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 지수는 한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로, 해당 연구자가 발표한 논문 중 피인용 횟수가 h회 이상인 논문이 h편 이상일 때의 최대 h 값으로 정의된다. 이 지수는 논문의 양과 질을 동시에 나타내며, 연구자, 학술지, 유튜브 채널 등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h 지수는 계산 방법과 장점에도 불구하고, 특정 논문에 대한 기여도, 자기 인용, 분야별 특성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다른 분야의 학자 간 비교가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h 지수 변형이 제안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연구자 평가 등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표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 지표 - 경제고통지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합으로 계산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직관적인 이해를 돕지만 경제의 복잡성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변형된 지표들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H 지수 | |
|---|---|
| 개요 | |
| 설명 | 개인의 과학적 연구 성과와 영향력을 정량화하려는 지표 |
| 유형 | 인용 기반 지수 |
| 분야 | 계량정보학 |
| 개발자 | 호르헤 에스테반 허쉬 |
| 발표 년도 | 2005년 |
| 정의 | |
| 정의 | h-지수는 과학자의 발표 논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인 경우의 h 값 |
| 계산 방법 | 과학자의 논문을 인용 횟수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 논문 순위(i)가 인용 횟수(cᵢ)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순위 i를 찾음 (h = max{i : cᵢ ≥ i}) |
| 예시 | 5편의 논문이 각각 10회, 8회, 5회, 4회, 3회 인용되었다면, h-지수는 3 (3편의 논문이 3번 이상 인용) 7편의 논문이 각각 37회, 20회, 6회, 4회, 3회, 1회, 1회 인용되었다면, h-지수는 3 |
| 특징 및 활용 | |
| 장점 | 연구자의 논문 수와 인용도를 동시에 고려 단일 논문의 과도한 인용에 영향을 덜 받음 연구자의 전반적인 연구 성과를 간결하게 나타냄 |
| 단점 | 연구 분야별 인용 빈도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연구자의 경력을 고려하지 않음 (신진 연구자와 노년 연구자 간의 비교가 어려움) 논문의 질적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공동 저자의 기여도를 고려하지 않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
| 보완 지표 | g-index, i10-index, 인용 분석 등 다양한 지표와 함께 사용 |
| 활용 | 연구자 평가, 대학 평가, 연구 기관 평가 등에 활용 |
| 관련 정보 | |
| 비판 | 과대광고 학문 분야에 따라 다른 인용 관행을 고려하지 않음 자체 인용을 고려하지 않음 |
| 참고 문헌 | Hirsch, J. E. (2005).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PNAS, 102(46), 16569-16572. 福成洋 (2014). 研究戦略のための計量書誌学の実践的活用と応用. 情報管理, 57(6), 376-386. |
| 같이 보기 | 인용 영향 인용 분석 저널 순위 g-지수 i10-지수 대체 지표 |
2. 정의 및 계산
h 지수는 어떤 연구자가 쓴 모든 논문 중 n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n개 이상일 때, 이 둘을 동시에 만족하는 n의 최댓값으로 정의된다.[4][5] h 지수는 총 인용 횟수나 출판물 수와 같은 단순한 척도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인용 관례는 분야마다 크게 다르므로, h 지수는 동일 분야에서 활동하는 학자들을 비교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6]
과학자의 연구 평가는 연구 내용이나 중요성 등 다양한 요소가 얽혀 있어 어렵다. 따라서 객관적인 기준으로 연구 성과인 논문 수가 사용된다. 단순한 논문 수만으로는 논문의 질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논문이 다른 논문에 인용된 횟수(피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인용 횟수만으로는 과학자 개인 연구의 질을 파악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100회 인용된 논문 1편을 쓰는 것과 1회만 인용된 논문 100편을 쓰는 것이 같은 평가를 받는 문제가 발생한다.
h 지수는 "어떤 연구자가 발표한 논문 중 피인용 횟수가 h 이상인 논문이 h개 이상임을 만족하는 가장 큰 수"이다. 예를 들어 h 지수가 30인 연구자는 피인용 횟수가 30회 이상인 논문이 최소 30편 있지만, 피인용 횟수가 31회 이상인 논문은 31편보다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표는 연구자의 논문 양(논문 수)과 질(피인용 횟수)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1. 계산 방법
어떤 연구자의 ''h'' 지수는 그 사람이 쓴 모든 논문 중 n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n개 이상일 때, 이 둘을 동시에 만족하는 n의 최대값으로 한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는
''h'' 지수는 ''h''개의 논문이 각각 최소 ''h''회 이상 인용된 경우의 최대 ''h'' 값이다. 예를 들어, 저자가 9, 7, 6, 2, 1회 인용된 5편의 논문을 가지고 있다면(가장 많은 인용 횟수부터 내림차순 정렬), 이 저자의 ''h'' 지수는 3이다. 왜냐하면 3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3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저자는 4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4편은 아니다.
