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GC녹십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GC녹십자는 1967년 수도미생물약품으로 설립되어 극동제약, 녹십자를 거쳐 2018년 GC녹십자로 사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제약 회사이다. 혈액분획제제 생산을 시작으로 B형 간염 백신, 유행성출혈열 백신 등을 개발했다. 2000년대 이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아시아 최대 규모의 혈액분획제제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혈장 단백질, 백신, 전문 의약품, 소비자 헬스케어 제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신 제조 기업 - 노바티스
    노바티스는 1996년 씨바-가이기와 산도즈의 합병으로 탄생한 스위스 다국적 제약 회사로, 인수합병과 사업 재편을 거쳐 혁신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여러 논란과 함께 2023년 산도즈 분사 등 사업 구조 조정을 겪었다.
  • 백신 제조 기업 - 화이자
    화이자는 1849년 미국에서 설립된 다국적 제약 회사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리피토, 비아그라 등 다양한 의약품을 개발, 판매하며, 바이오엔텍과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기도 했다.
  • 용인시의 기업 - LIG넥스원
    LIG넥스원은 1976년 금성정밀공업으로 설립되어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정밀 타격 무기, 어뢰, 감시 시스템 등을 개발 및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방위산업체이다.
  • 용인시의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 1969년 설립된 기업 - GS건설
    GS건설은 1969년 락희개발로 설립되어 2005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된 GS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건설 회사로,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자이' 아파트 브랜드로 알려져 있고, 국내외 주요 건설 프로젝트 참여와 신사업 분야 확장을 통해 성장해 왔다.
  • 1969년 설립된 기업 - AMD
    AMD는 1969년 설립되어 인텔의 2차 공급업체에서 자체 x86 프로세서와 GPU를 개발하며 인텔, 엔비디아와 경쟁하는 미국의 주요 반도체 회사로, 라이젠 CPU와 라데온 GPU 시리즈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ATI 테크놀로지스와 자일링스 인수를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 리사 수 CEO 체제 하에 젠 아키텍처 기반 제품 출시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GC녹십자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회사명GC녹십자 (영업상 명칭), 주식회사 녹십자 (등기부 상 명칭)
원어GC Biopharma corporate, Green Cross Corporation
로고
형태주식회사
창립1969년 11월 1일 (상아제약), 2003년 7월 25일 (녹십자상아), 2004년 10월 (녹십자), 2018년 1월 2일 (GC녹십자)
전신수도미생물약품, 주식회사 녹십자
창립자허채경, 허영섭, 하일환, 이병학, 마웅호, 김성근, 박창운, 김동순, 하재원 등
위치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30번길 107 (보정동)
대표허은철 (대표이사 사장), 허일섭 (회장)
산업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등
서비스완제 의약품 제조업,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대표 제품혈장분획제제, 백신제제, 외염소염진통제, 한방소화제 등
제품알부민, Hunterase, Greengene F, GCFLU 등
슬로건Green Cross Care (2007 ~ 2017), Great Challenge (2018 ~ 현재)
홈페이지GC녹십자 한국어 홈페이지, GC Biopharma 영어 홈페이지, Green Cross Corporation 영어 홈페이지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자본금58,432,690,000원
매출액1,504,115,278,649원
영업이익50,252,525,869원
순이익89,270,741,454원
자산총액2,151,399,593,550원
주식 정보
한국거래소 (KSE)(1989. 8. 1 상장)
주주주식회사 녹십자홀딩스 외 특수관계인: 51.39%, 국민연금공단: 9.88%
기타 정보
모기업GC
자회사농업회사법인 인백팜주식회사, Curevo Inc.
종업원 수2,076명 (2020.12)
주요 사업바이오 치료제 제조 및 판매
주요 인물허은철 (사장)

