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 규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산화 규소(SiO₂)는 가장 흔한 규소 화합물로, 자연계에서 석영의 형태로 널리 발견되며, 지구 지각의 약 10% 이상을 차지한다.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석영, 트리디마이트, 크리스토발라이트 등 여러 다형체를 형성한다. 이산화 규소는 건설, 유리 제조, 반도체, 화장품, 식품 첨가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분진 형태의 결정질 이산화 규소 흡입은 규폐증, 폐암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작업 환경에서의 노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소 화합물 - 실리콘
실리콘은 실록산 결합을 주 골격으로 하는 유기규소 화합물인 폴리실록산으로, 다양한 유기 치환기를 포함하여 여러 특성을 지니며,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지만, 일부 고리형 실록산의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우려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규소 화합물 - 탄화 규소
탄화규소는 탄소와 규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다형체로 존재하며, 연마재, LED, 고성능 전력 반도체, 방탄복, 보석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그래핀 생산과 양자 정보 과학 분야에서도 주목받는 반도체 재료이다. - 내화물 -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나노미터 크기의 튜브로, 뛰어난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단일벽과 다중벽으로 구분되고, 아크 방전 등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 내화물 - 탄화 규소
탄화규소는 탄소와 규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다형체로 존재하며, 연마재, LED, 고성능 전력 반도체, 방탄복, 보석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그래핀 생산과 양자 정보 과학 분야에서도 주목받는 반도체 재료이다. - 이산화 규소 - 규암
규암은 석영 결정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변성암 또는 퇴적암으로, 건축자재와 산업용 원료로 사용되며, 채석 및 가공 시 발생하는 실리카 먼지는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 이산화 규소 - 쿼츠 시계
쿼츠 시계는 수정 조각의 진동을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며, 정확하고 저렴하지만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고, 시계 산업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산화 규소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IUPAC 이름 | 이산화 규소 |
다른 이름 | 석영 실리카 규산 산화물 사산화 규소 결정질 실리카 순수 실리카 실리세아 규사 |
화학식 | SiO₂ |
몰 질량 | 60.08 g/mol |
외관 | 투명 또는 흰색 |
밀도 | 2.648 (α-석영), 2.196 (무정형) g·cm⁻³ |
녹는점 | 1713 °C (무정형) |
끓는점 | 2950 °C |
굴절률 | 1.544 (o), 1.553 (e) |
열전도율 | 12 (c축), 6.8 (⊥ c축), 1.4 (무정형) W/(m·K) |
자기 감수율 | -29.6·10⁻⁶ cm³/mol |
CAS 등록번호 | 7631-86-9 |
PubChem CID | 24261 |
ChemSpider ID | 22683 |
UNII | ETJ7Z6XBU4 |
EINECS 번호 | 231-545-4 |
KEGG | C16459 |
MeSH 이름 | Silicon+dioxide |
ChEBI | 30563 |
RTECS 번호 | VV7565000 |
Gmelin 번호 | 200274 |
표준 InChI | 1S/O2Si/c1-3-2 |
표준 InChIKey | VYPSYNLAJGMNEJ-UHFFFAOYSA-N |
위험성 | |
NFPA 704 | 건강: 0 화재: 0 반응성: 0 |
즉시 생명 및 건강에 위험한 농도 (IDLH) | 3000 mg/m³ (무정형); Ca [25 mg/m³ (크리스토발라이트, 트리디마이트); 50 mg/m³ (석영)] |
권장 노출 한계 (REL) | TWA 6 mg/m³ (무정형); Ca TWA 0.05 mg/m³ |
허용 노출 한계 (PEL) | TWA 20 mppcf (80 mg/m³/%SiO₂) (무정형)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이산화물 | 이산화 탄소 이산화 저마늄 이산화 주석 이산화 납 |
다른 화합물 | 일산화 규소 이황화 규소 |
열화학 | |
표준 생성 엔탈피 (ΔHf) | −911 kJ·mol⁻¹ |
엔트로피 | 42 J·mol⁻¹·K⁻¹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IUPAC 이름 | 이산화 규소 |
일본어 다른 이름 | 석영 시리카 무수 규산 |
일본어 CAS 등록번호 | 7631-86-9 (시리카) 14808-60-7 (석영) 14464-46-1 (크리스토발라이트) 15468-32-3 (린규석) 112926-00-8 (실리카겔, 침강 실리카) 60676-86-0 (석영 유리) |
일본어 일화사전 번호 | J43.598H |
일본어 KEGG | C19572 (비정질) C16459 (석영) D06521 (무수) |
일본어 밀도 | 2.196 g/cm³ (석영 유리) |
일본어 녹는점 | 1650 ± 75 °C |
일본어 끓는점 | 2230 °C |
일본어 용해도 | 0.012 g/100 mL (°C) |
일본어 외부 SDS | 결정질 시리카 (석영) 결정질 시리카 (크리스토발라이트) 결정질 시리카 (트리디마이트) 비정질 시리카 (실리카겔, 침강 실리카) 비정질 시리카 (석영 유리) |
일본어 눈 위험성 | 경우에 따라 위험성이 있음. |
일본어 NFPA 704 | 건강: 0 화재: 0 반응성: 0 |
한국어 정보 | |
한국어 다른 이름 | 규산 실리카 |
한국어 외관 | 투명한 고체 (무정형) 백색/백색을 띄는 황색 (가루/모래) |
2. 성질
이산화 규소는 플루오린화 수소 기체 또는 플루오린화 수소산 액체와 반응하여 각각 사플루오린화 규소나 플루오린화 규소산을 생성한다. 고체 상태의 수산화 나트륨과 가열하면 규산 나트륨이 생성된다.[95]
대부분의 이산화 규소에서 규소 원자는 사면체 배위를 나타내며, 중앙 Si 원자를 둘러싸고 있는 4개의 산소 원자가 있다. SiO2는 각 규소 원자가 4개의 산소 원자에 사면체 방식으로 공유 결합되어 있는 3차원 네트워크 고체를 형성한다. 이는 이중 결합 규칙에 따라 선형 분자인 CO2와는 대조적인 구조이다.
이산화 규소는 크게 결정질과 비결정질(무정형)의 두 가지로 나뉜다. 결정질 이산화 규소는 석영, 트리디마이트, 크리스토발라이트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구조가 변한다. α-석영에서 Si–O 결합 길이는 161 pm인 반면, α-트리디마이트에서는 154–171 pm 범위이다. Si–O–Si 각도는 α-트리디마이트에서 140°의 낮은 값부터 β-트리디마이트에서 180°까지 다양하다. α-석영에서 Si–O–Si 각도는 144°이다.
