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문화방송은 1968년 5월 남양방송으로 설립되어, 제주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사이다. 라디오 방송은 1968년 9월에 시작되었고, 텔레비전 방송은 1970년 8월에 시작되었다. 1984년 제주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05년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했다. 현재 AM과 FM 라디오, 지상파DMB 방송을 제공하며, TV 채널은 디지털 방식으로 송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제주도 지상파 방송국 - 제주방송
    제주방송은 2002년 TV 방송을 개국한 제주특별자치도 가청권역의 방송사로, JIBS라는 약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TV, 라디오, DMB 방송과 NOW JEJU TV 채널을 운영하며 지역 소식을 전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편성한다.
  • 대한민국의 제주도 지상파 방송국 - KBS제주방송총국
    KBS제주방송총국은 제주특별자치도를 가청권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총국으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으로 TV 방송을 개국하고 방송 시설을 확충하며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방송사로 자리매김하여 현재 다양한 라디오 및 TV 채널을 운영하며 여러 프로그램을 제작·송출하고 있다.
  • 제주시의 기업 - 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은 1971년에 설립되어 2005년 롯데그룹에서 분리되었으며, 제주 드림타워 호텔 및 카지노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2020년에 일반에 공개했다.
  • 제주시의 기업 - 제주항공
    제주항공은 애경그룹과 제주특별자치도의 합작으로 200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저비용항공사로, 국내선과 국제선 운항을 통해 성장하여 국내 LCC 최초로 상장되었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LCC 연합 가입 및 일본 노선 확장에 주력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국가고객만족도 조사에서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제주문화방송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회사명제주문화방송주식회사
영문 회사명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제주MBC
국적대한민국
우편번호63120
본사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35 (연동 321-22)
업종방송업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정준
결산기12월 31일
주요 주주문화방송 51%
남창기업 46.87%
외부 링크제주문화방송
방송 정보
구분공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68년 5월 20일
개국일1968년 9월 14일 (라디오)
1970년 8월 1일 (TV)
1983년 9월 14일 (음악FM)
이전 회사명남양방송 (1968년 ~ 1971년)
남양문화방송 (1971년 ~ 1983년)
시장 정보비상장
자본금600,000,000원 (2015년 12월)
매출액16,399,408,223원 (2015년)
영업 이익1,264,855,508원 (2015년)
순이익1,316,235,720원 (2015년)
자산 총액33,360,371,090원 (2015년 12월)
주주문화방송 53.05%
직원 수67명 (2015년 12월)
사장정용식 (대표이사 사장)
계열사문화방송
웹사이트제주문화방송
기타
제주문화방송 現 연동 사옥
1980년 4월 23일에 준공한 제주문화방송 現 연동 사옥으로 문화방송 지역 계열사 사옥 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옥이다.

2. 연혁

1968년 5월 20일 '''남양방송'''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8월 21일 시험 전파를 발사하고, 1968년 8월 31일 MBC와 네트워크 계약을 맺었다. 1968년 9월 14일 남양방송(약칭 '''NBS''') 라디오가 개국되었다.

1970년 7월 13일 텔레비전 시험 전파를 발사하고, 1970년 8월 1일 남양텔레비젼 채널 11번이 개국되었다. 1971년 10월 1일 사명을 '''남양방송'''에서 '''남양문화방송'''으로 변경하였다.

1974년 1월 1일 체신부 중계회선을 통한 TV 직접 중계를 실시하였다. 1978년 7월 4일 텔레비전 채널이 변경되었고(CH11 → CH7), 1978년 11월 23일 라디오 주파수도 변경되었다(770㎑ → 774㎑).

1980년 3월 31일 연동 신사옥(연동 321-22, 문연로 35)이 완공되었다. 대지면적 2,500평, 공개홀 500석, 건평 1,400평, 뉴스 스튜디오 25평 규모였다. 1980년 4월 4일 신사옥에서 텔레비전 첫 방송이, 1980년 4월 9일에는 라디오 첫 방송이 이루어졌다. 1980년 4월 23일 신사옥 준공식이 거행되었다.

