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콘티넨털컵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컨티넨탈컵 (축구)은 1960년부터 2004년까지 유럽과 남아메리카 클럽팀 간의 세계 최고 클럽을 가리는 축구 대회였다. 초기에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980년부터는 일본에서 단판 승부로 개최되었고, 토요타 자동차의 후원을 받아 '토요타컵'으로 불리기도 했다. 2000년 FIFA 클럽 월드컵이 개최되면서 인터컨티넨탈컵은 FIFA 클럽 월드컵에 통합되어 2004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고, FIFA는 2017년 이 대회 우승 클럽을 공식 클럽 세계 챔피언으로 승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월 스포츠 행사 -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국제 핸드볼 연맹 주관으로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들이 경쟁하는 국제 대회이며, 1957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루마니아가 유일하게 모든 대회에 참가했고, 소련이 최다 우승, 대한민국도 1995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 - 2004년 폐지된 행사 - WWE 배드 블러드
WWE 배드 블러드는 1997년 시작된 WWE의 페이퍼뷰 이벤트 시리즈로, 헬 인 어 셀 매치와 케인의 데뷔로 유명하며, 2004년 이후 중단되었다가 2024년에 다시 부활하여 개최되었다. - 폐지된 UEFA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UEFA 컵위너스컵
UEFA 컵위너스컵은 1960년부터 1999년까지 유럽 각국의 컵 대회 우승팀들이 참가했던 유럽 3대 클럽 대항전 중 하나였으나, 챔피언스리그 개편으로 위상이 하락하여 UEFA컵에 통합, 폐지되었으며, FC 바르셀로나가 최다 우승, 잉글랜드가 최다 우승 국가이다. - 폐지된 UEFA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UEFA 인터토토컵
UEFA 인터토토컵은 챔피언스리그나 유로파리그 출전 자격이 없는 유럽 클럽들을 위한 여름 클럽 대항전으로, 국제 축구 컵에서 시작하여 UEFA 인수 후 대회 형식이 변경되었으나 2009년 유로파리그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인터콘티넨털컵 (축구)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인터콘티넨털컵 (도요타컵) |
영문 명칭 | Intercontinental Cup |
주최 | FIFA, UEFA, CONMEBOL |
시작 연도 | 1960년 |
종료 연도 | 2004년 |
참가 팀 수 | 2 |
대륙 | 유럽 (UEFA), 남아메리카 (CONMEBOL) |
최다 우승 팀 | 레알 마드리드 (3회) 페냐롤 (3회) 밀란 (3회) 나시오날 (3회) 보카 주니어스 (3회) |
최근 우승 팀 | 포르투 (2004년) |
관련 대회 | 2024년부터 FIFA 인터컨티넨털컵으로 변경됨 |
2. 역사
20세기 후반, 축구가 활발했던 유럽과 남아메리카 두 대륙의 챔피언 클럽팀 간의 경기로, 사실상 "'''세계 최고의 클럽팀'''"을 결정하는 경기였다. 196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1980년부터 토요타 자동차가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토요타컵'''"이라는 통칭으로 불렸다.
이후 다른 4개 대륙이 참가하는 FIFA 클럽 월드컵이 2000년에 시작되면서, 이에 흡수되는 형태로 2004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인터콘티넨털컵은 종료되었고, "토요타컵"이라는 통칭도 FIFA 클럽 월드컵으로 이어졌다.
2025년 대회부터 FIFA 클럽 월드컵이 4년에 한 번 개최되며 각 대륙의 연간 챔피언 외에 강호팀도 참가하는 형태로 개편되면서, 그동안 FIFA 클럽 월드컵에서 열렸던 "6개 대륙의 연간 챔피언만 참가하는, 연간 세계 최고의 클럽팀 결정전"을 계승하는 대회로서, 새롭게 FIFA 인터컨티넨탈컵이 개최될 예정이다.
2. 1. 초기 (1960-1979)
1950년대 프로 축구의 양대 세력이었던 유럽과 남아메리카의 클럽팀 간의 세계 최고 클럽 결정전 계획이 나오기 시작했다. 1956년부터 열리고 있던 유럽의 UEFA 챔피언스컵의 남미 버전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가 우루과이의 제안으로 1960년부터 시작되었고, 이 해에 두 대회의 챔피언이 직접 맞붙는 장으로 제1회 '''인터컨티넨탈컵'''이 개최되었다.초기에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서포터의 과열, 특히 남미에서 과거 종주국에 대한 반감이 증폭되면서 빈번하게 폭동이 일어났다. 선수 이동 일정 등도 점차 문제시되었고, 1970년대부터 유럽 챔피언 클럽들이 원정의 부담 등을 이유로 출전을 잇따라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하여, 1975년과 1978년에는 개최 자체가 중단되었다.
