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EPRO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은 전기적으로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1977년 엘리 하라이가 얇은 부동 게이트를 통한 파울러-노드하임 터널링을 이용하여 발명했으며, 1978년 인텔의 조지 퍼레고스가 초기 EPROM 기술을 기반으로 Intel 2816을 개발했다. EEPROM은 모뎀, 비디오 카드, SIM 카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설정 정보 저장에 사용되며, 플래시 메모리의 전신으로 바이트 단위로 지울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휘발성 메모리 - EPROM
    EPROM은 자외선을 사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는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MOSFET의 부유 게이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펌웨어 업데이트가 용이하여 소량 생산에 사용되었으나 EEPROM과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대체되었다.
  • 비휘발성 메모리 -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쓰기 및 삭제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로, 마스오카 후지오 박사가 발명하여 카메라 플래시와 유사한 소거 방식으로 인해 명명되었으며, NOR형과 NAND형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분야에 적용된다.
  • 기억 장치 - EPROM
    EPROM은 자외선을 사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는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MOSFET의 부유 게이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펌웨어 업데이트가 용이하여 소량 생산에 사용되었으나 EEPROM과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대체되었다.
  • 기억 장치 - 정적 램
    정적 램(S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며, 갱신 회로가 필요 없고 빠른 접근 속도를 가지는 휘발성 메모리 유형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EEPROM
기본 정보
유형비휘발성 메모리
쓰기/지우기 횟수 제한100,000 ~ 1,000,000회
보존 기간10년 이상
설명
설명일종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자외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적으로 내용을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설명이전의 EPROM과 비교했을 때 더 유연하고 편리하다.
설명EEPROM은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장치에서 비교적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어왔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EEPROM을 사용하여 구성 매개변수를 저장한다.
기술적 세부 사항
플래시 메모리와의 관계EEPROM 기술은 이후 플래시 메모리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플래시 메모리는 EEPROM과 유사하지만, 전체 메모리 셀 블록을 한 번에 지우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작동 방식EEPROM은 전기장을 사용하여 개별 메모리 셀의 전하를 변경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한다.
응용 분야EEPROM은 BIOS 칩, 펌웨어 저장, 스마트 카드, 원격 키리스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장점 및 단점
장점전기적으로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다.
장점개별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단점쓰기/지우기 횟수에 제한이 있다.
단점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용량이 작고 가격이 비싸다.
추가 정보
Serial Presence Detect (SPD)DRAM 모듈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여기에는 제조업체, 데이터 폭, 속도 및 메모리 타이밍이 포함된다.
Serial Presence Detect (SPD)컴퓨터가 부팅될 때 BIOS 또는 UEFI는 SPD를 읽어 RAM 모듈의 호환성을 확인하고 시스템 설정을 최적화한다.

2. 역사



오늘날의 NOR 타입 FLASH 메모리 셀의 방전 메커니즘


전기적으로 변경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AROM)는 한 번에 하나 또는 몇 개의 비트를 수정할 수 있는 EEPROM의 한 유형이다.[37] 쓰기는 매우 느린 과정이며, 읽기에 사용되는 것보다 높은 전압(일반적으로 약 12 V)이 필요하다. EAROM은 드물게, 부분적으로 다시 쓰기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구형 EEPROM은 애벌런치 항복 기반의 핫 캐리어 주입을 사용했지만, ''FLOTOX''는 부유 게이트와 웨이퍼 사이의 얇은 이산화 규소 층을 통한 Fowler–Nordheim 터널링 핫 캐리어 주입을 사용, 즉 터널 접합을 사용한다.[38]

FLOTOX의 이론적 기반은 오늘날의 플래시 메모리와 동일하며, 각 FLOTOX 구조는 부유 게이트 자체가 하나의 데이터 비트를 프로그래밍하고 지우기 때문에 다른 읽기 제어 트랜지스터와 함께 사용된다.[39]

인텔의 FLOTOX 장치 구조는 EEPROM의 신뢰성(쓰기 및 지우기 사이클의 내구성과 데이터 보존 기간)을 향상시켰으며, 단일 이벤트 효과에 대한 연구 자료도 있다.[40] 오늘날 FLOTOX 장치 구조에 대한 학술적 설명은 여러 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41][42][43]

2. 1. 초기 역사

1970년대 초, 전기적으로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여러 연구, 발명, 개발이 다양한 회사와 단체에 의해 수행되었다.[3]