2. 1. 결정 다형
이산화 규소(SiO₂)는 온도와 압력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결정 다형체를 가진다. 이러한 다형체들은 서로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며, 각각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형태 | 결정 대칭 피어슨 기호, 군 번호 | 밀도 (g/cm³) | 구조 | 특징 |
---|---|---|---|---|
α-석영 | 삼방정계 hP9, P3121 No.152[84] | 2.648 | ![]() | 나선형 사슬 구조, 상온에서 가장 안정적, 573℃에서 β-석영으로 전환[11] |
β-석영 | 육방정계 hP18, P6222, No. 180[85] | 2.533 | ![]() | α-석영과 유사, 870℃에서 β-트리디마이트로 전환 (고순도에서는 β-크리스토발라이트로 직접 전환)[109] |
α-트리디마이트 | 사방정계 oS24, C2221, No.20[86] | 2.265 | ![]() | 정상 압력에서 준안정 상태 |
β-트리디마이트 | 육방정계 hP12, P63/mmc, No. 194[86] | - | ![]() | 1470℃에서 β-크리스토발라이트로 전환 |
α-크리스토발라이트 | 정방정계 tP12, P41212, No. 92[87] | 2.334 | ![]() | 정상 압력에서 준안정 상태 |
β-크리스토발라이트 | 입방정계 cF104, Fd3m, No.227[88] | - | ![]() | 1705℃에서 용융 |
코에사이트 | 단사정계 mS48, C2/c, No.15[91] | 2.911 | ![]() | 고압 조건 (2~3 GPa, 500~800℃)에서 생성,[112][113] 운석 충돌 크레이터나 초고압 변성암에서 발견[117][118] |
스티쇼바이트 | 정방정계 tP6, P42/mnm, No.136[92] | 4.287 | ![]() | 초고압 조건 (10 GPa 이상, 1200℃)에서 생성,[114] 운석 충돌 크레이터에서 발견,[115][116] 지구 맨틀 전이층~하부 맨틀 환경에서 안정[119][120][121] |
자이페르트석 | 사방정계 oP, Pbcn[93] | 4.294 | ![]() | 극초고압 조건 (40 GPa 이상)에서 생성,[94] 월석, 화성 운석에서 발견[122][123] |
이산화 규소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상전이를 겪는다.[107][108]
- 가열 시: α-석영 → β-석영 → β-트리디마이트 → β-크리스토발라이트 → 용융
- 냉각 시: β-트리디마이트 → α-트리디마이트, β-크리스토발라이트 → α-크리스토발라이트
압력에 의한 상변화는 다음과 같다.
- 고압 조건: 석영 → 코에사이트 → 스티쇼바이트 → 자이페르트석
2. 2. 자연계에서의 존재
이산화 규소는 지구 지각 질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석영으로 자연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19] 석영은 지구 표면에서 안정적인 실리카의 유일한 다형체이다. 코에사이트와 스티쇼바이트는 충돌 구조 주변과 초고압 변성작용 동안 형성된 에클로자이트와 관련하여 준안정적으로 발견되었다. 트리디마이트와 크리스토발라이트의 고온 형태는 실리카가 풍부한 화산암에서 알려져 있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실리카는 모래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20]자연계에서 규소는 대부분 이산화 규소(silica) 형태로 존재하며, 가장 흔한 형태는 석영이다. 모래의 주성분이며, 유리의 원료가 되는 규사나 규석도 이산화 규소로 구성되어 있다.[124] 지각에는 다량의 이산화 규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지구 표면의 약 6할이 이산화 규소를 포함하는 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천연수나 수돗물에도 이산화 규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함유량은 용천수나 지하수가 많고, 빗물이 섞이는 댐 물이나 하천수는 적은 경향이 있다. 또한, 물맛에도 영향을 미치며, 함유량이 많을수록 맛이 없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125]
2. 3. 생물학적 측면
규조류, 방산충, 피낭성 아메바는 껍질 또는 규산질 껍질을 가진다.[6] 많은 식물은 세포 내에 실리카 식물규산체를 가지고 있는데, 속새과[26], 많은 풀, 그리고 다양한 쌍자엽식물 등이 이에 해당한다.[25][27][28] 해면동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편도 실리카로 이루어져 있다.[29]이처럼 생물 중에는 이산화규소 형태로 유리질 골격이나 껍질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일부 양치식물, 벼과 식물, 선태식물 등은 규산체를 가지고 있으며, 규조류, 방산충 등은 골격을, 고초균은 포자 형성에 이산화규소를 이용한다. 또한, 식물은 일반적으로 이산화규소를 통해 성장 촉진, 환경 스트레스 감소, 병해충 저항성 향상 등의 효과를 얻는다. (''식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영양소_(식물)#규소 참고.'')
실리카는 용해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벼와 같은 많은 식물에서 발견된다. 실리카 식물규산체 함량이 높은 식물은 씹는 곤충부터 유제류까지 초식 동물에게 중요하며, 치아 마모를 가속화한다. 초식동물이 자주 먹는 식물에 높은 수준의 실리카가 존재하는 것은 포식에 대한 방어 기전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21][22]
벼짚재의 주요 구성 요소도 실리카이다.[23] 세포 내 및 세포에 의한 규화 작용은 박테리아, 원생생물, 식물 및 동물(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 등 생물계에서 흔하게 나타난다.[24]
2. 4. 인체 내에서의 작용
인체에서는 실리카(silica)가 거의 흡수되지 않으며, 간이나 신장에 축적되는 경우도 거의 없다. 물이 첨가된 오르토규산(orthosilicic acid)이 혈중에 약 1ml당 1μg 비율로 흡수되지만, 단백질과는 반응하지 않고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된다.[126] 식품을 통해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체내 실리카 농도는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 30대가 되면 태어났을 때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하기 때문에, 실리카가 노화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127]3. 구조
대부분의 이산화 규소에서 규소 원자는 사면체 배위를 나타내며, 4개의 산소 원자가 중앙의 Si 원자를 둘러싸고 있다.[7][8] SiO2는 각 규소 원자가 4개의 산소 원자와 사면체 방식으로 공유 결합을 하는 3차원 네트워크 고체를 형성한다.[7][8]
결정 구조의 차이에 따라 이산화 규소는 결정질과 비결정질(비정질)로 나눌 수 있다. 결정질 형태는 석영, 트리디마이트(고온 형태), 크리스토발라이트(고온 형태), 스티쇼바이트(고압 형태), 코에사이트(고압 형태) 등으로 발견된다.[10]
이러한 결정 형태들은 Si와 O 주변의 국부 구조는 동일하다. α-석영에서 Si–O 결합 길이는 161 pm인 반면, α-트리디마이트에서는 154–171 pm 범위이다. Si–O–Si 각도는 α-트리디마이트에서 140°의 낮은 값부터 β-트리디마이트에서 180°까지 다양하며, α-석영에서는 144°이다.[67]
이산화 규소는 석영 등의 광물에 대표되는 결정성 이산화 규소와 실리카겔·미소성의 규조토 등에 존재하는 비결정성 이산화 규소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결정성 이산화 규소는 공유결합결정이며, 규소 원자를 중심으로 하는 정사면체 구조가 산소 원자를 매개로 무수히 연결된 구조이며, 압력이나 온도 등의 생성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결정다형)를 취한다.
