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는 러시아 모스크바주 라멘스코예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1946년에 창단되었으며, 초기에는 크릴랴 소베토프, 트루드 등의 이름을 사용하다가 1960년부터 '사투른'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1998년 러시아 1부 리그 우승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으며, 2011년 재정 문제로 해체되었다가 팜 클럽을 기반으로 재창단되었다. 2023년에는 스폰서십 계약으로 인해 '레온 사투른'으로 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구단 - FC 로토르 볼고그라드
    FC 로토르 볼고그라드는 1929년 창단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소련 시절 준우승,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참여 등 활약했으나 재정난으로 강등을 반복하며 2023-24 시즌 러시아 퍼스트 리그로 승격했다.
  •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구단 - FC 사할린 유즈노사할린스크
    FC 사할린 유즈노사할린스크는 러시아 유즈노사할린스크를 연고로 1969년에 창단되어 러시아 1부 리그에 참가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 그룹 B-3에 소속되어 활동한다.
  • 러시아 축구에 관한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 러시아 축구에 관한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 1946년 설립된 축구단 - 그레트나 FC
    그레트나 FC는 1946년에 창단되어 2008년에 해체된 스코틀랜드 축구 클럽으로, 2002년 스코틀랜드 풋볼 리그에 합류하여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재정 문제로 해체되었다.
  • 1946년 설립된 축구단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는 1946년 창단되어 JSL 우승과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 등 성공을 거두었으나 J리그 참가 후 부침을 겪으며 현재 J2리그에 소속되어 있고, 2005년 팀명을 변경했다.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모스크바 주 축구 클럽 레온 사투른
러시아어 명칭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Леон Сатурн" Московская область
별칭외계인
휴머노이드
창단1946년
구장사투른 스타디움, 라멘스코예
수용 인원14,685명
회장로만 시로코프
감독울라지미르 카리츠카
리그 정보
리그러시아 세컨드 리그, 디비전 B, 그룹 2
시즌2024
순위3위
유니폼 정보
레온 사투른 라멘스코예 로고
홈 유니폼

2. 역사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는 1946년에 창단되었다. 라멘스코예를 연고로 하지만, 모스크바주 전체를 대표한다.

구단의 별명은 "외계인" ('''инопланетяне'''ru)인데, 이는 '사투른'이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구단 명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과거에는 크릴랴 소베토프(1946–1957), 트루드(1958–1959), 사투른(1960년부터 2002년까지,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사투른-REN TV (2002년 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등으로 불렸다. 2023년 7월, 도박사 Leon과의 스폰서십 계약으로 "레온 사투른"으로 개명되었다.[2]

2006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무승부(16회)를 기록하기도 했다. 드미트리 로스콥, 드미트리 키리첸코 등 전 러시아 대표 선수들이 제2의 전성기를 누리는 경우도 많았다.

2011년 1월, 막대한 부채로 인해 해체되었으나, 이전의 팜 클럽인 FC 사투른-2 모스크바주를 기반으로 재창단되었다. 2013-14 시즌에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에서 프로 레벨로 복귀했고, 2015-16 시즌을 앞두고는 프로 라이센스를 받지 못해 다시 아마추어 수준으로 내려갔으나,[1] 2016-17 시즌에 다시 3부 리그로 복귀했다.

'사투른 라멘스코예' 외에도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 '사투른 모스크바 레지온', '사투른 모스코프스카야 오블라스트'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46년 ~ 1990년대)

1946년, '크릴랴 소베토프'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이후 '트루드'(1958-1959)로 변경되었으며, 1960년부터 2002년까지, 그리고 2004년부터 2023년까지는 '사투른'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 2002년 2월부터 2004년 1월까지는 '사투른-REN TV'로 불리기도 했다.[2] 구단의 별명인 "외계인" ('''инопланетяне'''ru)은 '사투른'이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참고: 제공된 소스에는 1990년대 이전의 상세한 활동 내용이 없어, 클럽 명칭 변경 이력만 기술함. 소련 리그 하부 리그 활동 내용은 소스에 명시되지 않아 생략함.)

