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TF 1694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ATF 16949는 자동차 산업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자동차 제조사들이 공급업체에게 요구하는 여러 국가별 품질 관리 시스템의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 표준은 ISO 9001을 기반으로 하며, 고객 만족도와 시스템 및 공정 품질 개선을 목표로 한다. IATF 16949 인증은 IATF에서 발행한 인증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유효한 인증서를 갖춘 공급업체만이 자동차 제조업체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공급업체(OEM)들에게 각 국가별 규정에 따라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인증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공급업체는 여러 인증을 받아야 하는 복잡성이 발생했고, 이는 자동차 업계에서 통일된 품질 관리 규격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13]
2. 역사적 배경
예를 들어, 제너럴 모터스가 1926년 영국의 복스홀을, 1930년 오펠을 인수한 것처럼, 국경을 넘는 기업 인수는 이전부터 있었다. 기업 인수뿐만 아니라 국적이 다른 완성차 업체끼리 공동 생산 및 개발(NPD)을 하는 것도 흔한 일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QS-9000 인증 공급업체가 VDA 6, AVSQ, EAQF에도 동시에 대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각 국가별 자동차 산업용 품질 관리 시스템은 존재했지만, 공급업체가 국경을 넘어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규격 통일이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구미 주요 자동차 생산국의 자동차 공업회와 각 제조사들이 IATF(International Automotive Task Force)를 결성하고, ISO/TS 176 위원회의 협력하에 통일된 품질 관리 시스템 규격인 ISO/TS 16949:1999를 만들었다.
ISO/TS 16949:2002 (두 번째 판) 개정에는 일본 자동차 공업회(JAMA)도 참여했지만(일본계 완성차 제조사는 참여하지 않음), 2013년 현재 판인 ISO/TS 16949:2009 (세 번째 판) 개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QS-9000은 ISO/TS 16949에 통합되어 2006년 12월 15일 이후로 효력을 잃었다.
2. 1. IATF 16949 제정 이전
자동차 제조사들은 공급업체(OEM)들에게 각 국가별 규정에 따라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인증을 요구했다. 주요 규정은 다음과 같다.[13]
| 국가 | 규정 |
|---|---|
| 독일 | VDA |
| 북미 | AIAG |
| 이탈리아 | AVSQ |
| 프랑스 | FIEV |
| 영국 | SMMT |
그러나 이러한 규정으로 인해 공급업체는 여러 인증을 받아야 하는 복잡성이 발생했다. 예를 들어, 다임러와 크라이슬러에 납품하는 공급업체는 독일의 VDA 6.1과 미국의 QS 9000 인증을 모두 받아야 했다.[13] 이러한 복잡성 때문에 자동차 업계에서는 통일된 품질 관리 규격의 필요성이 커졌다.
현대 자동차 제조 공정은 프레스, 용접 조립, 도장, 조립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엔진 공장은 별도로 운영된다. 완성차 제조사는 차체나 엔진 블록 등 일부 부품만 직접 제조하고, 대부분의 부품은 외부 공급업체로부터 조달받는다. 따라서 공급업체의 품질 관리는 완성차 제조사에게 매우 중요해졌다.
1964년 포드는 Q101, 제너럴 모터스는 SPEAR를 통해 공급업체 감사를 시작했다.[11] 1980년대에는 일본 자동차의 품질 우수성이 미국 시장에서 주목받자, 미국 완성차 제조사들은 펜타스타(크라이슬러), Q1(포드), 타겟 포 에셀런스(제너럴 모터스)와 같은 품질 관리 상을 제정하여 공급업체를 평가하고 품질 향상을 유도했다.[12]
하지만 각 제조사가 서로 다른 품질 보증 체계를 요구하면서 공급업체는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13]
- 유사한 규격의 확산
- 상이한 서류 요구
- 제조사별 다양한 감사 실시
- 용어 불일치
- 동일 개념에 대한 다양한 용어 사용
- 동일 용어에 대한 다른 의미 부여
- 제조사별 상이한 평가 방법
이러한 문제는 티어 2 공급업체에게 더욱 심각했으며, 완성차 제조사 규격 외에 각 티어 1 공급업체의 규격까지 추가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빅3(크라이슬러, 포드, 제너럴 모터스)가 중심이 되어 통일된 품질 관리 규격 QS-9000을 제정했다. 1988년 세 회사의 구매 담당 부사장이 통일 규격 및 매뉴얼 작성에 합의, 1994년 QS-9000이 완성되었다.[14] 이는 ISO 9000:1994를 바탕으로 각 사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발전시킨 것이다.