상 | 결정 대칭성 피어슨 기호, 공간군 번호 | 밀도, ρ (g/cm3) | 주석 | 구조 |
---|---|---|---|---|
α-석영 α-quartz | 삼방정계 hP9, P3121 No.152[129] | 2.648 | 거울상 이성질체가 있으며, 573℃에서 β-석영으로 변태 | |
β-석영 β-quartz | 육방정계 hP18, P6222, No. 180[130] | 2.533 | 거울상 이성질체가 존재 | |
α-트리디마이트 α-tridymite | 사방정계·단사정계[110] oS24, C2221, No.20[131] | 2.265 | 상압 하에서 준안정 상태 | |
β-트리디마이트 β-tridymite | 육방정계 hP12, P63/mmc, No. 194[131] | α-트리디마이트와 상호 변환, 2010K에서 β-크리스토발라이트로 변태 | ||
α-크리스토발라이트 α-cristobalite | 정방정계 tP12, P41212, No. 92[132] | 2.334 | 상압 하에서 준안정 상태 | |
β-크리스토발라이트 β-cristobalite | 입방정계 cF104, Fd3m, No.227[133] | α-크리스토발라이트와 상호 변환, 1978 K에서 용융 | ||
키아타이트(Keatite) | 정방정계 tP36, P41212, No. 92[134] | 3.011 | Si5O10, Si4O14, Si8O16 고리 | ![]() |
모간석(Moganite) | 단사정계 mS46, C2/c, No.15[135] | Si4O8 및 Si6O12 고리 | ![]() | |
코에사이트(Coesite) | 단사정계 mS48, C2/c, No.15[136] | 2.911 | Si4O8 및 Si8O16 고리 | |
스티쇼바이트(Stishovite) | 정방정계 tP6, P42/mnm, No.136[137] | 4.287 | 루틸형 구조 | |
자이퍼타이트(Seifertite) | 사방정계 oP, Pbcn[138] | 4.294 | 40 GPa에서 얻어짐[139] | |
멜라노프로가이트(Melanophlogite) | 입방정계 (cP*, P4232, No.208)[140] 또는 정방정계 (P42/nbc)[141] | 2.04 | Si5O10, Si6O12 고리, 포접화합물[142] | -- |
섬유상 W-실리카[143] | 사방정계 oI12, Ibam, No.72[144] | 1.97 | 황화규소와 같은 사슬 모양 | ![]() |
2차원 실리카(2D silica)[145] | 육방정계 | 시트 모양의 2차원 구조 | ![]() |
4. 반응
플루오린화 수소 기체 또는 플루오린화 수소산과 반응하면 각각 사플루오린화 규소(silicon tetrafluoride) 또는 플루오린화 규소산(hexafluorosilicic acid)이 생성된다.[18] 고체 상태의 수산화 나트륨과 함께 가열하면 규산 나트륨(sodium silicate)이 생성된다.[18]
고온에서 탄소와 환원 반응을 통해 실리콘으로 변환된다.
플루오르는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SiF₄와 O₂를 생성하지만, 다른 할로겐 기체(Cl₂, Br₂, I₂)는 반응하지 않는다.[37]
대부분의 이산화규소 형태는 불화수소산(HF)에 의해 부식되어 헥사플루오로규산을 생성한다.[67]
:
스티쇼바이트는 HF와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63] 반도체 산업에서는 HF를 사용하여 이산화규소를 제거하거나 패턴을 형성한다.
이산화규소는 특정 조건에서 염기와 반응할 수 있는 룩스-플루드 산으로 작용한다. 수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무수 이산화규소는 직접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으로 작용할 수 없다. 이산화규소는 저농도 또는 중성 pH의 물에는 용해도가 낮다(일반적으로 석영의 경우 2 × 10⁻⁴ M, 암석질 칼세도니의 경우 최대 10⁻³ M). 그러나 강염기는 유리와 반응하여 쉽게 용해시킨다. 따라서 강염기를 보관할 때는 플라스틱 병을 사용하여 병뚜껑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의 무결성을 유지하며, 규산 음이온에 의한 불필요한 오염을 방지해야 한다.[64]
이산화규소는 고온의 진한 알칼리 또는 융융 수산화물에 용해된다.[37]
:
이산화규소는 염기성 금속 산화물(예: 산화나트륨, 산화칼륨, 산화납(II), 산화아연 또는 산화물 혼합물)을 중화시켜 실리카의 Si-O-Si 결합이 순차적으로 끊어지면서 규산염과 유리를 형성한다.[67] 예를 들어, 산화나트륨과 SiO₂의 반응은 반응물의 비율에 따라 오르토규산나트륨, 규산나트륨 및 유리를 생성할 수 있다.[5]
:
:
:
이러한 유리의 예로는 소다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 납유리와 같이 상업적으로 중요한 것들이 있다. 이러한 유리에서 실리카는 네트워크 형성제 또는 격자 형성제로 불린다.[67] 이 반응은 또한 용광로에서 산화칼슘과의 중화 반응을 통해 규산칼슘 슬래그를 형성하여 광석의 모래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이산화규소는 고온에서 질소 기체 하에서 환류 가열된 에틸렌글리콜 및 알칼리 금속 염기와 반응하여 반응성이 높은 5배위 규산염을 생성하며, 이는 다양한 새로운 실리콘 화합물을 얻는 데 이용된다.[65] 규산염은 극성 용매에서는 메탄올을 제외하고는 거의 불용성이다.
이산화규소는 고온에서 원소 실리콘과 반응하여 SiO를 생성한다.[67]
:
이산화규소는 플루오르화수소(HF) 기체 또는 플루오르화수소산(HF(aq))과 반응하여 각각 사플루오르화규소(SiF₄), 헥사플루오로규산(H₂SiF₆)을 생성한다.
