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리그 디비전 2 200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리그 디비전 2 2003은 2003년에 개최된 J2리그의 시즌이다. 12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44경기를 치렀으며, 알비렉스 니가타가 우승,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준우승을 차지하여 J1리그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 축구 리그 - 2003년 K리그
    2003년 K리그는 12개 구단이 참가하여 전기, 후기 리그로 진행되었고 성남 일화 천마가 우승했으며 대구 FC와 광주 상무 불사조가 합류했고 김도훈이 득점왕과 MVP, 정조국이 신인상을 수상했다.
  • 2003 축구 리그 - J리그 디비전 1 2003
    요코하마 F. 마리노스가 전기, 후기 리그를 모두 우승하며 J리그 디비전 1 2003에서 연간 우승을 차지했고, 연장전 폐지 및 리그 일시 중단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베갈타 센다이와 교토 퍼플 상가가 J2리그로 강등되었다.
  • J2리그 시즌 - J리그 디비전 2 2006
    J리그 디비전 2 2006은 가시와 레이솔, 도쿄 베르디, 빗셀 고베 등 13개 클럽이 참가하여 쿼드러플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된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 J2리그의 2006년 시즌으로, 요코하마 FC 우승, 가시와 레이솔 2위, 빗셀 고베가 J1리그로 승격했으며, 요코하마 FC의 돌풍과 J1리그 강등팀들의 경쟁, 에히메 FC의 선전이 특징이다.
  • J2리그 시즌 - J리그 디비전 2 2011
    J리그 디비전 2 2011은 FC 도쿄의 우승과 J1리그 승격, 사간 도스와 콘사돌레 삿포로의 승격, 그리고 20개 팀의 참가로 구성된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 J2리그의 2011년 시즌이다.
J리그 디비전 2 2003
시즌 정보
대회J리그 디비전 2
시즌2003년
결과
우승알비렉스
우승 횟수J2리그 1회
우승 횟수 (전신 포함)디비전 2 1회
승격알비렉스 니가타
산프레체 히로시마
강등(없음)
통계
리그 득점왕마르쿠스 (32골)
총 경기 수264
총 득점 수678
경기당 평균 득점 수(정보 없음)
최고 홈 경기 승리가와사키 7-1 도스 (35라운드, 9월 23일)
최고 원정 경기 승리요코하마 FC 1-7 니가타 (33라운드, 9월 13일)
최다 득점 경기가와사키 6-3 도스 (20라운드, 6월 28일)
최다 연승(정보 없음)
최다 무패(정보 없음)
최다 무승(정보 없음)
최다 연패(정보 없음)
최고 관중42,223명 - 니가타 vs 오미야 (44라운드, 11월 23일)
최저 관중1,337명 - 미토 vs 오미야 (4라운드, 4월 5일)
평균 관중7,895명
시즌 연대표
이전 시즌2002년
다음 시즌2004년

2. 역사적 배경

J2리그가 출범한 지 5년차가 되는 시즌이다.

2. 1. 리그 출범과 초기 (1999-2002)

1999년, 일본 프로 축구 리그는 J1리그J2리그로 분리되며 J2리그가 출범했다. 초기 J2리그는 J1리그에서 강등된 팀과 일본 풋볼 리그(JFL)에서 승격한 팀으로 구성되었다.

3. 리그 방식

12개 클럽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라운드 로빈으로, 각 팀당 총 4번씩 맞붙어 팀당 44경기를 치렀다. 경기 결과에 따라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승점 1점, 패배 시 승점 0점이 부여되었다.

시즌 종료 후 순위는 승점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승점이 같을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따라 순위를 결정했다.


  • 득실차
  • 총 득점
  •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


모든 조건이 같을 경우에는 추첨을 통해 순위를 결정했다. 단, 1위를 기록한 두 클럽이 동점일 경우에는 두 팀 모두 우승 클럽으로 처리했다. 리그 최종 순위 상위 2개 클럽은 J1리그로 자동 승격되었다.

