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DH-971 광개토대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DH-971 광개토대왕은 1950~60년대 미국 해군으로부터 이관받은 구형 구축함을 대체하기 위해 대한민국 해군이 설계한 광개토대왕급 구축함(KDX-I)의 첫 번째 함선이다. 1996년 10월 27일 진수되어 1998년 7월 24일 실전 배치되었으며, 길이 135.4m, 만재 배수량 3,885톤 규모로, 127mm 함포, 골키퍼 CIWS, 하푼 대함 미사일, 시스패로 함대공 미사일, Mk.48 어뢰 등을 탑재하고 있다. 2006년 림팩 훈련에 참가했으며, 2018년 12월,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에 사격통제 레이더를 조사했다는 사건으로 논란이 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 광개토-III Batch-II
    현대중공업에서 건조 중인 대한민국 해군의 차세대 이지스함인 광개토-III Batch-II는 기존 광개토-III Batch-I에서 탄도탄 대응 능력이 강화되었고 레이더와 음파탐지기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SM-3 도입의 불확실성, 방공 구축함 전력의 열세, SM-6의 요격 고도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 DDH-973 양만춘
    DDH-973 양만춘은 대한민국 해군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번함으로, 노후 구축함 대체 및 해군 전력 투사 능력 향상을 위해 건조되어 2000년 취역 후 림팩 훈련 참가, 자이툰 부대 철수 지원 등의 작전에 참여했으며, 성능 개량 개수를 통해 전투 능력을 향상시켰다.
  • 1996년 선박 - 짜끄리 나르벳 (항공모함)
    HTMS 짜끄리 나르벳은 태국 왕국 해군의 외양 초계 헬리콥터 모함으로, 스페인 해군의 항공모함을 기반으로 건조되었으며, 재해 시 수색 구조 및 경제 수역 감시를 주요 임무로 하지만, 현재는 헬리콥터를 주로 운용하며 제한적인 자체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 1996년 선박 - USS 바탄 (LHD-5)
    USS 바탄 (LHD-5)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바탄 반도 전투에서 이름을 따온 미국 해군의 상륙 강습함으로, 상륙 작전, 특수 작전,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 등을 수행하며, 2024년 홍해 위기에서 드론 격추 임무를 수행했다.
  • 광개토대왕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광개토대왕 - 태왕릉
DDH-971 광개토대왕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순항중인 DDH-971 광개토대왕
순항 중인 DDH-971 광개토대왕
함정 정보
함명광개토대왕 (Gwanggaeto dae-wang)
함번DDH-971
함종구축함
급번KD-1
건조 척수3척
운용 척수3척
제작대우조선해양
진수1996년 10월 27일
배치1998년 7월 24일
이후 함급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제원
배수량3,200톤 (만재 3,900톤)
전장135.4m
선폭14.2m
흘수4.2m
추진 방식CODAG GE LM2500
속력30노트
항속 거리4,500해리
승조원286명
무장
함포OTO Melara 127 mm (5 inch)/54 함포 1문
근접 방어 무기 체계Signaal 30 mm Goalkeeper CIWS 2문
미사일RGM-84D 하푼 4연장 발사기 2기
AIM-7 스패로우 16기
어뢰Mark 46 어뢰용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
탐지 장비
레이다레이시온 AN/SPS-49(V) 2D 레이다
전자전 장비
함재기
항공 장비Mk.99A 슈퍼링크스 2기
기타

2. 개발 배경

KDX-I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미 해군으로부터 이관받은 구형 구축함을 대체하기 위해 대한민국 해군(ROKN)에 의해 설계되었다. 최초의 KDX-I 진수는 대한민국 해군이 마침내 자국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전력을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주요 전환점으로 여겨졌다. 이 함정 진수 이후, 해적에 대한 한국의 국제적 참여와 비전투 군사 작전에 대한 대규모 붐이 일어났다.

