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해시는 강원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삼한 시대 실직국의 일부였다가 신라에 병합된 후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 삼척현과 강릉부의 우계현으로 분리되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통합되어 동해시로 승격되었으며, 1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해시는 과거 광업이 발달했으나, 현재는 시멘트 공업이 주요 산업이며, 묵호항과 동해항을 통해 해상 교통이 이루어진다. 무릉계곡, 묵호항, 망상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며, 철도, 고속도로, 국도 등 교통망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태백시
    태백시는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고원 도시로, 탄광 도시에서 고랭지 농업과 관광 산업 중심으로 경제를 재편하고 있으며,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이자 태백산 등 자연, 역사·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춘천시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맥국의 수도였고, 춘주를 거쳐 도호부로 승격, 강원도청 소재지가 되었으며, 한국전쟁 이후 재건, 1995년 춘천군과 통합, 현재는 호반의 도시로서 관광자원과 경공업, 관광산업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는 도시이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1980년 설치 - 동작구
    동작구는 서울특별시 중남부 한강 남쪽에 위치한 자치구로, 조선 시대 한강 무역 중심지였으며 관악구에서 분리 신설되었고, 현재 다양한 문화유산, 교육기관, 노량진 학원가, 수산시장 등의 특징과 함께 여러 자매도시와 교류하며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80년 설치 - 제천시
    제천시는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도농복합시로,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한말 의병 운동의 거점, 풍부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3차 산업이 발달했으나 최근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있다.
동해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동해시
한글 표기동해시
한자 표기東海市
로마자 표기Donghae-si
McCune–Reischauer 표기Tonghae-si
위치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관동
방언강원
최초 공식 기록102년
시 설립일1980년 4월 1일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0개 동
인구 정보
총 인구87,724명
인구 밀도521.61명/km²
인구 조사 기준일2024년 9월
지리 정보
면적180.01 km²
기후Cfa
정치 및 행정
시장심규언
시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상징물
시목은행나무
시화매화
시조갈매기
기타 정보
지역 번호+82-33
공식 웹사이트동해시청 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삼화사와 무릉계곡
동해시 깃발

2. 역사

기원전 위만조선에 속해 있다가 삼한 시대에는 진한실직국의 일부였다. 102년 신라에 병합되었으나 5세기에는 고구려의 실직군이 되었다. 630년 신라의 영토에 완전히 속하게 되었고, 757년에는 삼척군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삼척부의 삼척현과 강릉부의 우계현으로 분리되었다.[20]

1632년 현재의 동해시 남부 5개 행정동 지역이 삼척부의 박곡리가 되었고, 1648년 현재의 동해시 북부 5개 행정동 지역은 강릉부의 망상리가 되었다. 1705년 망상리가 '''망상면'''으로 개칭되었고, 1739년 박곡을 견하로 개칭하였다. 1891년 견하를 도하·도상·견박 등 3개 면으로 분리하였다. 1895년 삼척도호부가 삼척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3개 면을 합쳐 '''북삼면'''이라 칭했다.[20]

1938년 이시카와 긴조/是川銀蔵일본어는 광산을 매입하여 이시카와광업/是川鑛業일본어을 설립하고, 1943년 당시 삼척군 북평면에 이시카와제철/是川製鐵일본어을 설립하였다.[15] 1941년 묵호항이 개항되었고,[20] 1942년 10월 1일 강릉군 망상면(望祥面)이 묵호읍(墨湖邑)으로 승격되었다.[20] 1945년 7월 1일에는 삼척군 북삼면(北三面)이 북평읍(北坪邑)으로 승격되었다.[20]

1979년 12월 28일 동해시 설치법률이 공포되었고(법률 제3188호),[21] 1980년 4월 1일 쌍둥이 도시인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쳐 '''동해시'''로 승격되었다.[21]

1981년 7월 8일 내동·호현동을 북평동에 편입, 향로동 일부를 동호동에 편입했다. 1984년 6월 1일 북평역(北坪驛)을 동해역(東海驛)으로 개칭하였고, 1986년 12월 5일 북평항(北坪港)을 동해항(東海港)으로 개칭하였다.[15] 1990년 3월 31일 부곡동 일부를 향로동에 편입, 1993년 6월 2일 단봉동, 대구동 일부를 구미동에, 어달동 일부를 묵호동 편입하였다. 1995년 11월 20일 쇄운동 일부가 동회동에, 대구,구미,추암동 일부가 구호동에 편입되었고, 1998년 11월 2일 동해시 과소행정동 통폐합으로 15개동에서 10개동이 되었다.

강원도 동부는 삼화철산과 양양철산 등 철광석과 석탄이 풍부했으며, 현재의 동해시에 해당하는 강릉군 묵호면과 삼척군 북평면에서는 광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오사카의 상인 이시카와 긴조/是川銀蔵일본어는 이들 광산을 매입하여 1938년 이시카와광업/是川鑛業일본어을 설립하고, 1943년 당시 삼척군 북평면에 이시카와제철/是川製鐵일본어을 설립하여 용광로 8개와 직원 1만 명을 거느린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제철소는 전후에는 삼화제철소가 되었으나, 노후화와 철광석 고갈 등으로 1970년대에 운영을 중단했다.[15] 철광석과 석탄의 고갈과는 달리, 동해시에서 삼척군에 걸쳐 있는 산지는 석회암이 무진장하기 때문에 시멘트 공업이 번성하였고, 동해항에는 시멘트 전용 부두가 운영되기 시작했다. 또한 공업단지도 입지하는 등 동해시는 계속해서 공업 지대였다.