2. 2. 일본 개최와 토요타컵 (1980-2004)
1980년경, "중립적인 제3국에서의 단판 승부라면 안전 문제나 일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그 경기의 개최지로 일본이 떠올랐다. 이 이야기에 니혼 TV와 덴츠가 참여하는 형태로 기획이 시작되었고, 토요타 자동차가 메인 스폰서가 되었다[1]。당초에는 1981년 12월에 제1회 대회를 개최하는 방향으로 조정을 진행했지만, 그 와중에 유럽 챔피언인 노팅엄 포레스트가 UEFA 챔피언스컵 1회전에서 패배하여 일정이 비게 된 점 등이 겹쳐, 결국 일정을 앞당겨 1981년 2월에 제1회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대회명은 '''토요타 유럽/사우스 아메리카 컵''' ('''TOYOTA European/South American Cup'''), 통칭: '''토요타컵'''이 되었다[2]。
대회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경기 개최지 축구 협회인 일본 축구 협회 (JFA)의 승인이 필요했지만, 제1회 대회에서는 JFA 내부에서 "대회 개최는 시기상조"라며 이사회에서 승인을 부결시켰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3]。하지만 이 시점에서 니혼 TV와 덴츠에서는 구체적인 대회 개최 준비를 시작한 상태였기 때문에, 양사는 관계자들을 끈기 있게 설득하여, 다음 이사회에서 승인을 받아내 개최를 성사시켰다[4]。
제2회 대회(1981년)부터는 원래 니혼 TV와 덴츠가 계획했던 12월 개최로 변경되었다. 또한 제15회 대회(1994년) 이후에는 야간 개최가 되었다.
제6회 대회(1985년)에서 유벤투스가 방일한 이후, 대회의 주목도가 높아졌지만, 한편으로는 대회 중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게 되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열린 제8회 대회(1987년)에서는 눈이 내리는 가운데 대회가 열렸고, 주심은 전반이 끝난 단계에서 경기를 중단시키려 했지만, 포르투와 페냐롤 양 팀 선수들은 "절대로 승부를 내겠다"며 경기 속행을 요구했다. 선수들의 요구대로 경기는 속행되었고,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이 벌어졌다 (경기는 2-1로 포르투의 승리). 경기 후, 토요타의 일본 각지의 자동차 딜러와 세계 관계자들로부터 "실로 감동적인 경기였다. 이것이야말로 토요타가 해야 할 스포츠 이벤트다"라는 대회 지속 요청이 쇄도했다. 게다가 대회 스폰서인 토요타 자동차 사장 토요다 쇼이치로 자신이 이 경기를 보고 대회 지속을 결심한 점도 있어, 토요타컵은 계속되었다[5]。
20세기 말에 들어 유럽·남미 이외의 4개 대륙도 FIFA 월드컵에서 활약하게 되면서, 이 4개 대륙을 포함한 전 세계 6개 대륙의 클럽들이 참가하는 세계 최고 클럽 결정전을 개최하려는 움직임이 높아져, 2000년에 FIFA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FIFA 클럽 월드컵으로 개칭)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수 년간 중단되었지만, 2005년부터 인터컨티넨탈컵의 형식을 이어받는 형태로 재개되었고, "토요타컵"이라는 통칭도 계승하게 되어, 인터컨티넨탈컵은 2004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FIFA 클럽 월드컵에 통합되는 형태로 종료되었다.
