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TTH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TTH(Fiber To The Home)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각 가정까지 통신 회선을 연결하는 기술이다. ADSL과 비교하여 전송 손실이 적고, 잡음 간섭에 강하며, 안정적인 통신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새로운 통신망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들어 서비스 지역이 제한적이며, 광섬유 케이블 설치의 어려움과 같은 단점도 존재한다. FTTH는 전용형(Single Star)과 공유형(AON, PON)의 접속망 구성 방식을 가지며, 대한민국의 경우 높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일본에서도 FTTH가 널리 보급되었으나, 광회선 임대 문제와 불법적인 서비스 권유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접속 - 전화 접속
    전화 접속은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모뎀과 전화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198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나 광대역 인터넷의 등장으로 2000년대 이후 사용이 줄어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사라지는 추세이다.
  • 인터넷 접속 - 케이블 모뎀
    케이블 모뎀은 DOCSIS 기반 기술을 통해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고속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지만, 상호 운용성 문제와 보안 취약점 등의 과제가 존재하며 MoCA와 같은 기술로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FTTH
광섬유를 통한 가정 인터넷 접속 (FTTH)
개요
기술 유형광섬유 통신
인터넷 접속 유형광대역 인터넷
용도인터넷
비디오 온 디맨드
IPTV
VoIP
장점고속 인터넷 속도
저지연
대역폭 증가 가능성
단점설치 비용이 높음
광섬유 네트워크 설치 필요
기술적 세부 사항
전송 매체광섬유
파장1310 nm, 1490 nm, 1550 nm
전송 속도수백 Mbps에서 수 Gbps까지
일반적인 아키텍처AON (Active Optical Network)
PON (Passive Optical Network)
세계적 추세
보급률 증가 추세전 세계적으로 광대역 인터넷 보급 증가에 따라 증가
주요 국가대한민국, 일본, 스웨덴, 미국, 중국
대한민국에서의 FTTH
대한민국 발전 상황세계 최고 수준의 FTTH 보급률을 달성
대한민국 통신사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한국 정부의 노력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한국 FTTH 서비스초고속 인터넷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
기타
관련 기술FTTB (Fiber-to-the-Building)
FTTC (Fiber-to-the-Curb)
FTTx

2. 특징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은 ADSL이 기존 전화선에 고속 데이터 신호를 실어 나르는 방식(일반 도로에 고성능 레이싱카를 달리게 하거나, 재래선을 신칸센이 고속으로 달리는 것)과 달리, 처음부터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새로 만든 고속도로고속철도를 새로 건설한 것과 같다.
장점ADSL과 비교하면, 중계국으로부터의 선로 길이가 길어도 전송 손실의 영향이 적고, 도로, 철도, AM 라디오 방송과 같은 잡음원으로부터의 간섭 등에 의한 외부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그로 인한 속도 저하나 연결 끊김(재트레이닝)도 적어 안정된 통신이 가능하다. 중계국으로부터 가입자 주택까지의 통신 가능 거리는, PON의 경우 대략 20km까지이다.

안정된 IP 전화, IP 화상 전화, 광파장 다중 통신에 의한 디지털 방송을 포함한 다채널의 케이블 방송의 동시 전송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상향(≒송신) 대역폭이 ADSL보다 많이 확보되어 있어, 촬영한 동영상의 송신이나 자택 서버 운영 등 대용량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환경에서는 큰 장점이 된다.
단점FTTH는 전화선이나 케이블 텔레비전과 같은 기존 통신망과는 별도로 새로운 광통신망을 구축해야 하므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따라서 FTTH가 제공되는 지역은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이나 수요가 있는 지역으로 한정된다. 다만, 하치조섬처럼 Bフレッツ를 이용할 수 있는 섬 지역 사례도 있다.

광섬유 케이블, 특히 과거에 주로 사용되던 유리섬유 광케이블은 그 성질상 실내 배선에서 자유로운 배치가 어렵고 취급에도 전문적인 지식, 기술, 전용 공구가 필요했다. 각 세대에 광케이블 인입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오래된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에서는 세대별 FTTH 도입이 어려워, 대안으로 LAN 배선, VDSL, FWA 등을 이용해야 했다. 이러한 방식은 FTTH가 아닌 FTTB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플라스틱 클래드 광섬유 케이블이 도입, 보급되면서 유리 클래드 광섬유보다 굽힘에 강해지고 5mm 정도의 소경 굽힘도 가능해져 실내 배선으로 기존 배관에도 도입하기 쉬워졌다. 현재는 압력, 천공 등의 내구성을 제외하면 2심 전화선과 큰 차이가 없는 특성을 가진 광섬유 케이블이 보급되어, 과거 VDSL 등을 이용해야 했던 경우에도 광섬유 직접 인입(FTTH)이 이루어지고 있다.