199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금강산 관광선이 동해항에서 출항했다(2001년 7월 이후는 속초항만 이용되었고, 현재는 육로 관광으로 전환됨).

2. 1. 고대

동해시는 기원 전 위만조선에 속해 있다가 삼한 시대에는 진한실직국의 일부였다.[20] 102년 신라에 병합되었으나, 5세기에는 고구려의 실직군이 되었다.[20] 630년 신라의 영토에 완전히 속하게 되었다.[20] 1018년에는 삼척부의 삼척현과 강릉부의 우계현으로 분리되었다.[20] 1632년에 현재의 동해시 남부 5개 행정동 지역이 삼척부의 박곡리가 되었고, 1648년에 현재의 동해시 북부 5개 행정동 지역은 강릉부의 망상리가 되었다.[20] 1705년 망상리가 '''망상면'''으로 개칭되었고, 1739년에는 박곡을 견하로 개칭하였다.[20] 1891년에는 견하를 도하·도상·견박 등 3개 면으로 분리하였다.[20] 1895년에는 삼척도호부가 삼척군으로 개칭되었으며[20], 1914년에는 3개 면을 합쳐 '''북삼면'''이라 부르게 되었다.[20] 1941년에는 묵호항이 개항되었다.[20]

2. 2. 중세

기원전 위만조선에 속해 있다가 삼한 시대에는 진한실직국의 일부였다. 102년 신라에 병합되었으나 5세기에는 고구려의 실직군이 되었다. 630년 신라의 영토에 완전히 속하게 되었다.[20] 757년 통일신라 경덕왕 때 삼척군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척주라고도 불렸다.[15] 1018년 삼척부의 삼척현과 강릉부의 우계현으로 분리되었다.[20]

1393년 조선시대에 삼척부, 1413년 삼척도호부로 승격했다. 1632년 현재의 동해시 남부 5개 행정동 지역이 삼척부의 박곡리가 되었고, 1648년 현재의 동해시 북부 5개 행정동 지역은 강릉부의 망상리가 되었다. 1705년 망상리가 '''망상면'''으로 개칭되었고, 1739년에는 박곡을 견하로 개칭하였다. 1891년에는 견하를 도하·도상·견박 등 3개 면으로 분리하였다. 1895년의 지방 행정 개혁에 따라 강릉부 삼척군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강원도에 속하게 되었다.[15] 1914년에는 3개 면을 합쳐 '''북삼면'''이라 부르게 되었다.[20]

2. 3. 근세

삼한 시대에 동해시는 진한실직국의 일부였다. 102년 신라에 병합되었으나 5세기에는 고구려의 실직군이 되었다. 630년 신라의 영토에 완전히 속하게 되었고, 757년에는 삼척군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삼척부의 삼척현과 강릉부의 우계현으로 분리되었다.[20]

1632년 현재의 동해시 남부 5개 행정동 지역이 삼척부의 박곡리가 되었고, 1648년 현재의 동해시 북부 5개 행정동 지역은 강릉부의 망상리가 되었다. 1705년 망상리가 '''망상면'''으로 개칭되었고, 1739년 박곡을 견하로 개칭하였다. 1891년 견하를 도하·도상·견박 등 3개 면으로 분리하였다. 1895년 삼척도호부가 삼척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3개 면을 합쳐 '''북삼면'''이라 칭했다.[20]

1941년 묵호항이 개항되었고,[20] 1942년 10월 1일 강릉군 망상면이 묵호읍으로 승격되었다.[20] 1945년 7월 1일 삼척군 북삼면이 북평읍으로 승격되었다.[20] 강원도 동부는 삼화철산과 양양철산 등 철광석과 석탄이 풍부했으며, 현재의 동해시에 해당하는 강릉군 묵호면과 삼척군 북평면에서는 광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오사카의 상인 이시카와 긴조/是川銀蔵일본어는 이들 광산을 매입하여 1938년 이시카와광업/是川鑛業일본어을 설립하고, 1943년 당시 삼척군 북평면에 이시카와제철/是川製鐵일본어을 설립하여 용광로 8개와 직원 1만 명을 거느린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제철소는 전후에는 삼화제철소가 되었으나, 노후화와 철광석 고갈 등으로 1970년대에 운영을 중단했다.[15]

2. 4. 일제강점기

1938년 이시카와 긴조(是川銀蔵)는 광산을 매입하여 이시카와광업(是川鑛業)을 설립하고, 1943년 당시 삼척군 북평면에 이시카와제철(是川製鐵)을 설립하였다.[15] 1941년 묵호항이 개항되었고,[20] 1942년 10월 1일 강릉군 망상면(望祥面)이 묵호읍(墨湖邑)으로 승격되었다.[20] 1945년 7월 1일에는 삼척군 북삼면(北三面)이 북평읍(北坪邑)으로 승격되었다.[20]

