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a형 초신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a형 초신성은 루돌프 민코프스키와 프리츠 츠비키가 고안한 초신성 분류 체계의 한 유형이다. 백색 왜성이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도달하여 폭발하는 현상으로, 주로 쌍성계에서 백색 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거나, 두 백색 왜성이 충돌하여 발생한다. Ia형 초신성은 폭발 시 매우 밝은 빛을 내며, 폭발 후 특징적인 광도 곡선을 나타낸다. 이들은 우주의 가속 팽창을 발견하는 데 기여했으며, 우주 거리 측정의 표준 촛불로 활용된다.

2. 형성 과정

Ia형 초신성은 주로 쌍성계에서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형성 과정을 거친다.

1. 백색 왜성의 질량 증가: 백색 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여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가까워진다.

2. 백색 왜성 간의 합병: 두 개의 백색 왜성이 합쳐져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넘는다.

이론적으로, Ia형 초신성은 탄소-산소 백색 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강착하여 질량이 증가하면서 발생한다. 백색 왜성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1.44배인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근접하면, 전자 축퇴압만으로는 자체 무게를 지탱할 수 없게 된다.[9] 이때, 핵에서 탄소 연소 과정이 시작되고, 열폭주 현상으로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에너지(1–)[17]가 방출되어 별 전체가 폭발하고, 충격파와 함께 빠른 속도(광속의 약 6%)로 물질이 방출된다.[13]

하지만, 실제로는 백색 왜성이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핵의 온도와 밀도가 상승하여 탄소 연소가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Ia형 초신성은 신성과 유사하지만, 신성은 백색 왜성이 폭발하지 않고 표면에서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는 차이점이 있다.[13] 또한, Ia형 초신성은 II형 초신성과도 다른데, II형 초신성은 질량이 큰 별의 핵이 붕괴하면서 발생한다.[18]

2. 1. 단일 원형 항성 소멸

Ia형 초신성은 가까운 쌍성계에서 만들어진다는 가설이 있다. 쌍성계는 처음에는 두 개의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한쪽 별(주성)이 다른 쪽 별(부성)보다 질량이 크다. 질량이 큰 주성은 빠르게 진화하여 점근거성가지에 도달하고, 별의 외피가 급격히 부풀어 오른다. 두 별의 외피가 하나로 합쳐지면, 쌍성계는 많은 질량을 잃고, 각운동량, 궤도 반지름, 주기도 줄어든다. 주성이 먼저 백색 왜성이 되면, 부성은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고, 적색 거성의 가스가 백색 왜성으로 질량 강착을 일으킨다. 이 마지막 외피 공유 단계에서, 두 별은 각운동량을 잃으면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가까워진다. 이렇게 작아진 궤도의 공전 주기는 수 시간 정도이다.[95][96] 질량 강착이 계속되면 백색 왜성의 질량은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가까워진다.

궤도가 충분히 가까우면, 백색 왜성은 준거성이나 주계열성에서도 질량을 빼앗을 수 있다. 이 강착 단계의 진화 과정은 강착 속도와 백색 왜성으로의 각운동량 이동 속도에 달려 있기 때문에 아직 불분명하다.[97]

이런 Ia형 초신성은 전체 Ia형 초신성의 20%를 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98]

2. 2. 이중 원형 항성 소멸

두 개의 백색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에서 두 백색왜성이 충돌, 합병하여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초과하면 폭발한다. 이 모델은 SN 2003fg와 같이 질량이 큰 초신성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99][100][105][106] 백색 왜성 하나만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했던 초신성 SNR 0509-67.5는 이중 원형 항성 모형이 아니면 설명할 수 없다.[107] 동반성의 초신성 잔해가 발견되지 않는 SN 1006 역시 이중 원형 항성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98]

우리 은하에서 백색 왜성 두 개가 합쳐지는 현상은 100년에 한 번 꼴로 일어나는데, 이는 관측되는 Ia형 초신성의 빈도와 일치한다.[104] 슬로운 전천 탐사(SDSS) 분광기로 4,000개의 백색 왜성을 검사한 결과, 15개의 쌍성계를 발견했다.[104] 나선을 그리며 서로를 향해 떨어져 내리는 한 쌍의 백색 왜성은 강력한 중력파 생성원이지만, 2012년 현재 이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은 없다.

