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 티라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F 티라나는 1920년 창단된 알바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알바니아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 중 하나이다. 수페르리가에서 26번 우승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알바니아 컵과 알바니아 슈퍼컵에서도 각각 16회, 12회 우승을 차지했다. 1965년에 처음으로 유럽 대항전에 참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컵위너스컵, UEFA 유로파 리그 등 다양한 대회에서 활약했다. 홈 구장은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이며, 티라나 파나틱스라는 열성적인 서포터 그룹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구단 - KF 스컨데르베우 코르처
KF 스컨데르베우 코르처는 1909년에 창단된 알바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1933년 리그 우승을 시작으로 2010-11 시즌부터 2015-16 시즌까지 수페르리가 5연패를 달성했으며, UEFA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과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진출을 달성한 팀이다. -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구단 - FK 파르티자니 티라나
FK 파르티자니 티라나는 1946년 창단되어 알바니아 수페르리가 17회 우승을 포함, 알바니아 축구의 대표적인 명문 클럽이며, 1970년 발칸 컵 우승으로 알바니아 클럽 최초 국제 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 알바니아 축구에 관한 -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는 알바니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930년대 "알바니아 전국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2003년부터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 KF 티라나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KF 스켄데르베우 코르처는 알바니아 팀 최초로 유럽 클럽 대항전 본선에 진출했다. - 알바니아 축구에 관한 - KS 베사 카바여
KS 베사 카바여는 1925년 창단되어 알바니아 컵에서 두 번 우승하고, 알바니아 수페르리가에서 준우승, 파르에 카테고리아에서 우승을 기록했으며, 유럽 대회에도 참가한 알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1920년 설립된 축구단 - 엠폴리 FC
엠폴리 FC는 1920년 창단되어 세리에 A와 B를 오가며 2006-07 시즌 UEFA컵에 진출하기도 한, 이탈리아 투스카니 주 엠폴리 연고의 유소년 육성으로 유명한 축구 클럽이다. - 1920년 설립된 축구단 - 칼초 포자 1920
칼초 포자 1920은 1920년에 창단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며,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2019-20 시즌 세리에 D에서 우승하며 세리에 C로 복귀했다.
KF 티라나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클루비 이 푸트볼리틱 티라나 |
별칭 | 바르더블루 (하얀색과 파란색) 놀트마드흐니아 (폐하) 티로나 파나틱스 티로나 울트라스 어번 크루 다노차트 팬 클럽 티로나 |
창단일 | 1920년 8월 15일 (쇼케리아 아기미로 창단) |
경기장 |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12,000명 |
구단주 | 레피크 할릴리 (할릴리 SH.P.K.) (66%) 티라나 시 (34%) |
회장 | 레피크 할릴리 |
감독 | 구갸시 마가니 |
리그 | 알바니아 수페르리가 |
현재 시즌 | 2023–24 시즌 |
현재 순위 | 5위 |
웹사이트 | KF 티라나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 |
색상 | 하양, 파랑 |
활성 KF 티라나 분과 |
2. 역사
KF 티라나는 1920년 아지미 스포츠 협회로 창설되어, 1927년 SK 티라나로 이름을 바꾸었다.[7] 1930년 알바니아 국내 리그가 시작되자마자 3연패를 달성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총 6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초창기 알바니아 축구를 지배했다.[9][10]
1940년대 공산 정권이 들어서면서, 내무성 산하의 디나모 티라나와 국방성 산하의 파르티자니 티라나에 밀려 어려움을 겪었다. 구단 명칭도 티라나 시 해방 기념일인 11월 17일을 의미하는 '17 넌토리 티라나'로 바뀌었다.[14][15]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와 1980년대에 각각 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명성을 이어갔다.