2. 5. 현대

1942년 10월 1일 : 강릉군 망상면(望祥面)이 묵호읍(墨湖邑)으로 승격되었다.[20] 1945년 7월 1일 : 삼척군 북삼면(北三面)이 북평읍(北坪邑)으로 승격되었다.[20] 1979년 12월 28일 동해시 설치법률이 공포되었고(법률 제3188호),[21] 1980년 4월 1일 쌍둥이 도시인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쳐 '''동해시'''로 승격되었다.[21]

1981년 7월 8일 내동·호현동을 북평동에 편입, 향로동 일부를 동호동에 편입했다. 1984년 6월 1일 북평역(北坪驛)을 동해역(東海驛)으로 개칭하였고, 1986년 12월 5일 북평항(北坪港)을 동해항(東海港)으로 개칭하였다.[15] 1990년 3월 31일 부곡동 일부를 향로동에 편입, 1993년 6월 2일 단봉동, 대구동 일부를 구미동에, 어달동 일부를 묵호동 편입하였다. 1995년 11월 20일 쇄운동 일부가 동회동에, 대구,구미,추암동 일부가 구호동에 편입되었고, 1998년 11월 2일 동해시 과소행정동 통폐합으로 15개동에서 10개동이 되었다.

강원도 동부는 삼화철산과 양양철산 등 철광석과 석탄이 풍부했으며, 현재의 동해시에 해당하는 강릉군 묵호면과 삼척군 북평면에서는 광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오사카의 상인 이시카와 긴조(是川銀蔵)는 이들 광산을 매입하여 1938년 이시카와광업(是川鑛業)을 설립하고, 1943년 당시 삼척군 북평면에 이시카와제철(是川製鐵)을 설립하여 용광로 8개와 직원 1만 명을 거느린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제철소는 전후에는 삼화제철소(三和製鐵所)가 되었으나, 노후화와 철광석 고갈 등으로 1970년대에 운영을 중단했다.[15] 철광석과 석탄의 고갈과는 달리, 동해시에서 삼척군에 걸쳐 있는 산지는 석회암이 무진장하기 때문에 시멘트 공업이 번성하였고, 북평항(동해항)에는 시멘트 전용 부두가 운영되기 시작했다. 또한 공업단지도 입지하는 등 동해시는 계속해서 공업 지대였다.

199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금강산 관광선이 동해항에서 출항했다(2001년 7월 이후는 속초항만 이용되었고, 현재는 육로 관광으로 전환됨).

3. 지리

동해시는 동쪽은 동해에 접하고, 서쪽은 정선군, 남쪽은 삼척시, 북쪽은 강릉시와 인접해 있다. 겨울에는 동해에 면해 있어 비교적 온화하지만, 늦겨울에는 동해의 눈구름의 영향을 받아 눈이 내리기 쉽다. 과거 최대 적설량은 2011년 2월 15일 102.9cm를 기록했으며, 관측 사상 처음으로 적설량이 1m를 넘는 폭설이었다. 최고 기온 극값은 37.1℃(2008년 7월 6일), 최저 기온 극값은 -14.0℃(2001년 1월 15일)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5.47.011.216.721.123.426.627.623.819.713.77.717.0
평균 기온 (℃)1.12.86.812.216.619.623.224.119.815.19.33.412.8
평균 최저 기온 (℃)-2.8-1.42.47.712.516.520.521.116.210.75.0-0.89.0
강수량 (mm)46.444.057.672.363.3105.9230.8227.2219.8102.971.622.51264.3
강수 일수 (≥ 0.1 mm)5.66.18.58.38.810.714.414.812.17.97.34.1108.6
평균 상대 습도 (%)47.652.256.458.867.077.882.182.379.067.256.546.064.4
일조 시간188.1181.0202.3211.9221.3179.7155.0163.4165.3190.3172.6188.32219.2


3. 1. 자연 환경

동해시는 동쪽으로 동해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의 분수령인 청옥산(1,430m), 두타산(1,352m), 상월산(964m) 등의 높은 봉우리들이 솟아 있어 지형이 험준하다.[22] 남쪽은 삼척시, 북쪽은 강릉시, 서쪽은 정선군과 접해 있다.[22] 이 산들에서 동해 쪽으로 급경사를 이루며, 해안 지역에는 너비 약 2km의 해안 저지에 50m 내외의 구릉성 산지가 남북으로 뻗어 있다. 전천과 북부의 마상천은 짧은 급류를 이룬다.[22]

평야는 전천 하류의 북평 분지에 비교적 넓게 발달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지역은 산지가 해안까지 뻗어 해식애를 이룬다.[22] 해안선은 전반적으로 단조로우나, 묵호 부근의 만입부는 천연의 양항 조건을 갖추고 있다.[22]

겨울에는 동해에 면해 있어 비교적 온화한 편이지만, 늦겨울에는 동해에서 발생한 눈구름의 영향으로 눈이 자주 내린다. 2011년 2월 15일에는 102.9cm의 적설량을 기록하여 관측 사상 처음으로 1m를 넘는 폭설이 내리기도 했다. 역대 최고 기온은 2008년 7월 6일에 기록된 37.1℃이며, 최저 기온은 2001년 1월 15일에 기록된 -14.0℃이다.[13][14]

3. 2. 지질

동해시 신흥동의 선캄브리아기 태백산편마암복합체(태백산층군)
]

동해시의 지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삼척시의 지질 문서를 참고하라.