NASA의 스위프트 우주 망원경으로 연구된 모든 Ia형 초신성을 관측한 결과, 일부는 거성 또는 초신성 동반성이 없었다. 초거성 동반성이 외피를 날려버릴 때 엑스선이 방출되는데, 스위프트의 엑스선 망원경(XRT)이 초신성 잔해 53개를 관측한 결과 엑스선이 발견되지 않았다. Ia형 초신성 12개를 폭발 10일 후 스위프트의 자외선 광학 망원경(''UVOT'')으로 관측한 결과, 초신성의 충격파가 가열된 동반성 표면을 때렸을 때 발생하는 자외선이 관측되지 않았다. 이는 초신성 원형 별 주위에 적색 거성 같은 큰 항성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SN 2011fe의 경우, 동반성이 존재했다면 그 크기는 태양보다 작았을 것이다.[108] 찬드라 우주 망원경으로 5개 타원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 팽대부에서 방출되는 엑스선을 관측한 결과, 엑스선이 예측보다 30~50배 정도 약했다. Ia형 초신성 원형 별의 강착 원반에서 엑스선이 방출되므로, 엑스선이 약하다는 것은 강착 원반을 형성한 백색 왜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Ia형 초신성을 설명하는 강착 원반 모형으로 설명이 불가능함을 뜻한다.[109]

2. 3. Iax형 초신성

Iax형 초신성은 Ia형 초신성의 하위 분류로, 폭발 후에도 백색왜성 잔해(좀비별)를 남길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36] 기존 Ia형 초신성은 폭발 후 백색왜성이 완전히 파괴되지만, Iax형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Iax형 초신성으로 분류된 천체는 다음과 같다:[34][35]

  • SN 1181
  • SN 1991T
  • SN 1991bg
  • SN 2002cx
  • SN 2012Z


우리 은하 내에서 SN 1181은 초신성 잔해 Pa 30과 그 중심별 IRAS 00500+6713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탄소-산소(CO) 백색왜성과 산소-네온(ONe) 백색왜성의 병합 결과로, Pa 30과 IRAS 00500+6713은 우리 은하 내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Iax형 초신성 잔해이다.[37]

3. 관측

Ia형 초신성은 타원 은하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은하에서 발견되며, 항성 생성 지역과의 특별한 관련성은 보이지 않는다.[110] 백색왜성은 항성 진화의 주계열 단계를 벗어난 오래된 항성에서 형성되므로, 이러한 항성계는 생성 초기 위치에서 멀리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쌍성계는 Ia형 초신성 폭발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수백만 년 동안 질량 이동 단계를 거치게 된다.[111]

초신성의 원형(原形, progenitor영어) 항성은 천문학계의 오랜 숙제 중 하나였다. 후보 항성을 직접 관측하면 초신성 모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006년 기준으로 Ia형 초신성의 원형 항성을 찾기 위한 노력은 백 년 넘게 계속되었으나,[112]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1년 8월 24일 팔로마 트랜젼트 팩토리(PTF)가 발견한 초신성 SN 2011fe의 관측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이 초신성은 바람개비 은하(M101)에서 폭발했으며, 우리 은하에서 불과 2천만 광년 떨어진 가까운 거리였다.[113] 허블 우주 망원경의 이전 관측 자료에는 해당 위치에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적색 초거성 폭발(즉, II형 초신성) 가능성은 배제되었다. 폭발로 팽창하는 플라스마에 탄소와 산소가 포함되어 있어, 원형 항성이 이 원소들로 구성된 백색 왜성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114] 또한 2011년 1월 16일 PTF가 발견한 초신성 SN PTF 11kx의 관측 결과,[115] 적색 거성 동반성을 가진 원형 항성에서 폭발이 일어났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Ia형 초신성의 원형 항성이 모두 단독으로 폭발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1998년, 멀리 떨어진 Ia형 초신성 관측을 통해 우주가 가속 팽창한다는 예상치 못한 결과가 도출되었다.[119][120][121][122] 이를 설명하기 위해 암흑 에너지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이 발견에 기여한 솔 펄머터, 브라이언 슈밋, 애덤 리스는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23]

3. 1. 광도 곡선

Ia형 초신성은 폭발 이후 시간에 따른 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인 광도곡선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광도가 최대가 될 때쯤에는 스펙트럼에 산소에서 칼슘에 이르는 중간 질량의 원자가 나타난다. 이 원자들은 항성의 외피층을 이루는 주된 구성 물질이다.[113] 폭발하고 몇 달이 지나면 폭발한 외피층은 팽창하여 거의 투명해지고, 스펙트럼에는 항성의 핵을 이루는 무거운 물질의 빛이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이 물질은 주로 철과 질량이 비슷한 동위원소들이다.[113][116] 니켈-56이 코발트-56을 거쳐 -56으로 방사성 붕괴하는 과정에서 고에너지 광자가 방출된다.[113][116]

태양광도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Ia형 초신성의 광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최대 밝기는 주로 니켈 붕괴에 의해 나타나며, 이후에는 코발트 붕괴가 주된 원인이다.