1991년 동유럽 민주화의 영향으로 구단은 다시 SK 티라나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2. 1. 클럽 명칭의 변천
- 1920-1927: '''아지미 SA''' (Agimi Sports Association)
- 1927-1947: '''SK 티라나''' (Sportklub Tirana)
- 1947-1952: '''17 넌토리 티라나''' (17 Nëntori Tirana)
- 1952-1956: '''퓨나 티라나''' (Puna Tirana)
- 1956-1991: '''17 넌토리 티라나''' (17 Nëntori Tirana)
- 1991-현재: '''KF 티라나''' (Futbollklub Tirana)
2. 2. 창단 초기 (1920-1937)

KF 티라나는 1920년 8월 15일에 공식적으로 창단되었으며, 초대 감독은 팔록 니카였다. 구단의 첫 이름은 '스포르트클루브 티로나'였으나, 나중에 '푸트볼 클루브 티로나'로 변경되었다. 1927년 8월 16일, 아기미 스포츠 협회 창립 7주년을 맞아 구단 이름은 '스포르트클루브 티라나'(SK 티라나)로 변경되었다.[7]
1930년, 티라나는 알바니아 축구 협회가 주최한 알바니아 최초의 공식 축구 대회에 참가하여 5승 4무 1패를 기록, 스켄데르베우 코르체와 공동 1위를 차지했다.[9]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스켄데르베우 코르체는 티라나에 대한 편파 판정에 항의하며 경기를 거부, 티라나가 2-0 몰수승으로 초대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9]
1931 시즌과 1932 시즌에도 티라나는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3년 연속 리그 우승이라는 업적을 달성했다. 특히 1932 시즌에는 5승 3무로 무패 우승을 기록했다. 이후 1936년과 1937년 챔피언십에서도 우승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총 6번의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이 시기 티라나의 주요 선수로는 득점왕을 차지한 리자 루슈타가 있었다.[10]
2. 3. 전쟁 시기 (1939-1947)
제공된 원본 소스는 KF 티라나의 전쟁 시기(1939-1947)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활동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원본 소스는 1958-1964년 및 그 이후 KF 티라나의 리그 성적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2. 4. 전후 시대 (1944-1957)
1947년, 구단은 17 넌토리 티라나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52년에는 퓨나 티라나로 다시 한번 변경되었다. 그러나 1956년에 다시 17 넌토리 티라나로 돌아왔다. 공산 정권 하에서 KF 티라나는 내무성 계열의 디나모 티라나와 적군 계열의 파르티자니 티라나에 밀려 리그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었다.[14][15]그럼에도 불구하고, 1958년부터 1964년까지 티라나는 리그에서 꾸준히 3위권을 유지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는 미슬림 알라 코치의 지도 아래 전쟁 전의 영광을 재현하는 서곡이었다. 1960년대에 티라나는 리그에서 4번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한번 강팀으로 부상했다.
1967년 6월 24일, 티라나와 파르티자니 간의 1966-67 알바니아 1부 리그 19라운드 경기에서 선수들 간의 충돌로 경기가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AFA는 티라나와 파르티자니에게 몰수패를 선언하고, 승점 3점 삭감과 남은 경기 기권패라는 징계를 내렸다.[14][15] 이로 인해 디나모는 자동으로 티라나를 제치고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2. 5. 쇠퇴와 부활 (1958-1990)
1958년부터 1964년까지 티라나는 리그에서 꾸준히 3위권을 유지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는 미슬림 알라 코치의 지도 아래 전쟁 이전의 영광을 재현하는 서곡이었다. 티라나는 1964-65 시즌, 마지막 우승 이후 20년 만에 알바니아 챔피언에 등극했다.이후 티라나는 파르티자니 장군들과 디나모 비밀 정보부 보스들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1968년과 1969-70 시즌에 연속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16]