:
:
또한, 고체 수산화나트륨(NaOH)과 가열하면 규산나트륨이 생성된다. 규산나트륨에 물을 가하여 가열하면 물유리가 된다.
:
5. 용도
이산화 규소는 반도체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게이트 채널 절연을 위한 얇은 층으로 사용된다.[47] 치약의 연마제 성분으로 사용되는 무수규산(덴탈타입실리카) 제조에도 쓰인다.[42][43]
5. 1. 산업 분야

이산화 규소(모래)는 건설업에서 약 95%가 사용되며,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 생산에 쓰인다.[19] 벼짚재의 주요 구성 요소로, 시멘트와 콘크리트 제조에서 보조 시멘트 재료(SCM)로 사용된다.[23] 금속 제품의 사형 주조에도 적합한 특정 실리카 모래가 사용되며, 높은 녹는점 덕분에 주철 주조에도 활용된다.[30] 셰일가스와 타이트 오일을 함유한 지층의 수압 파쇄에도 결정질 실리카가 사용된다.[31]
유리 생산의 주요 성분이며, 다른 광물과 함께 녹여 혼합물의 녹는점을 낮추고 유동성을 높인다. 순수 SiO₂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1475 K이다.[32] 대부분의 세라믹 유약에도 실리카가 주성분으로 사용된다.[34]
통신용 광섬유의 대부분과 도자기, 석기, 자기와 같은 세라믹의 주요 원료로도 쓰인다.
원소 실리콘 생산에도 사용되며, 전기 아크로에서 탄소열 환원 반응을 통해 제조된다.[36]
:
실리카 흄은 SiCl₄를 산소가 풍부한 수소 화염에서 연소시켜 만들거나,[37] 3000 °C의 전기 아크에서 석영 모래를 기화시켜 생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리카 흄은 틱소트로픽 증점제 또는 항결합제 역할을 하며, 친수성 또는 소수성으로 처리하여 물 또는 유기 용액에 사용 가능하다.
실리카 흄은 실리콘과 페로실리콘 합금 생산의 부산물로, 고성능 콘크리트의 포졸란 재료로 쓰인다.[39] 실리카 흄 나노입자는 아스팔트 바인더의 노화 방지제로도 활용된다.[39]
MOS 기술에서 초기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되며, 현재는 이산화규소보다 유전율이 더 높은 하프늄 산화물과 같은 다른 유전체 재료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금속(배선) 층 사이의 유전체 층이나 반도체 소자와 금속화 층을 보호하는 이차 패시베이션 층으로도 사용된다.
갈륨 비소나 인듐 인화물과 같은 다른 반도체에 비해 실리콘의 자연 산화물인 이산화규소가 더 널리 사용된다. 실리콘 반도체 표면에 성장시켜 확산 공정 중 실리콘 표면을 보호하고 확산 마스킹에 사용할 수 있다.[45][46] 열산화(이산화규소)에 의한 실리콘 표면 패시베이션 공정은 반도체 산업에서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와 실리콘 집적 회로 칩( 평면 공정 사용) 제조에 매우 중요하다.[47][49]
소포제 성분으로 소수성 실리카가 사용되며, 고온 열보호 직물을 위한 섬유 형태로도 활용된다.[50]
실리카 에어로겔은 스타더스트 우주선에서 외계 입자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었다.[52]
규산을 겔화한 실리카겔(SiO₂ 순도 99.5% 이상)은 건조제, 탈취제, 농업 비료, 건축용 조습제 등으로 사용된다. 전자재료 기판이나 실리콘 웨이퍼 등의 연마재로 사용되는 콜로이달실리카, 내열 기구, 실험기구 및 광섬유의 원료로 사용되는 규사, 규석 등을 용융한 후 냉각하여 유리화한 석영유리, 수지의 보강재, 연마재, 의약품 첨가제, 증점제, 농약 등의 침전 방지제 등에 사용되는 흄드 실리카,[146] 단열재로 사용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도자기 등의 제조에는 석영이 원료로 사용되며,[147] 타이어 원료로는 침강 실리카가 고무에 보강 충전제로 배합된다. 전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구 내부에 눈부심을 방지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목적으로 도료로 도포된다.[148]
페로실리콘과 같은 고온 공정의 부산물로 얻어지는 실리카 흄은 시멘트에 섞는 포졸란으로 이용된다. 또한 특수한 용도로 전차 등의 복합장갑에 세라믹 형태로 금속 사이에 끼워 사용되기도 한다.
금속 실리콘 제조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탄소 환원법:
5. 2. 화장품 및 의약품
미립 이산화 규소는 일반적인 분말에 비해 흡수성이 낮다. 이를 이용하여 아이섀도나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에서 습기로 인한 굳음을 방지하는 역할로 사용되며, 크림이나 유액의 안정화에도 사용된다. 또한 경도가 높아 치약의 연마제로 사용되기도 한다.[42][43] 의약품에서는 정제용 분말의 유동성을 높이거나, 정제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코팅제, 연고·유액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된다.5. 3. 식품 첨가물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와인, 맥주, 주스의 청징제로 사용되며, '''E551'''이라는 E 번호를 가지고 있다.[19] 주로 향신료나 무유 크리머와 같이 분말 형태의 식품 또는 의약품 정제로 성형될 분말의 유동성 향상제 또는 방결제로 사용된다.[38] 또한 흡착을 통해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성 응용 분야에도 사용된다.식품첨가물은 그 흡착성을 이용하여 맥주, 청주, 미린과 같은 발효식품이나 식용유, 간장, 소스 등의 여과 공정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설탕, 통조림 등의 제조 공정에도 사용된다. 미세한 이산화규소는 흡습·건조제로도 사용된다. 특히, 볶음김 등 분말 형태의 식품에는 습기로 인한 덩어리짐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는 "모유 대체 식품 및 이유식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사용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151]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비결정성 이산화규소는 체내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이 대변으로 배출되므로 신체에 영향은 없지만, 고농도를 장기간 섭취한 경우 유해성이 시사되고 있다.[162][163]
이산화규소(SiO₂)의 다공질 및 흡착 능력 등을 이용하여 여과용 식품첨가물로 사용된다. 맥주를 비롯한 주류의 탁도 제거 및 조미액 등의 침전물 제거, 맥주 거품 유지 개선에 사용된다. 이러한 여과 보조제로서의 이산화규소는 불용성이므로 여과 과정에서 제거된다.