2. 3. FIFA 클럽 월드컵으로의 통합 (2005-)
20세기 말, 유럽과 남미 이외의 4개 대륙 축구 클럽들이 FIFA 월드컵에서 활약하게 되면서, 이 4개 대륙을 포함한 전 세계 6개 대륙 클럽들이 참가하는 세계 최고 클럽 결정전을 개최하려는 움직임이 높아졌다. 이에 2000년에 FIFA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이후 FIFA 클럽 월드컵으로 개칭)가 개최되었다.[5] 이 대회는 수 년간 중단되었지만, 2005년부터 인터콘티넨털컵의 형식을 이어받는 형태로 재개되었고, "토요타컵"이라는 통칭도 계승하게 되어, 인터콘티넨털컵은 2004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FIFA 클럽 월드컵에 통합되는 형태로 종료되었다.[5]한편, FIFA는 2017년 FIFA 이사회에서 1960년부터 2004년까지 개최된 이 대회의 우승 클럽을 정식 클럽 세계 챔피언으로 승인했다.[6]
3. 진행 방식
1960년부터 1979년까지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2경기 승점제로 진행되었다. 2경기를 치러 승점이 같을 경우에는 2차전을 치른 팀의 홈에서 플레이오프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그 제도는 2차전을 치른 팀에게 유리했기 때문에 1967년부터 플레이오프의 개최지를 2차전을 치른 대륙의 제3국으로 하였고, 1968년부터는 원정 다득점 규칙도 도입되었다.
1980년부터는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2002년부터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에서 1경기만으로 승패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에는 실버골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4. 역대 기록
5 - 1''' || 페냐롤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
| 1961 || 페냐롤 || '''0 - 1
5 - 0
2 - 1''' || 벤피카 ||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1962 || 산투스 || '''3 - 2
5 - 2''' || 벤피카 || 마라카낭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
| 1963 || 산투스 || '''2 - 4
4 - 2
1 - 0''' || 밀란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마라카낭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
| 1964 || 인테르나치오날레 || '''0 - 1
2 - 0
1 - 0''' || 인데펜디엔테 ||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
| 1965 || 인테르나치오날레 || '''3 - 0
0 - 0''' || 인데펜디엔테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
| 1966 || 페냐롤 || '''2 - 0
2 - 0''' || 레알 마드리드|es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
| 1967 || 라싱 || '''0 - 1
2 - 1
1 - 0''' || 셀틱 || 햄던 파크, 글래스고
에스타디오 프레시덴테 후안 도밍고 페론, 아베야네다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1968 || 에스투디안테스 || '''1 - 0
1 - 1'''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 아이레스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
| 1969 || 밀란 || '''3 - 0
1 - 2''' || 에스투디안테스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 아이레스
|-
| 1970 || 페예노르트 || '''2 - 2
1 - 0''' || 에스투디안테스 ||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 아이레스
페예노르트 경기장, 로테르담
|-
| 1971 || 나시오날 || '''1 - 1
2 - 1''' || 파나티나이코스[13] || 카라이스카키스 경기장, 피레아스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1972 || 아약스 || '''1 - 1
3 - 0''' || 인데펜디엔테 ||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올림픽 경기장, 암스테르담
|-
| 1973 || 인데펜디엔테 || '''1 - 0''' || 유벤투스[13] || 스타디오 올림피코, 로마
|-
| 1974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14] || '''0 - 1
2 - 0''' || 인데펜디엔테 ||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비센테 칼데론 경기장, 마드리드
|-
| 1975 || || '''대회 취소'''[15] || ||
|-
| 1976 || 바이에른 뮌헨 || '''2 - 0
0 - 0''' || 크루제이루 || 올림픽 경기장, 뮌헨
미네이랑, 벨루오리존치
|-
| 1977 || 보카 주니어스 || '''2 - 2
3 - 0'''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16] ||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아이레스
빌트파크슈타디온, 카를스루에
|-
| 1978 || || '''대회 취소'''[17] || ||
|-
| 1979 || 올림피아 || '''1 - 0
2 - 1''' || 말뫼[18] || 말뫼 경기장, 말뫼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아순시온
|-
| 1980 || 나시오날 || '''1 - 0''' || 노팅엄 포리스트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1 || 플라멩구 || '''3 - 0''' || 리버풀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2 || 페냐롤 || '''2 - 0''' || 애스턴 빌라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3 || 그레미우 || '''2 - 1
연장전''' || 함부르크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4 || 인데펜디엔테 || '''1 - 0''' || 리버풀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5 || 유벤투스 || '''2 - 2
연장전'''
4 - 2 (PSO)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6 || 리버 플레이트 || '''1 - 0'''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7 || 포르투 || '''2 - 1