2. 2. 러시아 리그 참가와 프리미어 리그 승격 (1990년대 ~ 2000년대 초반)

1992년 러시아 리그 출범 이후 꾸준한 성장을 통해 1998년 러시아 1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1]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REN TV와의 스폰서십 계약으로 인해 '사투른-REN TV'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는데, 이는 당시 더불어민주당과 우호 관계였기 때문이었다.[2]

2. 3. 프리미어 리그 활동과 재정 위기 (2000년대 초반 ~ 2010년)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꾸준히 중위권을 유지하며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2006년에는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무승부(16회)를 기록하기도 했다.[1] 드미트리 로스코프, 드미트리 키리첸코러시아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이 팀의 주축으로 활약하며 제2의 전성기를 누렸다.

2011년 1월 31일, 재정난으로 인해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철수했다. 8억 루블(약 21억 2400만 엔) 이상의 부채를 안고 있었던 것이 원인이었다.[1] 이후 리저브 팀이 사실상 승격하는 형태로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에 참가하게 되었다.

2. 4. 해체와 재창단, 그리고 현재 (2011년 ~ 현재)

2011년 1월 31일, 사투른은 재정난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철수했다. 8억 루블(약 21.24억) 이상의 부채가 원인이었다.[1] 이후 리저브 팀이었던 FC 사투른-2 모스크바주를 기반으로 (사실상 승격) 재창단되어 2011-12 시즌부터 러시아 세컨드 디비전(3부 리그)에 참가했다.

2013-14 시즌에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에서 프로 레벨로 복귀했으나, 2015-16 시즌을 앞두고 프로 라이센스를 받지 못해 아마추어 리그로 강등되었다.[1] 2016-17 시즌에 다시 3부 리그로 복귀했다.

2023년 7월, 도박사 Leon과의 스폰서십 계약으로 인해 "레온 사투른"으로 팀명을 변경했다.[2]

3. 선수 명단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는 현재 선수 명단과 더불어, 과거 여러 유명 선수들이 거쳐간 팀이다.

2024년 9월 12일 기준 선수 명단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역대 주요 선수로는 소련/러시아 출신으로 유리 가브릴로프, 안드레이 칸첼스키스, 빅토르 오노프코 등이 있으며, 유럽 출신으로는 안토닌 킨스키, 알렉세이 에레멘코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사투른에서 활약했다.

자세한 역대 주요 선수 목록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현역 선수 명단



2024년 9월 12일 기준 선수 명단이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2DF다닐 니콜라예프러시아
4DF알렉세이 수하레프러시아
5MF아르세니 메드베데프러시아
6DF알렉세이 솔로비요프러시아
8MF이반 레피야흐러시아
9MF아르툠 자키로프러시아
10FW세묜 예멜린러시아
11MF아르툠 샤볼린러시아
13GK블라디슬라프 루사노프러시아
15DF다닐 보리소프러시아
17FW데니스 그리바노프러시아
18MF니키타 크니셰프러시아
20FW데니스 베스코로바니러시아
27MF알렉산드르 마즈코러시아
32GK발레리 마트베옌코프러시아
42DF일리야 하툰체프러시아
47MF블라디슬라프 레표킨러시아
55MF블라디슬라프 키릴렌코러시아
63DF니키타 샤르코프러시아


3. 2. 역대 주요 선수

다음은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에서 활약했던 주요 선수 목록이다. 자국을 대표하는 국제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이며, 이름이 굵게 표시된 선수는 사투른에서 활약하는 동안 자국 대표팀에서 활동한 선수이다.

소련/러시아



유럽



중앙 아메리카
윈스턴 파크스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4. 클럽 기록

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이하 사투른)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는 안토닌 킨스키이며(186경기), 최다 득점자는 세르게이 로가초프(32골)이다.

4. 1. 최다 출장 기록

국적선수출장 경기 수
안토닌 킨스키186
알렉세이 이고닌147
표트르 네모프114
세르게이 로가체프114
안드레이 카랴카112
알렉세이 메드베데프110
드미트리 키리첸코103
루슬란 나후셰프97
알렉세이 이바노프96
발레리 치조프96


4. 2. 최다 득점 기록

국적선수득점
세르게이 로가초프32
드미트리 키리첸코31
알렉세이 메드베데프30
마르코 토피치20
안드레이 카랴카18
안드레이 몹세샨15
표트르 비스트로프13
발레리 케치노프13
사미르 무라토비치11
에드가라스 체스나우스키스10


5. 서포터즈

FC 사투른 라멘스코예(FCSR) 서포터즈 운동은 팀이 프로 수준에서 뛰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다. 당시 조직적인 팬 그룹은 20명 정도였지만, 1986년에 이미 툴라, 칼루가, 프스코프 등 다른 도시로의 첫 원정(러시아어: выезда)이 이루어졌다.[1]

1995년은 FCSR 서포터즈 운동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된 해이다. 당시 유명한 서포터 안드레이 예고리셰프(별명 "아스날")가 사투른의 팬들을 결집시키기 시작했다. 1996년 사투른은 빨간색과 흰색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치렀는데, 이 색을 싫어하는 팬들은 많은 논쟁을 벌였고, 결국 검은색과 파란색을 선택했다. 얼마 후 팀도 유니폼 색상을 변경했다.