1971년, 일본 국립 연구소인 전기 기술 연구소(Electrotechnical Laboratory)의 타루이 야스오, 하야시 유타카, 나가이 키요코가 일본 도쿄에서 열린 ''고체 전자공학 제3회 학술 회의''에서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 이들은 1972년에 전기적으로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반도체 소자 제작했으며,[4][5][6] 10년 이상 이 연구를 지속했다.[7]

1972년, IBM은 전기적으로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발명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8]

1974년, NEC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캐리어 주입 장치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11] 이듬해 NEC는 일본 특허청에 "EEPROM®" 상표를 출원했고, 1978년에 승인받았다.[12][13]

이러한 장치의 이론적 기반은 애벌런치 항복 핫 캐리어 주입이다. 일반적으로 1970년대 초 EPROM을 포함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는 데이터 보존 기간 및 소거/쓰기 사이클 수와 같은 신뢰성 및 내구성 문제가 있었다.[14]

도시바,[9][5] 산요(후에 ON Semiconductor),[15] IBM,[16] 인텔(Intel),[17][18] NEC(후에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19] 필립스(후에 NXP 반도체),[20] 지멘스(후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21] Honeywell(후에 Atmel),[22] 텍사스 인스트루먼트,[23]와 같은 주요 반도체 제조사들은 1977년까지 전기적으로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비휘발성 장치를 연구, 발명 및 제조했다.

2. 2. 현대 EEPROM

1974년, 베른바르트가 Fowler–Nordheim 터널링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지우는 최초의 EEPROM을 발명하고 지멘스가 특허를 받았다.[24] 1977년, 휴즈 항공기 회사의 엘리야후 하라리는 부유 게이트와 웨이퍼 사이의 얇은 이산화 규소 층을 통한 Fowler-Nordheim 터널링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적인 EEPROM 기술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53][54][25]

1978년, 인텔의 조지 퍼레고스는 초기 EPROM 기술을 기반으로 Intel 2816을 개발했다. 이 칩은 산화막 층을 사용하여 자외선 없이 칩 자체에서 비트를 소거할 수 있도록 했다.[30] 1980년, 인텔은 ''FLOTOX'' 구조를 공개적으로 소개했는데, 이는 부유 게이트 터널 접합 산화물을 사용했다.[31] ''FLOTOX'' 구조는 바이트당 지우기/쓰기 사이클의 신뢰성을 최대 10,000배까지 향상시켰다.[32]

1981년, 퍼레고스는 Seeq Technology를 설립하여,[34] 장치 내 전하 펌프를 통해 EEPROM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49][50] 1984년, 퍼레고스는 Seeq Technology를 떠나 Atmel을 설립했다.[35][36]

3. EEPROM의 작동 원리 및 구조

EEPROM은 인터페이스에 따라 직렬 버스와 병렬 버스로 나뉜다.


  • 직렬 버스는 보통 SPI, I²C, 1-Wir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8핀 패키지로 구성된다. 동작에는 OP-Code, 주소, 데이터의 3단계가 필요하다.
  • 병렬 버스는 보통 8비트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며 칩 셀렉트와 쓰기 방지 핀을 가지고 있다. 단순하고 빠르게 작동하지만 크기가 크고 핀 수(32개 이상)가 많다.


EEPROM은 모뎀,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서 사용된다. 모뎀의 경우, 사용자가 AT 명령을 통해 설정한 상태가 전원을 껐다 켠 후에도 유지되는데, 이는 EEPROM에 그 상태가 저장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는 EEPROM을 사용하여 점퍼 없이 설정 상태를 저장한다.

3. 1. 작동 원리

EEPROM은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PROM으로, 칩의 한 핀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내부 데이터를 지울 수 있다.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전용 이레이저가 필요하지 않으며, 하나의 롬 라이터를 사용해서 쓰고 지울 수 있다. EEPROM은 전기를 노출시켜 한 번에 1바이트씩만 지울 수 있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매우 느리며, 반복 기록 횟수는 약 10만 번으로 제한된다.

3. 2. FLOTOX 구조

인텔의 FLOTOX 구조는 부유 게이트와 웨이퍼 사이의 얇은 이산화 규소 층을 통한 Fowler–Nordheim 터널링 핫 캐리어 주입을 기반으로 한다. 즉, 터널 접합을 사용한다.[38] FLOTOX 구조는 각 FLOTOX 구조가 부유 게이트 자체로 하나의 데이터 비트를 프로그래밍하고 지우기 때문에 다른 읽기 제어 트랜지스터와 함께 사용된다.[39]

인텔의 FLOTOX 장치 구조는 EEPROM의 신뢰성, 즉 쓰기 및 지우기 사이클의 내구성과 데이터 보존 기간을 향상시켰다.[40] 단일 이벤트 효과에 대한 FLOTOX 연구 자료도 있다.