1980년 12월 20일 컬러 시험방송을 거쳐 1980년 12월 22일부터 컬러 방송을 실시하였다. 1983년 9월 14일에는 견월악에 음악FM(90.1㎒, 1㎾)을 개국하였고, 1983년 12월 27일 TV중계소를 개소하였다.

1984년 1월 1일 사명을 '''남양문화방송'''(南洋文化放送)에서 '''제주문화방송'''(濟州文化放送)으로 변경하였다. 1985년 12월 27일 서귀포 음악FM중계소(102.9㎒, 3㎾)를 개소하고, 1985년 12월 28일에는 금악, 애월 TV중계소를 개소하였다.

1994년 10월 20일 라디오송신소를 도련동에서 해안동으로 확장 이전하였다. 1994년 12월 27일에는 서귀포 표준FM 중계소(97.1㎒, 1㎾)를 개국하였다. 2000년 12월 13일 견월악 표준FM(97.9㎒, 1㎾)을 개국하였고, 2002년 11월 14일에는 금악 표준FM 중계소(106.5㎒, 100W)를 개소하였다. 2003년 4월 8일 AM · FM 테이프 리스 시스템(APC) 가동을 시작했으며, 2004년 11월 25일에는 음악FM DARC(Data Radio Channel) 방송을 개시하였다.

2005년 5월 10일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했다. 2005년 12월 1일에는 TV 낮방송 시간을 연장했고, 2006년 7월 14일에는 HDTV 중계차를 도입했다. 2007년 4월 5일 지상파DMB 방송 허가를 취득했다. 2010년 12월 22일에는 금악 DTV 중계소를 개국했고, 2011년 6월 29일에는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했다.

2019년 8월 21일 금악 FM 간이 중계소(102.5㎒, 3㎾)를 개국하였다.[1] 2022년에는 제주MBC UHD 방송이 개국 예정이었으며, 이는 서울 본사의 UHD 방송이다. 2022년 9월 8일 AM 라디오(774kHz, 10kW)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 FM방송으로 전환하였다.[1] 2023년 3월 7일 AM 라디오 송출(774kHz, 10kW)을 종료하였다.[1]

2. 1. 태동기 (1968년 ~ 1979년)

1968년 5월 20일 '''남양방송'''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8월 21일 시험 전파를 발사하고, 1968년 8월 31일 MBC와 네트워크 계약을 맺었다. 1968년 9월 14일 남양방송(약칭 '''NBS''') 라디오가 개국되었다.

1970년 7월 13일 텔레비전 시험 전파를 발사하고, 1970년 8월 1일 남양텔레비젼 채널 11번이 개국되었다. 1971년 10월 1일 사명을 '''남양방송'''에서 '''남양문화방송'''으로 변경하였다.

1974년 1월 1일 체신부 중계회선을 통한 TV 직접 중계를 실시하였다. 1978년 7월 4일 텔레비전 채널이 변경되었고(CH11 → CH7), 1978년 11월 23일 라디오 주파수도 변경되었다(770㎑ → 774㎑).

2. 2. 기반구축기 (1980년 ~ 1993년)

1980년 3월 31일 연동 신사옥(연동 321-22, 문연로 35)이 완공되었다. 대지면적 2,500평, 공개홀 500석, 건평 1,400평, 뉴스 스튜디오 25평 규모였다. 1980년 4월 4일 신사옥에서 텔레비전 첫 방송이, 1980년 4월 9일에는 라디오 첫 방송이 이루어졌다. 1980년 4월 23일 신사옥 준공식이 거행되었다.

1980년 12월 20일 컬러 시험방송을 거쳐 1980년 12월 22일부터 컬러 방송을 실시하였다. 1983년 9월 14일에는 견월악에 음악FM(90.1㎒, 1㎾)을 개국하였고, 1983년 12월 27일 TV중계소를 개소하였다.

1984년 1월 1일 사명을 '''남양문화방송'''(南洋文化放送)에서 '''제주문화방송'''(濟州文化放送)으로 변경하였다. 1985년 12월 27일 서귀포 음악FM중계소(102.9㎒, 3㎾)를 개소하고, 1985년 12월 28일에는 금악, 애월 TV중계소를 개소하였다.

