라그타스102149120
발레테105209098
바나바 센터28081984
바나바 이바바34082023
바나바 웨스트39493413
바나바 이스트23731931
바랑가이 1771706
바랑가이 2501606
바랑가이 3261367
바랑가이 416381499
바랑가이 5569634
바랑가이 618102009
바랑가이 7451715
바랑가이 8478577
바랑가이 9257283
바랑가이 10263353
바랑가이 11348768
바랑가이 1213931377
바랑가이 13348509
바랑가이 14233294
바랑가이 15196170
바랑가이 16101197
바랑가이 17116104
바랑가이 18328382
바랑가이 19400955
바랑가이 20383344
바랑가이 21680664
바랑가이 2294234
바랑가이 23698635
바랑가이 2414112877
빌로고20731829
볼복1278811806
부칼31292460
칼리카토1076910315
카탄달라706644
콩셉시온39333412
꼰데 이타아스14271305
꼰데 라박23551763
쿠타1407211460
달리그32202248
델라 파스27262377
델라 파스 풀롯 아플라야587583
델라 파스 풀롯 이타아스429419
도모클레이39083246
두만테이57533685
굴로드 이타아스60284950
굴로드 라박24152433
할리게 칸루란12101112
할리게 실라간20161699
일리잔45623920
쿰바1013914
쿠민탕 이바바916210134
쿠민탕 일라야1090010320
리브조1225610964
리폰폰 이슬라 베르데664746
마아파스202208
마바콩21591873
마하방 다힐리그15681430
마하방 파랑33943267
마하콧 칸루란695600
마하콧 실라간772680
말라림13521190
말리바요485461
말리탐85636686
마루클랍1049957
파길라탄16031321
파하랑 칸루란13101314
파하랑 실라간13951222
팔로칸 칸루란68546259
팔로칸 실라간32862026
피나무칸42953607
피나무칸 이바바18221410
피나무칸 실라간12281125
삼파가44583980
산 아가피토 이슬라 베르데11861191
산 아구스틴 칸루란 이슬라 베르데669715
산 아구스틴 실라간 이슬라 베르데720775
산 안드레스 이슬라 베르데893972
산 안토니오 이슬라 베르데9431098
산 이시드로73786887
산 호세 시코58154627
산 미겔23512247
산 페드로19101510
산타 클라라1284310584
산타 리타 아플라야17952281
산타 리타 카르사다2032117330
산토 도밍고19151789
산토 니뇨24682520
심롱41883800
시랑 루파17791369
소로소로 이바바30422713
소로소로 일라야76501801
소로소로 카르사다35811764
타방가오 아물롱60384862
타방가오 아플라야25083216
타방가오 다오29782625
탈라힙 판다얀22992301
탈라힙 파야파519575
탈룸폭 칸루란29002867
탈룸폭 실라간23011845
팅가 이타아스30602801
팅가 라박71645883
툴로43593684
와와86056455



파길라탄은 이전에는 마토코의 시티오였다.[14] 말라림은 이전에는 시랑 루파 바리오의 남부, 마하방 다힐리그 바리오의 북부, 산 이시드로의 동부 지역과 말라림 시티오를 합쳐 1954년에 바리오(바랑가이)가 되었다.[15] 같은 해에 리브조 바리오의 일부였던 시티오 말리탐이 바리오로 승격되었다.[16] 산 안토니오는 산 아가피토 바리오의 일라야, 라박, 마탈리사이, 파조 및 카카완의 시티오로 구성되었다.[17] 1957년, 탈룸폭 바리오는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시티오 로마노, 포예산, 본데오, 라타그는 탈룸폭 실라간으로, 시티오 긴토, 두하탄, 쿨링캉, 피이트 및 쿠아바는 탈룸폭 칸루란으로 구성되었다.[18]

발라그타스는 이전에는 파타이, 쿠민탕 일라야는 삼바트 일라야, 쿠민탕 이바바는 삼바트 이바바로 알려졌었다.[19]

3. 2. 기후

바탕가스 시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라 열대 사바나 기후 (''Aw/As'')에 속하며, 동쪽으로는 열대 몬순 기후 (''Am'')와 경계를 이룬다.[20][21] 1월부터 4월까지는 건조하며, 4월에는 평균 최고 기온이 34.3°C까지 올라간다. 나머지 기간은 강우량이 많으며, 7월이 가장 강우량이 많은 달로 평균 338.3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습도는 연중 대부분 높게 유지된다.[20][21]

