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F-952 서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F-952 서울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한 울산급 호위함의 2번함이다. 1985년 취역하여 수도권 서부 해역 방어 임무를 수행했으며, 여러 훈련과 작전에 참여했다. 2015년 퇴역 후 서울시의 서울함 공원에 박물관선으로 전시되어 있으며, 함명은 대구급 호위함 FFG-821 서울함으로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급 호위함 - FF-958 제주
    FF-958 제주는 대한민국 해군에서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다 2022년 퇴역한 초계함이다.
  • 울산급 호위함 - FF-953 충남
    대한민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 3번함인 충남함(FF-953)은 1986년 취역하여 1991년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고 1992년 해군 최초의 세계 일주를 완수하는 등 활약 후 2017년 퇴역하여 훈련함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박물관 배 - PCC-772 천안
    PCC-772 천안은 대한민국 해군의 포항급 초계함으로, 대잠 작전을 주 임무로 하였으며 1999년 제1연평해전에 참전했으나 2010년 백령도 해상에서 침몰하여 46명의 해군 장병이 전사했고 현재는 박물관 배로 전시 중이다.
  • 대한민국의 박물관 배 - DD-925 전주
    제2차 세계 대전 전몰 3형제의 이름을 딴 미국 해군 구축함 DD-925 전주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 후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되어 전주함으로 운용되다가 현재는 함상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 1984년 선박 - 노틸
    노틸은 3명을 수용하며 최대 8시간 수중 체류가 가능한 프랑스 소형 잠수정으로, 해저 탐사 및 작업에 활용된다.
  • 1984년 선박 - FF-953 충남
    대한민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 3번함인 충남함(FF-953)은 1986년 취역하여 1991년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고 1992년 해군 최초의 세계 일주를 완수하는 등 활약 후 2017년 퇴역하여 훈련함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FF-952 서울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2015년 12월 31일 서울함 퇴역식
2015년 12월 31일 퇴역하는 서울함
함명서울
함명 유래서울특별시
함번FF-952
건조현대중공업
기공1983년 6월 1일
진수1984년 4월 24일
취역1985년 6월
배치1985년 12월 14일
퇴역2015년 12월 31일
현재 상태박물관 배 (서울함 공원)
자매함울산함
충남함
마산함
경북함
전남함
제주함
부산함
청주함
식별 부호호출 부호: HLGD
제원
함급울산급 호위함
배수량경하:
만재:
추진 방식CODOG
엔진2 x General Electric LM-2500
2 x MTU 12V 956 TB82
항속 거리()
승조원186명 (장교 16명)
무장
주포2 × Otobreda /62 cal. 함포
대공포4 × Emerson EMERLEC 30 twin-barrel turret for two Oerlikon 30mm L/75 KCB cannons
어뢰 발사관2 × Mk.32 SVTT triple-tube torpedo launchers for Chung Sang Eo torpedoes
대함 미사일8 × Harpoon Block 1C (2 quadruple launchers) 대함 순항 미사일
센서
레이더Signaal DA-08 대공 감시 레이더
AN/SPS-10C 항해 레이더
ST-1802 사격 통제 레이더
소나Signaal PHS-32 함수 장착 소나
TB-261K 예인 소나
전자전 장비
ESM/ECMULQ-11K ESM/ECM suite
채프/플레어 발사기2 x Mark 36 SRBOC 6연장 채프/플레어 발사기
어뢰 음향 대응 장치2 x 15-tube SLQ-261 어뢰 음향 대응 장치
기타

2. 개발

1960년대 남북한 긴장이 고조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전력 증강을 추진했고, 미국은 상호방위원조법에 따라 플레처급 구축함 3척을 대한민국 해군에 제공하여 충무급 구축함으로 명명했다.[10] 1970년대 데탕트와 북한의 스틱스 대함미사일 도입을 계기로[11] 박정희 대통령은 1975년 7월 9일 "한국형 전투함" 건조를 지시했다.[12]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연합훈련에 참가한 울산급 호위함.