5. 4. 기능성 원료
최근 설치류를 이용한 실리카의 임상 시험 및 비임상 시험에서 당뇨병 개선, 장내 환경 개선, 콜레스테롤 감소, 항산화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153][154][155]6. 생산
이산화 규소는 대부분 모래 채취 및 석영 정제를 포함한 광산 채굴을 통해 얻는다.[53][54] 석영은 여러 용도에 적합하지만, 더 순수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더 적합한(예: 더 반응성이 좋거나 미세한 입자) 제품을 만들려면 화학적 처리가 필요하다.
침강 실리카 또는 비정질 실리카는 규산나트륨 용액을 산성화하여 생산한다. 젤라틴상 침전물 또는 실리카겔은 먼저 세척한 다음 탈수하여 무색의 미세 기공 실리카를 생산한다.[37] 삼규산염과 황산을 포함하는 이상적인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이 방법으로 1999년 기준 연간 약 10억kg의 실리카가 생산되었으며, 주로 고분자 복합재료(타이어 및 신발 밑창)에 사용되었다.[19]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상에는 열산화(thermal oxidation)를 통해 실리카(silica) 박막이 자발적으로 성장하여, 이른바 자연 산화막(native oxide)이라고 불리는 약 1nm(10Å)의 매우 얇은 층을 생성한다.[55]
실리콘 위에 두께가 잘 조절된 이산화 규소 층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더 높은 온도와 다른 환경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600°C~1200°C의 온도에서 산소(O2)를 사용하는 건식 산화(dry oxidation) 방법:[56][57]
:
또는 물(H2O)을 사용하는 습식 산화(wet oxidation) 방법을 사용한다.
:
자연 산화막은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가진 전기 절연체(electric insulator) 역할을 하므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microelectronics) 분야에서 유익하다. 자연 산화막은 실리콘을 보호하고, 전하를 저장하며, 전류를 차단하고, 심지어 전류 흐름을 제한하는 제어 경로 역할을 할 수 있다.[58]
7. 매장량
이산화 규소(실리카)는 석영, 규사, 규석 등의 형태로 산출된다. 천연 석영의 자원량은 한계가 있지만, 공업적으로는 인공 석영이 대신 사용된다.[156] 규사와 규석의 자원량은 매우 풍부하며, 공업용 고순도 규사와 규석도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157]
성숙한 사막의 모래에도 이산화 규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일본 국내에서는 연간 200만ton 이상, 세계적으로는 연간 1억ton 이상이 배출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미이용 자원으로서 산업폐기물로 처리되어 온 실정이다. 최근에는 SDGs 관점과 그린 케미스트리의 흐름에 따라, 식물 중에서 실리카를 가장 많이 함유하는 벼 껍질에서 실리카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바이오 연료, LED, 건강기능식품 원료, 스킨케어 원료, 헤어케어 원료 등으로 활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8. 안전성
경구 섭취된 실리카는 기본적으로 무독성이며, LD50은 5000 mg/kg(5 g/kg)이다.[19]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물 속 실리카 수치가 높을수록 치매 위험이 감소하며, 식수 중 실리카 섭취량이 하루 10mg 증가할 때마다 치매 위험이 11% 감소한다.[69]
하지만 미세하게 분쇄된 결정성 실리카 먼지를 흡입하면 규폐증, 기관지염, 폐암을 유발할 수 있다.[70] 이는 폐에 먼지가 쌓여 조직을 자극하고 폐활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전신 자가면역 질환인 루푸스[71] 및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도 증가한다.[72] 비정질 이산화규소를 고용량으로 흡입하면 일시적인 염증이 발생하지만, 모든 영향은 회복된다.[100]
국제 발암성 연구소(IARC)는 이산화 규소를 CAS 번호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한다.
CAS NO | 그룹 | 설명 |
---|---|---|
7631-86-9 | 3 | 인체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모든 약에 사용하는 이산화규소) |
14808-60-7 | 1 | 인체 발암성 물질 (광산 등에서 분진 형태로 변환되어 호흡기로 흡입했을 경우) |
실리카는 체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쳐 만성 신장 질환(CKD)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100mg/L 이상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실리카의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지속적인 DNA 손상이 세포 사멸을 유발하지만, 80mg/L 이하에서는 체내 세포 독소 제거 기능에 의해 제거되어 독성이 예방된다.[162] 또한, 고농도의 장기 섭취로 실리카 결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163]
하지만 저농도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이 없다고 여겨지며, 2004년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규소 환산으로 하루 1인(60kg 체중)당 20~50mg 섭취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163][164] 한국에서는 식품 첨가물로 이산화규소를 첨가하는 경우 식품에 대해 2% 이하로 규정되며, 모유 대용품 및 이유식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165]
비정질 실리카는 발암성에 관한 증거가 불충분하여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는 "그룹 3"으로 분류된다.[166][167]
8. 1. 직업적 위험
샌드블라스팅이나 석재 조리대 절단 및 설치 작업 시 결정질 규소 분진이 발생하여 직업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73][74] 특히, 수압 파쇄 작업에 사용되는 결정질 규소는 작업자에게 건강상의 위험을 야기한다.[31] 이러한 분말 형태의 결정질 실리카를 다량 흡입하면 진폐증의 일종인 규폐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1930년대 호크스 네스트 터널 참사는 광석 채굴 현장에서 발생한 노동 재해의 대표적인 사례이다.[158]국제암연구기관(IARC)은 석영과 다른 결정 다형인 크리스토발라이트 분진에 대해 발암성이 있다고 지적했으며,[159] 1997년과 2012년부터 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인정되는 그룹 1로 분류하고 있다.[166][160] 단, 미세 분말 노출이 문제이므로, 결정·입자 크기가 크면 위험성은 낮아진다.[161]
어린이, 천식 환자, 알레르기 환자, 노인 등 폐활량이 감소된 사람들은 더 짧은 시간 안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73]
8. 2. 규제
결정질 규소는 돌 조리대를 다루는 사람들에게 직업병 위험 요소인데, 조리대를 절단하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공기 중 규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74] 수압 파쇄에 사용되는 결정질 규소는 작업자에게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한다.[31] 규정은 결정질이며 먼지를 생성하는 실리카에만 해당하는 규소폐증 위험과 관련하여 실리카 노출을 제한한다.[78][79][80][81][82][83]2013년 미국 직업안전보건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은 노출 한계를 공기 1m³당 50μg으로 낮추었다. 2013년 이전에는 100μg/m³를 허용했고, 건설 노동자의 경우에는 250μg/m³까지 허용했다.[31] 2013년 OSHA는 또한 수압파쇄공의 "친환경적 완료(green completion)"를 요구하여 결정질 실리카 노출을 줄이고 노출 한계를 제한했다.[31]
광물에서 유래하는 대표적인 결정질 실리카는 분말 형태의 것을 다량 흡입하면 진폐증의 일종인 규폐증의 원인이 된다.[158] 광석 채굴 현장에서의 노동 재해 사례로는 1930년대의 호크스 네스트 터널 참사가 있다. 석영과는 다른 결정 다형인 크리스토발라이트의 분진에 관해서는 국제암연구기관(IARC)으로부터 발암성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지만,[159] 1997년과 2012년부터 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인정되는 그룹 1로 분류되어 있다.[166][160] 미세 분말의 노출이 문제이기 때문에, 결정·입자 크기가 크면 위험성은 낮아진다.[161]
9.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반도체 산업 강국으로, 이산화 규소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소재이다. MOS 기술에서 초기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되기도 한다.[44] 실리콘 산화물 층은 확산 공정 중에 실리콘 표면을 보호하고 확산 마스킹에 사용될 수 있다.[45][46]
이산화 규소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벼 껍질 등 식물 유래 실리카를 활용하여 바이오 연료, LED,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원료 등으로 활용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산업 현장에서의 결정질 실리카 분진 노출을 규제하고 있으며, 관련 법규(산업안전보건법)를 통해 노동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있다.