4. 참가 클럽

도도부현홈 경기장전년도 성적콘사돌레 삿포로조앙 카를루스홋카이도삿포로 돔
삿포로 아쓰베쓰 공원 경기장J1 16위몬테디오 야마가타하시라타니 코이치야마가타현ND소프트 스타디움 야마가타11위미토 홀리호크마에다 히데키이바라키현가사마쓰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10위오미야 아르디자스게노 마사아키사이타마현NACK5 스타디움 오미야6위가와사키 프론탈레이시자키 노부히로가나가와현가와사키 시 등대륙 육상 경기장4위요코하마 FC피에르 리트바르스키미쓰자와 공원 경기장12위쇼난 벨마레사미아히라쓰카 경기장5위벤포레 고후마쓰나가 히데키야마나시현야마나시현 고세 스포츠 공원 육상 경기장7위알비렉스 니가타소리마치 야스하루니가타현니가타 시 육상 경기장[2]3위산프레체 히로시마오노 고히로시마현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J1 15위아비스파 후쿠오카마쓰다 히로시후쿠오카현하카타노모리 구기장8위사간 도스센바 미노리사가현도스 스타디움9위


5.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알비렉스 니가타44277108040+4088
2산프레체 히로시마44251186535+3086
3가와사키 프론탈레44241378847+4185
4아비스파 후쿠오카44218156762+571
5방포레 고후441912135846+1269
6오미야 아르디자44187195261-961
7미토 홀리호크441511183741-456
8몬테디오 야마가타441510195260-855
9콘사돌레 삿포로441313185756+152
10쇼난 벨마레441111223353-2044
11요코하마 FC441012224988-3942
12사간 도스44311304089-4920



J2리그에서 처음으로 경기를 치르게 된 산프레체 히로시마는 예상대로 좋은 출발을 보였다. 히로시마는 1라운드에서 비겼으나 2라운드부터 10연승을 거두며, 11라운드 종료 시점에서 2위 미토 홀리호크에 승점 11점 차로 앞서 나갔다. 그러나 상대 팀의 수비적인 전술과 J2리그의 빡빡한 일정으로 인해 점차 부진에 빠졌다. 한편, 2위권에서 치고 올라온 팀은 알비렉스 니가타가와사키 프론탈레였다. 니가타는 24라운드에서 히로시마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고, 가와사키 역시 27라운드에서 히로시마를 넘어 2위로 부상했다. 이후 선두 니가타를 2위 히로시마와 3위 가와사키가 추격하는 양상이 전개되었으며, J1리그 승격 경쟁은 이 세 팀 간의 싸움으로 좁혀졌다.

42라운드 종료 시점에서 1위 니가타, 2위 히로시마, 3위 가와사키는 승점 2점 차이 내에 있었다. 43라운드에서 히로시마가 승리하고 가와사키가 비긴 반면, 니가타가 패배하면서 히로시마의 1년 만의 J1 복귀가 확정되었다. 남은 한 장의 승격 티켓은 최종 라운드에서 결정되었는데, 니가타는 비기기만 해도 승격할 수 있었고, 가와사키는 히로시마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하고 니가타가 패배해야만 승격이 가능한 상황이었다. 최종 라운드에서 니가타가 승리하며 창단 첫 J1 승격을 확정지었고, 히로시마가 패배하면서 니가타의 J2리그 우승도 결정되었다. 반면, 3위 가와사키는 2위 히로시마에 승점 1점 차이로 아쉽게 승격을 놓쳤다. 이는 이시자키 노부히로 감독에게 오이타 트리니타 시절인 1999년과 2000년에 이어 세 번째로 승점 1점 차이로 승격에 실패하는 불운이었다(2003년 J2리그 43라운드・최종 라운드 참조).

