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이다.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하여 현재의 대전문화방송으로 출범했다. 현재 TV, 라디오 방송과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며, 대전·세종·충남 지역을 권역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방송
    대전방송은 1995년 개국한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민영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고 텔레비전 방송과 FM 라디오를 운영하며, TJB문화재단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방송사들과 국제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대전방송
    대전방송은 1995년 개국한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민영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고 텔레비전 방송과 FM 라디오를 운영하며, TJB문화재단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방송사들과 국제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방송
    대전방송은 1995년 개국한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민영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고 텔레비전 방송과 FM 라디오를 운영하며, TJB문화재단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방송사들과 국제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대전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회사명대전문화방송주식회사
영문 회사명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대전MBC
종류준공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63년 4월 12일
개국일라디오: 1964년 9월 26일
TV: 1971년 4월 24일
FM4U: 1983년 9월 26일
표준FM: 1996년 3월 15일
이전 명칭한국문화방송(주) 대전국 (1963년 ~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주) (1971년 4월 24일 ~ 1971년 9월 14일)
시장 정보비상장
본사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61 (도룡동)
우편번호34125
웹사이트대전문화방송
경영진
대표이사 사장고대석
재무 정보
자본금1,000,000,000원 (2015년 12월)
매출액27,095,911,141원 (2015년)
영업 이익2,363,538,858원 (2015년)
순이익2,571,640,795원 (2015년)
자산 총액61,726,260,929원 (2015년 12월)
주주 정보
주요 주주문화방송: 51%
계룡건설주식회사: 30%
오성철강주식회사: 9%
기타 정보
모기업문화방송
관계 회사닭룡건설
이미지
2003년 6월 11일에 준공한 대전문화방송 現 도룡동 사옥

2. 소재지

대전문화방송한국어 본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61에, 천안지사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정공원1길 9-4에, 홍성방송본부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충남대로 50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3. 연혁

3. 1. 1960년대

1963년 4월 12일 라디오 무선국 허가를 받았다.(호출부호 HLCQ, 출력 1kW, 주파수 580kHz)[1]

1964년 9월 4일 시험 전파를 발사했다.

1964년 9월 26일 한국문화방송(주) 대전국(Radio)이 대전 중구 대흥동 사옥(대전 중구 대흥동 495)에서 개국하여 첫 전파를 발사하기 시작했다. (호출부호 HLCQ, 주파수 580kHz, 출력 1kW)

1965년 4월 10일 AM 주파수를 580kHz에서 1110kHz로 변경하였다.

1968년 6월 1일 AM 라디오 출력을 1kW에서 10kW로 증강하였다.

1969년 8월 5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가 무선국 허가를 취득하였다.(호출부호 HLAZ, 음향출력 500W, 영상출력 2kW)

3. 2. 1970년대

1971년 2월 18일 대전 텔레비전 방송국(DTV) 설립등기를 하였다.[1] 1971년 4월 24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가 개국하면서(TV) 호출부호 HLAZ, 채널8,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500W로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 1971년 5월 1일 AM라디오 주파수를 1110kHz에서 760kHz로 변경하였다., 1971년 9월 15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DTV)에서 대전문화방송주식회사(MBC)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71년 10월 1일 R/TV를 통합하였다.

1972년 2월 18일 동아그룹에서 인수하였다. 1972년 12월 29일 대전 동구 정동 36-4에 사옥을 준공하였다. 1976년 3월 30일 대전시 선화동 381-171에 신축 사옥 기공식을 하였다. 1977년 8월 10일 본점 이전등기를 하였다. 1977년 10월 5일 신사옥 보존 등기를 하였다. 1977년 10월 7일 사옥(대전 중구 선화동 381)을 준공하였다. 1977년 10월 25일 이익 준비금 자본 전입 (1.25억)을 하였다.

1978년 11월 23일 AM 라디오 주파수를 760kHz에서 765kHz로 변경하였다., 1979년 9월 26일 라디오·텔레비전 개국 기념일과 통합 15주년을 맞이하여 창사 기념일로 제정하였다.