10. 기타 명칭
- CAS 112945-52-5
- 아시트셀(Acitcel)
- 에어로실(Aerosil)
- 비정질 실리카 분진(Amorphous silica dust)
- 아쿠아필(Aquafil)
- CAB-O-GRIP II
- CAB-O-SIL
- CAB-O-SPERSE
- 카탈로그(Catalogue)
- 콜로이드성 실리카[102]
-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on dioxide)
- 다이칼라이트(Dicalite)
- DRI-DIE 살충제 67(DRI-DIE Insecticide 67)
- FLO-GARD
- 화석분(Fossil flour)
- 실리카 흄
- 흄드 실리콘 다이옥사이드(Fumed silicon dioxide)
- HI-SEL
- LO-VEL
- 루독스(Ludox)
- 널코애그(Nalcoag)
- 니야콜(Nyacol)
- 산토셀(Santocel)
- 실리카(Silica)
- 실리카 에어로젤
- 비정질 실리카(Silica, amorphous)
- 규산 무수물(Silicic anhydride)
- 실리킬(Silikill)
- 합성 비정질 실리카(Synthetic amorphous silica)
- 벌카실(Vulkasil)[101]
참조
[1]
reference
RubberBible92nd
[2]
reference
PGCH
[3]
reference
PGCH
[4]
서적
Chemical Principles 6th Ed.
Houghton Mifflin Company
[5]
서적
The Chemistry of Silica
Wiley
[6]
학술지
Checklist,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testate amoebae in Chile
http://doc.rero.ch/r[...]
[7]
서적
Crystal Structures of Silica and Metal Silicates
https://doi.org/10.1[...]
Springer
2006
[8]
학술지
Electronic structure of silicon dioxide (a review)
https://www.research[...]
2014-02-01
[9]
서적
Periodicity and the s- and p-Block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Chapter 1 General chemistry of silica
https://www.scienced[...]
Elsevier
1979
[11]
서적
Ceramic Technology for Potters and Sculpto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2]
서적
Silica Stories
Springer
[13]
서적
Structural Inorganic Chemistry
Oxford Science Publications
[14]
논문
Electron-density distribution in stishovite, SiO2: a new high-energy synchrotron-radiation study
[15]
논문
Dealuminated faujasite-type structures with SiO2/Al2O3 ratios over 100
[16]
논문
Molecular structural order and anomalies in liquid silica
http://www.engr.ucsb[...]
2009-07-07
[17]
논문
Densities of SiO2-Al2O3 Melts
http://www.princeton[...]
[18]
서적
Silicon chemistry: from the atom to extended systems
Wiley-VCH
[19]
간행물
Silica
[20]
서적
An Introduction to Forensic Geoscience
Wiley & Sons
[21]
논문
Silica in grasses as a defence against insect herbivores: Contrasting effects on folivores and a phloem feeder
[22]
논문
Silicon as a plant defence against insect herbivory: Response to Massey, Ennos and Hartley
[23]
논문
Production of rice husk ash for use in concrete as a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
https://www.scienced[...]
2011
[24]
논문
Silicification: The Processes by Which Organisms Capture and Mineralize Silica
https://pubs.geoscie[...]
2003
[25]
백과사전
Archaeobotany: Plant Microfossil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4-06-20
[26]
논문
Morphology and Structure of Biomorphous Silica Isolated from Equisetum hyemale and Equisetum telmateia
2010
[27]
논문
Silicon in Soils and Plants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7-19
[28]
논문
Purity, Morpholog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Silicon Dioxide from Cogon Grass (Imperata cylindrica) Using Different Ashing Temperatures
https://ejchem.journ[...]
2021-04-19
[29]
논문
Siliceous spicules and skeleton frameworks in sponges: Origin, diversity, ultrastructural patterns, and biological functions
https://analyticalsc[...]
2003
[30]
서적
Albany moulding sands of the Hudson Valley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at Albany
1925
[31]
뉴스
New Rules Would Cut Silica Dust Exposure
https://www.nytimes.[...]
2013-08-23
[32]
논문
Glass formation in amorphous SiO2 as a percolation phase transition in a system of network defects
[33]
서적
Fundamentals of Amorphous Solids: Structure and Propert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
[34]
서적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Vollume II
https://books.google[...]
Krishna Prakashan Media
[35]
논문
Medium-range structural order in covalent amorphous solids
[36]
서적
Shriver & Atkins' inorganic chemistry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정보 부족)
[38]
웹사이트
Cab-O-Sil Fumed Metal Oxides
http://www.cabotcorp[...]
[39]
논문
Rheological, physicochemical, and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asphalt binder modified by fumed silica nanoparticles
2021-12
[40]
서적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41]
서적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42]
학술지
On the Causes of Elevation and Subsidence
https://www.cambridg[...]
1882-01-01
[43]
서적
The Economic Importance of the Diatoms
Smithsonian
[44]
서적
To the Digital Age: Research Labs, Start-up Companies, and the Rise of MOS Technolog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7-01-01
[45]
서적
Makers of the Microchip: A Documentary History of Fairchild Semiconductor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10-01-01
[46]
서적
Invention of integrated circuits: untold important fact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47]
웹사이트
Martin Atalla in Inventors Hall of Fame, 2009
https://www.invent.o[...]
