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IT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FIT(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통제된 비행의 지형 충돌)는 조종사가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지형이나 장애물과 충돌하는 사고를 의미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조종사 과실, 악천후, 항법 장비의 문제 등이 있으며, 조종사의 상황 인식 상실, 피로, 장비 오작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CFIT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상 접근 경고 시스템(GPWS)과 향상된 지상 접근 경고 시스템(EGPWS)이 개발되었으며, 조종사 훈련, 승무원 간의 소통, 무균 비행 갑판 규칙 등이 활용된다. 주요 CFIT 사고 사례로는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FIT 사고 - 이스턴 항공 980편 추락 사고
이스턴 항공 980편 추락 사고는 1985년 1월 1일 일리마니 산에 추락한 사고로, 악천후 속에서 조종사의 항로 이탈과 지형 미확인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 CFIT 사고 - UPS 항공 1354편 추락 사고
2013년 UPS 항공 1354편은 버밍햄-셔틀 스워스 국제공항 착륙 중 활주로 인근에 추락하여 탑승자 2명 모두 사망했으며, 조사 결과 조종사의 불안정한 접근, 고도 감시 소홀, 피로 누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사고로 결론지어졌다.
| CFIT | |
|---|---|
| 개요 | |
| 정의 | 조종 가능한 항공기가 의도치 않게 지형이나 장애물에 부딪히는 사고 |
| 약어 | CFIT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
| 설명 | 조종사가 항공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에서 발생 기체 결함이나 시스템 오류로 인한 사고가 아님 주로 조종사의 판단 착오, 상황 인식 부족, 항법 오류 등으로 발생 |
| 용어 주의 | Un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UFIT)과 구분해야 함 UFIT은 기체 결함이나 시스템 오류로 인해 조종 불능 상태에서 발생하는 사고 |
| 원인 | |
| 주요 원인 | 조종사의 판단 착오 및 상황 인식 부족 항법 오류 및 절차 미준수 악천후 속에서 무리한 비행 통제되지 않은 시각 비행 (UFIT) |
| 예방 | |
| 기술적 예방책 |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EGPWS (Enhanced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TAWS (Terrain Awareness and Warning System) |
| 운영적 예방책 | 표준 운영 절차 준수 적절한 훈련 및 교육 CRM (Crew Resource Management) 강화 비행 계획 철저 수립 악천후 회피 조종사의 상황 인식 능력 향상 |
| 통계 | |
| 사고 발생 추이 | 항공 안전 기술 발전과 예방 노력으로 인해 CFIT 사고 발생률은 감소하는 추세임 하지만 여전히 항공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 |
| 국제 항공 운송 협회 (IATA) 보고서 | IATA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Accident Analysis Report 2008-2017 Data |
2. 원인
보잉 사에 따르면 CFIT의 원인은 불량한 기상 조건, 정밀하지 못한 탐색, 조종사 오류 등이다.[15] 숙련된 조종사라 해도 CFIT 사고를 낼 수 있으며, 금속 피로, 방향 감각 상실, 통신 불량도 원인의 일부가 될 수 있다. 항법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승무원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다른 장비가 정상 작동하거나 지평선이 보여도 잘못된 경로로 비행할 수 있다.