QS-9000과 함께 생산 부품 승인 프로세스(PPAP), 통계적 공정 관리(SPC), 측정 시스템 분석(MSA), 고장 모드 영향 분석(FMEA), 선행 제품 품질 계획(APQP) 등 5가지 안내서(파이브 코어 툴)가 발행되었다. 이 안내서는 QS-9000과 함께 품질 관리 시스템 요구사항을 구성하며, 현재에도 미국계 제조사들은 ISO/TS 16949에 첨부하는 고객 고유 요구사항으로 활용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1991년 독일 자동차 공업 협회(VDA)가 VDA6.1을 제정했다. VDA는 다임러, BMW 등 완성차 제조사와 보쉬, 콘티넨탈 등 부품 제조사를 포함하는 업계 단체이다.[15] VDA6.1은 DIN EN ISO 9004:1990을 바탕으로 자동차 산업용 체크 시트를 제공하며, 공급업체 품질 관리 시스템 감사를 위한 통일된 방법을 제시했다.[17] VDA도 파이브 코어 툴과 유사한 안내서를 제공하며, 독일계 제조사들은 이를 따르도록 요구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이탈리아 자동차 부품 공업 협회(ANFIA)가 AVSQ를 1994년에 제정했다. 이는 ISO 9001:1994 기반 체크리스트로, 자동차 업계 가이드라인을 포함한다. AVSQ 3판은 VDA6.1, EAQF(프랑스 규격), ISO 9004-1:1994를 도입하여, AVSQ 인증은 VDA6.1 및 EAQF 인증과 동등하게 간주되었다.[18]
프랑스에서는 PSA 푸조 시트로엥과 르노가 1990년 EAQF를 발행했다.[7] 이는 ISO 9001을 자동차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지침 및 추가 요구사항을 포함한다. 1994년 VDA6.1을 도입하여 개정되었다.
2. 2. IATF 16949 제정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은 다수의 공급업체(OEM)에게 각 국가별 기구의 규칙 및 규정에 따라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증을 받도록 요구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VDA(독일)
- AIAG(북미)
- AVSQ(이탈리아)
- FIEV(프랑스)
- SMMT(영국)
그러나 이러한 규정들로 인해 공급업체는 다임러(Daimler)와 크라이슬러(Chrysler)에 대해 각각 다른 인증서(독일의 VDA 6.1, 미국의 QS 9000)를 제공해야 했다. 이는 해당 공급업체가 한 회사에만 납품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복잡성 때문에 규격의 통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가 1926년 영국의 복스홀과 1930년 아담 오펠을 인수한 것처럼, 국경을 넘어 기업을 인수하는 일은 이전부터 있었다. 기업 인수뿐만 아니라 국적이 다른 완성차 업체끼리 다양한 형태로 공동 생산 및 개발(신제품 개발, NPD)을 하는 것도 흔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QS-9000 인증 공급업체가 VDA 6, AVSQ, EAQF에도 동시에 대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각 국가별로 자동차 산업용 품질 관리 시스템은 있었지만, 공급업체가 국경을 넘어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규격 통일이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구미 주요 자동차 생산국의 자동차 공업회와 각 제조사들이 IATF(국제 자동차 태스크 포스)를 결성하고, ISO/TS 176 위원회의 협력하에 통일된 품질 관리 시스템 규격인 ISO/TS 16949:1999를 만들었다.
ISO/TS 16949:2002 (두 번째 판) 개정에는 일본 자동차 공업회(JAMA)도 참여했지만(일본계 완성차 제조사는 참여하지 않음), 2013년 현재 판인 ISO/TS 16949:2009 (세 번째 판) 개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QS-9000은 ISO/TS 16949에 통합되어 2006년 12월 15일 이후로 효력을 잃었다.