2013-06-21
[48]
서적
New Perspectives on Surface Passivation: Understanding the Si-Al2O3 Interfa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1-01
[49]
웹사이트
Dawon Kahng
https://www.invent.o[...]
2019-06-27
[50]
학술지
The Influence of Spherical Nano-SiO 2 Content on the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of Thermal Insulation Ablation Resistant Coated Fabrics
2017-01-01
[51]
서적
An Introduction to Forensic Genetics
Wiley & Sons
[52]
뉴스
This cloud-like, futuristic material has been sneaking its way into your life since 1931
https://www.business[...]
2015-08-20
[53]
서적
Quartz: Deposits, Mineralogy and Analytics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2
[54]
학술지
Resource, characteristic, purification and application of quartz: a review
https://linkinghub.e[...]
2022
[55]
서적
Handbook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echn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56]
서적
Encyclopedia of chemical processing
CRC Press
[57]
서적
An Introduction To Semiconductor Microtechnology
John Wiley & Sons
[58]
뉴스
The Silicon Dioxide Solution: How physicist Jean Hoerni built the bridge from the transistor to the integrated circuit
https://spectrum.iee[...]
2007
[59]
학술지
Absolute SiO concentration imaging in low-pressure nanoparticle-synthesis flames via laser-induced fluorescence
2019-01-28
[60]
학술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ica–lead sulfide core–shell nanospheres for applications in optoelectronic devices
https://link.springe[...]
2021-08
[61]
논문
Synthesis of spherical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with nanometer-size controllable pores and outer diameters
[62]
서적
An Introduction To Semiconductor Microtechnology
John Wiley & Sons
[63]
논문
New mineral names
http://rruff.info/up[...]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64]
서적
Descriptive Inorganic, Coordination, and Solid State Chemist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65]
논문
Synthesis of pentacoordinate silicon complexes from SiO2
https://deepblue.lib[...]
1991-10-17
[66]
논문
The solubility of amorphous silica in water at high temperatures and high pressures
http://www.minsocam.[...]
[67]
서적
Inorganic Chemistry
Academic Press/De Gruyter
[68]
논문
Formation of silica particles from supercritical fluids and its impacts on the hydrological properties in the crust
https://ui.adsabs.ha[...]
[69]
논문
Aluminum and Silica in Drinking Water and the Risk of Alzheimer's Disease or Cognitive Decline: Findings from 15-Year Follow-up of the PAQUID Cohort
[70]
웹사이트
Work Safely with Silica
https://www.silica-s[...]
CPWR - The Center for Construction Research and Training
2019-02-11
[71]
웹사이트
Action Plan for Lupus Research
https://www.niams.n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7-02-11
[72]
논문
Pesticide Exposure and Risk of Rheumatoid Arthritis among Licensed Male Pesticide Applicators in the Agricultural Health Study
2017
[73]
논문
Subchronic inhalation toxicity of amorphous silica and quartz dust in rats
[74]
웹사이트
Worker Exposure to Silica during Countertop Manufacturing, Finishing and Installation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n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15-02-26
[75]
논문
Silica crystals and aluminum salts activate the NALP3 inflammasome through phagosomal destabilization
[76]
서적
Occupational Respiratory Diseases
https://www.cdc.gov/[...]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OSH
[77]
간행물
Hazard Review,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https://www.cdc.gov/[...]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U.S. Public Health Servic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78]
웹사이트
Crystalline Factsheet
https://www.osha.gov[...]
2017-08-03
[79]
웹사이트
Silica, Crystalline
https://www.osha.gov[...]
2017-08-03
[8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silica-sa[...]
2017-08-03
[81]
웹사이트
If It's Silica, It's Not Just Dust!
http://www.ehs.uconn[...]
2017-08-03
[82]
웹사이트
What you should know about crystalline silica, silicosis, and Oregon OSHA silica rules
http://osha.oregon.g[...]
2017-08-03
[83]
서적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in the Workplace: New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Standard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8-01-27
[84]
논문
Crystal structure and thermal expansion of a-quartz SiO2 at low temperature
[85]
논문
The structure of quartz at 25 and 590 °C determined by neutron diffraction
[86]
논문
Structural change of orthorhombic-Itridymite with temperature: A study based on second-order thermal-vibrational parameters
[87]
논문
The pressure behavior of a cristobalite
http://www.geo.arizo[...]
[88]
논문
The structures of the β-cristobalite phases of SiO2 and AlPO4
[89]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keatite, a new form of silica
[90]
논문
Crystal structure of moganite: a new structure type for silica
[91]
논문
High-pressure crystal structure and compressibility of coesite
http://www.minsocam.[...]
[92]
논문
H in rutile-type compounds: II. Crystal chemistry of Al substitution in H-bearing stishovite
http://rruff.geo.ari[...]
[93]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high-pressure phase of silica from the Martian meteorite Shergotty
http://rruff.geo.ari[...]
[94]
웹사이트
Seifertite
http://www.mindat.or[...]
[95]
논문
Melanophlogite, a cubic polymorph of silica
http://www.minsocam.[...]
[96]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low melanophlogite
http://rruff.geo.ari[...]
[97]
서적
Molecular sieves: Principles of Synthesis and Identific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98]
논문
Über Siliciumchalkogenide. VI. Zur Kenntnis der faserigen Siliciumdioxyd-Modifikation
[99]
논문
Defects in bilayer silica and graphene: common trends in diverse hexagonal two-dimensional systems
[100]
논문
Pulmonary Chemokine and Mutagenic Responses in Rats after Subchronic Inhalation of Amorphous and Crystalline Silica
2000-01-01 # 날짜 형식을 YYYY-MM-DD로 변경
[101]
서적
1001 chemicals in everyday product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Wiley-Interscience)
[102]
서적
The Colloid Chemistry of Silica
https://pubs.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1994-05-05
[103]
ICSC
[104]
웹사이트
シリカ(結晶質、非晶質を包含した二酸化ケイ素)
https://anzeninfo.mh[...]
厚生労働省
2016-03-00
[105]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106]
서적
学術用語集 海洋学編
http://sciterm.nii.a[...]
日本学術振興会
[107]
서적
熱とエネルギーを科学する
[108]
논문
ケイ石耐火物におけるトリジマイトからクリストバライトへの転移に及ぼすAl₂O₃の影響
https://doi.org/10.2[...]
[109]
논문
Structure and chemistry of the low-pressure silica polymorphs
https://pubs.geoscie[...]