항공기가 지형에 추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조종사 과실이 가장 흔한 요인이다.[1]
2. 1. 조종사 과실
조종사 과실은 CFIT 사고의 가장 흔한 요인이다.[1] 숙련된 조종사라 해도 CFIT 사고를 낼 수 있다.[15]이러한 사고의 배경에는 종종 조종사의 상황 인식 상실이 있으며, 조종사는 자신의 실제 위치와 고도가 자신 아래 및 바로 앞의 지형과 관련하여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피로는 숙련된 전문가조차도 심각한 오류를 범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CFIT 사고로 이어진다.[6]
CFIT 사고는 공항 접근 또는 이륙 시 가시성이 감소한 조건에서 언덕이나 산과 같은 지형 또는 전파탑과 같은 키가 큰 인공 장애물과의 충돌을 자주 수반한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미묘한 항법 장비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승무원이 감지하지 못하면 제대로 작동하는 장비로부터 받은 다른 정보에도 불구하고 항공기를 부적절하게 유도하도록 오도할 수 있다. CFIT는 공중 살포 및 공중 소방 작업 시 지속적인 위험 요소인데, 이는 조종사에게 익숙하지 않을 수 있는 지형 위를 따라 다양한 경로로 정기적인 저고도 비행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금속 피로나 방향 감각 상실, 통신 불량도 원인의 일부가 될 수 있다.[15]
2. 2. 기상 조건
CFIT 사고는 공항 접근 또는 이륙 시 가시성이 낮은 조건에서 자주 발생하며, 언덕이나 산과 같은 지형 또는 전파탑과 같은 높은 인공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1] 악천후는 조종사의 상황 인식을 방해하여 CFIT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15]2. 3. 항법 장비 문제
항법 장비에 이상이 생겨 승무원들이 이를 알아채지 못하면, 다른 모든 장비가 제대로 된 방향을 가리키거나 지평선이 보여도 잘못된 경로를 탈 수 있다.[15] 미묘한 항법 장비 오작동은 승무원이 감지하지 못하면, 제대로 작동하는 장비에서 받은 다른 정보에도 불구하고 항공기를 부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다.[1]2. 4. 기타
숙련된 조종사도 금속 피로나 방향 감각 상실, 통신 불량 등으로 인해 CFIT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15][6] 항법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승무원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다른 장비가 정상 작동하거나 지평선이 보여도 잘못된 경로로 비행할 수 있다.3. 해결책
CFIT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책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크게 절차 및 훈련, 기술적 해결책으로 나눌 수 있다. 2009년 통계에 따르면 2세대 향상된 지상 접근 경고 시스템(EGPWS) 장비가 장착된 항공기에서는 CFIT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18] 2007년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상업 항공기 중 5%에는 지형 인지 및 경고 시스템(TAWS) 장비가 장착되지 않았으며, 이는 2009년에 일어난 CFIT 사고 두 건을 예측하는 데 기여했다.[18]
3. 1. 절차 및 훈련
적절한 사고 처리 절차, 승무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지상과의 적절한 통신은 CFIT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초기에는 CFIT 사고 예방을 위해 기존의 시계 비행 방식, 조종사 시뮬레이터 훈련, 승무원 자원 관리(CRM), 항공 교통 관제(ATC)의 레이더 감시 등이 활용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CFIT 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데 기여했지만, 사고를 완전히 막지는 못했다.[17]CFIT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지형 인지 및 경고 시스템(TAWS)이 개발되었다. 초기 버전은 레이더 고도계를 사용하는 지상 접근 경고 시스템(GPWS)이었다. 이후 GPS 지형 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되면서 향상된 지상 접근 경고 시스템(EGPWS)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시스템과 더불어 필수 조종사 시뮬레이터 훈련은 CFIT 사고를 예방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7]
소형 항공기는 GPS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지형 경고를 제공한다. GPS 데이터베이스는 인근 지형 데이터를 포함하며, 항공기와의 거리에 따라 가까운 지형을 빨간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한다.[8]
무균 비행 갑판 규칙은 약 3048.00m 미만에서 비행할 때와 같이 비행의 중요한 단계에서 조종실 내 불필요한 활동을 금지하여 조종사의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막는다.[9]
3. 2. 기술적 해결책
지상 접근 경고 시스템(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은 레이다 고도계를 사용하여 지표면으로 접근하는 정도를 알려주어 CFIT 사고를 예방한다. 이후 GPS와 결합하여 더 정밀한 정보를 제공하는 향상된 지상 접근 경고 시스템(EGPWS)이 개발되었다.[17]지형 인지 및 경고 시스템(TAWS)은 초기 버전인 GPWS에서 발전된 시스템이다. GPWS는 레이다 고도계를 사용하여 지형 접근 속도를 계산했다. 여기에 GPS 지형 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되면서 더욱 개선되었으며, 현재는 EGPWS로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은 조종사 시뮬레이터 훈련과 함께 CFIT 사고를 예방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7]
소형 항공기는 GPS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지형 경고를 제공받는다. GPS 데이터베이스에는 인근 지형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항공기에서 거리에 따라 가까운 지형을 빨간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한다.[8] 2009년 통계에 의하면 2세대 EGPWS 장비가 장착된 항공기에서는 CFIT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18]
4. CFIT 사고 사례
CFIT는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인명 피해를 야기한 심각한 사고 유형이다. CFIT 사고는 지금까지 수십 건이 발생했다.