1970년대 티라나는 최상위권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국내 컵에서 두 번 우승하며 자존심을 지켰다. 주축 선수들의 은퇴로 잠시 주춤했지만, 티라나는 1980년대에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이했다. 1981-82 시즌 우승을 시작으로 1984-85, 1987-88, 1988-89 시즌 리그 우승, 1982-83, 1983-84, 1985-86 시즌 컵 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아구스틴 콜라, 아르벤 민가, 슈켈킴 무차, 미렐 조사 등은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7][18][19] 또한,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도 1980년대에 4번이나 16강에 진출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 5. 1. 1967년 부당하게 박탈당한 우승
1966-67 시즌 알바니아 1부 리그 19라운드 티라나와 파르티자니의 더비 경기 도중 선수들 간 싸움이 벌어져 경기가 중단되었다.[14][15] 알바니아 축구 협회는 티라나와 파르티자니에 0:3 몰수패, 승점 3점 삭감, 남은 경기 기권패를 결정했다.[14][15] 이 결정으로 디나모가 우승을 차지했다.2. 5. 2. 저항
1967년 6월 24일, 티라나와 파르티자니의 경기 도중 선수들 간의 싸움이 벌어져 경기가 중단되었다.[14][15] AFA는 티라나와 파르티자니에게 몰수패를 선언하고, 승점 3점 삭감과 남은 경기 몰수패 처분을 내렸다.[14][15] 이로 인해 디나모가 자동 우승하게 되었다.이러한 부당한 탄압 속에서도 티라나는 1968년과 1969-70 시즌에 연속으로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저력을 보여주었다.[16] 70년대에는 다소 부진했지만, 국내 컵에서 두 번 우승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80년대에 들어 티라나는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이했다. 1981–82 시즌 우승을 시작으로 1980년대에만 3번의 리그 우승(1984-85, 1987-88, 1988-89)과 3번의 컵 대회 우승(1982-83, 1983-84, 1985-86)을 차지했다. 아구스틴 콜라, 아르벤 민가, 슈켈킴 무차, 미렐 조사 등은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팀의 성공을 이끌었다.[17][18][19]
2. 6. 성공으로의 복귀 (1991-2006)
1991년 알바니아의 민주화 이후, KF 티라나는 이전의 명칭인 SK 티라나로 돌아갈 수 있었다. 이후 티라나는 1968년에 단 두 경기, 1969-70 시즌에는 단 한 경기만을 패하며 2년 연속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6]70년대에는 최상위권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알바니아 컵에서 두 번 우승하며 성공적인 시대를 이어갔다. 고참 선수들의 은퇴로 잠시 부진한 시기를 겪었으나, 1981-82 시즌 챔피언십 우승을 시작으로 1980년대에 1984-85, 1987-88, 1988-89 시즌에 세 번 더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1982-83, 1983-84, 1985-86 시즌에 알바니아 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17] 아구스틴 콜라, 아르벤 민가, 슈켈킴 무차, 미렐 조사와 같은 선수들은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18][19]
2019-20 시즌, KF 티라나는 구단 창립 100주년에 25번째 챔피언십 우승을 달성하며 11년 만에 타이틀을 획득했다.[47][48] 특히 파르티자니를 상대로 두 번의 승리를 거두며 18경기 무승 기록을 마감했고, 2020년 2월에는 5-1로 대승을 거두며 2005년 이후 최대 점수 차 승리를 기록했다.[49][50] 은두비시 에그보 감독은 유럽 리그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아프리카인 감독이 되었다.[51][52]
2020년 여름, 티라나는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스켄데르베우에 이어 두 번째로 이 업적을 달성한 알바니아 클럽이 되었다.[54] 비록 스위스의 BSC 영 보이즈에 의해 탈락했지만,[55] 국내 리그에서는 2021-22 시즌에 26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한번 리그를 지배했다.[57] 타울란트 세페리와 레돈 지자의 공격 듀오,[58] 엔누르 토트레,[59] 베셀 리마이,[60] 비사르 베카이,[61] 아르디트 톨리[57] 등의 활약으로 3경기를 남겨두고 타이틀을 확정지었다.