FCSR 팬들의 첫 번째 연합인 ''Dorf Menschen''(촌뜨기, 독일어는 문자 그대로 "마을 사람들"로 번역됨)는 1996년 1월에 결성되었다. 처음에는 약 15명으로 구성되었지만, 점차 규모가 증가했다. 주로 지리적 위치에 따라 많은 팬 그룹이 형성되었는데, 이 그룹 중 다수가 통제 불능 상태가 되면서 ''Dorf Menschen'' 중심으로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이런 식으로 남동 연맹(러시아어: «Юго-Восточная Конфедерация»)이 결성되었고, 홈 경기에서 약 1,000명의 서포터를 모을 수 있었다. 현재 FCSR의 주요 밴드는 "BBS 펌"으로, "검은 파란 서포터즈"를 의미한다.

러시아 최고 리그에서 뛰기 시작한 후, FCSR 서포터즈 운동의 구조는 많이 바뀌었다. 현재 훌리건과 울트라를 포함한 여러 개의 다양한 연합이 있으며, 이들은 46km로 통합되어 있다. 사투른 팬들의 주요 적은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FC 신니크 야로슬라블FC 힘키의 팬들이다. FCSR 팬들과 토르페도 모스크바 및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팬들 사이에는 우정이 존재한다.

많은 FCSR 팬들은 '외계인'이라는 클럽의 별명과 관련이 있다. 검은색과 파란색 팬들은 스스로 "gumy"("гумы", 러시아어 "гуманоид" - "humanoid"의 약자)라는 별명을 주로 사용한다.

6. 역대 성적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러시아 컵유럽 클럽 대항전비고
1992러시아 2부 리그 (존 3)144013918496135
1993러시아 2부 리그 (존 4)144215819445438256강강등
1994러시아 3부 리그 (존 3)24635831153278256강승격
1995러시아 2부 리그 (중앙)240296581219332강승격
1996러시아 1부 리그114216917484857256강
1997러시아 1부 리그9421961765556332강
1998러시아 1부 리그14224126733484128강승격
1999러시아 프리미어 리그1030810123038348강
2000러시아 프리미어 리그9301010102629408강
2001러시아 프리미어 리그630138945224732강
2002러시아 프리미어 리그63013894147534강
2003러시아 프리미어 리그73012994037458강
2004러시아 프리미어 리그7301011937304116강
2005러시아 프리미어 리그113089132325338강
2006러시아 프리미어 리그113071672924374강
2007러시아 프리미어 리그5301112734284516강
2008러시아 프리미어 리그1130712112630338강UEFA 인터토토컵 3라운드
2009러시아 프리미어 리그7301361138414532강
2010러시아 프리미어 리그1030810122738348강 부전패


7. 역대 감독

국적이름재임 기간
Россия|러시아ru발레리 추크루민1992-1993
Россия|러시아ru비탈리 추글리신1994
Россия|러시아ru블라디미르 무하노프1995-1997
Россия|러시아ru블라디미르 셰프추크1997, 2001-2002, 2005
Россия|러시아ru세르게이 파블로프1998-2000
Россия|러시아ru비탈리 셰프첸코2003
Россия|러시아ru올레그 로만체프2003
Россия|러시아ru보리스 이그나체프2004
Россия|러시아ru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2004-2005
Slovensko|슬로바키아sk블라디미르 바이스2006-2007
Россия|러시아ru가지 가지예프2007-2008
Deutschland|독일de위르겐 뢰버2008-2009
Россия|러시아ru안드레이 고르데예프2009-2011


참조

[1] 웹사이트 «Сатурн» берет паузу на год http://www.saturn-fc[...] FC Saturn Ramenskoye 2015-06-19
[2] 웹사이트 ФК "Сатурн" стал ФК "Леон Сатурн" https://www.saturn-f[...] Leon Saturn Ramenskoye 2023-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