3. 3. 기후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겨울철 북서 계절풍이 푄 현상을 일으키고, 동해에 면해 있어 기후는 해양성을 띤다. 같은 위도의 서해안보다 연평균 1.5℃, 1월 평균 3.7℃ 정도 기온이 높다.[23] 강수량도 많은 편이며, 특히 강설량이 많아 울릉도 다음의 다설 지역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2.8도, 1월 평균 기온은 1.1도, 8월 평균 기온은 24.1도이며, 연 강수량은 약 1,300mm이다.[23]

동해시는 동해에 접하고, 서쪽은 정선군, 남쪽은 삼척시, 북쪽은 강릉시와 인접해 있다. 겨울에는 비교적 온화하지만, 늦겨울에는 동해의 눈구름의 영향을 받아 눈이 내리기 쉽다.[3][4][5] 2011년 2월 15일에는 102.9cm의 적설량을 기록하여 관측 사상 처음으로 적설량이 1m를 넘는 폭설이 내렸다.[3][4][5] 최고 기온 극값은 37.1℃(2008년 7월 6일), 최저 기온 극값은 -14.0℃(2001년 1월 15일)이다.[3][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5.47.011.216.721.123.426.627.623.819.713.77.717.0
평균 기온 (℃)1.12.86.812.216.619.623.224.119.815.19.33.412.8
평균 최저 기온 (℃)-2.8-1.42.47.712.516.520.521.116.210.75.0-0.89.0
강수량 (mm)46.444.057.672.363.3105.9230.8227.2219.8102.971.622.51264.3
강수 일수 (≥ 0.1 mm)5.66.18.58.38.810.714.414.812.17.97.34.1108.6
평균 상대 습도 (%)47.652.256.458.867.077.882.182.379.067.256.546.064.4
일조 시간188.1181.0202.3211.9221.3179.7155.0163.4165.3190.3172.6188.32219.2


4. 행정 구역

동해시의 행정 구역은 10개 행정동, 235통, 1,272반으로 구성되어 있다.[26] 동해시의 면적은 180.17 km2이며, 2022년 4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89,223명, 42,582 가구이다.[26]

행정동한자면적인구세대행정 지도
천곡동泉谷洞10.3930,58013,825
400px
송정동松亭洞5.273,6832,156
북삼동北三洞16.6019,8818,736
부곡동釜谷洞5.084,9012,575
동호동東湖洞2.875,0102,538
발한동發翰洞1.153,2781,937
묵호동墨湖洞3.352,9291,732
북평동北坪洞19.3112,8015,758
망상동望祥洞25.793,4371,826
삼화동三和洞90.362,7231,499
'''합계東海市180.1789,22342,582



각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법정동
천곡동천곡동, 평릉동
송정동송정동, 용정동
북삼동지흥동, 효가동, 나얀동, 桐淮洞, 사운동, 용정동
부곡동부곡동
동호동발한동
발한동
묵호동묵호진동, 어달동, 대진동
북평동북평동, 구미동, 추암동, 구호동, 대곡동, 호현동, 내동, 단봉동, 지가동, 이도동, 귀운동
망상동망상동, 발한동, 초구동, 심곡동, 槐蘭洞, 만우동
삼화동삼화동, 이기동, 니로동, 신흥동, 비천동, 달방동



4. 1. 행정동 목록

동해시의 행정 구역은 10개 행정동, 235통, 1,272반으로 구성되어 있다.[26] 동해시의 면적은 180.17 km2이며, 2022년 4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89,223명, 42,582 가구이다.[26]

행정동한자면적인구세대행정 지도
천곡동泉谷洞10.3930,58013,825|400px]]
송정동松亭洞5.273,6832,156
북삼동北三洞16.6019,8818,736
부곡동釜谷洞5.084,9012,575
동호동東湖洞2.875,0102,538
발한동發翰洞1.153,2781,937
묵호동墨湖洞3.352,9291,732
북평동北坪洞19.3112,8015,758
망상동望祥洞25.793,4371,826
삼화동三和洞90.362,7231,499
'''합계東海市180.1789,22342,582



각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법정동
천곡동천곡동, 평릉동
송정동송정동, 용정동
북삼동지흥동, 효가동, 나얀동, 桐淮洞, 사운동, 용정동
부곡동부곡동
동호동발한동
발한동
묵호동묵호진동, 어달동, 대진동
북평동북평동, 구미동, 추암동, 구호동, 대곡동, 호현동, 내동, 단봉동, 지가동, 이도동, 귀운동
망상동망상동, 발한동, 초구동, 심곡동, 槐蘭洞, 만우동
삼화동삼화동, 이기동, 니로동, 신흥동, 비천동, 달방동


5. 경제

5. 1. 산업 구조

밭의 비율이 논보다 훨씬 높다. 주요 농산물은 쌀, 콩, 감자, 보리, 옥수수, 채소, 사과, 복숭아, 포도 등이며, 지역별로 특화된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망상·이원·북삼동은 쌀, 삼흥·삼화동은 콩, 망상·이원·삼흥동은 감자, 이원·북삼·삼흥동은 보리, 삼흥동은 옥수수, 망상·이원·북평동은 채소, 북평동은 사과와 복숭아, 이원동은 포도를 주로 재배한다. 전체 면적의 78%가 임야이며, 대부분 침엽수와 혼합림으로 구성되어 있다.[27]

