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s of the Lovin' Spoonfu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ums of the Lovin' Spoonful》은 1966년에 발매된 미국의 록 밴드 러빙 스푼풀의 두 번째 정규 음반이다. 이 음반은 팝, 컨트리, 블루스 등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했으며, 〈Summer in the City〉, 〈Rain on the Roof〉, 〈Nashville Cats〉 등의 히트곡을 포함하고 있다. 여러 음악 평론 매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보비 대린, 조니 캐시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수록곡을 커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빙 스푼풀의 음반 - Do You Believe in Magic (음반)
Do You Believe in Magic은 러빈 스푼풀의 데뷔 음반으로, 다양한 장르의 혼합과 존 세바스찬의 작곡 능력이 돋보이며, 빌보드 200 차트 32위까지 오르고 타이틀곡이 밴드의 대표곡이 되었다. - 테네시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내슈빌 (드라마)
내슈빌은 컨트리 음악의 중심지 내슈빌에서 왕년의 슈퍼스타와 신예 스타 간의 경쟁, 음악, 사랑, 가족 이야기를 다룬 미국의 드라마로, 칼리 쿠리가 제작하고 코니 브리튼, 헤이든 파네티어 등이 출연하여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내슈빌 관광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 테네시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헬캣츠
헬캣츠는 장학금을 위해 치어리딩팀에 들어간 법학 전공 학생의 이야기를 다룬 텔레비전 드라마로, 2010년 The CW에서 방영되었으나 시즌 1을 마지막으로 취소되었다. - 내슈빌의 음악 - 내슈빌 사운드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후반 내슈빌 음반사에서 쳇 애킨스 등을 중심으로 개발된 컨트리 음악 스타일로, 혼키통크 요소와 팝 음악의 부드러움을 결합해 현악 세션, 백킹 보컬, 크루닝 창법을 활용했으며, 컨트리폴리탄으로 진화하여 컨트리 팝에 영향을 주었다. - 내슈빌의 음악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은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기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컨트리 음악 유물 보관소이자 명예의 전당으로, 다양한 소장품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컨트리 음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경험을 제공한다.
Hums of the Lovin' Spoonfu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음반 이름 | Hums of the Lovin' Spoonful |
음반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아티스트 | 러빙 스푼풀 |
커버 | Hums of the Lovin' Spoonful.jpg |
발매일 | 1966년 11월 |
녹음 장소 | 컬럼비아 7번가 및 벨 사운드, 뉴욕 시 |
장르 | 포크 록 팝 |
길이 | 26분 48초 |
레이블 | 카마 수트라 |
프로듀서 | 에릭 야콥슨 |
이전 음반 | What's Up, Tiger Lily? |
이전 음반 발매일 | 1966년 |
다음 음반 | The Best of the Lovin' Spoonful |
다음 음반 발매일 | 1967년 |
싱글 | |
싱글 이름 | Hums of the Lovin' Spoonful |
싱글 종류 | 스튜디오 |
싱글 1 | Summer in the City |
싱글 1 발매일 | 1966년 7월 |
싱글 2 | Rain on the Roof |
싱글 2 발매일 | 1966년 10월 |
싱글 3 | Nashville Cats / Full Measure |
싱글 3 발매일 | 1966년 11월 |
2. 배경
《Hums of the Lovin' Spoonful》은 러빙 스푼풀이 팝, 컨트리, 저그 밴드, 블루스, 포크 등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한 음반이다.[21] 이들은 바쁜 투어 일정 속에서도 1966년 내내 이 음반을 녹음했다.[5][6] 대부분의 녹음은 미드타운 맨해튼의 콜롬비아 레코드 7번가 스튜디오와 벨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으며,[5][6] 1966년 6월에는 로스앤젤레스의 스튜디오에서 추가 녹음이 이루어졌다.[7]
올뮤직의 윌리엄 룰맨은 이 음반이 통일성보다는 트랙들의 느슨한 이질성을 표현한다고 평했다. 그는 세바스천과 동료들이 매번 완전히 다른 사운드를 내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언급했다.[22][9] 캐시 박스는 싱글로 발매된 〈Rain on the Roof〉가 소프트 록 스타일로 돌아왔다고 평하며, 성공을 예상했다.[24]
모든 곡은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존 세바스찬이 작사/작곡했다.
