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강릉방송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강릉방송국은 1941년 12월 6일 조선방송협회 강릉이동방송중계소로 개국하여, 강원 영동 지역을 권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KBS)의 지역 방송국이다. 1947년 대한방송협회 강릉방송국으로 승격되었으며, TV와 라디오 방송,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디지털 TV는 2004년 7월 26일에 개국하였고, 4개의 팀(편성제작팀, 보도팀, 기술팀, 총무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의 단체 -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은 1968년 개국하여 강원 영동 및 영서 북부 지역에 TV와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며, 2015년 삼척MBC와 합병하여 MBC강원영동으로 출범, 강릉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는 방송국이다. - 강릉시의 단체 - 강릉어항사무소
강릉어항사무소는 강릉 지역 어항의 개발, 건설,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책임지는 조직으로, 어항 운영 전반과 어업 활동 지원, 이용자 편의 증진을 주요 업무로 수행하며 소장과 개발팀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춘천불교방송
춘천불교방송은 2002년 춘천에서 개국하여 강원도 지역 방송망을 확장해 왔으며, 춘천, 속초, 양양, 강릉 등에서 방송되고 2023년 6월 11일 춘천시 중앙로 10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 1941년 설립된 단체 - 프리덤 하우스
프리덤 하우스는 1941년 설립된 미국의 비정부 기구로, 전 세계의 민주주의, 정치적 자유, 인권 상황을 연구하고 옹호하며, 매년 다양한 보고서를 발간하여 각국의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지만, 미국 정부의 재정 지원과 특정 국가에 대한 편향성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41년 설립된 단체 - 조선임전보국단
조선임전보국단은 1941년 일제강점기 말기에 조직된 친일단체로, 임전대책협의회와 흥아보국단이 통합하여 결성되었으며, 일제의 침략 전쟁 수행을 위한 총동원 체제를 뒷받침하는 활동을 전개하다 국민총력조선연맹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KBS강릉방송국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명칭 | KBS강릉방송국 |
한자 명칭 | KBS江陵放送局 |
영어 명칭 | KBS Gangneung Broadcasting Station |
약칭 | KBS 강릉 |
종류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설립일 | 1941년 12월 6일 |
개국일 | 1941년 12월 6일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13 (용강동 62-5) |
사장 | 이승기 (방송국장) |
모기업 | 한국방송공사 |
웹사이트 | KBS강릉방송국 공식 웹사이트 |
연혁 | |
주요 연혁 | 1941년 12월 6일 - 조선방송협회 강릉 이동방송 중계소 개소. 1943년 11월 - 보조 방송소로 승격 1947년 12월 1일 - 방송국으로 승격. |
추가 정보 | |
호출 부호 | (정보 없음) |
호출 명칭 | (정보 없음) |
방송 채널 번호 | (정보 없음) |
2. 연혁
1941년 12월 6일 조선방송협회 강릉이동방송중계소로 개국했다. 1943년 11월 강릉 보조방송소로 승격했다. 1947년 12월 1일 대한방송협회 강릉방송국으로 승격했다.(호출 부호 HLKR)
1962년 5월 15일 삼척중계소를 개소하였고, 1971년 3월 27일 괘방산중계소를 개소하였다. 1979년 10월 1일 괘방산 국군FM 방송을 개시하였다.
1980년 12월 29일 강릉방송국 신축청사를 준공하였고, 1981년 7월 1일 제1TV 자체방송을 실시하였다. 1982년 3월 4일 KBS강릉 제1라디오 FM으로 수신가능, 잡음이 전혀 없는 표준FM(스테레오가 아닌 모노)으로도 동시에 방송하였다. 1983년 2월 5일 괘방산 2TV 방송을 개시하였고, 1983년 9월 12일 괘방산 스테레오 음악FM 방송을 개시하였다.
1985년 2월 4일 진부중계소 자체방송을 실시하였다. 1987년 11월 28일 동해 방송 스튜디오를 개소하였다. 1988년 10월 1일 연곡TVR를 폐소하고 영월국 임계 TVR로 편입하였다. 1988년 12월 31일 직제개편으로 재원관리부를 폐지하고 총무부와 통합하였다.