| 발생일 | 항공사 및 사건번호 | 기종 | 발생 위치 | 비고 |
|---|---|---|---|---|
| 1947년8월 2일 | 영국 남아메리카 항공 스타더스트 호 추락 사고 | |||
| 1951년6월 21일 | 범 아메리카 항공 151편 (:en:Pan Am Flight 151) | |||
| 1953년9월 1일 | 에어 프랑스 178편 추락 사고 | |||
| 1956년9월 9일 | 트랜스 캐나다 항공 (현, 에어 캐나다) 810편 (:en:Trans-Canada Air Lines Flight 810) | |||
| 1957년2월 1일 | 노스이스트 항공 823편 (:en:Northeast Airlines Flight 823) | |||
| 1958년12월 24일 | 영국 해외 항공(BOAC) G-AOVD (:en:Air Crash at Winkton G-AOVD 24th Dec 1958) | |||
| 1959년2월 3일 | 아메리칸 항공 320편 (:en:American Airlines Flight 320) | |||
| 1959년 2월 3일 | 미국 아이오와 주 클리어레이크 | 가수 버디 홀리, 리치 발렌스, 빅 보퍼 등 3명을 태운 소형기가 추락. 자세한 내용은 음악이 죽은 날 참조. | ||
| 1960년6월 10일 | 트랜스 오스트레일리아 항공(현, 콴타스 항공) 538편 (:en:TAA Fokker Friendship disaster) | |||
| 1965년8월 16일 | 유나이티드 항공 389편 추락 사고 | |||
| 1965년11월 8일 | 아메리칸 항공 383편 사고 | |||
| 1970년11월 14일 | 사우스 항공 932편 (:en:Southern Airways Flight 932) | 버지니아주 서부, 헌팅턴 근교의 산 | 승무원과 승객 75명 전원 사망 | |
| 1972년6월 14일 | 일본항공 뉴델리 추락 사고 |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와 인도 정부의 견해가 다르며, 일본 정부는 ILS의 전파에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 ||
| 1972년12월 29일 | 이스턴 항공 401편 추락 사고 | |||
| 1973년6월 20일 | 아에로멕시코 항공 229편 추락 사고 | |||
| 1973년7월 31일 | 델타 항공 723편 착륙 실패 사고 | |||
| 1974년12월 1일 | 트랜스 월드 항공 514편 추락 사고 | |||
| 1981년12월 1일 | 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1308편 추락 사고 | 일명 "Mt. San Pietro disaster" | ||
| 1982년1월 18일 | 일명 "Diamond Crash"사고(:en:1982 Thunderbirds Indian Springs Diamond Crash) | |||
| 1983년11월 27일 | 아비앙카 항공 011편 추락 사고 | |||
| 1985년1월 1일 | 이스턴 항공 980편 추락 사고 | |||
| 1988년1월 19일 | 트랜스 콜로라도 항공 2286편 추락 사고 | |||
| 1988년5월 17일 | 아비앙카 항공 410편 추락 사고 | |||
| 1988년10월 19일 | 인디언 항공 113편 추락 사고 | |||
| 1989년2월 8일 | 인디펜던트 항공 1851편 추락 사고 | |||
| 1989년2월 19일 | 플라잉 타이거 라인 66편 추락 사고 | |||
| 1989년6월 7일 | 수리남 항공 764편 추락 사고 | |||
| 1990년2월 14일 | 인도 항공 605편 추락 사고 | |||
| 1992년7월 31일 | 타이 국제 항공 311편 추락 사고 | |||
| 1992년9월 28일 | 파키스탄 국제 항공 268편 추락 사고 | |||
| 1993년12월 1일 | 노스웨스트 에어링크 5719편 추락 사고 | |||
| 1995년11월 12일 | 안셋 뉴질랜드 항공 703편 추락 사고 | |||
| 1995년11월 12일 | 아메리칸 항공 1572편 착륙 실패 사고 | |||
| 1995년12월 20일 | 아메리칸 항공 965편 추락 사고 | |||
| 1996년12월 24일 | 전세 항공기(기체 등록 번호 N388LS)의 CFIT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고. 기체의 잔해는 3년 후인 1999년11월 13일에 발견되었다. | |||
| 2001년11월 24일 | 크로스에어 3597편 추락 사고 | |||
| 2003년9월 14일 | 미국 공군 마운틴 홈 공군 기지(미국 아이다호주) | 건파이터 스카이즈에서 추락 사고. | ||
| 2005년2월 3일 | 캄 항공 904편 (:en:Kam Air Flight 904) | |||
| 2007년11월 30일 | 아틀라스 제트 4203편 (:en:Atlasjet Flight 4203) | |||
| 2008년2월 21일 | 산타바바라 항공 518편 추락 사고 | |||
| 2010년7월 18일 | 에어 블루 202편 추락 사고 | |||
| 2014년7월 23일 | 트랜스아시아 항공 222편 착륙 사고 |
위 표에는 대한민국 국내 사례와 국제적 사례(일본어 위키백과 참고)는 제외되었다.