바탕가스 시 (암불롱 기상 관측소)의 기후 (1991년~2020년 평균, 1919년~2020년 극한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역대 최고 기온 °C (°F)34.9°C37.2°C38°C38.3°C38.8°C38°C36.8°C36.7°C35.8°C37.3°C36.5°C35.3°C38.8°C
평균 최고 기온 °C (°F)30.1°C31.1°C32.5°C34.3°C33.9°C32.8°C31.5°C31.1°C31.4°C31.6°C31.2°C30.1°C31.8°C
일평균 기온 °C (°F)26.3°C26.7°C27.7°C29.1°C29.3°C28.7°C27.8°C27.7°C27.8°C27.7°C27.5°C26.7°C27.7°C
평균 최저 기온 °C (°F)22.4°C22.2°C23°C23.9°C24.6°C24.6°C24.2°C24.3°C24.2°C23.9°C23.8°C23.3°C23.7°C
역대 최저 기온 °C (°F)16°C16.1°C16.2°C17.5°C20°C20.6°C19.2°C19°C19.5°C18.9°C18.3°C16.8°C16°C
평균 강수량 mm (인치)25.8mm22.1mm21mm25mm129.4mm213.2mm338.3mm305.5mm271mm192.6mm139.6mm132.6mm1816.1mm
평균 강수일수 (≥ 1.0 mm)533391318171612119119
평균 상대 습도 (%)81797875798285868685838482
출처: PAGASA[20][21]


4. 인구

바탕가스 시 인구 변화
연도인구 수
190333,131
191841,182
193956,629
194868,995
196094,197
1970117,387
1975130,716
1980143,570
1990184,705
1995211,988
2000247,588
2007290,846
2010305,607
2015329,874
2020351,437



2020년 필리핀 통계청 인구 조사 기준으로 바탕가스 시의 인구는 351,437명이며, 인구 밀도는 282.96km2당 약 1,200명이다.

5. 경제

바탕가스 항구


바탕가스 항만 확장, 다양한 중공업 운영, STAR 톨웨이 프로젝트 2단계 건설 및 우회 도로 건설 등으로 바탕가스 시는 농업 경제에서 상업 경제로, 그리고 점차 산업 경제로 변화를 겪었다.

시는 칼라바르존의 주요 상업 및 산업 중심지로 변화하고 있으며, 북서쪽과 바탕가스 만 연안 저지대를 중심으로 상업 및 중공업 시설이 발달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시의 북부 지역에는 여전히 농촌 풍경이 보존되어 있다. 포블라시온 지역은 시의 주요 소매 및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주요 항구 도시인 바탕가스는 인근 지방, 섬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다른 국가에서 온 이민자들의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5. 1. 농업

농업은 농촌 바랑가이 주민들에게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자 소득원으로 남아 있다. 농촌 지역 주민들은 주로 자급 농업을 하며, 수확한 작물의 일부는 저지대에 있는 공설 시장에서 판매한다. 주요 작물로는 코코넛, 옥수수, 채소, 망고 등이 있다.

5. 2. 산업

JG Summit 석유화학 단지


바탕가스 시의 산업은 바탕가스 항구, 타방가오, 피나무칸 지역 및 소로소로 카르사다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다. (Royal Dutch Shell)은 필리핀 자회사인 필리피나스 쉘(Pilipinas Shell)을 통해 타방가오에 대규모 정유 공장을 운영하며, 루손 남부와 메트로 마닐라의 쉘 주유소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연료를 공급한다. JG 서밋 홀딩스(JG Summit Holdings)는 피나무칸 이바바에서 석유화학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 석탄 화력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려는 계획을 추진하여 지역 주민과 환경 운동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외에도 다른 여러 기업들이 이 지역과 인근 지역에 연료를 분배하기 위한 정유 공장을 설립했다.