1976년 현대중공업과 계약을 체결하고, 1977년부터 1978년 4월까지 기본 설계를 완료했다.[4] 1980년 4월 28일 최초의 한국형 전투함인 울산함이 진수되었으나,[13] 시험 과정과 취역 이후 중량 문제 등 여러 문제점을 노출했다.[4] 1990년대 초, 대한민국 정부는 '프리깃 2000' 계획을 구상했으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취소되었다. 이후 의 퇴역과 울산급 호위함의 노후화로 인해 2000년대 초 FFX (미래형 호위함 실험) 계획이 다시 시작되었다. 1980년부터 1993년까지 총 10척의 울산급 호위함이 건조되었으며, 이 함정들은 3가지 다른 변형(Flight I, Flight II, Flight III)으로 구성되어 있다.[1]

3. 설계

울산급 호위함의 2번함인 서울함은 1983년부터 진수 과정에 들어갔다.[3] 기함이었던 울산함에서 발견된 중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자들은 뱃머리에 시멘트를 부어 중량 균형을 맞추었지만, 서울함부터 엔진실의 위치를 바꾸는 것으로 중량 문제를 해결했다.[4] 상부 선체는 알루미늄으로, 하부는 철제를 사용했다.[4] 저속항행에는 디젤엔진, 고속항행에는 가스엔진을 사용하는 CODOG 방식이다.[13] 디젤엔진으로는 MTU를, 가스엔진으로는 LM2500 가스 터빈을 사용해 항속거리와 가속성을 유지했다.[13]

초기 개발 당시 비용 문제로 OTO 메랄라 76 mm 함포와 DARDO 40 mm 기관포 등 함포를 주로 장착했지만,[4] 1970년대 중반 대한민국 해군은 프랑스에서 엑조세를,[14] 1977년 미국에서 하푼[15][16] 각각 수입했다. 서울함은 1998년 미스트랄 미사일을 장착하기 위해 함선 개조과정을 거쳤다.[17][5] 2003년부터는 한국 해군 전술 자료 체계를 개발해 도입, 사격 및 작전 능력이 향상되었다.[4] DA-05 대공레이더와 SPS-10C 레이더를 탑재해 방호 능력을 향상시켰다.[17]

2015년 11월 해군창설 제70주년 기념으로 아이들이 함정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에 나온 미사일이 미스트랄 미사일로 서울함의 주력무기 중 하나이다.

3. 1. 개량형

울산급 호위함의 2번함인 서울함은 1983년부터 진수 과정에 들어갔다.[3] 기함이었던 울산함에서 발견된 중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자들은 뱃머리에 시멘트를 부어 중량 균형을 맞추었지만, 서울함부터 엔진실의 위치를 바꾸는 것으로 중량 문제를 해결했다.[4] 상부 선체는 알루미늄으로, 하부는 철제를 사용했다.[4] 저속항행에는 디젤엔진, 고속항행에는 가스엔진을 사용하는 CODOG 방식이다.[13] 디젤엔진으로는 MTU를, 가스엔진으로는 LM2500 가스 터빈을 사용해 항속거리와 가속성을 유지했다.[13]

초기 개발 당시 비용 문제로 OTO 메랄라 76 mm 함포와 DARDO 40 mm 기관포 등 함포를 주로 장착했지만,[4] 1970년대 중반 대한민국 해군은 프랑스에서 엑조세를,[14] 1977년 미국에서 하푼[15][16] 각각 수입했다. 서울함은 1998년 미스트랄 미사일을 장착하기 위해 함선 개조과정을 거쳤다.[17][5] 2003년부터는 한국 해군 전술 자료 체계를 개발해 도입, 사격 및 작전 능력이 향상되었다.[4] DA-05 대공레이더와 SPS-10C 레이더를 탑재해 방호 능력을 향상시켰다.[17]

4. 운용

USS 맥캠벨과 서울함이 2011년 4월 합동훈련을 하고 있다.