어업인구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대부분 영세어업이나 반농반어 형태로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묵호항은 이 지역의 어업 중심지이며, 천곡항, 어달항, 대진항 등의 어촌정주어항이 있다. 주요 어획물로는 노가리, 오징어, 꽁치, 미역 등이 있다.[28]

남부 지역에는 양질의 석회석이 대량 매장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쌍용양회 동해공장이 삼흥동에 건설되어 연간 500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북평항(동해항)에는 시멘트 전용 부두시설이 있어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시멘트를 직접 선적할 수 있다. 어달동에서는 무연탄이 생산되고, 삼화동에는 연간 1,200만 톤 이상의 석회석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 석회석을 주원료로 하는 시멘트 공업이 발달하여 삼화·송정·항로동의 동해·북평·묵호 공장에서 연간 1,600만 톤의 시멘트를 생산한다. 북평에는 선박기계, 기계장비, 합판, 펄프, 소형선박, 도자기 등 중화학공업단지가 조성되었다.[29]

5. 2. 주요 산업

밭의 비율이 논보다 훨씬 높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망상·이원·북삼동), 콩(삼흥·삼화동), 감자(망상·이원·삼흥동), 보리(이원·북삼·삼흥동), 옥수수(삼흥동), 채소(망상·이원·북평동)가 있다. 과일은 사과와 복숭아(북평동), 포도(이원동)가 중심 재배지를 이루고 있다. 전체 면적의 78%가 임야이며 침엽수와 혼합림이 대부분이다.[27]

어업인구는 점차 감소 추세이며, 대부분 영세어업이나 반농반어의 형태이다. 묵호항은 이 지역의 어업 중심지로 발달하였으며, 그 밖에 천곡항, 어달항, 대진항 3개의 어촌정주어항이 있다. 주요 어획물은 노가리, 오징어, 꽁치, 미역 등이다.[28]

남부 일대에 양질의 석회석이 대량 매장되어 있으며, 이를 개발한 쌍용양회 동해공장이 삼흥동에 건설되어 연간 500만t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북평항(동해항)에는 시멘트 전용 부두시설이 있어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시멘트를 직접 선적할 수 있다. 어달동을 중심으로 무연탄이 생산되고 있으며, 삼화동에는 연간 1,200만t 이상의 석회석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 석회석을 주원료로 하는 시멘트공업이 발달하여 삼화·송정·항로동에 있는 동해·북평·묵호 공장에서 연간 1,600만t의 시멘트를 생산하고 있다. 북평에는 선박기계, 기계장비, 합판, 펄프, 소형선박, 도자기 등 중화학공업단지를 조성하였다.[29]

동해사포나리알로에, 동해버섯, 동해망상콩나물, 동해포도 등이 유명하다.[30]

5. 3. 경제 활성화 노력

동해시는 2009년 10월 26일부터 5일간 망상해수욕장에서 앙바엑스포(ANGVA 2009 동해 EXPO)를 개최하였다.[31] 41개국에서 5,400여 명의 천연가스 분야 전문가 및 저명인사, 업계, 학계 등 각계각층의 관계자들이 참여하였으며, 5일간 내국인 84,290명, 외국인 2,377명 등 총 86,667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31] 앙바엑스포를 통해 180억 원의 생산 효과, 37억 원의 소득 효과, 84억 원의 부가가치 효과, 330여 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얻은 것으로 분석된다.[31]

동해시 일대는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강원도와 동해시는 투자 유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6]

6. 사회

몇 년 전만 해도 동해시의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최근 EFEZ(동해안경제자유구역청) 등의 개발 사업과 시멘트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입, 증가세로 돌아섰다. 삼척시, 강릉시 옥계면 등과 시내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등 강릉 남부, 삼척과 교류가 잦으며 시청과 마트, 영화관 등 상업시설이 밀집된 천곡동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묵호가 중심지였으나 공공기관이 천곡동에 들어서면서 묵호 지역은 인구가 줄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논골담길, 묵호항, 망상해수욕장 등 관광자원이 풍부해 상권이 크게 쇠퇴하지는 않았다.

크게 묵호항발한동 중심의 묵호, 시청로터리 중심의 천곡, 북삼동 중심의 구 북평읍으로 생활권이 나뉜다.

6. 1. 인구

몇 년 전만 해도 동해시의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최근 EFEZ(동해안경제자유구역청) 등의 개발 사업과 시멘트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지속적으로 인구 유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삼척시, 강릉시 옥계면 등과 시내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등 강릉 남부, 삼척과 교류가 잦으며, 시청과 마트, 영화관 등 상업 시설이 밀집된 천곡동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묵호가 중심지였으나 공공기관이 천곡동에 들어서면서 묵호 지역은 인구가 줄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논골담길, 묵호항, 망상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해 상권이 크게 쇠퇴하지는 않았다.

생활권은 크게 묵호항과 발한동 중심의 묵호, 시청로터리 중심의 천곡, 북삼동 중심의 구 북평읍으로 나뉜다.