5. 3. 상업

SM 시티 바탕가스


바탕가스 시에는 SM 슈퍼몰에서 운영하는 SM 시티 바탕가스, 지역 소매업체가 소유한 베이 시티 몰(Bay City Mall) 및 뉴시티 센트럴(Nuciti Central)과 같은 쇼핑몰이 있다. 도시화된 지역에는 상당수의 슈퍼마켓이 있으며, 일부는 쇼핑몰의 일부이고 다른 일부는 독립형 동네 시장으로, 지역 공설 시장과 경쟁하고 있다.

포블라시온(Poblacion) 지역에는 수많은 상점, 식당, 은행, 전당포 및 기타 시설이 밀집해 있다. 시내에 있는 두 개의 주요 공설 시장은 시의 지방 바랑가이(barangays)와 인근 지방 자치 단체의 농산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바탕가스 항구와 바우안으로 가는 교통량을 시내에서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다이버전 로드(Diversion Road)는 산업 공간 외에도 소매점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알랑길란(Alangilan) 및 발라그타스(Balagtas) 바랑가이(barangays)의 도로를 따라 수많은 자동차 대리점이 건설되었다. 맥도날드(McDonald's) 및 셰이키스(Shakey's Pizza)와 같은 패스트푸드점도 바탕가스 시 그랜드 터미널 근처에서 늘어나고 있다.

6. 문화

바탕가스 시는 다양한 종교 축제와 고유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요 축제로는 산토니뇨 축제와 '수블리안' 축제가 있으며, 지역 특색 음식으로는 Pancit na Pula|판싯 나 풀라fil와 Nilupak|닐루팍fil 등이 있다.

6. 1. 축제

바탕가스 시에서는 세 개의 주요 종교 축제가 열린다. 매년 1월 셋째 주 일요일에는 산토니뇨 축제가 개최되며, 성 금요일과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축일에는 종교 행렬이 진행된다. 또한, 매년 7월 23일에는 옛 바탕게뇨의 '수블리' 전통을 되살리는 '수블리안' 축제가 열린다. 같은 날 바탕가스 시 창립 기념 축제도 '수블리안' 축제와 함께 개최된다.

6. 2. 음식

바탕가스 시의 특별 요리로는 붉은 면으로 만든 판싯 미키의 변형인 Pancit na Pula|판싯 나 풀라fil가 있다. 이는 판싯 티키아노(Pancit Tikiano|판싯 티키아노fil) 또는 미키 풀라(Miki Pula|미키 풀라fil)라고도 불린다.

이 도시는 또한 Nilupak|닐루팍fil으로도 유명하다. 이 요리를 만드는 기술은 이 지역 고유의 것으로,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되었다.

7. 교통

바탕가스 시의 주요 교통은 지프니와 삼륜차를 포함한 도로 교통과, 과거에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된 필리핀 국립 철도 노선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는 주요 고속도로의 종점 역할을 하며, 새로운 철도 노선 건설 계획도 진행 중이다.

7. 1. 도로

바탕가스 시티 그랜드 터미널


바탕가스 시의 대중교통은 주로 지프니와 삼륜차를 포함한다. 시는 barangays|바랑가이tl와 다른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 간의 교통 수단을 운행한다. 시의 중앙 교통 허브는 Alangilan|알랑일란tl의 우회로에 위치한 바탕가스 시티 그랜드 터미널이다.

북쪽을 바라보는 P. 부르고스 거리


바탕가스시는 남부 타갈로그 간선 도로(STAR 유료도로), 호세 P. 로렐 고속도로(N4), 바탕가스-케손 도로(N435), 바우안-바탕가스 도로(N436)와 같은 주요 고속도로의 종착지 역할을 한다. 2000년대 초반에는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는 기존 고속도로를 우회하기 위해 우회 도로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우회 도로 건설 이후에도 도시 내 교통 체증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시 정부는 도시 남쪽의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지역으로의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동쪽에 추가 우회 도로를 건설하고 있다.