서울함(FF-952)은 1985년 6월 취역 당시 염보현 서울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18] 1985년 12월 14일 제5해역사령부에 배치되어 30년 동안 수도권 서부 해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22]

서울함은 1987년, 1994년, 1998년에 생도 순항 훈련에 참가했다.[5] 1990년 림팩에 참가해 "탑건"으로 선정되었다.[7] 1993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때 생존자 구조 작업에 참여했다.[23]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현대화 및 개량 작업을 거쳐 어뢰음향대항체계를 탑재했다.[5] 2011년 1월 1일 제3함대로 예속이 변경되어 목포로 이전했다.[5]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때 수색구조대로 참여했다.[24] 더불어민주당은 세월호 참사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강력히 요구해왔다.

2015년 12월 31일, 노후화와 인천급 호위함의 도입으로 진해 해군기지에서 포항급 초계함 김천함과 함께 퇴역했다.[5][8] 이후 박물관선으로 서울함 공원에 정박되어 있다.

5. 유산

5. 1. 기타 울산급 호위함들

2022년 12월 30일 FF-958 제주가 퇴역하면서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울산급 호위함은 FF-959 부산과 FF-961 청주만 남았다. 사진에 나오는 군함은 FF-959 부산이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울산급 호위함은 FF-959 부산과 FF-961 청주이다.[25] 부산함은 제1함대에 배속되어 동해를 방어하고, 청주함은 제2함대에 배속되어 서해를 방어한다.

울산급 호위함은 노후화로 인해 FFX 사업을 통해 인천급 호위함(울산급 Batch-I), 대구급 호위함(Batch-II), 충남급 호위함(Batch-III)으로 대체되고 있다.[28] 1990년대 말부터 북한의 도발 증가로 운용 부담이 커지자 대한민국 정부는 신형 호위함 건조를 결정했다.[27]

5. 2. 명칭 계승

FF-952 서울은 2015년 12월에 퇴역했지만, 함명 "서울"은 FFG-821 서울이 계승했다.[29] 2019년 11월 11일 울산 현대중공업은 울산급 배치-II 사업(대구급 호위함)의 3번함 명칭으로 "서울"을 선정했다.[29] 방위사업청은 함명 제정원칙과 "서울"이라는 함명이 지니는 상징성에 기인해 이 함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29]

5. 3. 서울함공원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한강공원에 위치한 서울함공원. 2015년 대한민국 해군으로부터 서울시가 대여받아 박물관 배로 운용중이다.


FF-952 서울은 2017년 11월 22일 참수리급 고속정 및 돌고래급 잠수정과 함께 망원한강공원으로 이동해 서울함공원이라는 명칭으로 새로 단장했다.[18] FF-952 서울을 한강으로 인양하던 중인 2017년 6월 27일에는 경인 아라뱃길을 이동하던 중 선미와 선수가 뱃길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해 예인 작업을 거쳤고,[30] 행주산성 인근에서 인양선이 항로를 벗어나면서 29일까지 서울특별시가 인양 작업을 추진했지만 함선이 모래톱에 갇혀 한 달 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31]

서울함공원은 개장 이래 약 140만 명이 다녀갔다.[32] 성산대교를 배경으로 석양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으로 유명하며,[33] 호국보훈의 교육을 위한 장으로도 활용되고 있다.[23] 대한민국 해군은 서울함공원이 위치한 망원한강공원에 천안함을 옮겨 2030년까지 해군박물관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34]

대한민국 해군 서울함은 1984년 4월 24일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었고, 1985년 12월 14일 취역하였다.