ISP는 최대 통신 속도 100Mbps - 10Gbps를 베스트 에포트로 제공한다. 이는 가입자와 국사 간 통신 규격상의 최대 속도이며, 광섬유 코어를 공유하고 수 Gbps - 수십 Gbps 정도의 백본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등으로의 통신 속도는 최대값보다 크게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

2. 1. 장점

ADSL과 비교하여, 중계국으로부터의 선로 길이가 길어도 전송 손실의 영향이 적고, 도로, 철도, AM 라디오 방송과 같은 잡음원으로부터의 간섭 등에 의한 외부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그것들을 원인으로 한 속도 저하나 연결 끊김(재트레이닝)도 적어 안정된 통신이 가능하다. 중계국으로부터 가입자 주택까지의 통신 가능 거리는, PON의 경우 대략 20km까지이다.

안정된 IP 전화, IP 화상 전화, 광파장 다중 통신에 의한 디지털 방송을 포함한 다채널의 케이블 방송의 동시 전송 등, 다채로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상향(≒송신)의 대역폭이 ADSL보다 많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한 동영상의 송신이나 자택 서버 운영 등 대용량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환경에서는 큰 장점이 된다.

2. 2. 단점

FTTH는 전화선이나 케이블 텔레비전과 같은 기존 통신망과는 별도로 새로운 광통신망을 구축해야 하므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따라서 FTTH가 제공되는 지역은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이나 수요가 있는 지역으로 한정된다. 다만, 하치조섬처럼 Bフレッツ를 이용할 수 있는 섬 지역 사례도 있다.

광섬유 케이블, 특히 과거에 주로 사용되던 유리섬유 광케이블은 그 성질상 실내 배선에서 자유로운 배치가 어렵고 취급에도 전문적인 지식, 기술, 전용 공구가 필요했다. 각 세대에 광케이블 인입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오래된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에서는 세대별 FTTH 도입이 어려워, 대안으로 LAN 배선, VDSL, FWA 등을 이용해야 했다. 이러한 방식은 FTTH가 아닌 FTTB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플라스틱 클래드 광섬유 케이블이 도입, 보급되면서 유리 클래드 광섬유보다 굽힘에 강해지고 5mm 정도의 소경 굽힘도 가능해져 실내 배선으로 기존 배관에도 도입하기 쉬워졌다. 현재는 압력, 천공 등의 내구성을 제외하면 2심 전화선과 큰 차이가 없는 특성을 가진 광섬유 케이블이 보급되어, 과거 VDSL 등을 이용해야 했던 경우에도 광섬유 직접 인입(FTTH)이 이루어지고 있다.

ISP는 최대 통신 속도 100Mbps - 10Gbps를 베스트 에포트로 제공한다. 이는 가입자와 국사 간 통신 규격상의 최대 속도이며, 광섬유 코어를 공유하고 수 Gbps - 수십 Gbps 정도의 백본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등으로의 통신 속도는 최대값보다 크게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

3. 접속망 구성 방식

수용국 설비 내부에서 각 가정에 이르는 접속망의 네트워크 구성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전용형 (Single Star)

: 통신국에서 각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1:1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전송 대역을 독점할 수 있어 안정적이지만, 구축 비용이 높다. 싱글 스타(Single Star)라고 불린다.

; 공유형

: 통신국 설비(중계국)에서 각 사용자의 집 사이에 광케이블 분기점이 있는 방식이다. 하나의 광케이블을 많은 사용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통신국 내의 전송 설비 등의 운영 비용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전용형과 비교하여, 한 가구당 통신국까지의 전송 속도는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을수록 반비례하여 낮아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누릴 수 있는 전송 속도는 전용형과 공유형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이는 국 설비에서 전용 회선 및 공유 회선을 하나로 묶어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식이지만, 그 코어 네트워크의 상황에도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전용형이라고 무조건 빠르다거나 공유형이라고 무조건 느리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공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능동형 광 네트워크 (AON: Active Optical Network)

중계국으로부터 하나의 광케이블을 능동 소자(전자회로)로 분기시켜 가입자와 연결하는 방식이다. 능동 소자가 분산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복잡해진다. Active Double Star라고 부른다.