4. 1. 대한민국 국내 사례
- 아시아나항공 733편: 1993년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발생한 사고로, 악천후 속 무리한 착륙 시도로 인해 발생했다.
- 중국국제항공 129편: 2002년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발생한 사고로, 조종사의 상황 인식 오류와 부적절한 강하 절차로 인해 발생했다.
4. 2. 국제적 사례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 1949년 10월 28일 - 에어 프랑스 록히드 컨스텔레이션 추락 사고(1949년 에어 프랑스 록히드 컨스텔레이션 추락 사고)
- 1972년 10월 13일~12월 23일 - 우루과이 공군기 571편 조난 사고
- 1979년 11월 28일 - 뉴질랜드 항공 901편 에레부스 산 추락 사고
- 1986년 10월 19일 - 모잠비크 대통령 사모라 마셸을 태운 투폴레프 Tu-134가 추락. 대통령을 포함한 34명이 희생되었다.
- 1997년 8월 6일 -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서울발 괌행 보잉 747-300 여객기가 괌 국제공항에 접근하던 중 CFIT로 추락하여 승무원과 승객 228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조종사의 과실, 훈련 부족, 항공사의 안전 불감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발생했다.[1]
- 2013년 7월 6일 - 아시아나항공 214편 착륙 사고
참조
[1]
웹사이트
Boeing: Commercial Airplanes – Jetliner Safety – Industry's Role in Aviation Safety
http://www.boeing.co[...]
2016-10-21
[2]
웹사이트
IATA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Accident Analysis Report, 2008–2017 Data
https://www.iata.org[...]
2018
[3]
웹사이트
Un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UFIT)
http://www.flighttra[...]
[4]
웹사이트
Boeing
http://boeing.mediar[...]
[5]
간행물
Air Force Magazine
Air Force Association
2004-02
[6]
서적
Fundamentals of Aerospace Medicin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7]
웹사이트
Enhanced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 Honeywell Aerospace
https://web.archive.[...]
2009-11-04
[8]
웹사이트
Garmin
https://web.archive.[...]
2010-01-07
[9]
웹사이트
The Cockpit, the Cabin, and Social Psychology
https://www.airlines[...]
airlinesafety.com
2018-05-07
[10]
웹사이트
Boeing: Commercial Airplanes - Jetliner Safety - Industry's Role in Aviation Safety
http://www.boeing.co[...]
[11]
웹사이트
AC 61-134 - FAASafety.gov
http://www.faa.gov/d[...]
연방항공국
[12]
웹사이트
Un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UFIT)
http://www.flighttra[...]
[13]
웹사이트
Boeing Training Aid Addresses Leading Accident Cause
https://boeing.media[...]
2023-06-11
[14]
웹사이트
IATA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Accident Analysis Report 2008-2017 Data
https://www.iata.org[...]
IATA
2023-06-11
[15]
웹인용
Boeing: Commercial Airplanes - Jetliner Safety - Industry's Role in Aviation Safety
http://www.boeing.co[...]
2016-10-21
[16]
웹인용
Un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UFIT)
http://www.flighttra[...]
2011-02-07
[17]
웹인용
Honeywell Aerospace EGPWS Website
http://www51.honeywe[...]
2016-02-09
[18]
웹인용
Forecasts 2009 - Safety and security are in the doldrums
http://www.flightglo[...]
2009-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