연장전''' || 페냐롤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8 || 나시오날 || '''2 - 2
연장전'''
7 - 6 (PSO) || PSV 에인트호번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9 || 밀란 || '''1 - 0
연장전'''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0 || 밀란 || '''3 - 0''' || 올림피아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1 || 츠르베나 즈베즈다 || '''3 - 0''' || 콜로-콜로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2 || 상파울루 || '''2 - 1''' || 바르셀로나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3 || 상파울루 || '''3 - 2''' || 밀란[19]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4 ||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2 - 0''' || 밀란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5 || 아약스 || '''0 - 0
연장전'''
4 - 3 (PSO) || 그레미우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6 || 유벤투스 || '''1 - 0''' || 리버 플레이트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7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2 - 0''' || 크루제이루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8 || 레알 마드리드|es || '''2 - 1''' || 바스쿠 다 가마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9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 - 0''' || 파우메이라스 || 국립경기장, 도쿄
|-
| 2000 || 보카 주니어스 || '''2 - 1''' || 레알 마드리드|es || 국립경기장, 도쿄
|-
| 2001 || 바이에른 뮌헨 || '''1 - 0
연장전''' || 보카 주니어스 || 국립경기장, 도쿄
|-
| 2002 || 레알 마드리드|es || '''2 - 0''' || 올림피아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 2003 || 보카 주니어스 || '''1 - 1
연장전'''
3 - 1 (PSO) || 밀란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 2004 || 포르투 || '''0 - 0
연장전'''
8 - 7 (PSO) || 온세 칼다스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인터콘티넨털컵'''은 1960년부터 2004년까지 매년 열린 축구 대회로, 유럽 챔피언과 남미 챔피언이 맞붙어 세계 최고의 클럽을 가리는 대회였다.
'''역대 우승 클럽 및 국가별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
클럽 | 우승 | 준우승 |
---|---|---|
밀란 | 3 (1969, 1989, 1990) | 4 (1963, 1993, 1994, 2003) |
페냐롤 | 3 (1961, 1966, 1982) | 2 (1960, 1987) |
레알 마드리드 | 3 (1960, 1998, 2002) | 2 (1966, 2000) |
보카 주니어스 | 3 (1977, 2000, 2003) | 1 (2001) |
나시오날 | 3 (1971, 1980, 1988) | 0 |
인데펜디엔테 | 2 (1973, 1984) | 4 (1964, 1965, 1972, 1974) |
유벤투스 | 2 (1985, 1996) | 1 (1973) |
산투스 | 2 (1962, 1963) | 0 |
인테르나치오날레 | 2 (1964, 1965) | 0 |
상파울루 | 2 (1992, 1993) | 0 |
아약스 | 2 (1972, 1995) | 0 |
바이에른 뮌헨 | 2 (1976, 2001) | 0 |
포르투 | 2 (1987, 2004) | 0 |
에스투디안테스 | 1 (1968) | 2 (1969, 1970) |
올림피아 | 1 (1979) | 2 (1990, 2002) |
그레미우 | 1 (1983) | 1 (1995) |
리버 플레이트 | 1 (1986) | 1 (199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 (1999) | 1 (1968) |
라싱 | 1 (1967) | 0 |
페예노르트 | 1 (1970) | 0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 (1974) | 0 |
플라멩구 | 1 (1981) | 0 |
츠르베나 즈베즈다 | 1 (1991) | 0 |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1 (1994) | 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1997) | 0 |
벤피카 | 0 | 2 (1961, 1962) |
리버풀 | 0 | 2 (1981, 1984) |
크루제이루 | 0 | 2 (1976, 1997) |
셀틱 | 0 | 1 (1967) |
파나티나이코스 | 0 | 1 (1971)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0 | 1 (1977) |
말뫼 | 0 | 1 (1979) |
노팅엄 포리스트 | 0 | 1 (1980) |
애스턴 빌라 | 0 | 1 (1982) |
함부르크 | 0 | 1 (1983)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0 | 1 (1985)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0 | 1 (1986) |
PSV 에인트호번 | 0 | 1 (1988)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0 | 1 (1989) |
콜로-콜로 | 0 | 1 (1991) |
바르셀로나 | 0 | 1 (1992) |
바스쿠 다 가마 | 0 | 1 (1998) |
파우메이라스 | 0 | 1 (1999) |
온세 칼다스 | 0 | 1 (2004) |
국명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
9 | 9 | |
7 | 5 | |
6 | 5 | |
6 | 2 | |
4 | 3 | |
3 | 2 | |
3 | 1 | |
2 | 2 | |
1 | 5 | |
1 | 2 | |
1 | 0 | |
0 | 2 | |
0 | 1 | |
0 | 1 | |
0 | 1 | |
0 | 1 | |
0 | 1 |
2004년까지 남미 클럽이 22번, 유럽 클럽이 21번 우승했다. 2005년부터는 FIFA 클럽 월드컵으로 대회 형식이 변경되었다.