6. 2. 생활권

몇 년 전만 해도 동해시의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최근 EFEZ(동해안경제자유구역청) 등의 개발 사업과 시멘트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지속적으로 인구 유입이 이루어져 증가세로 돌아섰다. 삼척시, 강릉시 옥계면 등과 시내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등 강릉 남부, 삼척과 교류가 잦으며 시청과 마트, 영화관 등 상업시설이 밀집된 천곡동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묵호가 중심지였으나 공공기관이 천곡동에 들어서면서 묵호 지역은 인구가 줄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논골담길, 묵호항, 망상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해 상권이 크게 쇠퇴하지는 않았다.

크게 묵호항발한동 중심의 묵호, 시청로터리 중심의 천곡, 북삼동 중심의 구 북평읍으로 생활권이 나뉜다.

6. 3. 주요 시설

동해시는 최근 EFEZ(동해안경제자유구역청) 개발 사업과 시멘트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삼척시, 강릉시 옥계면 등과 시내버스로 연결되어 있어 강릉 남부, 삼척과 교류가 잦다. 시청, 마트, 영화관 등 상업시설이 밀집된 천곡동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묵호가 중심지였으나 공공기관이 천곡동으로 이전하면서 묵호 지역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논골담길, 묵호항, 망상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여 상권이 크게 쇠퇴하지는 않았다.

생활권은 크게 묵호항과 발한동 중심의 묵호, 시청로터리 중심의 천곡, 북삼동 중심의 구 북평읍으로 나뉜다. 대한민국 해군 제1함대사령부와 해양경찰청 동해해양경찰서가 위치해 있다.

6. 4. 주변 지역과의 관계

몇 년 전만 해도 동해시의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최근 EFEZ(동해안경제자유구역청) 등의 개발 사업과 시멘트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입, 증가세로 돌아섰다. 삼척시, 강릉시 옥계면 등과 시내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등 강릉 남부, 삼척과 교류가 잦으며 시청과 마트, 영화관 등 상업시설이 밀집된 천곡동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묵호가 중심지였으나 공공기관이 천곡동에 들어서면서 묵호 지역은 인구가 줄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논골담길, 묵호항, 망상해수욕장 등 관광자원이 풍부해 상권이 크게 쇠퇴하지는 않았다.

크게 묵호항과 발한동 중심의 묵호, 시청로터리 중심의 천곡, 북삼동 중심의 구 북평읍으로 생활권이 나뉜다.

7. 문화·관광

동해시는 계곡, 삼림, 해안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개발 잠재력이 크다. 특히 상류의 넓은 폭포, 깊은 계곡, 울창한 삼림, 사찰 등은 소금강에 비견될 정도이다. 1998년 가을 금강산 유람선 출항지가 되면서 관광객들의 발길이 더욱 잦아지고 있다.[32]

묵호항동해시 묵호동에 있는 항구로, 주변에 수산물시장이 있다. 항내수(港內水) 면적은 402km2이며, 항만법상 1종항이다. 한국에서 석탄과 시멘트 반출항으로서는 북평항 건설 이전까지 최대 규모였으며, 동해안의 어업 기지 및 피난항으로서 이용도가 높다.[33]

무릉계곡동해시 삼화동에 있는 국민관광지 제77호로, 두타산청옥산 자락에 걸쳐 있다. 무릉계곡 입구에는 무릉반석이라 불리는 넓은 바위들이 있으며, 이곳을 찾은 시인 묵객들의 글씨가 남아 있다.[34] 그 외에 쌍폭포와 용추폭포, 삼화사, 청옥산, 두타산, 고적대 등이 있다. 두타산과 청옥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무릉계곡 전천의 상류에는 반석폭포가 있다.

천곡황금박쥐동굴은 시내에 있는 유일한 석회암 동굴로, 종유석과 석순이 발달해 있다. 천곡동에 위치하며, 시영아파트를 짓다가 발견되었다.

망상해수욕장은 긴 모래사장과 얕은 수심으로 유명하다.

추암 촛대바위는 추암해수욕장에 위치하며, 석회암이 침식되어 형성된 기암괴석이다.

이 외에도 북평5일장, 동쪽바다중앙시장묵호중앙시장, 동해 러시아 대게마을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7. 1. 관광 자원

동해시는 계곡, 삼림, 해안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개발 잠재력이 크다. 특히 상류의 넓은 폭포, 깊은 계곡, 울창한 삼림, 사찰 등은 소금강에 비견될 정도이다. 1998년 가을 금강산 유람선 출항지가 되면서 관광객들의 발길이 더욱 잦아지고 있다.[32]

묵호항동해시 묵호동에 있는 항구로, 주변에 수산물시장이 있다. 항내수(港內水) 면적은 402km2이며, 항만법상 1종항이다. 한국에서 석탄과 시멘트 반출항으로서는 북평항 건설 이전까지 최대 규모였으며, 동해안의 어업 기지 및 피난항으로서 이용도가 높다.[33]

무릉계곡동해시 삼화동에 있는 국민관광지 제77호로, 두타산청옥산 자락에 걸쳐 있다. 무릉계곡 입구에는 무릉반석이라 불리는 넓은 바위들이 있으며, 이곳을 찾은 시인 묵객들의 글씨가 남아 있다.[34] 그 외에 쌍폭포와 용추폭포, 삼화사, 청옥산, 두타산, 고적대 등이 있다. 두타산과 청옥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무릉계곡 전천의 상류에는 반석폭포가 있다.

