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A 인데펜디엔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A 인데펜디엔테는 1904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된 아르헨티나의 축구 클럽이다. 1907년 아베야네다로 연고지를 이전했으며, 붉은색 유니폼을 사용하면서 "디아블로스 로호스(붉은 악마)"라는 별명을 얻었다.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16회 우승,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7회 우승하며 '컵의 왕'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인터콘티넨털컵에서 2회,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코파 수다메리카나, 스루가 은행 챔피언십 등 다수의 국제 대회를 제패했다. 라이벌 팀은 라싱 클럽이며,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A 인데펜디엔테 -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는 아르헨티나 아베야네다에 있는 축구 경기장으로, 인데펜디엔테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2005년 재건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2021년 리카르도 보치니의 이름을 따서 명칭을 변경했다.
  • CA 인데펜디엔테 - 에스타디오 프레시덴테 후안 도밍고 페론
    에스타디오 프레시덴테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 라싱 클럽의 홈 구장이며, 후안 페론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1950년에 완공되었다.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CA 우라칸
    클럽 아틀레티코 우라칸은 1903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항공 개척자의 기구에서 영감을 얻은 이름과 유니폼을 사용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 아마추어 시대 황금기와 '메노티 혁명' 시대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재정난 등으로 부침을 겪었고,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와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으로 부활했으며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와 중요한 라이벌 관계를 가진 축구 클럽이다.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CA 리버 플레이트
    190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된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 CA 리버 플레이트는 "로스 밀리오나리오스"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다 우승,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라 마키나" 시대, 2부 리그 강등 후 부활, 보카 주니어스와의 수페르클라시코 등으로 유명하고 축구 외 다양한 종목 팀을 운영한다.
  • 1905년 설립된 축구단 - CA 보카 주니어스
    CA 보카 주니어스는 1905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보카 지역에서 창단된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강등된 적 없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6회 우승 등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파란색-금색 유니폼, 라 봄보네라 경기장, 리버 플레이트와의 수페르클라시코로 유명한 아르헨티나 대표 스포츠 클럽이다.
  • 1905년 설립된 축구단 - 클루브 리베르타드
    클루브 리베르타드는 1905년 창단되어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5회 우승한 파라과이 축구의 3대 명문 클럽이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 진출과 코파 수다메리카나 준결승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고 축구 외에도 농구팀을 운영한다.
CA 인데펜디엔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데펜디엔테 엠블럼
엠블럼
풀 네임Club Atlético Independiente
별칭El Rojo (빨강)
Los Diablos Rojos (붉은 악마)
Rey de Copas (컵의 왕)
El Orgullo Nacional (국가의 자부심)
창단일1905년 1월 1일
소유주140,000명의 회원 (소시오)
회장네스토르 그린다티
감독훌리오 바카리
경기장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수용 인원43,187명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원정
써드
리그 정보
리그프리메라 디비시온
시즌2024
현재 순위7위

2. 역사

2. 1. 창단 초기 (1904년 ~ 1930년)

1904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몬세라트 구의 상점 "아 라 시우다드 데 런던"의 직원들이 마이푸 FC에서 독립하여 인데펜디엔테 FC를 창단했다.[23] 이들은 마이푸 FC에서 경기 관전만 허용되는 것에 불만을 품고, 1905년 1월 1일, 5월 광장 근처 술집에서 모여 새 클럽 창단을 결의했다.[23] 초대 회장으로는 로센도 데히오르히오가 선출되었고, 그의 집이 클럽 본부로 사용되었다.[23]

1907년, 아베야네다로 연고지를 이전했다.[23] 초기에는 흰색 바탕에 파란색 소매 유니폼을 착용했지만, 1908년 노팅엄 포레스트 FC의 유니폼에 감명받은 회장 아리스티데스 랑고네의 제안으로 붉은색 유니폼을 채택했다.[23] 다른 설에 따르면 창립 멤버 중 일부가 사회주의 운동과 관련되어 붉은색을 채택했다고도 한다. 같은 해 5월 10일 CA 반피엘드와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붉은색 유니폼을 입고 9-2로 승리했으며, 클럽 명칭도 CA 인데펜디엔테로 변경했다.