어떤 연구자의 ''h'' 지수는 "그 연구자가 공표한 논문 중 피인용 횟수가 h 이상인 것이 h개 이상임을 만족하는 최대의 수치"가 된다. 구체적으로, ''h'' 지수가 30인 연구자는 피인용 횟수 30 이상의 논문이 최소 30편 있지만, 피인용 횟수 31 이상의 논문은 31편 미만임을 나타낸다.
''h'' 지수 계산 예 (괄호 안은 피인용 횟수)
- 논문 A(10), 논문 B(8), 논문 C(5), 논문 D(4), 논문 E(3) → ''h'' 지수 = 4
- 논문 A(25), 논문 B(8), 논문 C(5), 논문 D(3), 논문 E(3) → ''h'' 지수 = 3
2. 2. 계산 예시
어떤 연구자가 다음과 같은 논문을 발표했다고 가정해 보자. (괄호 안은 피인용 횟수)| 논문 | 피인용 횟수 |
|---|---|
| A | 10 |
| B | 8 |
| C | 5 |
| D | 4 |
| E | 3 |
이 경우, 피인용 횟수가 4회 이상인 논문이 4편(A, B, C, D)이므로, h 지수는 4가 된다.
다른 예시로,
| 논문 | 피인용 횟수 |
|---|---|
| A | 25 |
| B | 8 |
| C | 5 |
| D | 3 |
| E | 3 |
호르헤 허쉬가 2005년에 H 지수를 제안했다.[50] 이후 다양한 허쉬 유형 지수 (h-type indices)들이 개발되면서 연구자 및 학술지의 영향력 평가 방법론 발전에 기여했다. g 지수, A 지수, R 지수 등 다양한 평가 도구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51]
h 지수는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평가하고, 연구비 지원 대상자를 선정하거나, 학술지 순위를 결정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Web of Science, Scopus, 구글 학술 검색과 같은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연구자의 h 지수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제공하고 있다.[9] INSPIRE-HEP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특정 데이터베이스에서도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 연구자의 h 지수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제공한다.
''h'' 지수는 특정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논문의 양(논문 수)과 질(피인용 횟수)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52] 이는 총 논문 수나 총 피인용 횟수와 같은 단순 지표보다 연구자의 영향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 h 지수는 연구자가 발표한 논문 중 피인용 횟수가 h 이상인 논문이 h개 이상일 때 h 값으로 정의된다.
''h'' 지수는 특정 연구자의 양적인 기여와 질적인 기여를 모두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과 비판을 받는다.[52]
이 경우에는 피인용 횟수가 3회 이상인 논문이 5편이지만, 4회 이상인 논문은 3편이므로 h 지수는 3이 된다.
3. 역사
H 지수는 에딩턴 수와 유사하며, 스가노 적분, 카이 판 거리와도 관련이 있다.[7][8]
과학자의 연구 평가는 연구 내용, 중요성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어렵다. 따라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으로 논문 수가 사용되지만, 단순 논문 수는 논문의 질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에 논문 피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삼기도 하지만, 이 역시 과학자 개인의 연구 질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4. h 지수의 활용
각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범위를 가지므로 동일한 학자에 대해 서로 다른 ''h'' 값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다.[10] 한 연구에 따르면 Web of Science는 저널 출판물에 대한 강력한 범위를 가지지만 영향력이 높은 학회에 대한 범위는 부족하다. Scopus는 학회에 대한 범위는 더 좋지만 1996년 이전 출판물에 대한 범위는 부족하다. 구글 학술 검색은 학회와 대부분의 저널(전부는 아님)에 대한 범위가 가장 좋지만, Scopus와 마찬가지로 1990년 이전 출판물에 대한 범위는 제한적이다.[11] 학회 논문집의 제외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학자들에게 특히 문제가 되는데, 학회 논문집은 문헌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12] 구글 학술 검색은 인용 횟수에 회색 문헌을 포함시키고 불 대수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유령 인용"을 생성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3]
최근에는 유튜브 채널과 같은 인터넷 미디어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데에도 h 지수가 활용되고 있다. 이는 채널이 h개 이상의 동영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동영상의 조회수가 h × 105회를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동영상 제작자의 총 조회수와 비교했을 때, h 지수와 g 지수는 생산성과 영향력을 단일 지표로 더 잘 포착한다.[44]