3. 3. 현대 EEPROM 구조

오늘날 EEPROM은 내장형 마이크로컨트롤러뿐만 아니라 표준 EEPROM 제품에도 사용된다. EEPROM은 메모리의 특정 바이트를 지우기 위해 비트당 2개의 트랜지스터 구조가 필요한 반면, 플래시 메모리는 메모리 영역을 지우기 위해 비트당 1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44]

4. 종류 및 인터페이스

EEPROM은 인터페이스에 따라 직렬 버스와 병렬 버스로 나뉜다. 직렬 버스는 SPI, I²C, 원-와이어 등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8핀 패키지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병렬 버스는 8비트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며 칩 선택 및 쓰기 방지 핀을 가지고 있어 단순하고 빠르게 작동하지만, 크기가 크고 핀 수가 32개 이상으로 많다는 단점이 있다. EEPROM은 모뎀,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서 사용된다.

4. 1. 직렬 버스

SPI, I²C, 마이크로와이어, UNI/O, 1-Wire 등은 EEPROM에 사용되는 직렬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1~4개의 신호선을 사용하며, 8핀 이하의 패키지로 구성된다.

EEPROM의 작동은 OP-Code, 주소, 데이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OP-code는 EEPROM 장치의 시리얼 입력 핀으로 입력되는 처음 8비트이다. (I²C 장치의 경우 대부분 암시적) 그 후 장치의 용량에 따라 8~24비트의 주소가 뒤따르고, 읽기 또는 쓰기 데이터가 이어진다.

각 EEPROM 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에 매핑된 자체 OP-code 명령어 집합을 갖는다. 일반적인 작동은 다음과 같다.

  • 쓰기 활성화 (WRENAL)
  • 쓰기 비활성화 (WRDI)
  • 상태 레지스터 읽기 (RDSR)
  • 상태 레지스터 쓰기 (WRSR)
  • 데이터 읽기 (READ)
  • 데이터 쓰기 (WRITE)


일부 EEPROM 장치는 프로그램, 섹터 지우기, 칩 지우기 등의 추가 작동을 지원하기도 한다.

4. 2. 병렬 버스

병렬 EEPROM은 보통 8비트 데이터 버스와 전체 메모리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주소 버스를 가진다. 대부분 칩 선택 및 쓰기 방지 핀을 가지고 있다. 일부 마이크로컨트롤러에는 병렬 EEPROM이 통합되어 있기도 하다.

병렬 EEPROM의 작동은 직렬 EEPROM에 비해 단순하고 빠르지만, 핀 수가 더 많아(28핀 이상) 장치 크기가 크며, 직렬 EEPROM이나 플래시 메모리에 밀려 인기가 감소하고 있다.

5. 응용 분야

EEPROM은 모뎀,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모뎀의 경우 사용자가 AT 명령으로 설정한 상태가 전원이 꺼졌다 켜진 후에도 유지되는데, 이는 EEPROM이 그 상태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서 점퍼 없이 설정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EEPROM을 사용한다.

실시간 시계, 디지털 가변 저항, 디지털 온도 센서 등과 같은 제품에는 정전 시 사용 가능한 교정 정보 또는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소량의 EEPROM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및 내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기 전에 비디오 게임 카트리지에서 게임 진행 상황과 구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6. 한계 및 보안

SIM 카드


EEPROM 기술은 신용 카드, SIM 카드,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와 같은 일부 보안 장치에 사용되므로, 복제 방지와 같은 보안 보호 메커니즘이 있는 경우가 있다.[44][45]

EEPROM에 저장된 정보는 내구성과 데이터 보존이라는 두 가지 제한이 있다.