[110]
논문
右水晶と左水晶の区別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日吉紀要刊行委員会
[111]
일반텍스트
[112]
논문
A New Dense Crystalline Silica
1953-07-31
[113]
서적
The Diamond Make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7-22
[114]
논문
Inclusions of nanocrystalline hydrous aluminium silicate "Phase Egg" in superdeep diamonds from Juina (Mato Grosso State, Brazil)
[115]
논문
New mineral names
http://rruff.info/up[...]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116]
논문
First Natural Occurrence of Coesite
[117]
논문
Coesite in Himalayan eclogite and implications for models of India-Asia collision
[118]
논문
A coesite inclusion in dolomite in Dabie Shan, China: petrological and rheological significance
http://eurjmin.geosc[...]
[119]
논문
Mineral assemblages of basalt in the lower mantle
http://cat.inist.fr/[...]
[120]
웹사이트
eos 306, Fall 2006, Lecture 11, The Lower Mantle
http://www.geo.arizo[...]
[121]
간행물
下部マントル深部条件下における高温高圧X線回折実験
https://www2.kek.jp/[...]
2002-11
[122]
논문
Seifertite, a dense orthorhombic polymorph of silica from the Martian meteorites Shergotty and Zagami
http://www.schweizer[...]
[123]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high-pressure phase of silica from the Martian meteorite Shergotty
http://rruff.geo.ari[...]
[124]
보고서
鉱物資源マテリアルフロー 2021 32.ケイ素(Si)
https://mric.jogmec.[...]
2023-01-16
[125]
논문
水道水のミネラル成分および物性によるグループ化と味の評価に関与する要因の抽出
日本調理科学会
[126]
보고서
食品添加物ケイ酸カルシウム
https://www.mhlw.go.[...]
食品安全委員会
2021-11-25
[127]
서적
Biochemistry of Silicon and Related Problems
https://link.springe[...]
[128]
서적
Inorganic Chemistry
Academic Press
[129]
논문
Crystal structure and thermal expansion of a-quartz SiO2 at low temperature
[130]
논문
The structure of quartz at 25 and 590 °C determined by neutron diffraction
[131]
논문
Structural change of orthorhombic-Itridymite with temperature: A study based on second-order thermal-vibrational parameters
[132]
논문
The pressure behavior of α cristobalite
[133]
논문
The structures of the β-cristobalite phases of SiO2 and AlPO4
[134]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keatite, a new form of silica
[135]
논문
Crystal structure of moganite: a new structure type for silica
[136]
논문
High-pressure crystal structure and compressibility of coesite
https://www.semantic[...]
[137]
논문
H in rutile-type compounds: II. Crystal chemistry of Al substitution in H-bearing stishovite
https://rruff.geo.ar[...]
[138]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high-pressure phase of silica from the Martian meteorite Shergotty
http://rruff.geo.ari[...]
[139]
웹사이트
Seifertite
https://www.mindat.o[...]
[140]
논문
Melanophlogite, a cubic polymorph of silica
http://www.minsocam.[...]
[141]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low melanophlogite
https://rruff.geo.ar[...]
[142]
서적
Molecular sieves: Principles of Synthesis and Identific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143]
서적
Chemistry of the Elements
Pergamon Press
[144]
논문
Über Siliciumchalkogenide. VI. Zur Kenntnis der faserigen Siliciumdioxyd-Modifikation
[145]
논문
Defects in bilayer silica and graphene: common trends in diverse hexagonal two-dimensional systems
[146]
논문
フュームドシリカ
[147]
논문
強化磁器食器の衝撃強さ評価方法と製品強さ向上に関する研究
http://id.nii.ac.jp/[...]
2010-03
[148]
서적
よくわかる電気の基本としくみ : 身近な機器から学ぶ電気の基礎
https://iss.ndl.go.j[...]
秀和システム
[149]
특허
高純度金属Siの製造方法
https://patents.goog[...]
[150]
서적
福間の無機化学の講義 三訂版
[151]
웹사이트
厚生労働省行政情報、添加物使用基準リスト 2、『各添加物の使用基準及び保存基準』
http://www.ffcr.or.j[...]
公益財団法人日本食品化学研究振興財団
2017-06-26
[152]
학회자료
資料1-2-1 食品添加物の指定の可否について (ケイ酸カルシウム)
https://www.mhlw.go.[...]
2007-11-19
[153]
논문
Silicon-containing water intake confers antioxidant effect, gastrointestinal protection, and gut microbiota modulation in the rodents
https://pubmed.ncbi.[...]
2021
[154]
논문
A food-grade silicon dioxide is hypocholesterolemic in the diet of cholesterol-fed rats
https://pubmed.ncbi.[...]
1994-06
[155]
논문
Rice Husk Silica Liquid Protects Pancreatic β Cells from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Damage
https://pubmed.ncbi.[...]
2021-07-05
[156]
웹사이트
QUARTZ CRYSTAL (INDUSTRIAL)
http://minerals.usgs[...]
[157]
웹사이트
SAND AND GRAVEL(INDUSTRIAL)
http://minerals.usgs[...]
[158]
웹사이트
IPCS UNEP//ILO//WHO 国際化学物質簡潔評価文書 No.24 結晶質シリカ、石英
https://www.nihs.go.[...]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 安全情報部
2012-01-14
[159]
웹사이트
発がん物質暫定物質(2001) の提案理由
https://www.sanei.or[...]
日本産業衛生学会 許容濃度等に関する委員会
2001-04-06
[160]
보고서
Silica Dust, Crystalline, in the form of Quartz or Cristobalite
http://monographs.ia[...]
국제암연구기관(IARC)
[161]
일반텍스트
[162]
논문
Silica - A trace geogenic element with emerging nephrotoxic potential
Elsevier
[163]
보고서
第134回 添加物専門調査会 ケイ酸カルシウム規格基準概要書
https://www.fsc.go.j[...]
2014-09-00
[164]
논문
Calcium silicate and silicon dioxide/silicic acid gel added for nutritional purposes to food supplements, Scientific opinion of the panel on food additives and nutrient sources added to food
[165]
웹사이트
評価書詳細 ケイ酸カルシウム
https://www.fsc.go.j[...]
内閣府 食品安全委員会
2014-08-29
[166]
보고서
Silica, Some Silicates, Coal Dust and para-Aramid Fibrils
http://monographs.ia[...]
국제암연구기관(IARC)
2018-02-17
[167]
웹사이트
職場のあんぜんサイト
https://anzeninfo.mh[...]
厚生労働省
2016-03-31
[168]
참고자료 # RubberBible92nd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type을 참고자료로 지정
[169]
참고자료 # PGCH|0552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type을 참고자료로 지정
[170]
참고자료 # PGCH|0682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type을 참고자료로 지정
[171]
서적
Chemical Principles 6th E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