Degiorgi 형제, 창립자 (1905년 사진)


1909년 팀


1910년에는 라 크루세시타 경기장이 건설되어 1923년 소실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아마추어 시대에는 마누엘 세오아네, 라이문도 오르시 등의 활약으로 1922년과 1926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1926년에는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1926년 시즌 중에 크리티카 지의 우고 마리니 기자에 의해 "디아블로스 로호스(붉은 악마)"라는 애칭이 붙여졌고[24], 이는 곧 서포터들에게 널리 퍼졌다.

코파 데 콤페텐시아에서 우승한 1925년 팀


1924년부터 1926년까지 코파 콤페텐시아 아소시아시온 아마테르스에서 3연패를 달성했다. 1928년에는 남미 최초의 콘크리트 구조 경기장인 에스타디오 라 도블레 비세라가 개장했다. 이 경기장은 그 형태 때문에 "두 개의 처마"라는 뜻의 "라 도블레 비세라"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프로화 후 첫 우승을 장식한 1938년 팀

2. 2. 프로 리그 시대와 황금기 (1931년 ~ 1995년)

1931년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가 프로화된 후, CA 인데펜디엔테는 1938년과 1939년에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아르세니오 에리코, 비센테 데 라 마타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바탕으로 1948년, 1960년, 1963년에도 리그 우승을 추가했다.

1963년 리그 우승팀. 이후 두 번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달성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며 인데펜디엔테의 "황금기"가 시작되었다. 1964년과 1965년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우승하며 남미 챔피언에 등극했다. 특히 1964년 대회에서는 산투스를 꺾고 우승하여 주목받았다. 1970년대에는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연패를 달성하는 등, 총 7회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컵의 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73년과 1984년 인터콘티넨털컵에서는 각각 유벤투스와 리버풀을 꺾고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특히 1984년 리버풀과의 경기는 포클랜드 전쟁 이후 아르헨티나와 영국 팀 간의 첫 대결이었기에 더욱 의미가 컸다.

1973년 인터콘티넨털컵 우승으로 "레이 데 코파스"라는 별칭을 얻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인데펜디엔테는 리그 우승(1977년, 1978년, 1983년, 1988-89 시즌, 1994년)과 국제 대회 우승(1994년, 1995년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1995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을 이어갔다. 리카르도 보치니와 같은 전설적인 선수들이 이 시기에 활약했다. 보치니는 1972년부터 1991년까지 인데펜디엔테에서만 활약한 원 클럽 맨으로, 1973년 인터콘티넨털컵 우승 당시 골을 기록하는 등 팀의 핵심 선수였다.

파보니는 인데펜디엔테에서 5개의 리베르타도레스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1967년 나시오날에서 우승한 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 1965년

2. 3. 침체와 재도약 (1996년 ~ 현재)

CA 인데펜디엔테는 1990년대 후반부터 재정난과 성적 부진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1994년 클라우수라, 1994년과 1995년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1995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우승하며 국제 타이틀 15개를 달성했지만, 이후 7년간 무관에 그쳤다.[25] 2002년 아페르투라에서 아메리코 가예고 감독의 지휘 아래 페데리코 인수아, 다니엘 몬테네그로, 안드레스 실베라 등 공격적인 선수들을 앞세워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부활하는 듯했으나, 이후 다시 침체에 빠졌다.[25]

2006년, 세르히오 아구에로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이적시키며 받은 2300만 유로의 이적료는 부채 변제에 대한 희망을 주었다. 그러나 부채는 여전히 심각하여, 2006년 2월에는 약 2600만 달러의 부채가 있다는 것이 판사에 의해 증명되었다.