Ia형 초신성 SN 2018gv의 광도 곡선


Ia형 초신성의 광도곡선의 폭과 최대 밝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보정하면 모든 광도곡선이 거의 일정하게 나타나게 된다.[113] 즉,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Ia형 초신성의 절대광도는 유사하며, 이 때문에 Ia형 초신성은 외부은하천문학에서 이차적인[117] 우주 거리 사다리로 사용될 수 있다.[118]

Ia형 초신성을 사용하여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은 칠레와 미국의 천문학자들의 협력 연구인 칼란/톨로로 초신성 관측 연구(Calán/Tololo Supernova Survey)에 의해 개척되었다.[48] 1990년대 일련의 논문에서 이 연구는 Ia형 초신성이 모두 동일한 최대 광도에 도달하지는 않지만, 광도 곡선에서 측정된 단일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적색화되지 않은 Ia형 초신성을 표준 촛불 값으로 보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표준 촛불 값에 대한 원래의 보정은 필립스 관계(Phillips relationship)라고 알려져 있으며[49] 이 그룹에 의해 상대 거리를 7%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50]

4. 현대 천문학에서의 중요성

Ia형 초신성은 다양한 하위 분류를 가진다. 대표적인 예로, 강한 철 흡수선과 작은 규소 특징을 보이는 과광도성 1991T-유형[59]과, 강한 초기 티타늄 흡수 특징과 빠른 광도 변화를 보이는 어두운 1991bg-유형[60]이 있다. 이들은 비정상적 광도를 가짐에도 불구, 파란색 파장에서 정의된 필립스 관계를 통해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61]


4. 1. 우주의 가속 팽창 발견

1998년, Ia형 초신성 관측을 통해 우주가 가속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발견은 암흑 에너지 개념의 도입으로 이어졌으며, 201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4. 2. 우주 거리 측정의 표준 촛불

Ia형 초신성은 최대 밝기가 거의 일정하여 멀리 떨어진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촛불'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Ia형 초신성의 절대광도는 유사하기 때문에, 외부은하천문학에서 이차적인 우주 거리 사다리로 사용될 수 있다.[118]

1990년대 칠레와 미국의 천문학자들의 협력 연구인 칼란/톨로로 초신성 관측 연구는 Ia형 초신성이 모두 동일한 최대 광도에 도달하지는 않지만, 광도 곡선에서 측정된 단일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적색화되지 않은 Ia형 초신성을 표준 촛불 값으로 보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8][49] 이 연구를 통해 상대 거리를 7%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었다.[50] 최대 밝기의 균일성은 챈드라세카르 한계에 가깝게 폭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백색 왜성에서 생성된 니켈-56의 양과 관련이 있다.[51]

세페이드 변광성 거리 척도의 개선된 보정과 메이저 방출 역학에서 NGC 4258까지의 직접적인 기하학적 거리 측정을 Ia형 초신성 거리의 허블 도표와 결합하면 허블 상수의 개선된 값을 얻을 수 있다.[53][54]

1998년, 멀리 떨어진 Ia형 초신성을 관측한 결과, 우주가 가속팽창한다는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왔다.[119][120][121][122] 이 발견으로 두 팀의 세 명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57]

5. 미해결 과제

Ia형 초신성의 정확한 폭발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두 가지 주요 모델이 제시되고 있는데, 단일 원형 항성 소멸 모델과 이중 원형 항성 소멸 모델이다. 이 두 모델 중 어떤 것이 더 일반적인지, 아니면 두 모델 모두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99][100]

단일 원형 항성 소멸 모델은 백색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여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도달해 폭발한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이 모델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초신성들이 발견되면서, 두 개의 백색왜성이 충돌하여 폭발한다는 이중 원형 항성 소멸 모델이 제시되었다.[97]