이 음반은 러빙 스푼풀의 초기 멤버들이 함께 작업한 마지막 정규 음반이 되었다.[21] 〈Summer in the City〉는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고,[21] 〈Rain on the Roof〉, 〈Nashville Cats〉, 〈Full Measure〉도 팝 차트에 올랐으며, 〈Full Measure〉를 제외한 모든 곡이 10위권 안에 진입했다.[21] 존 세바스찬은 〈Nashville Cats〉에 대해 "우리는 우리의 버전이 컨트리 시장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전혀 그러지 못했다."라고 회고했다.
여러 유명 가수들이 이 음반의 수록곡을 커버했다. 보비 대린은 〈Lovin' You〉를 커버해 인기를 얻었으며, 조니 캐시와 준 카터 캐시는 〈Darlin' Companion〉을, 플랫 앤 스크러그스는 〈Nashville Cats〉를, 돌리 파튼은 〈Lovin' You〉를 커버했다.[21]
3. 평가
''Hums of the Lovin' Spoonful''은 여러 음악 평론 매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9][10][11][12]
4. 수록곡
'''사이드 1'''
# "Lovin' You" – 2:29
# "Bes' Friends" – 1:54
# "Voodoo in My Basement" – 2:29
# "Darlin' Companion" – 2:22
# "Henry Thomas" – 1:43
# "Full Measure" (스티브 분, 존 세바스천) – 2:42
'''사이드 2'''
# 지붕 위의 비 – 2:13
# "Coconut Grove" (존 세바스천, 잘 야노브스키) – 2:43
# 내슈빌 캣츠 – 2:35
# "4 Eyes" – 2:53
# 도심 속의 여름 (존 세바스천, 마크 세바스찬, 스티브 분)[25][26]
4. 1. 정규 음반
모든 곡은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존 세바스찬이 작사/작곡했다.
# "Lovin' You" – 2:25
# "Bes' Friends" – 1:52
# "Voodoo in My Basement" – 2:35
# "Darlin' Companion" – 2:22
# "Henry Thomas" – 1:40
# "Full Measure" (스티브 분, J. 세바스찬) – 2:40
4. 1. 1. Side 1
모든 곡은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존 세바스찬이 작사/작곡했다.
#"Lovin' You" – 2:25
#"Bes' Friends" – 1:52
#"Voodoo in My Basement" – 2:35
#"Darlin' Companion" – 2:22
#"Henry Thomas" – 1:40
#"Full Measure" (스티브 분, J. 세바스찬) – 2:40
4. 1. 2. Side 2
# 지붕 위의 비 – 2:13
# "Coconut Grove" (존 세바스찬, 잘 야노브스키) – 2:38
# 내슈빌 캣츠 – 2:34
# "4 Eyes" – 2:53
# 도심 속의 여름 (존 세바스천, 마크 세바스천, 분) – 2:39[25][26]
4. 2. 2003년 재발매 보너스 트랙
2003년 재발매반에는 존 세바스천의 솔로 데모 버전인 "Darlin' Companion", 인스트루멘탈 버전의 "Rain on the Roof", 보컬 및 확장 버전이 다른 "4 Eyes", 인스트루멘탈 버전의 "Full Measure"와 "Voodoo in My Basement", 보컬과 믹싱이 다른 "Darlin' Companion" 등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25][26]
5. 참여진
러빈 스푼풀의 멤버인 존 세바스찬은 리드 보컬, 기타, 오토하프 등 다양한 악기를 연주했고, 잘 야노프스키는 기타, 백 보컬, 리드 보컬을 맡았다.[15] 스티브 분은 베이스와 키보드를, 조 버틀러는 드럼, 백 보컬,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15]
헨리 딜츠는 클라리넷 연주와 사진 촬영을, 아티 슈로크는 전자 피아노를, 래리 햄킨은 주즈하프를 연주했다.
에릭 야콥센이 프로듀서를, 로이 할리가 엔지니어를 맡았다.
6. 차트 성적 및 인증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