2006-07 시즌, 과거 스타 선수였던 호르헤 부르차가 감독이 다니엘 몬테네그로, 헤르만 데니스, 오스카르 우스타리 등을 이끌며 타이틀 경쟁을 기대했지만, 아페르투라 2006에서 홈 최종전 패배 등 불안정한 시즌을 보냈다.[25] 클라우수라 2007에서는 개막 후 10경기에서 승점 8점밖에 얻지 못하는 최악의 시즌을 보냈고, 미겔 앙헬 산토로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하여 무패(4승 5무)로 시즌을 마쳤지만, 11위에 그치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권을 놓쳤다.[25]

낡은 도블레 비세라 경기장 대신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건설 비용 초과로 절반만 지어진 채 개장했다. 오스카르 우스타리헤르만 데니스의 이적에도 불구하고, 인데펜디엔테는 부채, 압류, AFA와 FIFA의 제재 등으로 위기를 겪었다.

2009-10 시즌, 2010 코파 수다메리카나에 진출하여 결승전에서 고이아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리그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부진이 이어졌다.

새 시대에 인데펜디엔테는 두 번의 코파 수다메리카나 (2010년과 2017년)에서 우승했다.

2012-13 시즌, 인데펜디엔테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101년 만에 처음으로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강등되었다. 산 로렌소에게 홈에서 0-1로 패하며 강등이 확정되었다.

2013-14 시즌,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4위를 기록하며 우라칸과의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1부 리그로 복귀했다. 우고 모야노 회장 재임하에 경기장 완공 작업을 진행했고, 2017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플라멩고를 꺾고 우승, 2018년 스루가 은행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국제 대회 타이틀을 18개로 늘렸다.

그러나 2022년, 모야노 회장은 2,200만 미국 달러 이상의 부채를 남기고 사임했다. 2023년, 팬들의 모금 활동으로 350만 미국 달러를 모아 압류 위기를 해소했지만, 리그에서는 24위를 기록하는 등 최악의 시즌을 보냈다. 다음 시즌에는 경제 상황이 개선되어 2025 코파 수다메리카나 출전 자격을 얻었다.

3. 경기장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는 2005년에 공식적으로 명명되었으며, 이전에는 "에스타디오 데 인데펜디엔테" 또는 "라 도블레 비세라 데 세멘토"로 알려졌다. 1928년 3월 4일 우루과이의 페냐롤과의 경기로 개장한 이 경기장은 남아메리카 최초의 콘크리트 경기장이었다. 인데펜디엔테가 홈팀으로 출전한 여러 국제 결승전과 1930년대와 1940년대에 대부분의 아르헨티나 국제 경기를 개최했다.

2009년 10월 28일 재개장 후의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2007년,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는 보수 공사를 위해 폐쇄되었고, 2009년 10월 28일 콜론과의 경기에서 재개장하여 인데펜디엔테가 3-2로 승리했다. 보수 공사 기간 동안 인데펜디엔테는 4개의 다른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2014년 7월부터 경기장 완공을 위한 작업이 진행되었다. 2016년 12월 16일, 반필드와의 경기를 앞두고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가 완전히 개장되었다.

4. 선수

2024년 12월 19일 기준 CA 인데펜디엔테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8] 선수들의 국적 표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른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2DF호아킨 라소ARG
3DF아드리안 스포를레ARG
4DF페데리코 베라ARG
5DF펠리페 로욜라CHI
6DF마르코 펠레그리노ARG
7DF훌리오 부파리니ARG
8MF발타사르 바르시아URU
9FW가브리엘 아발로스PAR
10MF산티아고 톨로사ARG
11MF페데리코 만쿠엘로ARG
13GK마누엘 타소URU
15DF다미안 페레스ARG
16FW산티아고 이달고ARG
17MF루카스 곤잘레스ARG
18FW이그나시오 마에스트로 푸치ARG
19FW알렉스 루나ARG
21MF다비드 마르티네스ARG
23MF이반 마르코네ARG
24FW산티아고 로페스ARG
25GK디에고 세고비아URU
26DF케빈 로모나코ARG
27MF디에고 타르지아ARG
28MF호니 키뇨네스ECU
29DF후안 페도르코ARG
31FW니콜라스 바예호ARG
32FW알렉시스 카넬로ARG
33GK로드리고 레이ARG
34FW마티아스 히메네스ARG
35MF산티아고 살레ARG
42MF세르히오 오르티스ARG
44DF산티아고 몬티엘ARG