4. 1. 경기 결과
5 - 1''' || 페냐롤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
| 1961 || 페냐롤 || '''0 - 1
5 - 0
2 - 1''' || 벤피카 ||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1962 || 산투스 || '''3 - 2
5 - 2''' || 벤피카 || 마라카낭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
| 1963 || 산투스 || '''2 - 4
4 - 2
1 - 0''' || 밀란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마라카낭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
| 1964 || 인테르나치오날레 || '''0 - 1
2 - 0
1 - 0''' || 인데펜디엔테 ||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
| 1965 || 인테르나치오날레 || '''3 - 0
0 - 0''' || 인데펜디엔테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
| 1966 || 페냐롤 || '''2 - 0
2 - 0''' || 레알 마드리드|es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
| 1967 || 라싱 || '''0 - 1
2 - 1
1 - 0''' || 셀틱 || 햄던 파크, 글래스고
에스타디오 프레시덴테 후안 도밍고 페론, 아베야네다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1968 || 에스투디안테스 || '''1 - 0
1 - 1'''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 아이레스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
| 1969 || 밀란 || '''3 - 0
1 - 2''' || 에스투디안테스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 아이레스
|-
| 1970 || 페예노르트 || '''2 - 2
1 - 0''' || 에스투디안테스 ||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 아이레스
페예노르트 경기장, 로테르담
|-
| 1971 || 나시오날 || '''1 - 1
2 - 1''' || 파나티나이코스[13] || 카라이스카키스 경기장, 피레아스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1972 || 아약스 || '''1 - 1
3 - 0''' || 인데펜디엔테 ||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올림픽 경기장, 암스테르담
|-
| 1973 || 인데펜디엔테 || '''1 - 0''' || 유벤투스[13] || 스타디오 올림피코, 로마
|-
| 1974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14] || '''0 - 1
2 - 0''' || 인데펜디엔테 || 리베르타도레스 경기장, 아베야네다
비센테 칼데론 경기장, 마드리드
|-
| 1975 || || '''대회 취소'''[15] || ||
|-
| 1976 || 바이에른 뮌헨 || '''2 - 0
0 - 0''' || 크루제이루 || 올림픽 경기장, 뮌헨
미네이랑, 벨루오리존치
|-
| 1977 || 보카 주니어스 || '''2 - 2
3 - 0'''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16] ||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아이레스
빌트파크슈타디온, 카를스루에
|-
| 1978 || || '''대회 취소'''[17] || ||
|-
| 1979 || 올림피아 || '''1 - 0
2 - 1''' || 말뫼[18] || 말뫼 경기장, 말뫼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아순시온
|-
| 1980 || 나시오날 || '''1 - 0''' || 노팅엄 포리스트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1 || 플라멩구 || '''3 - 0''' || 리버풀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2 || 페냐롤 || '''2 - 0''' || 애스턴 빌라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3 || 그레미우 || '''2 - 1
연장전''' || 함부르크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4 || 인데펜디엔테 || '''1 - 0''' || 리버풀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5 || 유벤투스 || '''2 - 2
연장전'''
4 - 2 (PSO)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6 || 리버 플레이트 || '''1 - 0'''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7 || 포르투 || '''2 - 1
연장전''' || 페냐롤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8 || 나시오날 || '''2 - 2
연장전'''
7 - 6 (PSO) || PSV 에인트호번 || 국립경기장, 도쿄
|-
| 1989 || 밀란 || '''1 - 0
연장전'''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0 || 밀란 || '''3 - 0''' || 올림피아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1 || 츠르베나 즈베즈다 || '''3 - 0''' || 콜로-콜로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2 || 상파울루 || '''2 - 1''' || 바르셀로나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3 || 상파울루 || '''3 - 2''' || 밀란[19]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4 ||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2 - 0''' || 밀란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5 || 아약스 || '''0 - 0
연장전'''
4 - 3 (PSO) || 그레미우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6 || 유벤투스 || '''1 - 0''' || 리버 플레이트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7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2 - 0''' || 크루제이루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8 || 레알 마드리드|es || '''2 - 1''' || 바스쿠 다 가마 || 국립경기장, 도쿄
|-
| 1999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 - 0''' || 파우메이라스 || 국립경기장, 도쿄
|-
| 2000 || 보카 주니어스 || '''2 - 1''' || 레알 마드리드|es || 국립경기장, 도쿄
|-
| 2001 || 바이에른 뮌헨 || '''1 - 0
연장전''' || 보카 주니어스 || 국립경기장, 도쿄
|-
| 2002 || 레알 마드리드|es || '''2 - 0''' || 올림피아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 2003 || 보카 주니어스 || '''1 - 1
연장전'''
3 - 1 (PSO) || 밀란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 2004 || 포르투 || '''0 - 0
연장전'''
8 - 7 (PSO) || 온세 칼다스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참조
[1]
웹사이트
元日本テレビ・プロデューサーに秘められた矜持(1/3)トヨタカップを呼んだ男たち 第2回 坂田信久
http://sportsnavi.ya[...]