2021-2022 시즌 챔피언 수페르요르 리그 스쿼드는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선수 | 국적 |
---|---|---|
GK | 베카이 | KVX |
RB | 이스마일게치 | ALB |
RCB | 나이도브스키 | MKD |
LCB | 베이라체 | CIV |
LB | 호찰라리 | ALB |
DM | 톨리 | ALB |
RW | 호티 | KVX |
RCM | 리마이 | GER |
LCM | 토트레 | MKD |
LW | 지자 | ALB |
CF | 세페리 | ALB |
2. 7. 100주년과 함께 다시 강팀으로 (2019-현재)
KF 티라나는 강등 이후 빠르게 팀을 재건하여 클럽 창단 100주년이 되는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알바니아 축구의 강팀으로 복귀하였다.3. 역대 성적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리그 (26회), 알바니아 컵 (16회), 알바니아 슈퍼컵 (12회)에서 우승하여 알바니아 축구 클럽 중 가장 많은 우승컵을 보유한 팀이다.[74][75] 1965-66 시즌 유러피언 컵에 처음 참가한 이후 여러 유럽 대회에 참가했다.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컵위너스컵, UEFA컵 등에 참가했지만, UEFA 컵위너스컵 1986-87 시즌 2라운드 진출이 최고 성적이다.
시즌 | 디비전 | 알바니아 컵 | 알바니아 슈퍼컵 | ||||||||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93-94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26 | 13 | 7 | 6 | 36 | 16 | 33 | 우승 | 우승 |
1994-95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0 | 19 | 6 | 5 | 57 | 27 | 44 | 준우승 | |
1995-96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4 | 19 | 10 | 5 | 52 | 22 | 55 | 우승 | |
1996-97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22 | 14 | 4 | 4 | 40 | 9 | 46 | 2라운드 탈락 | |
1997-98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34 | 19 | 8 | 7 | 54 | 18 | 65 | 8강 탈락 | |
1998-99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0 | 18 | 7 | 5 | 48 | 20 | 61 | 우승 | |
1999-00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27 | 16 | 5 | 6 | 41 | 15 | 53 | 8강 탈락 | 우승 |
2000-01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26 | 16 | 6 | 4 | 56 | 13 | 54 | 우승 | 준우승 |
2001-02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26 | 19 | 5 | 2 | 52 | 15 | 62 | 우승 | 우승 |
2002-03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26 | 19 | 3 | 4 | 57 | 17 | 60 | 준결승 탈락 | 우승 |
2003-04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4 | 8 | 4 | 90 | 36 | 80 | 준결승 탈락 | 준우승 |
2004-05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6 | 6 | 4 | 82 | 32 | 84 | 준우승 | 우승 |
2005-06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36 | 17 | 11 | 8 | 54 | 33 | 62 | 우승 | 우승 |
2006-07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3 | 22 | 6 | 5 | 64 | 33 | 72 | 8강 탈락 | 우승 |
2007-08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6위 | 33 | 14 | 7 | 12 | 46 | 36 | 49 | 준우승 | |
2008-09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3 | 19 | 11 | 3 | 58 | 27 | 68 | 준우승 | 우승 |
2009-10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3위 | 33 | 15 | 7 | 11 | 38 | 32 | 52 | 8강 탈락 | |
2010-11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33 | 11 | 11 | 11 | 42 | 31 | 44 | 우승 | 우승 |
2011-12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3위 | 26 | 16 | 5 | 5 | 33 | 21 | 53 | 우승 | 우승 |
2012-13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26 | 12 | 7 | 7 | 30 | 23 | 43 | 2라운드 탈락 | |
2013-14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6위 | 33 | 14 | 8 | 11 | 36 | 31 | 50 | 2라운드 탈락 | |
2014-15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4위 | 36 | 21 | 8 | 7 | 47 | 27 | 71 | 준결승 탈락 | |
2015-16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36 | 13 | 14 | 9 | 37 | 25 | 53 | 8강 탈락 | |
2016-17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9위 | 36 | 8 | 15 | 13 | 29 | 32 | 39 | 우승 | |
2017-18 | 카테고리아 에 파라 | 1위 | 26 | 21 | 4 | 1 | 66 | 13 | 64 | 8강 탈락 | 우승 |
2018-19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7위 | 36 | 12 | 11 | 13 | 44 | 35 | 47 | 준우승 | |
2019-20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1 | 7 | 8 | 67 | 35 | 70 | 준우승 | |
2020-21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36 | 15 | 13 | 8 | 41 | 26 | 58 | 2라운드 탈락 | 준우승 |
2021-22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2 | 7 | 7 | 64 | 27 | 73 | 2라운드 탈락 | |
2022-23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 | 36 | ||||||||
3. 1. 국내 대회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수페르리가에서 26회 우승하여 알바니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첫 우승은 알바니아에서 최초로 열린 공식 축구 대회인 1930년 대회였다. 이후 1931년, 1932년에도 연속 우승하며 3연패를 달성했고,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리그가 중단되기 전까지 총 6번의 우승을 차지했다.1939년과 1942년에도 우승했지만, AFA는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엔베르 호자가 이끄는 공산 정권 시기에는 클럽 이름이 티라나 해방 기념일인 11월 17일을 의미하는 '17 넨토리'로 변경되기도 했다. 이 시기 티라나는 내무부 산하 디나모 티라나와 국방부 산하 파르티자니 티라나에 밀려 어려움을 겪었지만, 1960년대와 1980년대에 각각 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명성을 회복했다.