3. IATF 16949의 특징
IATF 16949 표준의 목표는 시스템 및 공정 품질을 개선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생산 공정 및 공급망의 문제점과 위험을 파악하여 그 원인을 제거하고, 효과적인 시정 및 예방 조치를 검토하고 시행하는 것이다.[5] 문제 발견보다는 오류 방지에 초점을 둔다.
이 표준은 ISO 9001:2015에서 다루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세스 지향적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품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인식, 매핑 및 제어되어야 하는 상호 작용 및 인터페이스가 있는 프로세스 환경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살펴본다. 또한 외부(하위 공급업체, 고객 및 원격 위치)로의 게이트웨이가 정의된다. 이 표준은 고객 지향적 프로세스, 지원 프로세스 및 관리 프로세스를 구분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지향적 접근 방식은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개요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고립된 프로세스가 아니라 회사의 품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상호 작용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조합이다.
IATF 16949:2016의 핵심 요구 사항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공급업체의 품질 관리 시스템 외에 설정한 고객별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이다.
표준의 10개 주요 장은 다음과 같다.
| 장 번호 | 장 제목 |
|---|---|
| 제1장 | 적용 범위 |
| 제2장 | 규범적 참조 |
| 제3장 | 용어 및 정의 |
| 제4장 | 조직 상황 |
| 제5장 | 리더십 |
| 제6장 | 기획 |
| 제7장 | 지원 (인력, 인프라, 장비 등의 자원, 역량, 의사소통 및 문서화된 정보(기록 보존, 엔지니어링 사양) 포함) |
| 제8장 | 운영 (요구 사항, 설계 및 개발, 생산 관리 및 제품 및 서비스 출시 포함) |
| 제9장 | 성과 평가 |
| 제10장 | 개선 |
2013년 당시 버전은 '''ISO/TS 16949:2009'''이며, 명칭은 "품질 경영 시스템 - 자동차 생산 및 관련 교환 부품에 종사하는 조직에 ISO 9001:2008을 적용하기 위한 특정 요구 사항"이다. 여기서 TS는 기술 사양을 의미한다.
ISO/TS 16949는 고객 만족도와 사원 만족도의 취급에 특징이 있다.[21] 고객 만족도에 대해서는, 요구 사항에 대한 적합 정도를 고객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 규정되었다.[22] 제조 공정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과, 제조 공정 및 제품이 고객의 요구 사항에 일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다.[23]
사원 만족도에 대해서는 ISO/TS 16949:1999에서 사원 만족도를 조사하는 시스템을 정비하는 것이 규정되었고,[7] ISO/TS 16949:2002에서는 품질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지속적인 개선 활동 및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입하는 것 등에 사원이 적극적으로 임하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24]
4. IATF 16949의 내용 및 구성
IATF 16949는 ISO 9001:2015를 기반으로 자동차 산업의 특수한 요구사항을 반영한 표준이다. 고객 만족도 향상, 생산 공정 및 공급망의 문제점과 위험 파악, 원인 제거, 효과적인 시정 및 예방 조치 검토에 초점을 맞추며, 문제 발견보다는 오류 방지에 중점을 둔다.[5]
IATF 16949:2016 표준은 다음과 같이 10개의 주요 장으로 구성된다.
| 장 번호 | 내용 |
|---|---|
| 제1장 | 적용 범위 |
| 제2장 | 규범적 참조 |
| 제3장 | 용어 및 정의 |
| 제4장 | 조직 상황 |
| 제5장 | 리더십 |
| 제6장 | 기획 |
| 제7장 | 지원 (인력, 인프라, 장비 등의 자원, 역량, 의사소통, 문서화된 정보 포함) |
| 제8장 | 운영 (요구 사항, 설계 및 개발, 생산 관리, 제품 및 서비스 출시 포함) |
| 제9장 | 성과 평가 |
| 제10장 | 개선 |
ISO 9001:2015의 프로세스 지향적 접근 방식은 이 표준의 기반이다. 품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인식, 매핑, 제어되어야 하는 상호 작용 및 인터페이스를 가진 프로세스 환경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살펴본다. 또한 외부(하위 공급업체, 고객, 원격 위치)로의 게이트웨이도 정의한다. 고객 지향적 프로세스, 지원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를 구분하며, 이러한 프로세스 지향적 접근 방식은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개요를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IATF 16949의 핵심 요구 사항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공급업체의 품질 관리 시스템 외에 설정한 고객별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이다.
