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203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2039는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서 부여된 명칭으로, 지구에서 약 28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G형 별이다. HD 2039는 태양보다 크고 약간 더 뜨거우며 금속이 풍부하다. HD 2039는 2002년에 발견된 외계 행성 HD 2039 b를 가지고 있으며, HD 2039 b는 목성보다 질량이 큰 거대 행성으로, 3년 이상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타원 궤도로 항성을 공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황자리 - HD 142 b
HD 142 b는 봉황새자리 방향으로 약 84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태양과 유사한 HD 142를 어머니 별로 두고, 목성 질량의 1.31배 이상이며 1.02 천문단위 거리에서 약 350일 주기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 봉황자리 - HD 142
볼란스자리에 있는 G형 주계열성 HD 142는 외계 행성 3개와 동반성 1개를 거느리고 있으며, 2001년 외계 행성 HD 142 b가 처음 발견된 후 추가 관측으로 HD 142 c와 HD 142 d가 발견되었고, 1894년에는 이중성임이 밝혀졌다. - G형 준거성 - 목동자리 에타
목동자리 에타는 목동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무프리드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황색 준거성이자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는 금속 과잉 별이다. - G형 준거성 - 글리제 777
글리제 777은 백조자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황색 준거성 글리제 777 A와 적색 왜성 글리제 777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글리제 777 A는 두 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외계 행성 탐사 및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HD 2039 | |
|---|---|
| 기본 정보 | |
![]() | |
| 관측 정보 | |
| 시대 | J2000.0 |
| 별자리 | 봉황자리 |
| 겉보기 등급 | 8.99 |
| 특징 | |
| 분광형 | G2/G3 IV-V |
| 측성학 | |
| 시선 속도 | 8.43 ± 0.22 |
| 고유 운동 (적경) | 78.454 ± 0.042 |
| 고유 운동 (적위) | 14.512 ± 0.040 |
| 시차 | 11.6408 |
| 시차 오차 | 0.0276 |
| 절대 등급 | 3.96 ± 0.21 |
| 세부 정보 | |
| 질량 | 1.2 ± 0.03 |
| 표면 온도 | 5935 ± 64 |
| 광도 | 2.18 ± 0.02 |
| 반지름 | 1.4 ± 0.04 |
| 금속 함량 [Fe/H] | 0.30 ± 0.03 |
| 나이 | 4.4 ± 0.8 Gyr |
| 표면 중력 (log g) | 4.22 ± 0.03 |
| 명칭 | |
| 기타 명칭 | 2MASS=J00242028-5639001 CD=−57° 71 HIP=1931 SAO=232025 |
2. 명칭
HD 2039는 헨리 드레이퍼 목록 (Henry Draper Catalogue)에서 부여된 명칭이다. 이 목록은 1911년부터 1915년까지 애니 점프 캐넌(Annie Jump Cannon)과 그녀의 팀이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1918년에서 1924년 사이에 출판되었다.[2][3] HD 2039는 시리우스, 프로키온, 알데바란과 같은 별들처럼 널리 통용되는 일반적인 이름은 없다.
HD 2039는 안정적인 G형 별로, 태양처럼 흰색 빛을 낸다. HD 2039의 반지름은 태양보다 약 40% 더 크다. 이 별은 태양보다 약간 더 뜨거운데, 표면 온도는 5935 K이다. 이는 표면 온도가 5778 K인 태양[4]보다 약 200 K 더 높은 온도이다. HD 2039는 금속 함량이 특히 높아 천체 물리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3. 항성 HD 2039
3. 1. 거리 및 가시성
지구에서 관측되는 이 별의 겉보기 등급은 9등급이며, 이는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고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5] HD 2039는 태양으로부터 약 28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이는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인 카노푸스와 태양과의 거리와 거의 비슷하다.[6]
4. 행성계
2002년,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행성 탐사팀은 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HD 2039 항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HD 2039 b를 발견했다.[7] 이 행성은 최소 질량이 목성의 4배 이상인 슈퍼목성으로 추정되며, 항성으로부터 평균 약 2 AU 거리에서 3년이 넘는 주기로 공전한다.[7] 특히 궤도 이심률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HD 2039 b의 발견은 별도의 공식 발표 없이 조용히 이루어졌으며,[8] 과학계에서 존재가 확인된 100번째 외계 행성이라는 의의를 가진다.[8]
4. 1. HD 2039 b
HD 2039 b는 HD 2039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최소 질량은 목성의 약 4.5배에서 6.3배 사이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슈퍼목성으로 분류된다.2002년,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행성 탐사팀의 티니(C. G. Tinney), 버틀러(R. P. Butler), 마시(G. W. Marcy) 등은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안 망원경을 이용한 시선 속도법(도플러 효과) 관측을 통해 이 행성을 발견했다. HD 2039 b의 발견은 별도의 언론 발표나 공식 발표 없이 조용히 보고되었으며[8], 이는 과학계에서 확인된 100번째 외계 행성이었다.[8]
이 행성은 모항성 주위를 약 3년이 넘는 공전 주기로 공전한다. 보고된 공전 주기는 연구에 따라 약 1110일에서 1193일 사이이다. 항성으로부터의 평균 거리는 약 2.2 AU이다. 참고로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1 AU 거리에 있다.[7] 궤도 이심률은 0.637에서 0.71 사이로 측정되어 매우 큰 편이며, 이는 행성이 길쭉한 타원 궤도를 따라 공전함을 의미한다.
시선 속도법으로 측정된 행성의 질량은 관측 시선 방향에 대한 궤도경사각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최소 질량 값이다. 따라서 HD 2039 b의 실제 질량은 현재 알려진 값보다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아래는 HD 2039 b의 주요 궤도 요소 중 한 연구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 요소 | 값 |
|---|---|
| 최소 질량 (MJ) | ≥ 4.5 ± 1.7 |
| 공전 주기 (일) | 1110.1 ± 3.9 |
| 궤도 긴반지름 (AU) | 2.184 ± 0.006 |
| 이심률 | 0.637 ± 0.011 |
참조
[1]
웹사이트
HD 2039
http://vizier.u-stra[...]
2009
[2]
서적
The Henry Draper Memorial
1915-05
[3]
간행물
The Henry Draper Catalogue
1918
[4]
웹사이트
Sun Factsheet
http://nssdc.gsfc.n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9-01-13
[5]
웹사이트
Stellar Magnitudes
http://csep10.phys.u[...]
University of Tennessee
2008-11-20
[6]
뉴스
Great Star of the South
http://www.space.com[...]
2005-02-17
[7]
웹사이트
Astronomical unit
http://neo.jpl.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8-11-29
[8]
뉴스
Planet Tally Soars to Near 100, Astronomers Scramble to Keep Track
http://www.space.com[...]
2002-07-02
[9]
문서
[10]
웹사이트
HD 2039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ストラスブール天文データセンター
2018-11-03
[11]
논문
Four New Planets Orbiting Metal-enriched Stars
2003-04
[12]
논문
Accurate Empirical Radii and Masses of Planets and Their Host Stars with Gaia Parallaxes
2017-03
[13]
서적
The HIPPARCOS and TYCHO catalogues. Astrometric and photometric star catalogues derived from the ESA HIPPARCOS Space Astrometry Mission
ESA Publications Division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