;* 수동형 광 네트워크 (PON: Passive Optical Network)

광 스플리터(광 커플러)라고 불리는 수동 광소자(광학 부품)를 사용하여 하나의 광섬유를 분기하는 방식이다. 케이블의 연장 거리 단축과 중계국 장치 수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패시브 더블 스타(Passive Double Star)라고도 한다.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 A-PON (ATM-PON)

: ATM(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 BPON (Broadband PON)

: 파장 분할 다중/WDM영어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는 ITU-T G.983 시리즈로 표준화된 ATM-PON을 가리킨다.

  • * E-PON (Ethernet-PON)

: 이더넷/Ethernet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 GE-PON (Gigabit Ethernet-PON)

: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특히 IEEE 802.3ah로 표준화된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 * G-PON (Gigabit PON)

: ITU-T G.984 시리즈로 표준화된 PON이다.

  • * XG-PON (10Gigabit PON)

: ITU-T G.987 시리즈로 표준화된 PON이다.

GE-PON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대부분은 각 사용자측 광회선 종단 장치에서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국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영어)까지의 통신 규격상 최대 속도와 비교했을 때, 인터넷 백본이 좁은 등의 병목 현상이 원인이 되어, 사용자 단말기측 - 인터넷상의 서버간에 공칭 속도대로의 처리량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하는 광의 파장 등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OLT와 ONT는 동일 제조사의 것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1. 전용형 (Single Star)

통신국에서 각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1:1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전송 대역을 독점할 수 있어 안정적이지만, 구축 비용이 높다. 싱글 스타(Single Star)라고 불린다.

3. 2. 공유형

통신국 설비(중계국)에서 각 사용자의 집 사이에 광케이블 분기점이 있는 방식이다. 하나의 광케이블을 많은 사용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통신국 내의 전송 설비 등의 운영 비용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전용형과 비교하여, 한 가구당 통신국까지의 전송 속도는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을수록 반비례하여 낮아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누릴 수 있는 전송 속도는 전용형과 공유형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이는 국 설비에서 전용 회선 및 공유 회선을 하나로 묶어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식이지만, 그 코어 네트워크의 상황에도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전용형이라고 무조건 빠르다거나 공유형이라고 무조건 느리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공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능동형 광 네트워크 (AON: Active Optical Network)


중계국으로부터 하나의 광케이블을 능동 소자(전자회로)로 분기시켜 가입자와 연결하는 방식이다. 능동 소자가 분산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복잡해진다. Active Double Star라고 부른다.

  • 수동형 광 네트워크 (PON: Passive Optical Network)


광 스플리터(광 커플러)라고 불리는 수동 광소자(광학 부품)를 사용하여 하나의 광섬유를 분기하는 방식이다. 케이블의 연장 거리 단축과 중계국 장치 수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패시브 더블 스타(Passive Double Star)라고도 한다.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 A-PON (ATM-PON)

: ATM(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 BPON (Broadband PON)

: 파장 분할 다중/WDM영어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는 ITU-T G.983 시리즈로 표준화된 ATM-PON을 가리킨다.

  • * E-PON (Ethernet-PON)

: 이더넷/Ethernet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 GE-PON (Gigabit Ethernet-PON)

: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특히 IEEE 802.3ah로 표준화된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 * G-PON (Gigabit PON)

: ITU-T G.984 시리즈로 표준화된 PON이다.

  • * XG-PON (10Gigabit PON)

: ITU-T G.987 시리즈로 표준화된 PON이다.

GE-PON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대부분은 각 사용자측 광회선 종단 장치에서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국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영어)까지의 통신 규격상 최대 속도와 비교했을 때, 인터넷 백본이 좁은 등의 병목 현상이 원인이 되어, 사용자 단말기측 - 인터넷상의 서버간에 공칭 속도대로의 처리량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하는 광의 파장 등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OLT와 ONT는 동일 제조사의 것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2. 1. 능동형 광 네트워크 (AON: Active Optical Network)



중계국으로부터 하나의 광케이블을 능동 소자(전자회로)로 분기시켜 가입자와 연결하는 방식이다. 능동 소자가 분산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복잡해진다. Active Double Star라고 부른다.