NASA의 스위프트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일부 Ia형 초신성에는 거성 또는 초신성 동반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108] 이는 이중 원형 항성 소멸 모델을 지지하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찬드라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 Ia형 초신성의 원형 별 주변에서 방출되는 엑스선이 예상보다 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09] 이는 기존의 강착 원반 모델로는 Ia형 초신성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SN 2011fe의 경우, 동반성이 존재했다면 태양보다도 작았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08] SNR 0509-67.5와 SN 1006[98] 역시 이중 원형 항성 소멸 모델로 설명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팔로마 천체 관측소(PTF)에서 발견된 SN PTF 11kx는 적색 거성 동반성을 가진 단일 퇴화 모형에서 발생한다는 결론이 나왔지만,[43][44] 이후 분석에서는 별 주위 물질이 단일 퇴화 시나리오에는 너무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45]

이처럼 Ia형 초신성의 폭발 메커니즘은 여전히 논쟁 중이며, 초신성 폭발 전 백색왜성 주변 환경과 진화 과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ubbleSite - Dark Energy - Type Ia Supernovae https://web.archive.[...]
[2] 논문 Presupernova Evolution of Accreting White Dwarfs with Rotation http://www.citebase.[...] 2007-05-30
[3] 논문 A Common Explosion Mechanism for Type Ia Supernovae 2007
[4] 논문 The Impact of Type Ia Supernovae in Quiescent Galaxies. I. Formation of the Multiphase Interstellar Medium 2020-05-05
[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upernova Remnants http://heasarc.gsfc.[...] NASA Goddard/SAO 2007-05-01
[6] 논문 Optical Spectroscopy of Type Ia Supernovae 2008
[7] 논문 The Classification of Supernovae 1993
[8] 웹사이트 Type 1a Supernovae: Why Our Standard Candle Isn’t Really Standard https://web.archive.[...]
[9] 논문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Chandrasekhar theory of stellar collapse http://nrs.harvard.e[...] 1987
[10] 서적 White Dwarfs 1997
[11] 웹사이트 2.1 Collapse scenario http://www.livingrev[...] Max-Planck-Gesellschaft 2007-06-07
[12] 서적 Cosmic Catastrophes: Supernovae, Gamma-Ray Bursts, and Adventures in Hyperspace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1-15
[13] 논문 Type Ia Supernova Explosion Models 2000
[14] 웹사이트 Science Summary http://www.flash.uch[...] ASC / Alliances Center for Astrophysical Thermonuclear Flashes 2017-04-25
[15] 논문 The case against the progenitor's carbon-to-oxygen ratio as a source of peak luminosity variations in Type Ia supernovae 2004
[16] 논문 Thermonuclear Supernovae: Simulations of the Deflagration Stage and Their Implications 2003-01-03
[17] 논문 Light curves of Type Ia supernova models with different explosion mechanisms 1993
[18] 논문 The Short Spectacular Life of a Superstar 2004
[19] 간행물 Common Envelope Binari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 1975-07-28
[20] 논문 The Evolution of Compact Binary Star Systems 2006
[21] 간행물 On the evolution of interacting binaries which contain a white dwarf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02
[22] 논문 No surviving evolved companions of the progenitor of SN 1006
[23] 웹사이트 Type Ia Supernova Progenitors http://cosmos.swin.e[...] Swinburne University 2007-05-20
[24] 뉴스 Brightest supernova discovery hints at stellar collision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7-01-06
[25] 논문 Supernovae and Stellar Collisions 1939
[26] 논문 A Thousand Blazing Suns: The Inner Life of Globular Clusters http://www.astrosoci[...] 2006-06-02
[27] 논문 A White Dwarf Merger Paradigm for Supernovae and Gamma-Ray Bursts 2004
[28] 웹사이트 Important Clue Uncovered for the Origins of a Type of Supernovae Explosion, Thanks to a Research Team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http://www.news.pitt[...] University of Pittsburgh 2012-03-23
[29] 뉴스 The Weirdest Type Ia Supernova Yet http://www.lbl.gov/S[...]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06-11-02
[30] 뉴스 Bizarre Supernova Breaks All The Rules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7-01-08
[31] 논문 An absence of ex-companion stars in the type Ia supernova remnant SNR 0509-67.5 2012
[32] 웹사이트 NASA'S Swift Narrows Down Origin of Important Supernova Class http://www.nasa.gov/[...] NASA 2012-03-24
[33] 웹사이트 NASA's Chandra Reveals Origin of Key Cosmic Explosions http://chandra.harva[...] Chandra X-ray Observatory website 2012-03-28