1966-67 시즌에는 파르티자니와의 경기 도중 선수들 간의 싸움으로 경기가 중단되었고, AFA는 두 팀 모두 몰수패 처리와 승점 3점 삭감, 남은 경기 몰수패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이로 인해 디나모가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는데, 이 사건은 UEFA에 의해 인정받지 못했다.
1991년 동유럽 민주화의 영향으로 클럽 이름을 다시 SK 티라나로 변경했다. 2019-20 시즌에는 구단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25번째 챔피언십 우승을 달성했고, 2021-22 시즌에는 26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알바니아 컵에서는 16회, 알바니아 슈퍼컵에서는 12회 우승하여 이 역시 알바니아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유형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국내 | 수페르리가 | 26* | 1930, 1931, 1932, 1934, 1936, 1937, 1964–65, 1965–66, 1968, 1969–70, 1981–82, 1984–85, 1987–88, 1988–89, 1994–95, 1995–96, 1996–97, 1998–99, 1999–00, 2002–03, 2003–04, 2004–05, 2006–07, 2008–09, 2019–20, 2021–22 |
쿠파 e 쉬치페리스 | 16 | 1938–39, 1962–63, 1975–76, 1976–77, 1982–83, 1983–84, 1985–86, 1993–94, 1995–96, 1998–99, 2000–01, 2001–02, 2005–06, 2010–11, 2011–12, 2016–17 | |
수페르쿠파 e 쉬치페리스 | 12 | 1994, 2000, 2002, 2003, 2005, 2006, 2007, 2009, 2011, 2012, 2017, 2022 | |
3. 2. 국제 대회
KF 티라나는 1965-66 시즌 유러피언 컵에 처음으로 참가한 이후, UEFA 챔피언스리그가 도입된 1992년까지 6번의 유러피언 컵 대회에 진출하였다.[74] 챔피언스리그에도 2007-08 시즌을 포함하여 6번 진출하였다.[74] UEFA 컵위너스컵에는 1983-84, 1986-87, 1994-95 시즌에 총 3번 진출하였으며, 1986-87 시즌 2라운드 진출이 최고 성적이다.[74] 1971년에 만들어진 UEFA컵에는 총 6번 진출하였으나, 모두 예선 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74]티라나는 발칸스 컵에서 1983년에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유형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유럽 | 발칸스 컵 | RU | 1983 |
4. 홈 구장
KF 티라나는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디나모 티라나, 파르티자니 티라나와 공동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더비 경기나 중요한 경기는 케말 스타파 스타디움에서 개최된다. 이 경기장은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을 세 팀이 함께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경기 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64]
KF 티라나는 주로 셀만 스터르마시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르지만, 훈련은 스켄데르 할릴리 콤플렉스에서 진행한다.