3. 2. 2. 수동형 광 네트워크 (PON: Passive Optical Network)

광 스플리터(광 커플러)라고 불리는 수동 광소자(광학 부품)를 사용하여 하나의 광섬유를 분기하는 방식이다. 케이블의 연장 거리 단축과 중계국 장치 수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패시브 더블 스타(Passive Double Star)라고도 한다.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A-PON (ATM-PON)

: ATM(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BPON (Broadband PON)

: 파장 분할 다중/WDM영어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는 ITU-T G.983 시리즈로 표준화된 ATM-PON을 가리킨다.

  • E-PON (Ethernet-PON)

: 이더넷/Ethernet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GE-PON (Gigabit Ethernet-PON)

: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영어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특히 IEEE 802.3ah로 표준화된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 G-PON (Gigabit PON)

: ITU-T G.984 시리즈로 표준화된 PON이다.

  • XG-PON (10Gigabit PON)

: ITU-T G.987 시리즈로 표준화된 PON이다.

GE-PON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대부분은 각 사용자측 광회선 종단 장치에서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국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영어)까지의 통신 규격상 최대 속도와 비교했을 때, 인터넷 백본이 좁은 등의 병목 현상이 원인이 되어, 사용자 단말기측 - 인터넷상의 서버간에 공칭 속도대로의 처리량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하는 광의 파장 등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OLT와 ONT는 동일 제조사의 것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4. 관련 기술

현재는 구부림 특성을 대폭 강화해 볼펜 굵기(반경 5mm)의 막대에 여러 차례 감아도 데이터 손실이 거의 없는 굴곡특성 광섬유(E-BIF)가 상용화되었다.

5. 대한민국의 FTTH

대한민국은 FTTH 보급률이 매우 높으며, KT가 제일 처음 집안까지 광섬유를 끌고 오는 방식으로 FTTH 서비스를 시작했다.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는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집안에 설치된 광섬유 케이블 모뎀을 통해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 PC에 연결한다.

100Mbps급 서비스에서 광섬유 케이블 교체 없이 모뎀 교체만으로 최고 1Gbps 속도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FTTH 서비스는 정보통신 특등급 인증을 받은 아파트, 주택, 공장지대, 산간 지역 등 FTTH 광포트가 설치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인터넷 속도와 보급률이 높은 대한민국에서는 기존 xDSL과 HFC(동축 케이블) 방식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인터넷 보급이 어려운 낙후된 산간, 오지, 시골 지역도 네트워크 품질 향상을 위해 FTTH로 교체 및 보급되고 있다.

일부 통신사들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FTTH 서비스 품질 저하나 불법적인 마케팅 행위가 발생하여 소비자 불만이 제기되기도 한다.

5. 1. 현황 및 사업자

대한민국은 FTTH 보급률이 매우 높으며, KT가 제일 처음 집안까지 광섬유를 끌고 오는 방식으로 FTTH 서비스를 시작했다.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는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집안에 설치된 광섬유 케이블 모뎀을 통해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 PC에 연결한다.

100Mbps급 서비스에서 광섬유 케이블 교체 없이 모뎀 교체만으로 최고 1Gbps 속도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FTTH 서비스는 정보통신 특등급 인증을 받은 아파트, 주택, 공장지대, 산간 지역 등 FTTH 광포트가 설치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인터넷 속도와 보급률이 높은 대한민국에서는 기존 xDSL과 HFC(동축 케이블) 방식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인터넷 보급이 어려운 낙후된 산간, 오지, 시골 지역도 네트워크 품질 향상을 위해 FTTH로 교체 및 보급되고 있다.

일부 통신사들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FTTH 서비스 품질 저하나 불법적인 마케팅 행위가 발생하여 소비자 불만이 제기되기도 한다.

5. 2. 기술 발전

5. 3. 한계 및 과제

6. 일본의 FTTH

6. 1. 보급 현황

2001년 이후 USEN, 동서 NTT(Bフレッツ), 전력계 통신사업자 등에 의해 광섬유를 이용한 안정적이고 고속의 통신이 가능한 FTTH 접속이 도시 지역에서 시작되었다.[1] 2000년대 후반 이후로는 이용 가능 지역이 확대되고, 가전 양판점 등에서의 판매도 FTTH에 더욱 힘을 쏟는 경우가 많아졌다.