2. 연혁


  • 1967년 10월: '''수도미생물약품'''으로 설립[5]
  • 1969년 1월: '''수도미생물약품'''에서 '''극동제약'''으로 사명 변경[5]
  • 1969년 11월: 상아제약 설립[5]
  • 1971년 10월: '''극동제약'''에서 '''녹십자'''로 사명 변경[5]
  • 1971년 11월: 혈액분획제제 공장 준공, 혈액분획제제 생산 시작[5]
  • 1973년: 대한민국 최초로 혈전용해제 유로키나제 생산 시작[5]
  • 1976년: 대한민국 최초로 홍역예방 주사제 미즐박스 생산 시작[5]
  • 1978년 8월: 기업 공개(자본금 12억 원, 발행주식총수 24만 주) 단행[5]
  • 1980년: 서울 서초 본사 사옥 준공[5]
  • 1981년: 일본 미카사제약ミカサ製薬일본어와 기술 제휴로 습포제 제놀 출시[5]
  • 1983년: 세계 세 번째로 B형간염백신(헤파박스-B) 개발 성공 및 출시, 간염 추방 캠페인 TV 광고 시작[5]
  • 1984년: 과학기술부 승인 제1호 민간연구재단 녹십자연구소 설립, 위십이지장궤양치료제 데놀 출시[5]
  • 1985년: 재단법인 녹십자연구소를 목암생명공학연구소로 개칭[5]
  • 1986년: 저칼로리 고급 감미료 그린스위트 출시[5]
  • 1987년: 대한민국 최초로 AIDS진단시약 개발, B형간염백신 헤파박스-B 1000만병 생산 돌파[5]
  • 1988년: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 백신(한타박스) 개발[5]
  • 1989년: 일본녹십자과 50:50 합작으로 미쓰비시다나베파마코리아 설립[5]
  • 1991년: 녹십자 데놀, 제1회 SBS 광고대상 의약품부문 수상[5]
  • 1992년: 녹십자, 저칼로리 감미료 브랜드 그린스위트를 미원(대상주식회사)으로 양도[5]
  • 1993년: 수두백신 세계에서 2번째로 개발, B형 간염백신(헤파박스-B) 수출 누계 3천만 도즈(1회 접종량) 돌파[5]
  • 1995년: 중국에 안휘녹십자생물제품유한공사 설립, 인도네시아에 B형간염백신 공장 준공, 주식회사 녹십자 살충제사업부 녹십자양행 설립[5]
  • 1999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에 본사 사옥 준공[5]
  • 2000년: 주식회사 녹십자 살충제사업부 녹십자양행 매각[5]
  • 2001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상아제약 인수[5]
  • 2003년: '''상아제약'''에서 '''녹십자상아'''로 사명 변경[5]
  • 2004년: 본점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성동으로 이전, '''녹십자상아'''에서 '''녹십자'''로 사명 변경[5]
  • 2008년: 세계에서 4번째 유전자재조합 혈우병치료제 그린진 신약 품목허가 획득[5]
  • 2009년: 아시아 최대 규모 혈액분획제제 및 유전자재조합제제 생산시설 오창공장 준공, 대한민국 유일 백신 전문 공장인 화순공장 준공, 세계에서 12번째로 독감백신 자급자족 실현, 대한민국 최초 계절 독감백신 지씨플루 식약청 허가 획득, 신종플루 백신 그린플루-에스 세계 8번째 판매 허가, 미국 내 자회사 GCAM 설립, 미국 캘리포니아주 혈액원 인수, 선대회장 故 허영섭 작고, 2대 회장 허일섭 취임[5]
  • 2011년: 독감백신 지씨플루, 대한민국 최초이자 세계 4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 사전품질인증(PQ) 승인, 천연물 신약 소염진통 치료제 신바로 개발[5]
  • 2012년: 세계 2번째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품목 허가, PAHO(범미보건기구)에 2000만달러 규모 계절 독감백신 수출, 프랑스 United Pharmaceutical社 프리미엄 맞춤형분유 노발락 도입 계약[5]
  • 2015년: 세계 4번째 4가 독감백신 개발, 국내 최초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개발[5]
  • 2016년: 4가 독감백신 지씨플루쿼드리밸런트 WHO QP승인[5]
  • 2017년: 녹십자 창립 50주년, 국내 기업 첫 북미 바이오공장 GCBT 준공, 유전자 재조합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백신 헤파빅-진(GC1102) 개발[5]
  • 2018년: '''녹십자'''에서 '''GC녹십자'''로 사명 변경,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백신 헤파빅-진(GC1102) 임상시험 돌입, GC녹십자-한국다케다제약, 화이투벤과 알보칠 판권 계약[5]
  • 2019년: 4가 독감백신 GC플루 시장 점유율 1위 및 2억 도즈 생산 돌파[5]
  • 2020년: 유기농 식물성 프로틴 올게인 시리즈 출시[5]
  • 2021년: 질병관리청-미국 모더나社, 코로나19 백신 유통계약 체결[5]