마르코 펠레그리노는 AC 밀란에서, 이그나시오 마에스트로 푸치는 아틀레티코 투쿠만에서, 알렉스 루나는 아틀레티코 라파엘라에서, 케빈 로모나코는 레드불 브라간치노에서 각각 임대된 선수이다. 이반 마르코네는 팀의 주장이며, 로드리고 레이는 부주장이다.

리카르도 보치니는 CA 인데펜디엔테에서 638경기에 출장하여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97골을 기록했다. 아르세니오 에리코는 325경기에서 295골을 넣어 역대 최고 득점자이다. 비센테 데 라 마타는 362경기 152골을 기록했다. 호르헤 부루차가는 1982년부터 1985년, 그리고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인데펜디엔테에서 활약했다.

번호선수포지션활동 기간경기
1 리카르도 보치니미드필더1972–91638
2 리카르도 파보니수비수1965–76423
3 우고 비야베르데수비수1975–89380
4 미겔 앙헬 산토로골키퍼1962–74343
5 기예르모 D. 리오스수비수1984–98338



No.선수포지션활동 기간경기
1 아르세니오 에리코FW1933–1946295325
2 마누엘 세오아네FW1921–23, 1926–33233264
3 비센테 데 라 마타FW1937–50152362
4 루이스 라바시노FW1923–34135285
5 안토니오 사스트레미드필더1923–34112340
6 리카르도 보치니미드필더1972–9197638
7 노르베르토 오우테스FW1975–8090173
에르네스토 그릴로FW1949–5790194
라이문도 오르시FW1920–28, 193590219
8 카밀로 세르비뇨FW1943–49, 1955–5889192
9 다니엘 베르토니FW1973–7780179
10 아니발 타라비니FW1966–7077173



이 외에도 루이스 이슬라스, 파리드 몬드라곤, 레오 프랑코, 카를로스 몬토야, 오스카르 우스타리, 디에고 마티아스 로드리게스, 마르틴 캄파냐 등이 인데펜디엔테를 거쳐갔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6일 기준)

2024년 12월 19일 기준 CA 인데펜디엔테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8] 선수들의 국적 표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른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2DF호아킨 라소ARG
3DF아드리안 스포를레ARG
4DF페데리코 베라ARG
5DF펠리페 로욜라CHI
6DF마르코 펠레그리노ARG
7DF훌리오 부파리니ARG
8MF발타사르 바르시아URU
9FW가브리엘 아발로스PAR
10MF산티아고 톨로사ARG
11MF페데리코 만쿠엘로ARG
13GK마누엘 타소URU
15DF다미안 페레스ARG
16FW산티아고 이달고ARG
17MF루카스 곤잘레스ARG
18FW이그나시오 마에스트로 푸치ARG
19FW알렉스 루나ARG
21MF다비드 마르티네스ARG
23MF이반 마르코네ARG
24FW산티아고 로페스ARG
25GK디에고 세고비아URU
26DF케빈 로모나코ARG
27MF디에고 타르지아ARG
28MF호니 키뇨네스ECU
29DF후안 페도르코ARG
31FW니콜라스 바예호ARG
32FW알렉시스 카넬로ARG
33GK로드리고 레이ARG
34FW마티아스 히메네스ARG
35MF산티아고 살레ARG
42MF세르히오 오르티스ARG
44DF산티아고 몬티엘ARG



마르코 펠레그리노는 AC 밀란에서, 이그나시오 마에스트로 푸치는 아틀레티코 투쿠만에서, 알렉스 루나는 아틀레티코 라파엘라에서, 케빈 로모나코는 레드불 브라간치노에서 각각 임대된 선수이다. 이반 마르코네는 팀의 주장이며, 로드리고 레이는 부주장이다.