4. 1. 케말 스타파 스타디움 (1946-2015)
KF 티라나의 홈 구장은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이며, 지역 라이벌인 디나모 티라나 및 파르티자니 티라나와 함께 사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더비 경기와 중요한 경기는 국가대표팀의 케말 스타파 스타디움에서 열린다.[64] 이 경기장은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을 세 팀이 사용하면서 사용할 수 없을 때도 이용된다.[64]4. 2.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 (1956-현재)
KF 티라나의 홈 구장은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이며, 지역 라이벌인 디나모 티라나 및 파르티자니 티라나와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더비 경기와 중요한 경기는 국가대표팀의 케말 스타파 스타디움에서 치러진다. 이 경기장은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을 3개의 팀이 사용하면서 사용할 수 없을 때도 사용된다.[64] 구단은 현재의 셀만 스테르마시 스타디움을 약 15,000석에서 20,000석 규모의 현대식 복합 시설로 재건축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구단은 이 경기장이 알바니아 최초의 현대식 탈공산주의 시대의 경기장으로, 경기장 주변에 육상 트랙이 없어 더 많은 분위기를 조성하고 더 많은 팬을 유치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이 재건축이 언제 이루어질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2020년 구단 창단 100주년 기념 선물로 계획되고 있다는 소문이 있다.[64]
KF 티라나는 티라나에 위치한 셀만 스터르마시 경기장에서 대부분의 공식 경기와 친선 경기를 치른다. 셀만 스터르마시 경기장은 1956년에 건설되었으며, 1991년까지 '디나모' 경기장으로 불리다가 영구적으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알바니아 축구 협회와 클럽은 KF 티라나의 저명한 선수, 코치, 회장이었던 셀만 스터르마시를 기리기 위해 경기장 이름을 사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기로 결정했다.
경기장은 12,500명(좌석 8,4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014년 12월에 새로운 잔디, 중앙 메인 스탠드 지붕 설치, 중앙 팬 스탠드에 2열 증설, 파손 또는 분실된 좌석 교체/수리, 내부 시설, 일반적인 외형, 중앙 좌석 아래 쇼핑 센터 등을 포함하는 재건축 공사가 시작되었다. 내부 시설에는 일반 수리, 기자 회견실, 기자석, 현대식 샤워실이 포함된다. 사이드 팬 스탠드는 임시로 폐쇄되고 광고판으로 덮일 예정이다. 경기장 전광판과 시계 설치 시기는 아직 불확실하다.[65]
주요 주차 공간은 경기장 정면에 위치하며 입구로 연결된다. 경기장의 외부 전체는 2.7m 철제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다.[66]
4. 3. 스켄데르 할릴리 콤플렉스
클럽의 훈련장은 스켄데르 할릴리 콤플렉스라고 불리며, 비라 티라나 공장 근처인 르르가 에 카바예스에 있다. 이 훈련 콤플렉스는 선수 경력과 이후 모두 클럽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협력자 중 한 명이었던 스켄데르 할릴리의 사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콤플렉스에는 정규 규격의 천연 잔디 축구 경기장과 더 작은 인조 잔디 경기장이 있으며, 성인팀과 일부 유소년팀이 사용하는 탈의실도 갖추고 있다.[67] 2014년 12월, 이 경기장을 완전히 개조하기 위해 스켄데르 할릴리 콤플렉스와 셀만 스테르마시 경기장 모두에서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훈련장에서는 탈의실을 포함한 훈련 시설이 모두 개선되었고, 훈련 세션과 가끔 열리는 친선 경기를 관람하고자 하는 소수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단일 스탠드도 마련되었다.[67]5. 서포터
KF 티라나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축구 클럽 중 하나이다. 1986년 알바니아 최초의 울트라스 그룹인 울트라스 티로나가 결성되었으나, 공산주의 정권의 제약으로 비공식적으로 활동해야 했다. 그럼에도 서포터들은 경기를 통해 당시 정권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현했으며, 알바니아에서 공산주의가 몰락한 후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 더욱 조직화되었다.