3. 3. 1980년대

날짜내용
1980년 7월 18일서울 지사 설치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 58-12)
1980년 11월 25일주식 양도 (동아그룹 소유 주식을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에서 35,000주 인수)
1980년 11월 28일서울 지사 폐지
1980년 12월 22일TV 컬러 방송 개시
1982년 4월 24일TV 출력 증강 (음향: 750W, 영상: 5kW)
1982년 9월 3일제9회 한국방송대상 특별 부문 작품상 - 서해만리 장고도의 등바루놀이 (라디오)
1983년 9월 26일FM 방송국 개국 (HLCQ-FM, 97.5MHz, 5kW)
1984년 9월 3일제11회 한국방송대상 특별상 - 해외 특집 4부작 일본 속의 백제문화 그 현장을 가다 (TV)
1986년 4월 19일옥마산 TV 중계소 개국 (UHF CH26, 500W)
1987년 1월 17일원효봉 TV 중계소 개국 (UHF CH40, 5kW)
1987년 1월 24일흑성산 TV 중계소 개국 (UHF CH45, 10kW)
1987년 11월 4일일본 TV 시즈오카와 자매 결연
1988년 10월 31일서천 TV 중계소 개국 (UHF CH 55, 100W)


3. 4. 1990년대


  • 1990년 7월 1일 흑성산, 원효봉 TV중계소를 무인 자동화하여 운용하였다.[1]
  • 1990년 9월 3일 제17회 한국방송대상 TV지역문화부문 우수작품상으로 충청 오늘과 내일 '백야 김좌진 장군'이 선정되었다.
  • 1992년 9월 26일 라디오송신소를 자동화하여 운용하였다.(자립식 철탑)
  • 1995년 9월 3일 한국방송대상 라디오 우수작품상 지역문화 부문에서 '할아버지와 손풍금'이 수상하였다.
  • 1995년 10월 12일 95 한국보도상 TV부문 기획편집상으로 '환경리포트 금강 어제와 오늘'이 선정되었다.
  • 1996년 3월 15일 표준FM 방송을 개국하였다.(92.5MHz, 3kW)
  • 1997년 6월 20일 중국 난징TV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 1999년 9월 3일 제26회 한국방송대상 특별상으로 '잃어버린 백제를 찾아서'가 선정되었다.

3. 5. 2000년대

3. 6. 2010년대

3. 7. 2020년대

2020년 5월 26일 보령 옥마산 표준FM 방송 보조국을 개국했다.(93.7MHz, 100W, 보령시 일원)[1]

2022년 11월 8일 AM 라디오(765kHz, 10kW)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 FM방송으로 전환했다.

2023년 5월 8일 AM 라디오(765kHz, 10kW) 송출을 종료했다.

4. TV 방송

1971년 4월 24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AZ, 채널8,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500W로 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대전·충청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9월 15일 텔레비전방송사인 대전텔레비전방송(주)와 회사를 합병하면서 대전문화방송(주)로 출범하여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고품질의 디지털TV방송을 서비스하게 되었다.

4. 1. 프로그램

대전문화방송은 현재 자체적으로 제작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4. 1. 1. 보도

주말: 무작위


4. 1. 2. 예능·교양

4. 2. 방송 송출 시설망

대전문화방송의 방송 송출 시설은 식장산 송신소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일원에 걸쳐 구축되어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 호출 부호는 HLCQ-DTV이며, 가상채널은 11-1이다.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2012년 10월 1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1]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
식장산 송신소CH 82㎾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 603-1
부여 중계소CH 27100W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271-1 장암산
옥마산 중계소CH 26500W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서천 중계소CH 55100W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CH 4510㎾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원효봉 중계소CH 405㎾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4. 2. 1. UHD 방송



송신소물리채널출력송신소 위치
식장산 송신소CH 555kW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 603-1
향적산 중계소CH 4790W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산50-1
내판 소출력CH 170.05W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
공주 중계소CH 5120W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청양 중계소CH 4620W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부여 중계소CH 3120W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271-1 장암산
옥마산 중계소CH 2990W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서천 중계소CH ??20W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CH 461kW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원효봉 중계소CH 331kW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4. 2. 2. HD 방송



송신소물리채널출력송신소 위치
식장산 송신소CH 172.5kW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 603-1
향적산 중계소CH 4790W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산50-1
내판 소출력CH 170.05W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
공주시 중계소CH 5120W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청양군 중계소CH 4620W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부여군 중계소CH 3120W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271-1 장암산
옥마산 중계소CH 2990W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서천군 중계소CH ??20W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CH 461kW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원효봉 중계소CH 331kW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5. 라디오 방송

1963년 4월 12일 라디오 무선국 설립 허가를 받고, 1964년 9월 26일 한국문화방송(주) 대전국으로서 라디오 방송을 개국했다. 1971년 9월 15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와 합병하여 대전문화방송(주)로 출범했다. 1983년 9월 26일 음악 FM방송, 1996년 3월 15일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했다. 2004년 4월 9일 AM라디오 표준FM 원효봉 중계소, 2011년 6월 1일 AM라디오 표준FM 충남 천안 표준FM방송보조국, 2020년 5월 26일 AM라디오 표준FM 충남 보령 표준FM 방송보조국을 개국했다.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며, 대전, 세종, 충남 일원, 충북 일부, 전북 북부를 가청권역으로 방송한다.