1991년 3월 31일 삼척중계소 자동화사업을 완료하였다. 1991년 12월 26일 진부중계소 자체방송을 중단하였다. 1993년 9월 25일 동해오픈스튜디오를 폐소하고 방송시설을 삼척중계소로 이전하였다. 1996년 7월 26일 삼척지국 TV방송을 개시하였고, 1996년 12월 31일 진부중계소 자동화사업을 완료하였다. 1997년 11월 30일 경포대송신소 자동화사업을 완료하였다.
2000년 8월 1일, 괘방산송신소에서 제2라디오와 음악FM의 스테레오 방송(102.1MHz)이 개시되었다. 2001년 11월 15일에는 괘방산송신소 자동화 사업이 완료되었다. 2003년 10월 19일, 표준FM(98.9MHz)의 스테레오 방송이 개시되었다.
2004년 11월 1일, 지역국 기능조정으로 인해 속초방송국과 태백방송국이 폐지되었다. 2006년 9월 4일에는 DTV가 개국되었고, 같은 해 12월 1일에는 진부중계소가 폐지되었다. 2007년 11월 9일, 괘방산송신소에서 DMB 방송이 개국되었다.
2008년에는 2월 28일에 태백산중계소가, 4월 30일에 사북중계소가 각각 폐소되었다. 2009년 10월 23일, 태백송출센터가 강릉으로 통합되었다. 2011년 9월 28일 함백산중계소, 12월 31일 초록봉중계소에서 DMB 방송이 개시되었다.
2012년 10월 25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 2013년 10월 16일에는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의 디지털방송 주파수 재배치가 이루어졌다. 2015년 7월, KBS 강릉방송국은 신사옥 신축 이전을 확정하고, 위치를 용강동 62-5에서 유천동 754로 변경하였다.
2. 1. 1940년대
1941년 12월 6일 조선방송협회 강릉이동방송중계소로 개국했다. 1943년 11월 강릉 보조방송소로 승격했다. 1947년 12월 1일 대한방송협회 강릉방송국으로 승격했다.(호출 부호 HLKR)2. 2. 1960년대 ~ 1990년대
1941년 12월 6일 조선방송협회 강릉이동방송중계소로 개국하였다. 1947년 12월 1일 대한방송협회 강릉방송국으로 승격되었다. 1962년 5월 15일 삼척중계소를 개소하였고, 1971년 3월 27일 괘방산중계소를 개소하였다. 1979년 10월 1일 괘방산 국군FM 방송을 개시하였다.1980년 12월 29일 강릉방송국 신축청사를 준공하였고, 1981년 7월 1일 제1TV 자체방송을 실시하였다. 1982년 3월 4일 KBS강릉 제1라디오 FM으로 수신가능, 잡음이 전혀 없는 표준FM(스테레오가 아닌 모노)으로도 동시에 방송하였다. 1983년 2월 5일 괘방산 2TV 방송을 개시하였고, 1983년 9월 12일 괘방산 스테레오 음악FM 방송을 개시하였다.
1985년 2월 4일 진부중계소 자체방송을 실시하였다. 1987년 11월 28일 동해 방송 스튜디오를 개소하였다. 1988년 10월 1일 연곡TVR를 폐소하고 영월국 임계 TVR로 편입하였다. 1988년 12월 31일 직제개편으로 재원관리부를 폐지하고 총무부와 통합하였다.
1991년 3월 31일 삼척중계소 자동화사업을 완료하였다. 1991년 12월 26일 진부중계소 자체방송을 중단하였다. 1993년 9월 25일 동해오픈스튜디오를 폐소하고 방송시설을 삼척중계소로 이전하였다. 1996년 7월 26일 삼척지국 TV방송을 개시하였고, 1996년 12월 31일 진부중계소 자동화사업을 완료하였다. 1997년 11월 30일 경포대송신소 자동화사업을 완료하였다.
2. 3. 2000년대 이후
2000년 8월 1일, 괘방산송신소에서 제2라디오와 음악FM의 스테레오 방송(102.1MHz)이 개시되었다. 2001년 11월 15일에는 괘방산송신소 자동화 사업이 완료되었다. 2003년 10월 19일, 표준FM(98.9MHz)의 스테레오 방송이 개시되었다.2004년 11월 1일, 지역국 기능조정으로 인해 속초방송국과 태백방송국이 폐지되었다. 2006년 9월 4일에는 DTV가 개국되었고, 같은 해 12월 1일에는 진부중계소가 폐지되었다. 2007년 11월 9일, 괘방산송신소에서 DMB 방송이 개국되었다.