하위권에서는 사간 도스가 17라운드부터 최종 라운드까지 28경기 연속 무승이라는 부진을 겪으며 시즌 3승에 그쳐 당시 J2리그 최저 승리 기록을 세웠다. 심각한 경영 위기까지 겹치면서 스즈키 마사시 회장이 제명되거나 팀이 하부 리그로 강등될 가능성까지 거론될 정도로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경기장 관련해서는, 사이타마 시 오미야 공원 축구장의 운영 및 관리가 사이타마현에서 사이타마시로 이관됨에 따라 경기장 명칭이 "사이타마 시립 오미야 공원 축구장"으로 변경되었다.

6. 주요 선수

2003년 J리그 디비전 2에서는 브라질 출신 공격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알비렉스 니가타 소속의 마르쿠스가 32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고,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주니뉴가 28골로 그 뒤를 이었다.[1] 오미야 아르디자의 바레,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벤팅요,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아우구스토 등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브라질 선수들이 득점 순위 상위 5명을 모두 차지했다.[1] 일본 선수 중에서는 가와사키 프론탈레가나하 가즈키알비렉스 니가타우에노 유사쿠가 각각 13골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1]

6. 1. 득점 순위

wikitext

순위득점 선수클럽[1]
1마르쿠스알비렉스 니가타32
2주니뉴가와사키 프론탈레28
3바레오미야 아르디자22
4벤팅요아비스파 후쿠오카20
5아우구스토가와사키 프론탈레17
6마르셀루산프레체 히로시마14
7가나하 가즈키가와사키 프론탈레13
우에노 유사쿠알비렉스 니가타13
9조 쇼지요코하마 FC12
10나카무라 고세이몬테디오 야마가타11
하야시 히로유키아비스파 후쿠오카11

[3]

7. 승격 및 강등

'''작성 예정'''

7. 1. J1리그 승격

히로시마는 해당 시즌 J2리그에서 처음 경기를 치렀으며, 시즌 초반 좋은 출발을 보였다. 1라운드 무승부 이후 10연승을 기록하며 11라운드 종료 시점에는 2위 미토에 승점 11점 차로 앞서 나갔다. 그러나 상대 팀들의 집중 견제와 J2리그의 빡빡한 일정으로 인해 점차 성적이 하락했다.

한편, 니가타가와사키가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왔다. 니가타는 24라운드에서 히로시마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고, 가와사키 역시 27라운드에서 히로시마를 제치고 2위로 부상했다. 이후 니가타가 선두를 유지하고, 히로시마와 가와사키가 2위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되었으며, J1리그 승격 경쟁은 이 세 팀 간의 싸움으로 좁혀졌다.

42라운드 종료 시점에서 1위 니가타, 2위 히로시마, 3위 가와사키는 각각 승점 2점 차이로 촘촘히 경쟁하고 있었다. 43라운드에서 히로시마가 승리하고 가와사키가 비긴 반면, 니가타가 패배하면서 히로시마는 1년 만에 J1리그 복귀를 확정지었다.

마지막 남은 J1 승격 티켓 한 장의 향방은 최종 라운드에서 결정되었다. 니가타는 비기기만 해도 승격할 수 있는 유리한 상황이었고, 가와사키는 히로시마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하고 니가타가 패배해야만 승격이 가능했다. 최종 라운드 결과, 니가타가 승리하면서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J1리그 승격을 확정했다. 또한, 히로시마가 가와사키에 패배하면서 니가타는 J2리그 우승까지 차지하게 되었다.

반면, 3위 가와사키는 2위 히로시마에 승점 1점 차이로 아쉽게 J1리그 승격에 실패했다. 이는 가와사키의 감독 이시자키 노부히로에게 오이타 시절이었던 1999년과 2000년에 이어 세 번째로 승점 1점 차이로 승격에 실패하는 아쉬운 기록이 되었다(2003년 J2리그 43라운드・최종 라운드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2003 J2 Top scorers https://web.archive.[...] J-League 2010-04-17
[2] 문서 ホームゲームの過半数は[[新潟スタジアム]]を使用
[3] 웹사이트 2003Jリーグ ディビジョン2 得点順位表 【第44節】 https://data.j-leagu[...] 2018-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