도시의 poblacion|포블라시온es(읍내) 지역은 스페인 식민 시대 도시 계획의 영향을 받아 대략적인 격자형 도로망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지역의 거리 이름은 대부분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디에고 실랑, 곰부르자(마리아노 고메스, 호세 부르고스, 히아신토 사모라)와 같은 필리핀의 역사적 인물이나 ilustrados|일루스트라도스es(계몽주의자)로 불렸던 호세 리잘, 마르셀로 델 필라르, 그라시아노 로페스 하에나 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7. 2. 철도

과거 바탕가스 시에는 필리핀 국립 철도(Philippine National Railways) 지선이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되었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의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인 두테르테노믹스(Build-Build-Build)의 일환으로, 칼람바에서 바탕가스 시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이 노선은 더 긴 마닐라-마트노그 철도의 일부로, 2017년 9월 12일 국가 경제 개발청(NEDA)의 승인을 받았다. 건설 자금은 중국 정부가 지원할 예정이며, 아직 구체적인 착공일은 정해지지 않았다.[31]

8. 교육

바탕가스 시의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바탕가스 주립 대학교, 필리핀 대학교-바탕가스 리세움, 바탕가스 대학교, 성 브리짓 칼리지 및 STI 칼리지가 있다.[32]

교육부도 바탕가스시에 지부를 두고 있다.[33] 2013-2014 학년도 기준으로 시에는 82개의 공립 초등학교[34]와 18개의 공립 고등학교가 있었다.[35] 2016-2017 학년도에는 유치원부터 대학교 과정까지 다양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50개의 사립 학교가 시에서 합법적으로 운영 허가를 받았다.[36]

9. 미디어

GMA 네트워크는 지역 채널을 통해 바탕가스 시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채널 12(D-12-ZB-TV)와 채널 26(DZDK-TV)을 통해 GTV를 송출한다. 과거 ABS-CBN의 지역 채널인 ABS-CBN 서던 타갈로그(DZAD-TV, 채널 10)도 바탕가스 시에 스튜디오를 운영했으나, 2015년 리파로 이전했다. 케이블 TV 서비스는 Batangas MyCATV(구 Batangas CATV)가 제공한다.

바탕가스 시에는 영어 신문인 ''Sun.Star People's Courier''와 타갈로그어 신문인 ''Balikas''와 같은 지역 신문이 발행된다. 또한 ''필리핀 스타(Philippine Star)'',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Philippine Daily Inquirer)'', ''마닐라 불레틴(Manila Bulletin)''과 같은 주요 전국 일간지와 ''Abante'', ''Balita'', ''피플스 저널(People's Journal)'', ''필리피노 미러(Pilipino Mirror)'', ''필리피노 스타 응아요(Pilipino Star Ngayon)'' 같은 타블로이드 신문 등 메트로 마닐라에서 발행되는 신문들도 지역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된다.

이 도시는 바탕가스 라디오 청취 시장의 중심지로, 지역 라디오 방송국과 인근 리파 및 메가 마닐라 지역의 일부 라디오 방송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리파 로마 가톨릭 대교구는 Radyo Bayanihan System을 통해 두 개의 지역 라디오 방송국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라디오 방송국은 다음과 같다.

바탕가스 지역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방송국명 (호출부호)운영 주체주요 장르
FM 95.9 MHzALFM Radyo Totoo (DWAL)리파 로마 가톨릭 대교구 (Radyo Bayanihan System)종교 라디오, 뉴스 라디오, 토크 라디오, 음악
FM 99.1 MHzSpirit FM (DWAM)리파 로마 가톨릭 대교구 (Radyo Bayanihan System)종교, 음악
FM 91.9 MHzAir1 Radio Southern Tagalog (DWCH)성인 컨템포러리 음악
FM 99.9 MHzGV FM (DZGV)컨템포러리 히트 라디오
FM 104.7 MHzBrigada News FM (DWEY)FM 뉴스
FM 107.3 MHzBatStateU FM (DWPB-FM)바탄가스 주립 대학교대학 라디오