2. 3. 성장발전기 (1994년 ~ 2004년)

1994년 10월 20일 라디오송신소를 도련동에서 해안동으로 확장 이전하였다. 1994년 12월 27일에는 서귀포 표준FM 중계소(97.1㎒, 1㎾)를 개국하였다. 2000년 12월 13일 견월악 표준FM(97.9㎒, 1㎾)을 개국하였고, 2002년 11월 14일에는 금악 표준FM 중계소(106.5㎒, 100W)를 개소하였다. 2003년 4월 8일 AM · FM 테이프 리스 시스템(APC) 가동을 시작했으며, 2004년 11월 25일에는 음악FM DARC(Data Radio Channel) 방송을 개시하였다.

2. 4. 도약기 (2005년 ~ 2018년)

2005년 5월 10일, 제주문화방송은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했다. 2005년 12월 1일에는 TV 낮방송 시간을 연장했고, 2006년 7월 14일에는 HDTV 중계차를 도입했다. 2007년 4월 5일, 지상파DMB 방송 허가를 취득했다. 2010년 12월 22일에는 금악 DTV 중계소를 개국했고, 2011년 6월 29일에는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했다.

2. 5. UHD 시대 (2019년 ~ 현재)

2019년 8월 21일, 금악 FM 간이 중계소(102.5㎒, 3㎾)를 개국하였다.[1] 2022년에는 제주MBC UHD 방송이 개국 예정이었으며, 이는 서울 본사의 UHD 방송이다. 2022년 9월 8일, AM 라디오(774kHz, 10kW)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 FM방송으로 전환하였다.[1] 2023년 3월 7일, AM 라디오 송출(774kHz, 10kW)을 종료하였다.[1]

3. TV 방송

1967년 12월 TV방송 허가를 신청하여 1968년 2월 16일 체신부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허가 당시 채널 11번, 영상출력 2kW, 음성출력 400W 등으로 송신점은 남양방송 사옥이었다. 그 후 1969년 8월 4일 제주도 제주시 봉개동의 견월악으로 송신점을 설정하고 송신시설을 준공하여 1970년 7월 10일 시험전파 송출을 거쳐 8월 1일 제주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인 NBS-TV방송 채널 7번이 정식으로 개국하였다.

이후 1980년 12월 22일에는 컬러TV방송을 시작하였으며, 2005년 5월 1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는 등 점차 고품질의 TV방송을 서비스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1년 6월 29일 제주지역 지상파아날로그TV방송 종료 시범사업에 참여하여 제주 전지역의 지상파디지털방송 전환을 이루어내었다. 제주도 일원과 전남·경남 남해안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서 방송중이다.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구월악K-31ch1kW
금악K-43ch20W
광개악K-47ch90W
삼매봉K-17ch500W
송당K-31ch0.05W



'''2011년 6월 29일 오후 2시 종료'''


  • 호출 부호: HLAJ-TV

송신소채널공중선 전력
구월악K-7ch5kW
애월K-36ch10W
금악K-30ch100W
삼매봉K-11ch1kW


3. 1. TV 프로그램

3. 1. 1. 보도

wikitext

MBC 뉴스투데이 제주 (평일 07:20 ~ 07:50, 앵커: 윤상범), MBC 뉴스데스크 제주 (평일 20:25 ~ 20:45, 앵커: 정유진 / 주말 20:20 ~ 20:30, 앵커: 무작위)

3. 1. 2. 시사/교양/예능


  • TV매거진 타임라인
  • 우리동네 이슈多
  • 모두의 티비
  • 다큐M
  • 명쾌한週
  • 시청자TV 시선
  • 테마기행 - 길
  • 제주MBC 스포츠

3. 2. 방송 송출 시설망

wikitext

  • 호출부호 : HLAJ-DTV
  • 가상채널 : 11-1

송신소UHD 물리채널UHD 출력HD 물리채널HD 출력송신소 위치
견월악 송신소준비중CH 311kW제주시 명림로 584
삼매봉 중계소CH 17500W서귀포시 남성로115번길 53
금악 중계소CH 3220W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광해악 중계소CH 4790W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937