2013년 당시 버전은 '''ISO/TS 16949:2009'''이며, 정식 명칭은 "품질 경영 시스템 - 자동차 생산 및 관련 교환 부품에 종사하는 조직에 ISO 9001:2008을 적용하기 위한 특정 요구 사항"이었다. 여기서 TS는 기술 사양을 의미한다.
ISO/TS 16949는 ISO 9001 본문과 약 100개의 추가 항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ISO 9001:2008의 "6.4 작업 환경" 항목은 다음과 같다.
> 6.4 작업 환경
> 조직은 제품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환경을 규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 --ISO 9001:2008(인용자 번역)
IATF는 여기에 "6.4.1 제품에 대한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경우의 인적 안전"과 "6.4.2 깨끗한 시설"의 2개 항목을 추가했다. 6.4.1항은 작업자 안전에 대한 조직의 책임을 규정하고, 6.4.2항은 시설을 질서 있고 깨끗한 상태(5S)로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ISO/TS 16949는 본문뿐만 아니라, 고객 고유 요구 사항이라고 불리는 완성차 메이커별 별책을 함께 기본적인 요구 사항으로 한다[25] . 포드는 레이아웃 검사를 각 제품에 대해 1년에 한 번 실시하도록 고객 고유 요구 사항으로 추가했고[26] , 제너럴 모터스는 같은 레이아웃 검사에 대해 빈도를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다고 명시했다[27] .
4. 1. 7장 제품 실현
IATF 16949의 제7장은 제품 실현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제품 실현은 제품을 실제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기획: 제품 생산을 위한 전반적인 계획 수립.
- 설계 및 개발: 제품 설계 및 생산 공정 설계를 포함하며, FMEA(고장 유형 및 영향 분석)가 핵심 요소이다.[36]
- 구매: 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및 부품 구매.
- 제조: 실제로 제품을 생산.
- 확인 및 측정: 생산된 제품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 및 측정.
제7장은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을 강조한다.
4. 2. 8장 측정, 분석, 개선
제품이 요구 항목에 부합함을 나타내고, 품질 경영 시스템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며, 나아가 품질 경영 시스템의 효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측정, 분석, 개선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37] 측정 기기 관리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이전 장에서 다루고 있다.[38]5. 인증
IATF 16949 표준은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인증은 국제 자동차 태스크포스(IATF)에서 발행한 인증 규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인증서는 3년 동안 유효하며, IATF 인증 심사원(제3자 심사원)이 IATF에서 인정하는 인증 기관을 통해 최소한 매년 갱신해야 한다. 3년이 지나면 재인증이 필요하다. IATF 16949에 따른 인증은 (잠재적) 공급업체의 시스템 및 공정 품질에 대한 (잠재적) 고객의 신뢰를 구축하거나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유효한 인증서가 없는 공급업체는 1차 공급업체에 부품을 공급할 기회가 거의 없으며, 해당 OEM이 IATF의 참여 회원사일 경우(대부분의 일본 OEM은 JAMA의 회원이며 IATF의 회원이 아니다), 자동차 제조업체에 표준 부품을 공급할 기회는 절대 없다.[6]
인증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인증 기관 | 국가 |
|---|---|
| [https://www.p-r-i.org/registrar PRI 인증] | 미국, 중국, 일본 |
| DQS | 독일 |
| [https://www.tuv.com/usa/en/automotive-iso-ts-16949-and-iatf-16949-certification.html TÜV 라인란드] | 독일 |
| BSI 그룹 | 영국 |
| 뷰로 베리타스 | 프랑스 |
| DNV GL | 노르웨이 |
| [https://www.eaglecertificationgroup.com EAGLE 인증 그룹] | 미국 |