바탄가스 주립 대학교는 자체 대학 라디오 방송국인 107.3 BatStateU FM(DWPB-FM)을 운영한다. 메트로 마닐라에서 송출되는 라디오 신호는 지역 지형의 영향으로 명확하게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PSA releases the 2015 Municipal and City Level Poverty Estimates https://psa.gov.ph/s[...] 2020-01-01
[3] 서적 Local Government of Batangas City Local Government of Batangas City 1999
[4] 서적 City Investment & Tourism Office City Investment & Tourism Office 2006
[5]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batangasc[...] 2010-07-09
[6] 웹사이트 Ibiblio.org: Triumph in the Philippines, Chapter XXIII Securing the Visayan Passages, Southern Luzon http://www.ibiblio.o[...] 2010-07-09
[7] 간행물 An Act Creating Laurel City https://lawphil.net/[...] 1965-06-19
[8] 간행물 An Act Creating Batangas City https://lawphil.net/[...] 1969-06-21
[9] 간행물 Designating July 23, .1969, as the date for the formal 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of Batangas City https://www.official[...] 1969-07-16
[10] 서적 Local Government of Batangas City Local Government of Batangas City 1999
[11] 뉴스 President Arroyo inaugurates Batangas Port project http://www.abs-cbnne[...] 2010-07-09
[12] 서적 Local Government of Batangas City Local Government of Batangas City 1999
[13] 웹사이트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 (PSGC) - Batangas City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14] 간행물 An Act Creating the Barrio of Pagkilatan in the Municipality of Batangas, Province of Batangas https://lawphil.net/[...] 1953-06-20
[15] 간행물 An Act to Convert the Sitio of Malalim in the Barrio of Mahabang Dahilig, Municipality of Batangas, Province of Batangas, into a Barrio https://thecorpusjur[...] 1954-06-12
[16] 간행물 An Act to Convert the Sitio of Malitam, in the Barrio of Libjo, Municipality of Batangas, Province of Batangas, into a Barrio https://lawphil.net/[...] 1954-06-17
[17] 웹사이트 An Act to Convert the Sitios of Ilaya Labac, Matalisay, Pajo and Cacawan in Isla Verde, in the Municipality of Batangas, Province of Batangas, to a Barrio to Be Known As Barrio San Antonio of the Same Municipality http://lawph.com/sta[...] LawPH.com 2011-04-11
[18] 간행물 An Act Dividing the Barrio of Talumpoc, Municipality of Batangas, Province of Batangas, into Two Barrios to Be Known As the Barrios of Talumpok Silangan and Talumpok Kanluran of Said Municipality https://thecorpusjur[...] 1957-06-20
[19] 간행물 An Act Changing the Names of Certain Barrios in the Municipality of Batangas, Province of Batangas https://lawphil.net/[...] 1957-06-20
[20] 웹사이트 Ambulong, Batangas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2-07
[21] 웹사이트 Batangas City, Davao del Sur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6-10
[22]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3] 데이터베이스 Wikidata item P8843 2000
[24] 데이터베이스 Wikidata item P8843 2003
[25] 데이터베이스 Wikidata item P8843 2006
[26] 데이터베이스 Wikidata item P8843 2012
[27] 데이터베이스 Wikidata item P8843 2015
[28] 데이터베이스 Wikidata item P8843 2018
[29] 데이터베이스 Wikidata item P8843 2021
[30] 뉴스 PonteFino Estates launches I.T. business park in Batangas https://www.bworldon[...] 2024-09-30
[31] 뉴스 NEDA Board approves Manila subway, PNR South Rail projects http://www.gmanetwor[...] 2017-09-12
[32] 뉴스 STI inaugurates P250M academic center in Batangas https://business.inq[...] 2015-01-27
[33] 웹사이트 Message http://www.depedbata[...] Division of Batangas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2016-04-26
[34] 웹사이트 Masterlist of Schools Based on School Year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 Batangas City http://depedcalabarz[...] 2016-04-26
[35] 웹사이트 Masterlist of Schools Based on School Year in Public Secondary Schools – Batangas City http://depedcalabarz[...] 2016-04-26
[36] 웹사이트 LIST OF PRIVATE SCHOOLS OPERATING WITH PERMIT/RECOGNITION REPUBLIC OF THE PHILIPPINES Department of Education Region IV-A CALABARZON BATANGAS CITY http://depedcalabarz[...] 2016-04-26
[37] 웹사이트 Official City/Municipal 2013 Election Results http://www.comelec.g[...] Commission on Elections (COMELEC) 2014-10-11
[38] 웹사이트 Province: Batanga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2-10-31
[39]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www.census.go[...]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10-31
[40]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batangasc[...] 2010-07-09
[41] 웹사이트 Ibiblio.org: Triumph in the Philippines, Chapter XXIII Securing the Visayan Passages, Southern Luzon http://www.ibiblio.o[...] 2010-07-09
[4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the Philippines (1951–1985) (PAGASA 1987) http://www.nrlmry.na[...] PAGASA 2018-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