5. h 지수의 장점
h 지수는 연구자의 논문 양과 질을 동시에 고려하여 하나의 수치로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연구자의 연구가 얼마나 영향력이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h 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 지수 (''f'') =
h 지수 계산 예시는 다음과 같다.논문 피인용 횟수 h 지수 논문 A 10 4 논문 B 8 논문 C 5 논문 D 4 논문 E 3 논문 피인용 횟수 h 지수 논문 A 25 3 논문 B 8 논문 C 5 논문 D 3 논문 E 3 6. h 지수의 한계 및 비판
과학자의 연구 평가는 연구의 내용이나 중요성 등 다양한 요소가 얽혀 있어 어렵다. 단순한 논문 수만으로는 논문의 질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피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한 평가에서는 100회 인용 논문 1편과 1회 인용 논문 100편이 동일하게 평가되는 등, 과학자 개인 연구의 질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7. h 지수 변형 및 대안
''h'' 지수는 특정 논문에 대한 저자의 기여도, 어떤 논문에 인용되었는지, 자기 인용을 얼마나 사용하였는지 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52] 또한 임팩트 팩터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분야의 학자들을 수평 비교하기 어렵고, 경력이 많지 않은 연구자들에게 불리하다. 연구자의 연구 역량에 대한 정량적 비교 자체에 대한 비판도 있다.
''h'' 지수는 한 연구에서 더 단순한 지표인 논문당 평균 피인용 횟수보다 예측 정확도 및 정밀도가 약간 떨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33] 허쉬(Hirsch)의 또 다른 연구에 의해 반박되었다.[34]
''h'' 지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변형 지표 및 대안 지표들이 제안되었다.[36][37][38][39][40][41][42] 이 중 g-지수와 같이 원래의 ''h'' 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있어, 일부 연구자들은 이러한 변형이 불필요하다고 여기기도 한다.[43] 반면, ''h''-frac 지표는 ''h'' 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으면서도 과학적 상과는 상관관계를 보인다.[42]
8. 한국에서의 h 지수
''h'' 지수는 특정 연구자의 양적인 기여와 질적인 기여를 모두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52]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우선, ''h'' 지수는 특정 논문에 대한 저자의 기여도, 어떤 논문에 인용되었는지, 자기 인용을 얼마나 사용하였는지 등을 반영하지 못한다.[52] 또한 임팩트 팩터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분야의 학자들을 수평 비교하기 어렵고, 경력이 많지 않은 연구자들에게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자의 연구 역량을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 자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9. 저명한 연구자들의 h 지수 (예시)
허쉬는 물리학자의 경우, 주요 연구 대학에서 종신 교수(부교수)로 승진하기 위한 ''h'' 값은 약 12, 정교수는 약 18, 미국 물리학회 회원은 15~20,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은 45 이상이 일반적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6] 허쉬는 20년 후 "성공적인 과학자"는 ''h'' 지수가 20, "뛰어난 과학자"는 ''h'' 지수가 40, "진정으로 독특한" 개인은 ''h'' 지수가 60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4]
1983년부터 2002년까지 가장 많이 인용된 과학자들 중 생명 과학 분야 상위 10인과 h 지수는 다음과 같다.
- 솔로몬 H. 스나이더 (191)
- 데이비드 볼티모어 (160)
- 로버트 C. 갈로 (154)
- 피에르 샹봉 (153)
- 버트 보겔스타인 (151)
- 살바도르 몬카다 (143)
- 찰스 A. 디나렐로 (138)
- 키시모토 타다미츠 (134)
- 로널드 M. 에반스 (127)
- 랄프 L. 브린스터 (126)
2005년 생물학 및 생물의학 분야에서 미국 국립 과학원에 새로 선출된 36명의 회원 중 중간 ''h'' 지수는 57이었다.[4]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 과학 분야의 ''h'' 지수는 다른 분야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법학 2.8, 정치학 3.4, 사회학 3.7, 지리학 6.5, 경제학 7.6 등으로 나타났다.[18]
참조
[1]
논문
What do we know about the h-index?
2007-07
[2]
웹사이트
Google Scholar Metrics for Publications
http://googlescholar[...]