2. 1. 설립 초기 (1960년대 ~ 1970년대)

1967년 10월 수도미생물약품으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 1월 극동제약으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5] 같은 해 11월 상아제약을 설립하였다.[5] 1971년 10월, 회사명을 다시 녹십자로 변경하였고,[5] 같은 해 11월 혈액분획제제 공장을 준공, 혈액분획제제 생산을 시작하였다.[5]

1973년 대한민국 최초로 혈전용해제 유로키나제 생산을 시작하였고,[5] 1976년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홍역예방 주사제 미즐박스를 생산하였다.[5] 1978년 8월 기업 공개(자본금 12억 원, 발행주식총수 24만 주)를 단행하였다.[5]

2. 2. 성장기 (1980년대 ~ 1990년대)

GC영어녹십자는 1980년 서울 서초에 본사 사옥을 준공하였다. 1981년 일본 미카사제약ミカサ製薬일본어와 기술 제휴를 맺고 습포제 제놀을 출시하였다. 1983년 세계에서 세 번째로 B형간염백신(헤파박스-B) 개발에 성공, 간염 추방 캠페인 TV 광고를 시작하였다.[5]

1984년 과학기술부 승인 제1호 민간연구재단 녹십자연구소를 설립, 위십이지장궤양치료제 데놀을 출시하였다. 1985년 재단법인 녹십자연구소를 목암생명공학연구소로 개칭하였다. 1986년 저칼로리 고급 감미료 그린스위트를 출시하였다.[5]

1987년 대한민국 최초로 AIDS 진단 시약을 개발, B형간염백신 헤파박스-B 생산량 1000만 병을 돌파하였다. 1988년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 백신(한타박스) 개발에 성공하였다. 1989년 일본녹십자와 50:50 합작으로 미쓰비시다나베파마코리아를 설립하였다.[5]

1991년 녹십자 데놀은 제1회 SBS 광고대상 의약품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1992년 저칼로리 감미료 브랜드 그린스위트를 녹십자에서 미원(대상주식회사)으로 양도하였다. 1993년 수두백신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 B형 간염백신(헤파박스-B) 수출 누계 3천만 도즈(1회 접종량)를 돌파하였다.[5]

1995년 중국에 안휘녹십자생물제품유한공사를 설립, 인도네시아에 B형간염백신 공장을 준공하였다. 같은 해, 주식회사 녹십자 살충제사업부 녹십자양행을 설립하였다. 1999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에 본사 사옥을 준공하였다.[5]

2. 3. 지주회사 전환 및 확장기 (2000년대 ~ 현재)

2001년 GC녹십자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상아제약을 인수했다.[5] 2004년에는 본점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성동으로 이전했다.[5]

2008년에는 세계에서 4번째로 개발된 유전자재조합 혈우병치료제 그린진의 신약 품목허가를 획득했다.[5] 2009년에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혈액분획제제 및 유전자재조합제제 생산시설인 오창공장을 준공했다.[5] 같은 해 대한민국 유일의 백신 전문 공장인 화순공장을 준공하여 세계에서 12번째로 독감백신 자급자족을 실현했다.[5] 또한 대한민국 최초로 개발된 계절 독감백신 지씨플루의 식약청 허가를 획득하고, 신종플루 백신 그린플루-에스의 세계 8번째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5] 미국 내 자회사 GCAM을 설립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혈액원을 인수했으며, 선대회장 故 허영섭 회장이 작고하고 허일섭 회장이 2대 회장으로 취임했다.[5]