4. 2. 과거 유명 선수

리카르도 보치니는 CA 인데펜디엔테에서 638경기에 출장하여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97골을 기록했다. 아르세니오 에리코는 325경기에서 295골을 넣어 역대 최고 득점자이다. 비센테 데 라 마타는 362경기 152골을 기록했다. 호르헤 부루차가는 1982년부터 1985년, 그리고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인데펜디엔테에서 활약했다.

번호선수포지션활동 기간경기
1 리카르도 보치니미드필더1972–91638
2 리카르도 파보니수비수1965–76423
3 우고 비야베르데수비수1975–89380
4 미겔 앙헬 산토로골키퍼1962–74343
5 기예르모 D. 리오스수비수1984–98338



No.선수포지션활동 기간경기
1 아르세니오 에리코FW1933–1946295325
2 마누엘 세오아네FW1921–23, 1926–33233264
3 비센테 데 라 마타FW1937–50152362
4 루이스 라바시노FW1923–34135285
5 안토니오 사스트레미드필더1923–34112340
6 리카르도 보치니미드필더1972–9197638
7 노르베르토 오우테스FW1975–8090173
에르네스토 그릴로FW1949–5790194
라이문도 오르시FW1920–28, 193590219
8 카밀로 세르비뇨FW1943–49, 1955–5889192
9 다니엘 베르토니FW1973–7780179
10 아니발 타라비니FW1966–7077173



이 외에도 루이스 이슬라스, 파리드 몬드라곤, 레오 프랑코, 카를로스 몬토야, 오스카르 우스타리, 디에고 마티아스 로드리게스, 마르틴 캄파냐 등이 인데펜디엔테를 거쳐갔다.

4. 3. 역대 주장

4. 4. 역대 감독

감독임기
아돌포 페데르네라1957, 1969
Máximo Garay1936
Osvaldo Brandão1961–63, 1967
Manuel Giúdice1963–66
Roberto Ferreiro1973–74
호세 파스토리자1976–79, 1983–84, 1985–87, 1990–91, 2003–2004 (재임 중 사망)
미겔 A. 산토로1980, 2001, 2005, 2008 (임시), 2008–2009 (임시)
호르헤 솔라리1987–1989
리카르도 보치니1991
카를로스 프렌1991
미겔 A. 브린디시1994–95, 2013
리카르도 파보니1995
그레고리오 페레스1995–96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1996–1999, 2004, 2005, 2009–2010
리카르도 가레카1997
엔소 트로세로1999–2000
오스발도 피아자2000–2002
네스토르 클라우센2001
아메리코 가예고2001–2003, 2009–2010, 2012–2013
오스카르 루제리2003
오스발도 소사2003
다니엘 베르토니2004
훌리오 팔시오니2005–2006, 2021, 2022
호르헤 부루차가2006–2007
페드로 트로글리오2007–2008
클라우디오 보르기2008
다니엘 가르네로2010
안토니오 모하메드2010–2011
라몬 디아스2011–2012
크리스티안 디아스2012 (임시)
오마르 데 펠리페2013–2014
호르헤 알미론2014–2015
마우리시오 페예그리노2015–2016
가브리엘 밀리토2013–2014, 2016
아리엘 홀란2017–2019
세바스티안 베카세세2019
페르난도 베론2019 (임시), 2021 (임시)
루카스 푸시네리2019–2021
에두아르도 도밍게스2022
레안드로 스틸리타노2023
리카르도 지엘린스키2023
카를로스 테베스2023–2024
훌리오 바카리2024~