[34] arXiv Double-detonation explosions as progenitors of Type Iax supernovae 2013
[35] 논문 Type Iax Supernovae: A New Class of Stellar Explosion 2012
[36] 뉴스 Hubble finds supernova star system linked to potential 'zombie star' https://www.scienced[...] SpaceDaily 2014-08-06
[37] 간행물 From an amateur PN candidate to the Rosetta Stone of SN Iax research 2023-11-07
[38] 웹사이트 Search for stellar survivor of a supernova explosion https://www.spacetel[...] 2017-03-30
[39] 논문 Association of supernovae with recent star formation regions in late type galaxies 1992
[40] 논문 The evolution of main sequence star + white dwarf binary systems towards Type Ia supernovae 1999
[41] 서적 RS Ophiuchi (2006) and the Recurrent Nova Phenomenon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08-12
[42] 논문 Supernova 2011fe from an Exploding Carbon-Oxygen White Dwarf Star 2011-12
[43] 논문 PTF11kx: A Type-Ia Supernova with a Symbiotic Nova Progenitor 2012
[44] 웹사이트 The First-Ever Direct Observations of a Type 1a Supernova Progenitor System http://scitechdaily.[...] 2012-08-24
[45] 논문 Explaining the Type Ia supernova PTF 11kx with a violent prompt merger scenario
[46] 웹사이트 NASA Spacecraft Capture Rare, Early Moments of Baby Supernovae http://www.nasa.gov/[...] 2015-05-21
[47] 논문 A gravitationally lensed supernova with an observable two-decade time delay 2021-09-13
[48] 논문 The 1990 Calan/Tololo Supernova Search http://repositorio.u[...] 1993
[49] 논문 The absolute magnitudes of Type Ia supernovae 1993
[50] 논문 The Absolute Luminosities of the Calan/Tololo Type IA Supernovae 1996
[51] 논문 Supernovae as a standard candle for cosmology 1979
[52] 논문 A Hubble diagram of distant type IA supernovae 1996
[53] 논문 Final Results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Key Project to Measure the Hubble Constant
[54] 논문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ubble Constant 2006
[55] 논문 Measurements of Omega and Lambda from 42 high redshift supernovae 1999
[56] 논문 Observational evidence from supernovae for an accelerating Universe and a cosmological constant 1998
[57] 문서 Cos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8] 웹사이트 Tangled — cosmic edition https://www.spacetel[...] 2018-11-26
[59] 논문 Abundance stratification in Type Ia supernovae – IV. The luminous, peculiar SN 1991T http://academic.oup.[...] 2014-09-30
[60] 논문 The nebular spectra of the Type Ia supernova 1991bg: further evidence of a non-standard explosion: The nebular spectra of SN 1991bg 2012-08-21
[61] 논문 The underluminous Type Ia supernova 2005bl and the class of objects similar to SN 1991bg 2008-03-01
[62] 논문 Light curves of Type IA supernova models with different explosion mechanisms
[6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upernova Remnants https://heasarc.gsfc[...] NASA Goddard/SAO 2007-05-01
[64] 논문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Chandrasekhar theory of stellar collapse
[65] 웹사이트 2.1 Collapse scenario http://www.livingrev[...] Max-Planck-Gesellschaft 2007-06-07
[66] 서적 Cosmic Catastrophes: Supernovae, Gamma-Ray Bursts, and Adventures in Hyperspace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1-15
[67] 웹사이트 Science Summary http://flash.uchicag[...] ASC / Alliances Center for Astrophysical Thermonuclear Flashes 2006-11-27
[68] 논문 The case against the progenitor's carbon-to-oxygen ratio as a source of peak luminosity variations in Type Ia supernovae
[69] 논문 The Short Spectacular Life of a Superstar http://www.sciencema[...] 2007-05-01
[70] conference Common Envelope Binari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 1975
[71]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Compact Binary Star Systems http://relativity.li[...] Living Reviews in Relativity 2007-01-08
[72] 웹사이트 Type Ia Supernova Progenitors http://cosmos.swin.e[...] Swinburne University 2007-05-20
[73] 뉴스 Brightest supernova discovery hints at stellar collision http://space.newscie[...] New Scientist 2007-01-06
[74] 뉴스 The Weirdest Type Ia Supernova Yet http://www.lbl.gov/S[...]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06-11-02
[75] 뉴스 Bizarre Supernova Breaks All The Rules http://space.newscie[...] New Scientist 2007-01-08
[76] 논문 Supernovae and Stellar Collisions