2011년 독감백신 지씨플루는 대한민국 최초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전품질인증(PQ) 승인을 획득했다.[5] 같은 해 천연물 신약 소염진통 치료제 신바로를 개발했다.[5]

2012년 세계 2번째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가 품목 허가를 받았으며, 범미보건기구(PAHO)에 2000만달러 규모의 계절 독감백신을 수출했다.[5] 또한 프랑스 United Pharmaceutical社의 프리미엄 맞춤형 분유 노발락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5]

2015년에는 세계 4번째 4가 독감백신을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조류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했다.[5] 2016년에는 4가 독감백신 지씨플루쿼드리밸런트가 WHO QP 승인을 받았다.[5]

2017년은 GC녹십자 창립 50주년이 되는 해였다.[5] 같은 해 국내 기업 최초로 북미 바이오공장 GCBT를 준공하고, 유전자 재조합 공법으로 만든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백신 헤파빅-진(GC1102)을 개발했다.[5]

2018년 사명을 '''녹십자'''에서 '''GC녹십자'''로 변경했다.[5]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백신 헤파빅-진(GC1102) 임상시험에 돌입했으며, GC녹십자-한국다케다제약 화이투벤과 알보칠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5]

2019년 4가 독감백신 GC플루는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2억 도즈 생산을 돌파했다.[5] 2020년에는 유기농 식물성 프로틴 올게인 시리즈를 출시했다.[5] 2021년에는 질병관리청과 미국 모더나社의 코로나19 백신 유통계약을 체결했다.[5]

3. 제품

GC녹십자는 백신, 일반 의약품, 혈장 단백질, 재조합 항체 및 단백질, 전문 의약품, 소비자 헬스케어 제품 등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주요 제품군

종류제품명
백신헤파빅-진(구 헤파박스-B/헤파박스-진), 한타박스, 그린진에프, 수두박스, GC플루, 페라미플루,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수입제조원 : 모더나코리아 및 제조허가 : 삼성바이오로직스)
일반 의약품그린플라스트큐, 데놀, 제놀, 베이비 립크림, 라바립케어, 유락신연고, 하이간, 비맥스 (제조허가 및 제조의뢰원 : 한풍제약), 써버쿨 (제조의뢰원 : 동성제약), 티라노 골드, 녹십자코큐텐비타, 화이투벤 (제조허가 및 제조의뢰원 : 셀트리온제약), 알보칠 (제조허가 및 제조의뢰원 : 셀트리온제약)
기타노발락 (프랑스 United Pharmaceuticals사 분유브랜드), 올게인, 혈장 단백질, 재조합 항체 및 단백질, 전문 의약품, 소비자 헬스케어


3. 2. 대표 제품

종류제품명
백신
일반의약품
분유노발락 (프랑스 United Pharmaceuticals사 분유브랜드)
기타


3. 3. 단종 제품

제품명
뇌염백신
바리오연고
그린스위트 (현, 대상(주)으로 판매 이관)
제놀스틱
유락신로션
데놀액
녹우 우황청심원
십자표 우황청심원/십자표 원방 우황청심원
치선액 (현, ㈜퍼슨에서 제조판매 이관)
어린이 백초
젠 (옛, 상아제약에서 제조 및 판매된 동식물 자양강장제)
제노킨
키토산음료 유
백초DS 시럽
메가홀빈
제로파
싸프만
마이드린캅셀
미즐박스
편차황
유로키나제
인터페론안약
로취제로
립플러스
그린콜
P-D.T.Vax


4. 본점 및 지점 현황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greencros[...]
[2] 웹사이트 MOGAM Institute http://www.mogam.re.[...]
[3] 문서 주식회사 녹십자홀딩스
[4] 문서 홍보 상 명칭
[5] 문서 녹십자홀딩스와 녹십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