5. 1. 프로그램

대전문화방송은 1963년 4월 12일 라디오 무선국 설립 허가를 받고, 1964년 9월 26일 한국문화방송(주) 대전국으로서 라디오 방송을 개국했다. 1971년 9월 15일 대전지역 민영TV방송사인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와 합병하여 대전문화방송(주)로 출범했다. 1983년 9월 26일 음악 FM방송을, 1996년 3월 15일에는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했다. 2004년 4월 9일 AM라디오 표준FM이 원효봉 중계소에서, 2011년 6월 1일 충남 천안에서 표준FM방송보조국이, 2020년 5월 26일 충남 보령에서 표준FM 방송보조국이 개국했다.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대전, 세종, 충남 일원, 충북 일부, 전북 북부를 가청권역으로 한다.

5. 1. 1. 대전MBC 표준FM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알토란 생활법률평일5분법무법인 저스티스 변호사 4인
3830상담실50분유지은
정오종합뉴스5분유지은
즐거운 오후 2시115분김주홍, 이수진
15시 뉴스5분한주희
17시 뉴스남유식
대전MBC 프로야구남유식, 임세혁, 여정권


5. 1. 2. 대전MBC FM4U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FM모닝쇼평일07:00~08:57이은하
정오의 희망곡평일12:00~13:57이윤주


5. 2. 방송 송출 시설망

대전문화방송은 식장산에 송신소를, 원효봉, 천안시, 옥마산에 중계소를 두고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전지역에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대전MBC 라디오 송출 시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식장산FM 92.5MHz3kWHLCQ-SFM
원효봉FM 91.3MHz500W없음
천안시FM 92.5MHz10W없음
옥마산FM 93.7MHz100W없음



대전MBC FM4U 송출 시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식장산FM 97.5MHz5kWHLCQ-FM
원효봉FM 90.1MHz500W없음


5. 2. 1. 대전MBC 표준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식장산 송신소FM 92.5MHz3kWHLCQ-SFM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 산603-1대전, 세종, 충남, 충북 전지역
원효봉 중계소FM 91.3MHz500W없음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대전, 세종, 충남, 충북 전지역
천안시 중계소FM 92.5MHz10W없음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정2동 1486대전, 세종, 충남, 충북 전지역
옥마산 중계소FM 93.7MHz50W없음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대전, 세종, 충남, 충북 전지역[1]


5. 2. 2. 대전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식장산 송신소FM 97.5 MHz5kWHLCQ-FM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 산603-1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원효봉 중계소FM 90.1 MHz500W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6. 지상파 DMB 방송

대전문화방송이 주 사업자로, MBC충북과 함께 투자하여 충청권 전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 운영 중이다.[1]

; MY MBC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식장산K-11Ach ()2kW
계룡산2kW
우암산2kW
금척산90W
영동90W
옥마산90W
원효봉1kW
가야산2kW
용두산90W
단양90W


7. 아나운서

대전문화방송의 현직 아나운서로는 임세혁, 유지은, 남유식, 한주희가 있다.

7. 1. 현직 아나운서

8. 보도국

보도국장은 김지훈이다.[1]

8. 1. 취재부

직책이름
데스크조형찬
정치행정팀 차장이승섭
정치행정팀 기자김광연
편집과학문화팀 부장고병권
편집과학문화팀 기자박선진
사회팀 기자김태욱
사회팀 기자김성국
사회팀 기자윤소영
세종천안지사 부장문은선
세종천안지사 부장김윤미
내포지사 국장최기웅


8. 2. 영상부

이름직책
김정훈영상기술부장
여상훈카메라 기자
신규호카메라 기자
장우창카메라 기자
김준영카메라 기자
양철규카메라 기자
황인석카메라 기자


9. 리포터·MC·DJ

10. 해외 제휴 방송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