[77] 논문 A Thousand Blazing Suns: The Inner Life of Globular Clusters http://www.astrosoci[...] 2006-06-02
[78] 논문 A White Dwarf Merger Paradigm for Supernovae and Gamma-Ray Bursts
[79] 간행물 On the evolution of interacting binaries which contain a white dwarf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80] 논문 The evolution of main sequence star + white dwarf binary systems towards Type Ia supernovae
[81] 간행물 RS Ophiuchi (2006) and the Recurrent Nova Phenomeno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12-14 June, 2007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08
[82] 논문 Supernova 2011fe from an Exploding Carbon-Oxygen White Dwarf Star
[83] 논문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ubble Constant
[84] 논문 Supernovae as a standard candle for cosmology
[85] 논문 Measurements of Omega and Lambda from 42 high redshift supernovae
[86] 논문 Observational evidence from supernovae for an accelerating Universe and a cosmological constant
[87] 논문 A cosmological surprise: the universe accelerates https://www.eso.org/[...] 2007-02-01
[88] 뉴스 Confirmation of the accelerated expansion of the Universe http://www2.cnrs.fr/[...]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2006-11-03
[89] 저널 Presupernova evolution of accreting white dwarfs with rotation 2007-05-30
[90] 저널
[91] 저널
[92] 웹인용 Introduction to Supernova Remnants http://heasarc.gsfc.[...] NASA Goddard/SAO 2007-05-01
[93] 뉴스 우주 팽창, 가속도가 줄고 있다 http://nownews.seoul[...] 나우 뉴스 2015-04-14
[94] 저널 http://iopscience.io[...] 2015-11-12
[95] 서적
[96] 저널
[97] 서적
[98] 문서 González Hernández, J. I.; Ruiz-Lapuente, P.; Tabernero, H. M.; Montes, D.; Canal, R.; Méndez, J.; Bedin, L. R. (2012). "No surviving evolved companions of the progenitor of SN 1006". Nature 489 (7417): 533–536. doi:[dx.doi.org/10.1038%2Fnature11447 10.1038/nature11447]. PMID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018963 23018963].
[99] 웹인용 Type Ia Supernova Progenitors http://cosmos.swin.e[...] Swinburne University 2007-05-20
[100] 뉴스 Brightest supernova discovery hints at stellar collision http://space.newscie[...] New Scientist 2007-01-06
[101] 저널
[102] 저널 http://www.astrosoci[...] 2006-06-02
[103] 저널
[104] 웹인용 Important Clue Uncovered for the Origins of a Type of Supernovae Explosion, Thanks to a Research Team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http://www.news.pitt[...] University of Pittsburgh 2012-03-23
[105] 뉴스 The Weirdest Type Ia Supernova Yet http://www.lbl.gov/S[...]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06-11-02
[106] 뉴스 Bizarre Supernova Breaks All The Rules https://web.archive.[...] New Scientist 2007-01-08
[107] 저널 An absence of ex-companion stars in the type Ia supernova remnant SNR 0509-67.5
[108] 웹인용 NASA'S Swift Narrows Down Origin of Important Supernova Class http://www.nasa.gov/[...] NASA 2012-03-24
[109] 웹인용 NASA's Chandra Reveals Origin of Key Cosmic Explosions http://chandra.harva[...] Chandra X-Ray Observatory 2012-03-28
[110] 저널 Association of supernovae with recent star formation regions in late type galaxies
[111] 저널 The evolution of main sequence star + white dwarf binary systems towards Type Ia supernovae
[112] 서적 Progenitors of Type Ia Supernovae 태평양천문학회 2008-12
[113] 저널 제Ia형 초신성과 우주 폭발 현상들 https://web.archive.[...] 한국물리학회 2012-08-14
[114] 저널 Supernova 2011fe from an Exploding Carbon-Oxygen White Dwarf Star 2011-12
[115] 저널 PTF11kx: A Type-Ia Supernova with a Symbiotic Nova Progenitor 2012
[116] 저널 Type IA Supernova Explosion Models
[117] 저널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ubble constant
[118] 저널 Supernovae as a standard candle for cosmology
[119] 저널 Measurements of Omega and Lambda from 42 high redshift supernovae
[120] 저널 Observational evidence from supernovae for an accelerating Universe and a cosmological constant https://archive.org/[...]
[121] 저널 A cosmological surprise: the universe accelerates http://www.eso.org/~[...] 2007-02-01
[122] 뉴스 Confirmation of the accelerated expansion of the Universe http://www2.cnrs.fr/[...]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 2006-11-03
[123] 저널 2011년 노벨물리학상:슈퍼스타와 우주 가속팽창의 발견 https://web.archive.[...] 한국물리학회 2012-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