2008년에는 2월 28일에 태백산중계소가, 4월 30일에 사북중계소가 각각 폐소되었다. 2009년 10월 23일, 태백송출센터가 강릉으로 통합되었다. 2011년 9월 28일 함백산중계소, 12월 31일 초록봉중계소에서 DMB 방송이 개시되었다.
2012년 10월 25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 2013년 10월 16일에는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의 디지털방송 주파수 재배치가 이루어졌다. 2015년 7월, KBS 강릉방송국은 신사옥 신축 이전을 확정하고, 위치를 용강동 62-5에서 유천동 754로 변경하였다.
3. 조직
KBS강릉방송국의 조직은 4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성제작팀은 텔레비전 제작과 편성을 담당하고, 보도팀은 영상 취재와 취재를 담당한다. 기술팀은 기술 관리,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술, 중계 및 송출 기술을 담당하며, 총무팀은 총무와 재원 관리를 담당한다.
4. 방송 송출 시설망
4. 1. TV
wikitext== 디지털TV ==
KBS강릉방송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2004년 7월 26일에 시작되었다. 디지털TV 채널은 1TV가 가상채널 9-1번을, 2TV가 가상채널 7-1번을 사용한다.
송신소 | UHD | HD | 출력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
1TV | 2TV | 1TV | 2TV | ||||
괘방산 송신소 | CH 52 | CH 56 | 4kW | CH 15 | CH 17 | 2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
오봉산 중계소 | colspan=3 rowspan=22| | CH 33 | CH 35 | 90W | 강원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산56-1 | ||
대진 중계소 | CH 27 | CH 28 | 20W | 강원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산75 | |||
속초시 중계소 | CH 21 | CH 22 | 50W | 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321 (목우재) | |||
양양군 중계소 | CH 27 | CH 29 | 20W | 강원 양양군 양양읍 월리 산3 | |||
대관령면 중계소 | CH 24 | CH 26 | 90W |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 |||
성산 중계소 | CH 33 | CH 34 | 20W | 강원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산148 | |||
초록봉 중계소 | CH 30 | CH 31 | 20W | 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 |||
봉황산 중계소 | CH 40 | CH 46 | 1kW | 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 |||
호산 중계소 | CH 33 | CH 35 | 5W | 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 |||
함백산 중계소 | CH 15 | CH 17 | 1kW | 강원 태백시 황지동 산176-1 | |||
도계 중계소 | CH 20 | CH 21 | 20W | 강원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 산2-1 | |||
황지 중계소 | CH 44 | CH 46 | 20W | 강원 태백시 소도동 산55 | |||
장성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태백시 장성동 산1 | |||
통리 소출력 | CH 15 | CH 17 | 0.05W | 강원 태백시 통동 69-8 | |||
사북 중계소 | CH 46 | CH 47 | 20W | 강원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산155-5 (지장산) | |||
증산 소출력 | CH 15 | CH 17 | 0.05W | 강원 정선군 남면 무릉리 | |||
정선읍 중계소 | CH 31 | CH 32 | 2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덕우리 산118 | |||
회동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332 (염소산) | |||
여량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정선군 북평면 장열리 산33 | |||
화암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 산383 | |||
임계 중계소 | CH 41 | CH 43 | 5W | 강원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616 (말루동) |
== 아날로그 TV (2012년 10월 25일 방송 종료) ==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 이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전환 계획의 일환이었다.