[3]
논문
Finding a Way Through the Scientific Literature: Indexes and Measures
[4]
논문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2005-11-15
[5]
뉴스
Physicist Proposes New Way to Rank Scientific Output
http://www.physorg.c[...]
PhysOrg
2010-05-13
[6]
웹사이트
Impact of Social Sciences – 3: Key Measures of Academic Influence
https://blogs.lse.ac[...]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20-04-19
[7]
논문
How high is your ''E''?
https://iopscience.i[...]
2022-09-17
[8]
논문
H-Index and Other Sugeno Integrals: Some Defects and Their Compensation
https://ieeexplore.i[...]
2016-12
[9]
웹사이트
Google Scholar Citations Help
https://scholar.goog[...]
2012-09-18
[10]
논문
Which ''h''-index?: A comparison of WoS, Scopus and Google Scholar
[11]
논문
Impact of Data Sources on Citation Counts and Rankings of LIS Faculty: Web of Science vs. Scopus and Google Scholar
[12]
논문
Research Evaluation for Computer Science
http://www.informati[...]
[13]
논문
Dubious hit counts and cuckoo's eggs
[14]
논문
Revisiting ''h'' measured on UK LIS and IR academics
[15]
논문
Measuring the Surgical Academic Output of an Institution: The "Institutional" H-Index
2012-07
[16]
뉴스
Rating Researchers
http://www.sciencene[...]
Science News
2010-05-13
[17]
웹사이트
Citation Thresholds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http://www.sciencewa[...]
Thomson Reuters
2010-05-13
[18]
웹사이트
Impact of Social Sciences – 3: Key Measures of Academic Influence
https://eprints.lse.[...]
2020-11-14
[19]
논문
''H''-index: however ranked, citations need context
[20]
논문
What do citation counts measure? A review of studies on citing behavior
[21]
논문
Quantifying the Life Cycle of Scholarly Articles Across Fields of Economic Research
[22]
논문
Quantifying coauthor contributions
http://www.stanford.[...]
[23]
논문
A proposal for calculating weighted citations based on author rank
[24]
논문
Rational (successive) H-indices: An application to economics in the Republic of Ireland
https://research.vu.[...]
[25]
논문
Coercive Citation in Academic Publishing
[26]
논문
Highly cited researcher banned from journal board for citation abuse
2020-02-06
[27]
논문
Assessing author self-citation as a mechanism of relevant knowledge diffusion
2017-03
[28]
논문
Detecting ''h''-index manipulation through self-citation analysis
[29]
논문
Scientific impact evaluation and the effect of self-citations: Mitigating the bias by discounting the ''h''-index
[30]
논문
The K-index and the hubs of science
[31]
Technical report
Ike Antkare one of the great stars in the scientific firmament
http://rr.liglab.fr/[...]
Joseph Fourier University
[32]
논문
The h-index is no longer an effective correlate of scientific reputation
[33]
논문
Measures for measures
[34]
논문
Does the ''h''-index have predictive power?
[35]
논문
Critique of Hirsch's Citation Index: A Combinatorial Fermi Problem
https://www.ams.org/[...]
[36]
논문
Is it possible to compare researchers with different scientific interests?
[37]
논문
Generalized Hirsch ''h''-index for disclosing latent facts in citation networks
[38]
논문
V-index: A fairer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research output capacity
2005-12
[39]
간행물
Age Decaying ''H''-Index for Social Network of Citations
http://sunsite.infor[...]
[40]
논문
Beyond the Durfee square: Enhancing the h-index to score total publication output
Springer
2008-07-12
[41]
논문
The h index is the best measure of a scientist's research productivity
Wiley
2009-03-05
[42]
논문
The h-index is no longer an effective correlate of scientific reputation
[43]
논문
A multilevel meta-analysis of studies reporting correlations between the ''h''-index and 37 different ''h''-index variants
[44]
논문
Bibliometrics for Internet media: Applying the ''h''-index to YouTube
[45]
논문
I – a bibliometric index
[46]
논문
Hirsch-type indices for ranking institutions' scientific research output
[47]
서적
研究戦略のための計量書誌学の実践的活用と応用
[48]
논문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2005-11-15
[49]
논문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2005-11-15
[50]
저널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https://www.pnas.org[...]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05-11-05
[51]
저널
학술지의 피인용횟수 순위를 적용한 tapered h-지수의 변형지표 "Kor-hT"에 관한 연구
http://home.skku.edu[...]
2013
[52]
웹인용
학자들의 스펙, h-인덱스를 아시나요?
http://slownews.kr/2[...]
2014-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