천곡황금박쥐동굴은 시내에 있는 유일한 석회암 동굴로, 종유석과 석순이 발달해 있다. 천곡동에 위치하며, 시영아파트를 짓다가 발견되었다.

망상해수욕장은 긴 모래사장과 얕은 수심으로 유명하다.

추암 촛대바위는 추암해수욕장에 위치하며, 석회암이 침식되어 형성된 기암괴석이다.

이 외에도 북평5일장, 동쪽바다중앙시장묵호중앙시장, 동해 러시아 대게마을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그밖의 관광지로는 묵호항, 청옥산(청옥굴), 망상해변, 약천마을, 삼화사, 로봉해수욕장, 어달해수욕장, 무릉계곡, 두타산, 초록봉, 천곡천연동굴, 북평민속시장, 묵호·어달 회센터등이 있다.

7. 2. 문화재

동해 어달산 봉수대는 동해시에 있는 봉수대이다.[35] 북평 해암정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로, 단층 8작지붕 초익공 양식이며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고려 공민왕 10년(1361) 삼척 심씨의 시조인 심동로가 벼슬을 버리고 향리에 내려가 생활할 때 건립한 것으로 후학 양성과 풍월로 여생을 보낸 곳이다. 그 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중종 25년에 어촌 심언광이 중건하고 정조 18년에 중수하였다.[35]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은 동해시에 위치한 삼화사에 있는 불상이다. 삼화사무릉계곡 입구에 있는 유서 깊은 절이다. 신라 선덕여왕 11년(642)에 자장율사가 절을 건립하고 흑연대라 하였고, 그 후 범일국사가 재건하여 삼공암이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약사전만 남았었는데 현종 1년(1660)에 중건되었다. 순조 23년(1823)과 고종 43년(1906), 두 차례 재난에 의해 소진됐던 것을 재건축했다. 경내에는 3층석탑(지정문화재 제713호)과 철불(보물 제1292호)이 있다.[36] 고현산성, 삼화사 삼층석탑, 감추사, 북평해암정, 용산서원, 문경사, 문간사, 도동사 등도 동해시의 문화재이다.

7. 3. 축제

동해시에서는 여러 축제가 열린다.

8. 교통

동해시외버스터미널에 주차하고 있는 시외버스와 터미널 건물의 모습.


=== 철도 ===

동해시삼척선영동선에서 분기되는 곳이며, 시멘트 수송을 위한 송성-삼화간 북평선 철도와 모든 구간이 전철화된 강릉-영주간 영동선 철도가 있다. 동해역, 묵호역, 망상역(간이), 망상해수욕장역(임시승강장)이 위치한다. 주로 여객보다는 자원 수송을 위한 열차가 더 활성화되어 있다. 삼척-포항간 철도가 건설 중이므로 완공 시에는 동해시 철도교통이 향상될 것이다.

관광용인 바다열차도 있으며 추암역 등을 경유한다.

철도
영동선 신기역 ↔ 동해역묵호역망상역 ↔ 정동진역
35px 삼척선 동해역추암역 ↔ 삼척해변역
35px 북평선 동해역삼화역
35px 묵호항선 동해역묵호항역묵호역



한국철도공사(KORAIL) 영동선 '''동해역''' - 묵호역 - 망상역 - 망상해수욕장역 삼척선 동해역 - 추암역 북평선(화물선) 동해역 - 삼화역 묵호항선(화물선) 동해역 - 묵호항역 - 묵호역

=== 고속도로 ===

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가 동해시를 지난다. 옥계 나들목, 망상 나들목, 동해 나들목이 동해시 관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삼척 나들목은 동해시와 매우 가까운 삼척시에 설치되어 있다.

=== 국도 ===



=== 버스 ===

동해시에는 시외버스와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시외버스는 동해고속버스터미널동해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동해고속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등을 오가는 노선을, 동해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동서울종합터미널 등을 오가는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시내버스는 동해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라.

=== 해상 교통 ===

해상교통은 묵호항동해항이 있어 원활하다. 동해항에서는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을 통해 일본 쓰루가항과의 사이에 고속정이 운항되고 있고, 또한 러시아와 일본을 잇는 정기 여객선도 운행중이다.[37] 묵호항에서는 묵호항여객선터미널을 통해 경상북도 울릉군 도동항으로 향하는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다. 묵호항은 강릉항, 후포항, 포항구항과 함께 울릉도와 독도로 향하는 주요 거점으로 꼽힌다.

2008년 여름, 러시아, 대한민국, 일본을 연결하는 크루즈 페리 노선이 개통되었다. DBS 페리는 현재 동해, 사카이미나토, 블라디보스토크를 운항하고 있다.[7][8] 동해항에서는 DBS 크루즈 페리가 부산항과 일본 마이즈루 항, 블라디보스토크로 매주 1회씩 여객선을 운항한다. 묵호항에서는 울릉도로 여객선이 운항한다.

8. 1. 철도

동해시는 삼척선영동선에서 분기되는 곳이며, 시멘트 수송을 위한 송성-삼화간 북평선 철도와 모든 구간이 전철화된 강릉-영주간 영동선 철도가 있다. 동해역, 묵호역, 망상역(간이), 망상해수욕장역(임시승강장)이 위치한다. 주로 여객보다는 자원 수송을 위한 열차가 더 활성화되어 있다. 삼척-포항간 철도가 건설 중이므로 완공 시에는 동해시 철도교통이 향상될 것이다.