3. 진수 및 취역

1996년 10월 27일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거행된 광개토대왕함 진수식에는 김영삼 대통령과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참석했으며, 김영삼 대통령의 영부인 손명순 여사가 대모 역할을 했다.[6] 1998년 7월 24일 실전 배치되었다.[7][3]

4. 제원

GE LM2500 엔진 2기(58,200 마력)
삼영 20V 956 TB 82 2기 (8,000 hp)

4. 1. 주요 무장

4. 2. 전자 장비

레이시온 AN/SPS-49(V) 2D 대공 레이다, 시그널 MW-08 수상 감시 레이다, 대우 SPS-95k 항법 레이다, 시그널 STIR-180 사격통제 레이다를 탑재하고 있다. 피아식별장치인 AN/UPX-27K IFF, ARGOSystems AR 700, ARGOSystems APECS 2 ECM, CSEE DAGAIE MK.2 채프 발사기 4기, SLQ-25 닉시 어뢰 기만기를 갖추고 있다. 전투지휘시스템은 BAe SEMA SSCS MK.7 전투 시스템이며, SWG-1A(v) 하푼통제시스템, MK.91 mod 3 시스패로우 사격통제시스템을 포함한다. 통신시스템은 한국형 해군 전술 데이터 시스템(KNTDS, Korean Naval Tatical Data System) LINK 11을 사용하며, 아틀라스 DSQS-21BZ 헐마운티드 음파탐지기(소나)를 탑재하고 있다.

5. 주요 작전 활동

1996년 10월 27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거행된 진수식에는 김영삼 대통령과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2006년, 림팩 2006에 참가했다.

2018년 12월 20일, 해상자위대 제4항공군 소속 P-1 초계기에 사격통제 레이더를 조사한 사건에 대해 다음날인 21일, 일본 방위성이 발표했다.[4] 대한민국 국방부는 이를 부인했지만, 25일 방위성은 사격통제 레이더 조사를 확인했다고 재차 발표했다. 또한 P-1으로부터의 통신이 미약하여 해양경찰청 함정에 대한 통신으로 인식했다는 한국 측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며, 본 함정에 대해 국제 VHF와 항공용 비상 주파수를 사용하여 함번을 제시하며 호출했음을 밝혔다.(한국 해군 레이더 조사 사건)[5]

6. 사건/사고

2018년 한일 해상 군사 분쟁 당시 독도 북동쪽 100km 해상에서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초계기에 화기통제 레이더를 조준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한국 측은 이를 부인했다.

6. 1. 2018년 한일 해상 군사 분쟁

2018년 12월 20일 오후 3시, 독도 북동쪽 100km 해상에서 북한 어선을 구조하던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해상자위대 항공집단 제4항공군 소속 가와사키 P-1 초계기에 화기통제 레이더를 조사(照射, 쬐어 비춤)했다는 주장이 일본으로부터 제기되었다.[8] 이 사건이 발생한 해상은 한일어업협정에 따라 독도 중간수역으로 설정된 대화퇴 어장구역이다. 일본 초계기는 레이더 경보가 울리자 즉시 기수를 돌렸으나, 몇 분간 레이더 조사가 계속되었다고 한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당시 MW-08은 특정 목표를 겨냥한 조준 모드가 아니라 360도 전방위 탐색 모드로 작동 중이었으며, 근접하는 초계기를 식별하기 위해 STIR-180에 장착된 TV 카메라만 운용했다고 밝혔다.[8]

12월 21일, 일본 방위성은 해상자위대 제4항공군 소속 P-1 초계기에 사격통제 레이더를 조사한 사실을 발표했다.[4] 한국 국방부는 이를 부인했지만, 25일 방위성은 사격통제 레이더 조사를 확인했다고 재차 발표했다. 또한 P-1의 통신이 미약하여 해양경찰청 함정으로 오인했다는 한국 측 주장에 대해, 국제 VHF 및 항공용 비상 주파수로 함번을 호출했다고 반박했다. (한국 해군 레이더 조사 사건)[5]

참조

[1] 웹사이트 ROKS Gwanggaeto the Great (DDH-971) Guided Missile Destroyer / Frigate Warship https://www.military[...] 2020-08-08
[2] 웹사이트 KDX-I Okpo class DDH (Destroyer Helicopter) https://www.globalse[...] 2020-08-08
[3] 웹사이트 Gwanggaeto the Great Class / KDX-I Class Destroyer https://www.naval-te[...] 2020-08-08
[4]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韓国海軍艦艇による火器管制レーダー照射事案について https://www.mod.go.j[...] 2018-12-21
[5]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韓国海軍艦艇による火器管制レーダー照射事案について https://www.mod.go.j[...] 2018-12-25
[6] 뉴스 국산구축함 시대 https://news.kbs.co.[...] 1996-10-28
[7] 뉴스 해군, 한국형구축함 `광개토대왕함' 인수-곧 실전배치 https://n.news.naver[...] 1998-07-24
[8] 뉴스 '적반하장' 日, 군사정보 왜곡해 한국때리기 [특파원+] https://www.segye.co[...] 2018-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