5. 우승 기록

국내 대회 우승 기록
대회우승 횟수우승 연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161922, 1926, 1938, 1939, 1948, 1960, 1963, 1967, 1970, 1971, 1977, 1978, 1983, 1988–89, 1994, 2002
코파 이바르구렌21938, 1939
코파 아드리안 C. 에스코바르11939
코파 데 콤페텐시아 (FAF)11914
코파 조키 클럽11917
코파 데 오노르 MCBA11918
코파 데 콤페텐시아 (AAmF)31924, 1925, 1926


5. 1. 국내 대회

(컵 )코파 데 콤페텐시아 (AAmF)3코파 이바르구렌2코파 아드리안 C. 에스코바르1코파 데 콤페텐시아 라 나시온 (FAF)1코파 조키 클럽1코파 데 오노르 MCBA1

5. 1. 1. 리그

5. 1. 2. 컵

5. 2. 국제 대회

CA 인데펜디엔테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7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64년, 1965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그리고 1984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인터콘티넨털컵에서 2회(1973년, 1984년) 우승, 코파 인테라메리카나에서 3회(1973년, 1974년, 1975년) 우승,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2회(1994년, 1995년) 우승,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1회(1995년)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유형대회우승 횟수우승 연도
국제인터컨티넨탈컵 2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7
코파 인터아메리카나 3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
코파 수다메리카나 2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1
스루가 은행 챔피언십 1
코파 알다오 2


6. 기타

6. 1. 라이벌

인데펜디엔테의 가장 큰 라이벌은 같은 아베자네다 지역을 연고지로 하는 라싱 클럽이다. 이 더비 매치는 클라시코 데 아베야네다라고 불린다. 이 대결은 아르헨티나에서 수페르클라시코 (보카 주니어스 대 CA 리버 플레이트) 다음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아르헨티나 국내에서 두 번째로 권위 있는 더비 매치이다. 상대 전적은 1970년대에 인데펜디엔테가 우위를 점한 이후, 계속 우세하다.

그 외에, 보카 주니어스, CA 리버 플레이트,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와의 빅5 간의 대결도 클라시코라고 불리며, 라이벌 관계이다.

6. 2. 유니폼

CA 인데펜디엔테는 1904년 창단 당시 흰색 유니폼에 "IFBC"(Independiente Football Club)라는 약자가 새겨진 파란색 배지를 부착했다.[4][5][6] 이 배지는 세인트 앤드루스 애슬레틱 클럽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1908년부터 붉은색 유니폼을 착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아르헨티나를 방문했던 잉글랜드 팀 노팅엄 포레스트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인데펜디엔테 임원들은 노팅엄 포레스트의 경기에 깊은 인상을 받아 붉은색을 팀의 유니폼 색상으로 채택했다. 붉은색 유니폼은 1908년 5월 10일에 처음으로 선보였다.[4][5][6]

구단의 첫 번째 배지 또한 세인트 앤드류스에서 영감을 얻어 1912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구단은 빨간색 엠블럼으로 변경했다. 로고는 1930년에 다시 변경되었는데, 이는 현재 엠블럼과 가장 유사한 형태이다. 그 이후 몇 차례 수정(사소한 변경 포함)되었다.[7]

기간공급업체가슴 스폰서
1979-1981아디다스없음
1982-1985Topper
1985-1986Mita
1986-1988르꼬끄
1988-1992아디다스
1992-1997AdeS
1997-1998TopperTopper (스포츠 용품)
1999-2000Termidor
2000-2001AdeS
2001-2002없음
2002-2004Taranto
2004-2005엄브로
2005-2006Forjar Salud
2006-2009Grupo Márquez
2009-2011푸마[26]Motomel (오토바이) & 파워에이드 (스포츠 음료)
2011-2012Motomel (오토바이) & Ibupirac
2012-TCL (전기 기기) & Ibupirac