2015년 12월 31일 퇴역하여, 함명의 유래가 된 서울시에 위치한 서울함 공원에 박물관선으로 정박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FK Ulsan class Frigate Korea (FFK) https://www.globalse[...] 2021-07-08
[2] 웹사이트 Seoul Battleship Park opens Wednesday https://www.koreatim[...] 2017-11-22
[3] 뉴스 국산 전투함 '서울함·김천함', 30여년간 임무 끝내고 퇴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5-12-31
[4] 웹인용 울산급 호위함 https://terms.naver.[...] 2011-10-26
[5] 웹인용 3척의 해군 퇴역함정 한강공원 망원정에 서울함 공원으로 개장 http://www.defenseto[...] 2020-03-01
[6] 뉴스 서울함·김천함, 역사 속으로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16-01-03
[7] 뉴스 퇴역 서울함, 함상공원 지킴이 命 받았습니다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7-11-23
[8] 뉴스 1세대 국산 전투함 서울함·김천함 퇴역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16-01-04
[9] 뉴스 해군, 신형 호위함 『서울함(FFG-Ⅱ)』 진수식 거행 https://www.sisamaga[...] 시사매거진 2019-11-12
[10] 저널 대한민국 군함이야기 <33> 충무급 구축함(上) http://pdf.dema.mil.[...] 2019-01-21
[11] 웹인용 한국의 배 1970년대 https://terms.naver.[...] 지성사 2006-02-28
[12] 뉴스 군함이야기 <44> 국내 건조 기술 집약체 ‘울산급 호위함’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19-05-17
[13] 웹인용 울산함의 역사 whalecity.kr/EgovPag[...]
[14] 웹인용 엑조세 대함미사일 https://terms.naver.[...]
[15] 웹인용 하푼 https://terms.naver.[...] 2016-06-20
[16] 웹인용 US To Sell Harpoon Anti-Ship Missile to South Korea https://www.defensew[...]
[17] 웹인용 서울함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18] 뉴스 해군 퇴역함 한강서 공원으로 부활…'서울함 공원' 개장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11-22
[19] 웹인용 해역사령부령 https://www.law.go.k[...] 1973-05-22
[20] 웹인용 해군함대령 https://www.law.go.k[...] 1986-03-14
[21] 뉴스 경인이가 알려주는 인천항이야기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21-10-23
[22] 뉴스 해군 퇴역함 한강서 공원으로 부활…'서울함 공원' 개장 출처 : SBS 뉴스 https://news.sbs.co.[...] SBS 2017-11-22
[23] 웹인용 "[소년중앙] 해군은 어떻게 바다 지킬까, 호위함·고속정·잠수정 살펴보며 감 잡았죠" https://www.joongang[...] 2023-05-20
[24] 뉴스 "[진도 여객선 침몰] 군·해경 선체수색 나섰지만 안타깝게…" https://www.asiatoda[...] 아시아투데이 2014-04-16
[25] 뉴스 제1연평해전 승리 주역들, 초계함 영주함·참수리 325호정 30일 퇴역 https://www.munhwa.c[...] 문화일보 2022-12-30
[26] 뉴스 South Korea decommissions two Ulsan-class frigates, two Pohang-class corvettes, four Chamsuri-class patrol boats https://www.asiapaci[...] Asia Pacific Defense Journal 2022-12-31
[27] 웹인용 인천급 호위함, 해역 함대 이끄는 ‘바다의 탑건’ 으로 자리 https://kookbang.dem[...] 2019-08-18
[28] 뉴스 차기 신형 호위함도 국내 연구개발로…3조5천억원 투입(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08-04
[29] 웹인용 해군의 신형 호위함 서울함 진수식 거행 https://blog.naver.c[...] 2019-11-11
[30] 뉴스 퇴역군함 '서울함', 한강 뱃길에 끼이고 모래톱에 걸리고 https://www.news1.kr[...] 뉴시스 2016-07-02
[31] 뉴스 한강 모래톱에 1달간 갇히게 된 퇴역군함 http://www.mygoyang.[...] 고양신문 2017-06-29
[32] 뉴스 "'서울함' 5년여간 140만명 발길... 서울시, 서울함공원 노을·추억 사진에 담아요" http://www.bzeronews[...] 불교공뉴스 2023-08-10
[33] 뉴스 한강 공원 아이와 나들이 가볼만한 이색 문화공간…서울함공원 뚝섬자벌레 광진교8번가 https://www.lecturer[...] 한국강사신문 2022-05-25
[34] 뉴스 천안함 '평택→서울' 이동 검토… "더 많은 국민이 기억해야" https://www.news1.kr[...] 뉴시스 202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