6. 1. 한계

EEPROM에 저장된 정보는 재기록 횟수와 정보 보존 기간에 한계가 있다.
내구성재기록 과정에서 플로팅 게이트 MOSFET의 게이트 산화막에 전자가 점차 포획된다.[46] 포획된 전자의 전계는 플로팅 게이트의 전자에 더해져 0과 1의 임계 전압 사이 간격을 줄인다. 충분한 수의 재기록을 반복하면 그 차이가 인식 불가능할 정도로 작아져 셀은 프로그래밍된 상태에 갇히게 된다. 제조업체는 보통 최대 재기록 횟수를 100만 회 이상으로 지정한다.[51]
데이터 보존플로팅 게이트에 주입된 전자는 절연체를 통해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온도가 상승하면 전하 손실을 일으켜 셀이 지워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47]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의 데이터 보존을 보장한다.[52]

6. 2. 보안



EEPROM 기술은 신용 카드, SIM 카드,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와 같은 일부 보안 장치에 사용되므로, 복제 방지와 같은 보안 보호 메커니즘이 있는 경우가 있다.[44][45]

7. 관련 기술

플래시 메모리는 EEPROM의 후속 기술이다. 업계에서는 EEPROM이라는 용어를 바이트 단위로 지울 수 있는 메모리에 사용하고, 블록 단위로 지울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와 구분하는 관례가 있다. EEPROM은 동일한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보다 더 많은 다이 면적을 차지하는데, 이는 각 셀이 일반적으로 읽기, 쓰기 및 지우기 트랜지스터가 필요하지만 플래시 메모리의 지우기 회로는 대규모 셀 블록(일반적으로 512×8)에서 공유되기 때문이다.[43]

FeRAM 및 MRAM과 같은 새로운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은 일부 응용 분야에서 EEPROM을 천천히 대체하고 있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EEPROM 시장의 작은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43]

8.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비교

EEPROM은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PROM으로, 칩의 한 핀에 전기적 신호를 가해 데이터를 지운다. 별도의 이레이저 없이 롬 라이터를 사용해 쓰고 지울 수 있다. 하지만 한 번에 1바이트씩만 지울 수 있어 플래시 메모리보다 속도가 느리고, 반복 기록 횟수도 약 10만 번으로 제한된다.

EEPROM은 인터페이스에 따라 직렬 버스와 병렬 버스로 나뉜다. 직렬 버스는 보통 SPI, I²C, 1-Wir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8핀 패키지로 구성된다. 병렬 버스는 8비트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며, 칩 셀렉트와 쓰기 방지 핀을 가진다. 병렬 버스는 빠르지만 크기가 크고 핀 수가 많다.

EEPROM은 모뎀,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모뎀은 사용자가 설정한 AT 명령을 EEPROM에 저장하여 전원을 껐다 켜도 유지한다.

EPROM과 EEPROM의 주요 차이점은 메모리를 프로그래밍하고 지우는 방식이다. EEPROM은 전계 전자 방출(업계에서는 "Fowler-Nordheim 터널링"으로 더 잘 알려져 있음)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하고 지울 수 있다. 반면, EPROM은 전기적으로 지울 수 없으며, 핫 캐리어 주입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에 프로그래밍된다. EPROM을 지우는 방식은 자외선 광원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EPROM이 자외선에 불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캡슐화되어 있어 "일회용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된다.

플래시 메모리는 EEPROM의 일종으로,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지워 EEPROM보다 칩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업계에서는 바이트 단위 소거 장치를 EEPROM, 블록 단위 소거 장치를 플래시 메모리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2]

FeRAM, MRAM과 같은 새로운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이 EEPROM을 점차 대체하고 있다.[3]

유형게이트에 전자 주입
(대부분 bit=0으로 해석)
지속 시간게이트에서 전자 제거
(대부분 bit=1로 해석)
지속 시간/모드
EEPROM전계 전자 방출0.1ms—5ms, 바이트 단위전계 전자 방출0.1ms—5ms, 블록 단위
NOR 플래시 메모리핫 캐리어 주입0.01ms—1ms전계 전자 방출0.01ms—1ms, 블록 단위
EPROM핫 캐리어 주입3ms—50ms, 바이트 단위자외선5—30 분, 전체 칩

[1]

9. EEPROM 제조사

1970년대 주요 반도체 제조사들은 전기적으로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비휘발성 장치를 연구, 발명 및 제조했다. 다음은 주요 EEPROM 제조사 목록이다.[15][16][17][18][19][20][21][22][23]