관광용인 바다열차도 있으며 추암역 등을 경유한다.

철도
영동선 신기역 ↔ 동해역묵호역망상역 ↔ 정동진역
35px 삼척선 동해역추암역 ↔ 삼척해변역
35px 북평선 동해역삼화역
35px 묵호항선 동해역묵호항역묵호역



한국철도공사(KORAIL) 영동선 '''동해역''' - 묵호역 - 망상역 - 망상해수욕장역 삼척선 동해역 - 추암역 북평선(화물선) 동해역 - 삼화역 묵호항선(화물선) 동해역 - 묵호항역 - 묵호역

8. 2. 고속도로

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가 동해시를 지난다. 옥계 나들목, 망상 나들목, 동해 나들목이 동해시 관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삼척 나들목은 동해시와 매우 가까운 삼척시에 설치되어 있다.

8. 3. 국도


8. 4. 버스

동해시에는 시외버스와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시외버스는 동해고속버스터미널동해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동해고속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등을 오가는 노선을, 동해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동서울종합터미널 등을 오가는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시내버스는 동해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라.

8. 5. 해상 교통

해상교통은 묵호항동해항이 있어 원활하다. 동해항에서는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을 통해 일본 쓰루가항과의 사이에 고속정이 운항되고 있고, 또한 러시아와 일본을 잇는 정기 여객선도 운행중이다.[37] 묵호항에서는 묵호항여객선터미널을 통해 경상북도 울릉군 도동항으로 향하는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다. 묵호항은 강릉항, 후포항, 포항구항과 함께 울릉도와 독도로 향하는 주요 거점으로 꼽힌다.

2008년 여름, 러시아, 대한민국, 일본을 연결하는 크루즈 페리 노선이 개통되었다. DBS 페리는 현재 동해, 사카이미나토, 블라디보스토크를 운항하고 있다.[7][8] 동해항에서는 DBS 크루즈 페리가 부산항과 일본 마이즈루 항, 블라디보스토크로 매주 1회씩 여객선을 운항한다. 묵호항에서는 울릉도로 여객선이 운항한다.

9. 교육

강원도 동해시에는 유치원 22개, 초등학교 13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6개교가 있다. 과거에는 한중대학교와 동해대학교가 있었다.


동해대학교(東海大学校)

9. 1. 교육 기관

강원도 동해시에는 유치원 22개, 초등학교 13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6개교가 있다. 과거에는 한중대학교와 동해대학교가 있었다.

9. 2. 고등학교 목록


동해대학교(東海大学校)

10. 출신 인물

동해시 출신 인물은 분류:동해시 출신에서 확인할 수 있다.

11. 자매 도시

국가도시
25px
서울특별시
25px
도봉구
25px
전라북도
25px
김제시
25px
후쿠이현
25px
쓰루가시
나홋카
투먼시



동해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9][10]


  • 쓰루가시(후쿠이현, 일본 - 1981년 4월 13일)
  • 나홋카(프리모르스키 지방, 러시아 - 1991년 12월 10일)
  • 투먼시(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중국 - 1996년 10월 2일)
  • 김제시(전라북도, 대한민국 – 1999년 4월 27일)
  • 도봉구(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1999년 10월 7일)
  • 페더럴웨이(워싱턴주, 미국 - 2000년 4월 1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Donghae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7
[6] 뉴스 강원도 '동해자유무역지역' 개발 본격화 Yeonhap news 2008-01-23
[7] 뉴스 Fundamental opening of Donghae port as passing port of cruise ferry. http://www.dailian.c[...] Dalian News 2008-01-18
[8] 웹사이트 DBS Cruise Ferry Main Page http://www.dbsferry.[...] DBS Cruise Ferry 2014-01-17
[9] 웹사이트 City of Federal Way – Sister City Association http://www.cityoffed[...]
[10] 웹사이트 http://www.dh.go.kr/[...]
[11] 웹사이트 http://donghaecc.co.[...] Donghae Culture Center 2017-01-14
[1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3]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동해(10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동해(10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5] 웹사이트 https://japanese.joi[...]
[1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7] 백과사전 동해의 상징물
[18] 백과사전 동해의 시황
[19] 웹사이트 상징물 http://www.dh.go.kr/[...]
[20] 백과사전 동해의 연혁
[21] 법률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1980-04-01
[22] 백과사전 동해의 자연
[23] 백과사전 기후
[24]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동해(10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5]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동해(10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6] 웹사이트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22-05-17
[27] 백과사전 농림업
[28] 백과사전 수산업
[29] 백과사전 광공업
[30] 백과사전 특산품
[31] 웹사이트 ANGVA2009동해엑스포 성공개최...저탄소 녹색성장의 새로운 도약 http://www.dh.go.kr/[...] 동해시청 2009-11-08
[32] 백과사전 동해의 관광
[33] 백과사전 묵호항
[34] 서적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2009
[35] 백과사전 해암정
[36] 백과사전 삼화사 https://ko.wikipedia[...]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7] 백과사전 동해의 교통 https://ko.wikipedia[...]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