2022-07-25
[2]
웹사이트
「ワールドカップを売った男」が語る大会前史(2/3)トヨタカップを呼んだ男たち 第4回 ジャック・K坂崎
http://sportsnavi.ya[...]
2022-07-25
[3]
웹사이트
トヨタカップから2002年への長き道のり(2/3)トヨタカップを呼んだ男たち 第5回 長沼健
http://sportsnavi.ya[...]
2022-07-25
[4]
웹사이트
日本のスポーツイベント黎明期を支えた男の回想(2/3)トヨタカップを呼んだ男たち 第3回 入江雄三
http://sportsnavi.ya[...]
2022-07-25
[5]
웹사이트
日本のスポーツイベント黎明期を支えた男の回想(3/3)トヨタカップを呼んだ男たち 第3回 入江雄三
http://sportsnavi.ya[...]
2022-07-25
[6]
웹사이트
FIFA Council approves key organisational elements of the FIFA World Cup™
https://www.fifa.com[...]
FIFA
2017-10-27
[7]
문서
UEFAチャンピオンズカップ 1970-71의 覇者アヤックス・アムステルダムが出場辞退したため、準優勝のパナシナイコスFCが出場した。
[8]
문서
UEFAチャンピオンズカップ 1972-73の覇者アヤックス・アムステルダムが出場辞退したため、準優勝のユヴェントスFCが出場した。
[9]
문서
UEFAチャンピオンズカップ 1973-74の覇者FCバイエルン・ミュンヘンが出場辞退したため、準優勝のアトレティコ・マドリードが出場した。
[10]
문서
UEFAチャンピオンズカップ 1976-77の覇者リヴァプールFCが出場辞退したため、準優勝のボルシア・メンヒェングラートバッハが出場した。
[11]
문서
UEFAチャンピオンズカップ 1978-79の覇者ノッティンガム・フォレストFCが出場辞退したため、準優勝のマルメFFが出場した。
[12]
문서
UEFAチャンピオンズリーグ 1992-93の覇者オリンピック・マルセイユは八百長事件の責任で、優勝者としての活動を禁止された(ただし優勝記録自体は有効)ため、準優勝のACミランが出場した。
[13]
문서
유럽 챔피언 AFC 아약스가 참가를 포기해서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
[14]
문서
유럽 챔피언 FC 바이에른 뮌헨이 참가를 포기해서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
[15]
문서
FC 바이에른 뮌헨과 CA 인데펜디엔테가 서로 대회 일정을 잡지 못해 무산됨.
[16]
문서
유럽 챔피언 리버풀 FC이 참가를 포기해서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
[17]
문서
보카 주니어스와 리버풀 FC의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리버풀이 아르헨티나 군부 독재 정권에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시하면서 보이콧함.
[18]
문서
유럽 챔피언 노팅엄 포리스트 FC가 참가를 포기해서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
[19]
문서
유럽 챔피언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가 1992-93 프랑스 리그 1 시즌에서 일어난 승부조작, 뇌물 스캔들에 연루되어 출전 자격이 박탈됨에 따라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