2010년대 이후에는 공동주택용 광 접속 요금이 ADSL 접속과 큰 차이가 없어졌다. 2012년 3월 31일에 실시된 지상 디지털 방송으로의 완전 이행에 따라 "안테나 대용"으로 CATV나 FTTH의 판매가 증가하여[1], FTTH 보급이 확대되었다.

초기 FTTH는 다운로드 공칭 대역폭 10 Mbps로 시작되었다. 후에 간선의 속도가 100 Mbps로 강화되었고, 2010년대에는 간선의 속도가 1Gbps, 2010년대 후반에는 10Gbps가 되었다. 2021년 현재, 사용자 단말의 규격상(공칭치) 최고 통신 속도는 소니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즈의 NURO광, 오프티지(구・케이・옵티콤)의 eo광, KDDI의 auひかり, 중부 텔레커뮤니케이션의 コミュファ光, NTT 동일본 및 NTT 서일본의 프렛츠 광 크로스가 각 10 Gbps, STNet의 Pikara, QTnet의 BBIQ가 각 1 Gbps이다.

상용 서비스에서 다운로드(≒수신)의 평균 실효 속도는 공칭 대역폭의 50 - 70%가 일반적이며, 모든 도도부현에서 ADSL보다 빠르지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2] 《0AB〜J》를 사용한 IP 전화가 이용 가능하게 되어 초고속성을 살려 VOD나 IP 화상 전화의 제공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FTTH 서비스는 인프라스트럭처로서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해 지리적 조건에 좌우되지 않고 희망자에게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6. 2. 기술 발전

6. 3. 일분기 대여 문제

가입자선 공유형 FTTH에서 NTT 동일본과 NTT 서일본이 다른 사업자에게 하나의 광케이블 코어 단위로 임대하는 것을, 분기마다 임대하는 것의 옳고 그름을 놓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 문제는 https://www.soumu.go.jp/main_sosiki/joho_tsusin/policyreports/joho_tsusin/yusei/setsuzoku/index.html 총무성 정보통신행정·우정행정심의회 전기통신사업부회 접속위원회에서 심의되고 있다.[3][4]

광회선을 보유하지 않고 ADSL을 제공하는 사업자가 광회선을 임대하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분기가 발생할 위험이 없어져 저렴하게 FTTH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NTT 입장에서는 신기술 도입에 따른 회선 속도 향상이나 대역 제어가 어려워지고, 광회선 신설 투자 회수 기간이 길어져 보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분기별 임대의 경우, NTT만 손실을 부담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분기를 해소하려는 임대 사업자의 의욕이 저하되어 설비 이용률이 저하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또한, 설비 투자 위험을 회피한 저가 사업자의 등장은 자체적으로 광회선을 설치하고 있는 NTT 이외의 사업자의 설비 투자 회수 가능성을 저하시킨다.

기존 메탈 회선을 통한 ADSL에서 프로바이더가 IP전화를 제공하는 FTTH로의 전환은, 휴대전화로 인해 통화 시간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NTT의 수익 악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FTTH에서 NTT의 과점화(NTT 서일본, 동일본을 합친 전국 점유율은 약 69.7%(2015년 9월 말 현재))가 문제시되고 있지만, NTT 서일본 영업 지역에서는 NTT 서일본의 점유율이 50% 미만인 지역도 존재하며, 지역적으로는 전력계 통신 사업자·CATV 사업자 등과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한편 NTT는 물리적인 케이블은 아니지만, 프렛츠를 통해 광범위하게 VNO인 프로바이더 각사에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어, 물리적 회선을 제공하는 사업자로서 일정한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2011년 11월 18일, 총무성의 조정이 원치 않는 방식으로 종결됨에 따라, 소프트뱅크 계열은 NTT 동서에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 소프트뱅크 계열은 비용이 많이 드는 데도 불구하고 자사 FTTH 사용자가 늘지 않아 프렛츠를 이용한 FTTH를 제공하고 있었다. 2015년 2월부터 NTT의 광회선 서비스 도매와 소프트뱅크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결합한 인터넷 접속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ADSL의 경우보다 수익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예상하고 있는 분기별 임대의 경우 예상되는 매출총이익률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하나의 코어 단위 임대 방식에는 장점도 있다. KDDI는 하나의 코어 단위라는 장점을 활용하여 1Gbps 전용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6. 4. 광회선 서비스 도매

2015년 2월부터 NTT 동서(NTT東西)의 광회선 서비스 도매가 시작되었다. 휴대전화 MVNO와 유사하게, 통신 설비를 보유하지 않은 사업자가 네트워크를 빌려 '''FVNO'''(Fixed Virtual Network Operator; '''가상고정통신사업자''')로서 자사 브랜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휴대전화, 모바일 브로드밴드, 에너지 소매, 기계 경비 등을 결합한 서비스가 제공 및 기획되고 있다.