6. 3. 별명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a https://clubaindepen[...] 2021-09-28
[2] 웹사이트 Deportes amateur on Independiente official site http://www.clubainde[...] 2012-05-17
[3] 웹사이트 Centro educativo Independiente https://clubaindepen[...] 2021-01-11
[4] 뉴스 Dos vecinos íntimos https://www.tiempoar[...] Tiempo Argentino 2022-03-15
[5] 뉴스 Independiente y Nottingham Forest unidos para siempre https://www.ole.com.[...] Olé 2010-08-27
[6] 웹사이트 Origen y curiosidades de las camisetas de fútbol argentino http://www.enorsai.c[...] 2020-12-05
[7] 웹사이트 Historia del Escudo de Independiente https://twitter.com/[...] Archivo Fúbol 2022-03-22
[8] 웹사이트 Independiente: Plantel Profesional https://clubaindepen[...] 2021-08-19
[9] 웹사이트 Argentina - List of Topscorers https://www.rsssf.or[...] 2023-02-02
[10] 웹사이트 Sudamérica: Argentina http://www.el-area.c[...] 2010-03-22
[11] 웹사이트 Campeones de Primera División https://www.afa.com.[...] AFA website 2023-02-18
[12]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Campeonato Extraordinario Nocturno 1936: Campeón https://historiadein[...] 2018-03-20
[13] 웹사이트 Independiente Vs Resto del Mundo: Gira Por Sudamerica 1941 - Paraguay http://independiente[...] 2015-10-12
[14]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Gira Por Europa 1953/54 https://historiadein[...] 2013-06-18
[15]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TORNEO INTERNACIONAL DE CHILE 1964: Campeón https://historiadein[...] 2018-04-24
[16]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Gira Por España e Italia 1967 https://historiadein[...] 2018-05-03
[17]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Gira Por España e Italia 1967 https://historiadein[...] 2018-05-03
[18]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Trofeo Villa de Madrid 1981: Campeon https://historiadein[...] 2016-02-20
[19] 웹사이트 Lunar New Year Cup (1908–2011) https://www.rsssf.or[...] the RSSSF 2023-01-07
[20]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TORNEO INTERNACIONAL DE MIAMI 1986: Campeón https://historiadein[...] 2016-03-10
[21] 웹사이트 HISTORIA DE INDEPENDIENTE: COPA DE LAS INSTITUCIONES 1993: Campeón https://historiadein[...] 2016-06-22
[22] 웹사이트 Deportes at C.A. Independiente http://www.clubainde[...] CAインデペンディエンテ公式サイト
[23] 웹사이트 Independiente http://www.fifa.com/[...] 2012-10-01
[24] 문서 なお、CAベレス・サルスフィエルドのスタジアムにエル・フォルティンという愛称を付けたのもマリーニである
[25] 뉴스 インデペンディエンテ、暗黒の時代からの帰還 http://archive.sport[...] スポーツナビ 2010-12-16
[26] 웹사이트 Independiente sign Puma and Powerade kit deals http://www.footballs[...] Football Shirt Culture.com
[27] 웹사이트 ESTUDIO SOBRE EL HINCHA ARGENTINO http://www.emprended[...]
[28] 웹사이트 Independiente: Plantel Profesional https://clubaindepen[...] 2021-08-19
[29] 웹사이트 GArgentine First Division Top Scorers http://www.rsssf.com[...] RSSSF
[30] 웹사이트 Historic Statistics from Argentine First Division http://www.el-area.c[...] El Area.com
[31] 문서 リカルド・ルカレッリ(スポルティーボ・ブエノスアイレス)と同点
[32] 문서 フアン・バウティスタ・コルテーセ(CAサン・ロレンソ・デ・アルマグロ)と同点
[33] 문서 フアン・カステロ(CAロサリオ・セントラル)と同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