3. 2. 1. 디지털 TV


  • 호출부호: HLAJ-DTV
  • 가상채널: 11-1


송신소UHD 물리채널UHD 출력HD 물리채널HD 출력송신소 위치
견월악 송신소준비중CH 311㎾제주 제주시 명림로 584
삼매봉 중계소CH 17500W제주 서귀포시 남성로115번길 53
금악 중계소CH 3220W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광해악 중계소CH 4790W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937
송당 중계소CH 3150W제주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산2


3. 2. 2. 아날로그 TV (2011년 6월 29일 방송 종료)

2011년 6월 29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호출부호 : HLAJ-TV

송신소물리채널출력송신소 위치비고
견월악 송신소CH 75kW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삼매봉 중계소CH 111kW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2]
고내리 중계소CH 3610W제주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금악 중계소CH 30100W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4. 라디오 방송

1967년 12월 라디오방송 허가를 신청해 1968년 2월 16일 체신부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이어 제주시 도련동 531번지에 송신시설을 준공하여 1968년 9월 14일, 주파수 774㎑ 출력 10㎾로 제주지역 최초의 민영라디오방송인 NBS라디오가 개국하였다.

1983년 9월 14일에는 견월악 음악FM이 개국하였고, 1985년 12월 27일에 서귀포 음악FM 중계소가 개소하였고, 1994년 12월 27일에 서귀포 표준FM 중계소가 개국했고, 2000년 12월 13일 견월악 표준FM이 개국했고, 2002년 11월에 금악 표준FM 중계소가 개소하였고, 2019년 8월 21일에 금악 음악FM 간이중계소 개국을 하는등 방송채널과 방송망을 점차 늘려나가고 있다.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제주도 일원과 전라남도, 경상남도 남해안지역을 가청취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구 분채 널송 신 소주 파 수출 력호 출 부 호
제주MBC 라디오AM제주시774㎑10㎾HLAJ
제주MBC 라디오표준FM구좌읍(견월악)FM 97.9MHz1㎾HLAJ-SFM
제주MBC 라디오표준FM애월읍(금악)FM 106.5MHz100W없음
제주MBC 라디오표준FM서귀포시(삼매봉)FM 97.1MHz1㎾HLDD-FM
제주MBC FM4UFM구좌읍(견월악)FM 90.1MHz3㎾HLAJ-FM
제주MBC FM4UFM서귀포시(삼매봉)FM 102.9MHz3㎾없음
제주MBC FM4UFM애월읍(금악)FM 102.5MHz100W없음


4. 1. 라디오 프로그램

4. 1. 1. 제주MBC 라디오

wikitable

프로그램요일시간진행자
[https://jejumbc.com/programme/oMzJqvLDwqo3EkFzaMu/p/k6wYaXYP MBC 정오종합뉴스]월~금5분윤상범
[https://jejumbc.com/programme/oMzJqvLDwqo3EkFzaMu/p/Zg7QLPrPl2 MBC 15시 뉴스]장인정
MBC 17시 뉴스정유진
제주MBC 즐거운 오후 2시115분임서영, 지건보
라디오 제주시대55분정유진


4. 1. 2. 제주MBC FM4U

wikitable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제주MBC 정오의 희망곡평일120분장인정


4. 1. 3. 종영 프로그램

4. 2. 방송 송출 시설망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견월악 송신소FM 97.9㎒1㎾HLAJ-SFM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금악 중계소FM 106.5㎒100W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삼매봉 중계소FM 97.1㎒1㎾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견월악 송신소FM 90.1㎒1㎾HLAJ-FM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삼매봉 중계소FM 102.9㎒3㎾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금악 중계소FM 102.5㎒3㎾제주 제주시 한림면 금악리 산1-2


4. 2. 1. 제주MBC 라디오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견월악 송신소FM 97.9MHz1㎾HLAJ-SFM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금악 중계소FM 106.5MHz100W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삼매봉 중계소FM 97.1MHz1㎾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4. 2. 2. 제주MBC FM4U

wikitable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견월악 (제주시 봉개동)FM 90.1MHz3kWHLAJ-FM
삼매봉 (서귀포시 서홍동)FM 102.9MHz3kW없음
금악 (제주시 한림면 금악리)FM 102.5MHz100W없음