| IFCE | 북아일랜드 |
| SAI 글로벌 | 호주 |
| SGS S.A. | 스위스 |
| TÜV NORD | 독일 |
| TÜV SÜD | 독일 |
| United Registrar of Systems | 영국 |
6. 주요 인증 기관
| 인증 기관 | 국가 |
|---|---|
| [https://www.p-r-i.org/registrar PRI 인증] | 미국, 중국, 일본 |
| DQS | 독일 |
| [https://www.tuv.com/usa/en/automotive-iso-ts-16949-and-iatf-16949-certification.html TÜV 라인란드] | 독일 |
| BSI 그룹 | 영국 |
| 뷰로 베리타스 | 프랑스 |
| DNV GL | 노르웨이 |
| [https://www.eaglecertificationgroup.com EAGLE 인증 그룹] | 미국 |
| IFCE | 북아일랜드 |
| SAI 글로벌 | 호주 |
| SGS S.A. | 스위스 |
| TÜV NORD | 독일 |
| TÜV SÜD | 독일 |
| United Registrar of Systems | 영국 |
| DNV|데트 노르스케 베리타스영어 | 노르웨이 |
| TÜV 쥐트 | 독일 |
| TÜV Rheinland|TÜV 라인란드영어 | 독일 |
| TÜV NORD|TÜV 노르트영어 | 독일 |
| NSF International|NSF 인터내셔널영어 | 미국 |
| 뷰로 베리타스 | 프랑스 |
| SGS | 스위스 |
| AFNOR|AFNOR영어 | 프랑스 |
| DQS Holding GmbH | 독일 |
7. 한국 자동차 산업과 IATF 16949
주어진 소스에 따르면, IATF 16949는 자동차 산업의 품질 경영 시스템 표준이지만, 한국 자동차 산업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나타내는 내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ISO/TS 16949:1999
http://www.iso.org/i[...]
[2]
웹사이트
IATF 16949:2016
http://www.iatf16949[...]
2021-02-21
[3]
웹사이트
IATF 16949:2016
Automotive Industry Action Group (AIAG)
2016-10-03
[4]
서적
ISO/TS 16949 QM in der Automobilindustrie umsetzen
Carl Hanser Verlag
[5]
논문
A comparison of ISO 9000:2000 quality system standards, QS9000, ISO/TS 16949 and Baldrige criteria
[6]
웹사이트
Global Supplier
http://www.jama-engl[...]
Daimler
[7]
문서
D. Hoyle, p.95.
[8]
웹사이트
IATF 16949:2016
http://www.iatf16949[...]
2021-02-21
[9]
웹사이트
IATF 16949:2016
Automotive Industry Action Group (AIAG)
2016-10-03
[10]
문서
D. J. Womack, pp.31-32.
[11]
문서
D. Hoyle, p.100.
[12]
문서
D. Hoyle, pp.100-101.
[13]
문서
N. Isac et al., p282
[14]
문서
QS-9000:1998, FOREWORD TO FIRST EDITION
[15]
문서
VDA - Members
[16]
문서
VDA - History
[17]
문서
D. Hoyle, p.101.
[18]
문서
D. Hoyle, p.102.
[19]
문서
N.M.Vaxvanidis, et al, p.160.
[20]
문서
N.M.Vaxvanidis, et al, p.165
[21]
문서
N.M.Vaxvanidis, et al, p.159
[22]
문서
ISO/TS 16949:2002 8.2.
[23]
문서
ISO/TS 16949 8.2.1.1.
[24]
문서
ISO/TS 16949 6.2.2.4
[25]
문서
ISO/TS 16949:2009 0.5.
[26]
문서
Ford Customer-Specific, 4.41.
[27]
문서
GM Customer-Specific, 4.2.5.
[28]
문서
ISO/TS 16949 0.3.
[29]
문서
D. Hoyle, p.20.
[30]
문서
ISO/TS 16949 0.5.
[31]
문서
ISO 9001:2008, 1.2.
[32]
문서
ISO/TS 16949 2.1.
[33]
문서
D. Hoyle, p.115.
[34]
문서
D. Hoyle, p.299.
[35]
문서
ISO/TS 16949 6.2.2.1.
[36]
간행물
ISO/TS 16949 7.3.3.1, 7.3.3.2.
[37]
간행물
ISO/TS 16949 8.1.
[38]
간행물
ISO/TS 16949 7.6, 7.6.1, 7.6.2.
[39]
간행물
ISO/TS 16949 7.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