- 1TV
- 호출 부호: HLKR-TV
- 2TV
- 호출 부호: HLAH-TV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
1TV | 2TV | |||
괘방산 송신소 | CH 9 | CH 6 | 1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
대진 중계소 | CH 38 | CH 33 | 100W | 강원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산75 |
거진 중계소 | CH 51 | CH 41 | 10W | 강원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 |
간성 중계소 | CH 7 | CH 11 | 10W | 강원 고성군 간성읍 상리 산19-4 |
속초 중계소 | CH 21 | CH 27 | 100W | 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321 (목우재) |
양양 중계소 | CH 37 | CH 35 | 100W | 강원 양양군 양양읍 월리 산3 |
대관령 중계소 | CH 35 | CH 39 | 500W |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
성산 중계소 | CH 12 | CH 27 | 10W 100W | 강원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산148 |
진부 중계소 | CH 21 | CH 33 | 50W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송정리 산169-1 |
옥계 중계소 | CH 39 | CH 7 | 100W 10W | 강원 강릉시 옥계면 주수리 산25-4 (밥봉) |
봉황산 중계소 | CH 12 | CH 28 | 1kW 5kW | 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
삼화 중계소 | CH 24 | CH 7 | 100W 10W | 강원 동해시 삼화동 산267 |
호산 중계소 | CH 33 | CH 39 | 10W | 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
함백산 중계소 | CH 7 | CH 37 | 1kW 10kW | 강원 태백시 황지동 산176-1 |
도계 중계소 | CH 12 | CH 9 | 10W | 강원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 산2-1 |
황지 중계소 | CH 20 | CH 54 | 10W | 강원 태백시 소도동 산55 |
장성 중계소 | CH 6 | CH 47 | 10W 100W | 강원 태백시 장성동 산1 |
석포 중계소 | CH 35 | CH 50 | 10W | 경북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산1-2 |
상동 중계소 | CH 12 | CH 9 | 10W | 강원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 산1-35 |
사북 중계소 | CH 9 | CH 11 | 10W | 강원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산155-5 (지장산) |
정선 중계소 | CH 27 | CH 9 | 100W 1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산5-1 (비봉산) |
회동 중계소 | CH 31 | CH 35 | 10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332 (염소산) |
여량 중계소 | CH 31 | CH 10 | 100W 10W | 강원 정선군 북평면 장열리 산33 |
임계 중계소 | CH 27 | CH 41 | 10W | 강원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616 (말루동) |
화암 중계소 | CH 21 | CH 29 | 100W | 강원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 산383 |
방제 중계소 | CH 6 | CH 27 | 0.5W | 강원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 434-42 |
예미 중계소 | CH 29 | CH 35 | 100W | 강원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 산4-8 |
4. 1. 1. 디지털TV
wikitextKBS강릉방송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2004년 7월 26일에 시작되었다. 디지털TV 채널은 1TV가 가상채널 9-1번을, 2TV가 가상채널 7-1번을 사용한다.
송신소 | UHD | HD | 출력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
1TV | 2TV | 1TV | 2TV | ||||
괘방산 송신소 | CH 52 | CH 56 | 4kW | CH 15 | CH 17 | 2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
오봉산 중계소 | colspan=3 rowspan=22| | CH 33 | CH 35 | 90W | 강원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산56-1 | ||
대진 중계소 | CH 27 | CH 28 | 20W | 강원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산75 | |||
속초시 중계소 | CH 21 | CH 22 | 50W | 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321 (목우재) | |||
양양군 중계소 | CH 27 | CH 29 | 20W | 강원 양양군 양양읍 월리 산3 | |||
대관령면 중계소 | CH 24 | CH 26 | 90W |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 |||
성산 중계소 | CH 33 | CH 34 | 20W | 강원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산148 | |||
초록봉 중계소 | CH 30 | CH 31 | 20W | 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 |||
봉황산 중계소 | CH 40 | CH 46 | 1kW | 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 |||
호산 중계소 | CH 33 | CH 35 | 5W | 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 |||
함백산 중계소 | CH 15 | CH 17 | 1kW | 강원 태백시 황지동 산176-1 | |||
도계 중계소 | CH 20 | CH 21 | 20W | 강원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 산2-1 | |||
황지 중계소 | CH 44 | CH 46 | 20W | 강원 태백시 소도동 산55 | |||