5. 지상파DMB방송

제주문화방송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DMB 방송사이다. 호출 부호는 HLAJ-TDMB이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방송 출력
구좌읍(犬月岳)K-13Ach (211.280MHz)1kW
애월읍(今岳)90W
성산읍(広蟹岳)90W
서귀포시(三梅峰)1kW


6. 구성원

6. 1. 아나운서


  • 문경희는 1989년 2월에 입사하여 현재 콘텐츠제작국장이다.
  • 윤상범은 2006년 5월에 입사하였다.
  • 지건보는 2001년 11월에 입사하여 현재 콘텐츠제작2부장이다.
  • 정유진은 2006년 10월에 입사하여 현재 차장이다.
  • 장인정은 2018년 11월에 입사하였다.

6. 2. 뉴스를 만드는 사람들

권혁태 보도국장 겸 편집부장이 보도국을 이끌고 있다. 취재기자로는 김찬년 취재부장, 송원일, 조인호, 홍수현, 박주연, 이소현, 김항섭, 이따끔, 김하은 기자가 있다. 카메라기자는 강흥주 부장, 박재정 부국장이 담당하고 있다. 편집기자로는 양경석, 강희철, 한재필, 이경민 기자가 있다.

6. 3. 기상캐스터


  • 정희원

6. 4. 리포터


  • 이현주
  • 장혜진
  • 방준혁
  • 부경보
  • 남현봉
  • 홍동수
  • 김성호
  • 백희진
  • 유호성
  • 김지환
  • 유산균

7. 역대 연중캠페인


  • 1984년 ~ 1985년 : '한라산나무 왕벚을 심읍시다'
  • 1992년 ~ 1997년 : '한라산을 사랑하자 전개'
  • 2008년 : '도전하는 당신은 제주의 희망입니다.'
  • 2009년 : '최고의 브랜드는 제주입니다.'
  • 2010년 ~ 2011년 :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제주'
  • 2012년 : '자연과 사람이 함께 웃는 제주'
  • 2013년 : '혼듸 손심엉 벵삭이 웃는 제주' (서로 손잡고 함께 웃는 제주)
  • 2014년 : '느영나영 모다들엉 제주를 지꺼지게' (너랑 나랑 함께 모여 제주를 즐겁게)
  • 2015년 : '고찌 돌으멍 수늘엉 사는 제주' (함께 달리며, 서로 도우며 사는 제주)
  • 2016년 : '한듸 갑주 코삿한 제주' (콧노래가 절로 나오는 기분좋은 제주)
  • 2017년 ~ 2018년 : '느영 나영 희망 제주' (너하고 나하고 희망 제주)
  • 2018년 : '소통 50년 공감 100년' (제주MBC 창사 50주년)
  • 2019년 : '한듸 멩글게 마씸 제주' (함께 만들어 가요 제주)
  • 2020년 : '배려와 존중, 함께걷는 제주'
  • 2021년 : '위기를 기회로, 힘내라 제주!'
  • 2022년 : '다시 뛰는 제주, 당신을 응원합니다.'
  • 2023년 : '행복과 즐거움의 시작, 제주MBC'
  • 2024년 : '새로운 도전 즐거운 변화'

8. 해외 제휴 방송국

중국 구이린 방송(구이린전시대, 구이린 텔레비전/桂林电视台중국어)과 일본 도호쿠 방송(도호쿠방송, 동북방송/東北放送일본어)과 제휴하고 있다.

9. 제주특별자치도의 다른 방송사


  • KBS 제주방송총국
  •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JIBS, SBS 계열)
  • 기독교 제주방송
  • FEBC 제주극동방송
  • 아리랑 라디오

참조

[1] 웹인용 제주문화방송(주) https://jejumbc.com/[...] 2023-03-08
[2] 웹인용 제주문화방송 30년사 TV방송기술 http://www.jejumbc.c[...] 2012-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