참조

[1] 웹사이트 TN-04-42: Memory Module Serial Presence-Detect https://www.micron.c[...] Micron Technology 2002
[2] 웹사이트 serial presence detect (SPD) https://whatis.techt[...] 2015-07
[3] 논문 Proposal of electrically reprogramm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The Japan Society of Applied Physics 1971-09-01
[4] 논문 Electrically reprogramm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1972
[5] 논문 Electrically alterable avalanche-injection-type MOS READ-ONLY memory with stacked-gate structure 1976
[6] 논문 Electrically erasable and r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using the n-channel SIMOS one-transistor cell 1977
[7] 논문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https://www.jstage.j[...] 1974-07-19
[8] 간행물 Method of forming self-aligned field effect transistor and charge-coupled device https://patents.goog[...]
[9] 논문 Avalanche injection type mos memory https://patents.goog[...] 1972-08-31
[10] 간행물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tilizing avalanche injection and extraction of stored information https://patents.goog[...]
[11] 간행물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ttps://patents.goog[...]
[12] 웹사이트 EEPROM https://www.tmdn.org[...]
[13] 웹사이트 Reg. No.1342184 – LIVE – REGISTRATION – Issued and Active https://www.j-platpa[...]
[14] 서적 Advanced Materials Innovation: Managing Glob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
[15] 논문 Electrically reprogrammable nonvolatile floating gat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https://patents.goog[...] 1973-05-18
[16] 논문 US3836992A; Electrically erasable floating gate fet memory cell http://pdfpiw.uspto.[...]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1973-03-16
[17] 논문 Electrically alterable floating gate device and method for altering same https://patents.goog[...] 1973-10-19
[18] 논문 Erasable floating gate device https://patents.goog[...] 1973-02-26
[19] 논문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ttps://patents.goog[...] 1974-12-27
[20] 논문 Atmos—An electrically r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device 1974
[21] 논문 Erasable and electrically r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using the N-channel SIMOS one-transistor cell 1975
[22] 논문 Semiconductor memory cell https://patents.goog[...] 1975-09-08
[23] 논문 DIFMOS—A floating-gate electrically eras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technology 1977
[24] 간행물 Storage field effect transistors https://patents.goog[...]
[25] 웹사이트 1027459330501acc.pdf http://archive.compu[...] 2015-02-05
[26] 논문 Threshold-alterable Si-gate MOS devices 1977-05
[27] 논문 Electrically erasable and r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using the n-channel SIMOS one-transistor cell 1977-05
[28] 웹사이트 Electrically programmable and electrically erasable MOS memory cell https://patents.goog[...] 1977-03-17
[29] 웹사이트 Electrically programmable and erasable MOS floating gate memory device employing tunnel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https://patents.goog[...] 1978-12-15
[30] 서적 Electronic Inventions and Discoveries: Electronics from Its Earliest Beginning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
[31] 서적 1980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Digest of Technical Papers 1980
[32] 서적 19th International Reliability Physics Symposium 1981
[33] 서적 2816A-2 PDF Datasheet - Intel Corporation - Datasheets360.com http://www.datasheet[...] Intel 1983-10
[34] 웹사이트 Seeq Technology » AntiqueTech http://www.antiquete[...]
[35] 논문 Remembering the PROM knights of Intel http://www.eetimes.c[...] 2002-07-02
[36] 서적 Atmel AT28C16 datasheet http://cva.stanford.[...] 1998-10
[37] 서적 Ciarcia's Circuit Cellar https://books.google[...] Circuit Cellar 1981
[38] 간행물 Data Remanence in Semiconductor Devices http://static.usenix[...] IBM T. J. Watson Research Center 2001-08-15
[39] 웹사이트 Fabrication of Floating Gate MOS (FLOTOX) https://www.slidesha[...] 2017-10-24
[40] 웹사이트 SEE Sensitivities of Selected Advanced Flash and First-In-First-Out Memories http://www.ti.com/pd[...] The Aerospace Corporation
[41] 서적 CMOS Process Variations EEPROM Fabrication Technology https://people.rit.e[...] Microelectronic Engineering,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2012-02-22
[42] 서적 Basics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43] 웹사이트 US Patent 5856222: Method of fabricating a high density EEPROM cell https://patents.goog[...] National Semiconductor Corp. 1997-05-05
[44] 학회자료 2017 Euromicro Conference on Digital System Design (DSD) 2017
[45] 웹사이트 Breaking copy protection in microcontrollers https://www.cl.cam.a[...]
[46]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ROHM Semiconductor http://www.rohm.com/[...]
[47] 문서 System Integration - From Transistor Design to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s
[48] 웹사이트 EEPROM http://www.tech-faq.[...]
[49] 웹사이트 Seeq Technology http://www.antiquete[...]
[50] 간행물 Remembering the PROM knights of Intel http://www.eetimes.c[...] 2007-02-08
[51] 웹사이트 FAQ EEPROMとは? http://www.rohm.co.j[...]
[52] 문서 System Integration - From Transistor Design to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s
[53] url http://www.freepaten[...]
[5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rchive.compu[...] 2016-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