광 콜라보레이션 모델 VDSL 장치(NTT 동서)와 광 BB 유닛(소프트뱅크)


일분기 대여는 물리적인 장비 수준에서 분할하여 공유하는 것에 반해, "서비스 도매"는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이며, 물리적인 광케이블 및 장비는 회선 사업자(이 경우 NTT)의 일괄 관리하에 있다는 점이 다르다.

총무성이 발표한 「전기통신사업 분야에 있어서의 시장 분석에 관한 데이터북(헤이세이 27년도)」에 따르면, 2016년 3월 말 현재 광회선 서비스 도매는 376개사 469만 회선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NTT 그룹 전체가 44.6%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다른 사업자로부터 "NTT는 NTT 도코모에 FMC(고정·이동 융합 서비스)를 행하게 하여, 사실상 NTT 그룹의 일체 운영으로 이어진다"고 비판받고 있다. 광회선을 설치해 온 다른 사업자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NTT 동서의 광회선 서비스 도매 요금, 공사비, 판촉비 등은 비용을 밑도는 요금을 설정할 수 없으며, 합리적인 이유 없이 사업자 간에 차별을 둘 수 없다.

또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조치가 관계 각사에 요구되었다.

6. 5. 불법 권유 문제

FTTH 서비스와 관련하여, 특히 대리점에 의한 불법 유인 및 부정 계약이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10] NTT 동서(NTT東西)로부터 “전용(転用)”이라는 간편한 절차로 광회선 서비스 변경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전용한 회선을 업체 변경하는 경우에는 계약 해지료가 청구되고, 전화번호・이메일 주소가 바뀌며, 신규 가입과 동등한 공사비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9]

개인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여 계약 변경을 진행하는 등 매우 악질적인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11] 신분을 위장한 유인도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12] PC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원격 조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계약을 유도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13]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22년 7월부터 전기통신사업법 시행규칙이 개정되어 전화 유인 시 설명서를 이용한 제공 조건 설명 의무화 및 기간 구속 계약에 관한 위약금 제한 등이 설정되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フレッツ・テレビ http://www.flets.com[...]
[2] 보도자료 情報通信審議会 2020-ICT基盤政策特別部会 基本政策委員会(第11回)配布資料・議事録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4-07-10
[3] 보도자료 NTT東西に対する訴訟の提起について http://www.softbankb[...] ソフトバンクBB、ソフトバンクテレコム 2011-11-18
[4] 보도자료 NTT東西に対する独禁法差止訴訟の判決について http://www.softbank.[...] ソフトバンクBB、ソフトバンクテレコム 2014-11-18
[5] 기타
[6] PDF 電気通信事業分野における市場分析 に関するデータブック(平成 27 年度) https://www.soumu.go[...]
[7] 보도자료 NTT東西のFTTHアクセスサービス等の卸電気通信役務に係る電気通信事業法の適用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案)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5-01-00
[8] 보도자료 NTT東西による光回線サービスの卸売の提供に伴う消費者向け光サービス提供に当たっての消費者保護のための取組(要請)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5-01-28
[9] 보도자료 光サービス(FTTHサービス)の乗換えにあたっての注意点!! https://www.soumu.go[...] 総務省
[10] 보도자료 よく分からないまま契約していませんか?インターネット、携帯電話等の電気通信サービスに関する勧誘トラブルにご注意! https://www.kokusen.[...] 国民生活センター 2015-03-06
[11] 뉴스 光サービス卸で不適切勧誘 総務省、2社に行政指導へ https://www.soumu.go[...] 産経新聞
[12] 보도자료 NTT西日本の販売代理店をかたる強引な販売勧奨にご注意ください https://www.ntt-west[...] NTT西日本
[13] 웹사이트 「遠隔操作ソフトのインストールは、訪問者を家に招き入れる行為」 https://www.rbbtoday[...]
[14] 웹사이트 消費者保護ルールの見直しに関する電気通信事業法施行規則及びガイドライン等の改正(中央省庁からの情報)_国民生活センター https://www.kokusen.[...] 2022-04-03
[15] 상표등록 2004-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