장성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태백시 장성동 산1 | |||
통리 소출력 | CH 15 | CH 17 | 0.05W | 강원 태백시 통동 69-8 | |||
사북 중계소 | CH 46 | CH 47 | 20W | 강원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산155-5 (지장산) | |||
증산 소출력 | CH 15 | CH 17 | 0.05W | 강원 정선군 남면 무릉리 | |||
정선읍 중계소 | CH 31 | CH 32 | 2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덕우리 산118 | |||
회동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332 (염소산) | |||
여량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정선군 북평면 장열리 산33 | |||
화암 중계소 | CH 25 | CH 27 | 20W | 강원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 산383 | |||
임계 중계소 | CH 41 | CH 43 | 5W | 강원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616 (말루동) |
4. 1. 2. 아날로그 TV (2012년 10월 25일 방송 종료)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 이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전환 계획의 일환이었다.- 1TV
- 호출 부호: HLKR-TV
- 2TV
- 호출 부호: HLAH-TV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
1TV | 2TV | |||
괘방산 송신소 | CH 9 | CH 6 | 1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
대진 중계소 | CH 38 | CH 33 | 100W | 강원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산75 |
거진 중계소 | CH 51 | CH 41 | 10W | 강원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 |
간성 중계소 | CH 7 | CH 11 | 10W | 강원 고성군 간성읍 상리 산19-4 |
속초 중계소 | CH 21 | CH 27 | 100W | 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321 (목우재) |
양양 중계소 | CH 37 | CH 35 | 100W | 강원 양양군 양양읍 월리 산3 |
대관령 중계소 | CH 35 | CH 39 | 500W |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
성산 중계소 | CH 12 | CH 27 | 10W 100W | 강원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산148 |
진부 중계소 | CH 21 | CH 33 | 50W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송정리 산169-1 |
옥계 중계소 | CH 39 | CH 7 | 100W 10W | 강원 강릉시 옥계면 주수리 산25-4 (밥봉) |
봉황산 중계소 | CH 12 | CH 28 | 1kW 5kW | 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
삼화 중계소 | CH 24 | CH 7 | 100W 10W | 강원 동해시 삼화동 산267 |
호산 중계소 | CH 33 | CH 39 | 10W | 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
함백산 중계소 | CH 7 | CH 37 | 1kW 10kW | 강원 태백시 황지동 산176-1 |
도계 중계소 | CH 12 | CH 9 | 10W | 강원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 산2-1 |
황지 중계소 | CH 20 | CH 54 | 10W | 강원 태백시 소도동 산55 |
장성 중계소 | CH 6 | CH 47 | 10W 100W | 강원 태백시 장성동 산1 |
석포 중계소 | CH 35 | CH 50 | 10W | 경북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산1-2 |
상동 중계소 | CH 12 | CH 9 | 10W | 강원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 산1-35 |
사북 중계소 | CH 9 | CH 11 | 10W | 강원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산155-5 (지장산) |
정선 중계소 | CH 27 | CH 9 | 100W 1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산5-1 (비봉산) |
회동 중계소 | CH 31 | CH 35 | 100W | 강원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332 (염소산) |
여량 중계소 | CH 31 | CH 10 | 100W 10W | 강원 정선군 북평면 장열리 산33 |
임계 중계소 | CH 27 | CH 41 | 10W | 강원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616 (말루동) |
화암 중계소 | CH 21 | CH 29 | 100W | 강원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 산383 |
방제 중계소 | CH 6 | CH 27 | 0.5W | 강원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 434-42 |
예미 중계소 | CH 29 | CH 35 | 100W | 강원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 산4-8 |
4. 2. 라디오
KBS강릉방송국은 라디오 방송을 AM, FM, 음악FM을 통해 제공한다.제1라디오는 경포 송신소에서 AM 864kHz, 100kW 출력으로, 괘방산 송신소에서 FM 98.9MHz, 3kW 출력으로 방송된다.[1] 오봉산 중계소(FM 95.7MHz, 500W)[2], 속초 중계소(FM 88.1MHz, 100W)[2], 양양 중계소(FM 97.9MHz, 100W), 초록봉 중계소(FM 88.5MHz, 1kW)[3][4], 함백산 중계소(FM 93.7MHz, 1kW), 정선 중계소(FM 91.9MHz, 100W)[5]를 통해서도 청취 가능하다.
제2라디오(Happy FM)는 괘방산 송신소에서 FM 102.1MHz, 5kW 출력으로 방송되며, 양양 중계소(FM 103.9MHz, 100W)와 속초 중계소(FM 106.7MHz, 100W)를 통해서도 청취할 수 있다.
음악FM은 괘방산 송신소에서 FM 89.1MHz, 5kW 출력으로, 함백산 중계소에서 FM 97.3MHz, 3kW 출력으로 방송된다.
4. 3. 지상파 DMB
5. 방송 프로그램
5. 1. TV 프로그램
5. 1. 1. 보도
wikitable프로그램명 | 방송시간 | 편성시간 | 진행 |
---|---|---|---|
KBS 뉴스 930 강릉 | 평일 10분 | 오전 9시 50분 ~ 10시 | 이은영 |
KBS 뉴스 9 강릉 | 평일 10분 | 밤 9시 35분 ~ 9시 45분 | 이아인 |
5. 1. 2. 교양
5. 2. 라디오 프로그램
5. 2. 1. 제1라디오
wikitable프로그램명 | 방송시간 | 편성시간 | 진행 |
---|---|---|---|
KBS 제1라디오 9시 뉴스 | 월요일 ~ 금요일 5분 | 오전 9시 ~ 9시 5분 | 이은영 |
KBS 제1라디오 정오종합뉴스 | 낮 12시 15분~ 12시 20분 | 김경미 | |
KBS 제1라디오 오후 5시 뉴스 | 오후 5시 ~ 5시 5분 | 이아인 |
5. 2. 2. 강릉FM
재즈 & 클래식 (재즈, 클래식, 평일, 11시~12시) (진행 이은영)6. 주요 임직원
6. 1. 현직 아나운서
6. 2. 전직 아나운서
- 남성
전인석 (1987~1991, 전 KBS 제주 총국)
오태훈 (1997~1998, 현 KBS 서울 본국)
김기만 (2002~2003, 현 KBS 서울 본국)
윤석황 (2008~2019, 현 KBS 춘천 아나운서)
이영락 (2000~2002, 현 MBC충북 아나운서)
김기영 (2003~2005, 현 포항 MBC 기자)
최혁재 (2004~2007, 현 대전 MBC 기자)
박대식 (2002~2004, 현 프리랜서 PD)
한태호 (2009~2015, 현 KBS 원주 아나운서)
이의선 (2019~2020, 현 KBS 춘천 아나운서)
- 여성
김숙경 (2008~2009, 현 KBS 대전 아나운서)
정은아 (2002~2004, 전 KBS 순천 아나운서, 현 KBS 광주 아나운서)
이지연 (2000~2001, 현 퇴사)
정소희 (2009~2012, 현 KTV 한국정책방송 아나운서)
조수빈 (2005~2006) (전 서울본국, 현 퇴사)
이지애 (2006~2007, 현 퇴사)
원순식 (2001~2004, 전 KBS 청주 아나운서)
오혜원 (2008~2009, 현 퇴사)
김서련 (2010~2012, 현 KBS 춘천 아나운서)
박서정 (2012~2013, 전 KBS 춘천 아나운서)
양수진 (2012~2015, 현 YTN 라디오 아나운서)
강아랑 (2013~2014, 현 KBS 기상 캐스터)
허보혜 (1985~2008, 현 퇴사)
윤상아 (2013~2015, 현 퇴사)
김소은 (2015~2016.12.7, 현 퇴사)
정은지 (2015~2017 현 퇴사)
이은주 (2016~2018, 현 제주MBC 아나운서)
윤소희 (2016.9.~2019.3.29, 현 퇴사)
오은지 (2018~2019 현 퇴사)
강유미 (2019~2022 현 퇴사)
박민정 (2019~2022 현 퇴사)
김단우 (2022~2023 현 딜라이브 아나운서)
이선미 (2022~2024 현 퇴사)
황지연 (2023~2024 현 YTN 아나운서)
6. 3. 현직 기자
6. 4. 현직 촬영기자
- 김중용 촬영부장
- 최진호
- 구민혁
- 박영웅
6. 5. 기상캐스터
- 김민소
참조
[1]
웹사이트
2014년 FMR 시설공사(괘방,정선,대암,울릉)
https://tender.kbs.c[...]
[2]
웹사이트
KBS강릉 시청자 게시판
http://gangneung.kbs[...]
[3]
웹사이트
KBS강릉 시청자 게시판
http://gangneung.kbs[...]
[4]
웹사이트
2017년 FM 송신시설 공사
https://tender.kbs.c[...]
[5]
웹사이트
FM중계기 5종 12점 구매
https://tender.kb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