2006년 1월 8일, 젊은 서포터들이 티로나 파나틱스를 결성했다. 이들은 현재 알바니아 최고의 울트라스로 평가받고 있다.[68][69][70][71] 티로나 파나틱스는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FK 슈쿠피의 슈베르체라트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2015년 5월 20일, 티로나 파나틱스의 창립 멤버들은 그룹 운영권을 젊은 서포터들에게 넘겼다.[72]
KF 티라나는 "캐피탈 크루"라는 또 다른 울트라스 그룹도 가지고 있다.
5. 1. 티로나 파나틱스
티로나 파나틱스(Tirona Fanatics)는 2006년 1월 8일에 창설된 KF 티라나의 주요 서포터 그룹이다. 알바니아에서 가장 조직적인 서포터 그룹 중 하나로, 티라나의 홈 경기와 원정 경기는 물론 유럽 대항전 경기에도 참여한다.[68][69][70][71]1986년, 알바니아 최초의 울트라스 그룹인 울트라스 티로나가 결성되었지만, 당시 공산주의 정권의 탄압으로 불법적인 활동을 해야 했다. 그럼에도 서포터들은 경기를 통해 정권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현했다. 알바니아에서 공산주의가 몰락한 후,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 서포터들은 더욱 조직화되어 더 많은 지지자를 확보했다.
2000년대 중반, 기존의 울트라스 티로나가 자신들을 충분히 대변하지 못한다고 느낀 젊은 서포터들이 티로나 파나틱스를 창설했다. 티로나 파나틱스는 보수적인 티포(Tifo) 그룹으로 알려져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여 알바니아 최고의 울트라스로 평가받고 있다.
2015년 5월 20일, 티로나 파나틱스의 창립 멤버들은 그룹 운영권을 젊은 세대에게 넘기기로 결정했다.[72] 티로나 파나틱스는 FK 슈쿠피의 마케도니아 서포터 그룹인 슈베르체라트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KF 티라나는 "캐피탈 크루"라는 또 다른 울트라스 그룹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경기장에서 열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2. 라이벌 관계
KF 티라나는 블라즈니아 슈코더르, 디나모 티라나, 파르티자니 티라나, 스켄데르베우 코르체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블라즈니아 슈코더르와의 경기는 '알바니아 역대 더비'라고 불리며, 디나모 티라나, 파르티자니 티라나와의 경기는 티라나 더비로 불린다. 2010년대 이후에는 스켄데르베우 코르체와의 라이벌 관계가 심화되었다.6. 현재 선수단
2024년 9월 1일 현재 KF 티라나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
1 | GK | 젠티안 셀마니 | |
3 | DF | 글레디 미치 (부주장) | |
4 | DF | 마하마두 뎀벨레 | |
5 | MF | 헨리 마르쿠 | |
6 | MF | 이안 솔레르 | |
7 | FW | 파트미르 프렌가이 | |
8 | MF | 피오아트 요누지 | |
9 | FW | 아드미르 바지 로비치 | |
11 | FW | 아벨 아바 | |
12 | GK | 레온 코지 | |
13 | DF | 아르한 이수프 | |
14 | MF | 리말 하지우 | |
17 | MF | 데비 듀로 | |
18 | DF | 플로리안 페르조니 (주장) | |
20 | MF | 요르디 야쿠 | |
21 | MF | 실비오 보크리 | |
23 | FW | 아킬레우 은드레카 | |
26 | GK | 로메오 하리자이 | |
28 | DF | 켄드리엄 이스마일리 | |
30 | MF | 도날드 돌라쿠 | |
33 | DF | 에르말 메타 | |
55 | MF | 하유라 톨라 | |
70 | FW | 디온 아흐메타이 | |
77 | MF | 알디 줌시 | |
80 | DF | 에디슨 콜라 | |
89 | FW | 멜시 체레니 | |
98 | FW | 에밀리아노 미하나 | |
99 | FW | 왈리드 자르무니 |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룰에 근거하여 선수의 국적을 표시했다.
6. 1. 임대 선수
현재 임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임대 구단 및 기간 |
---|---|---|---|---|
90 | 공격수 | 알바니아 | 디야르 니키 | 보라 (2025년 6월 30일까지) |
91 | 골키퍼 | 코소보 | 무스타페 압둘라후 | 말리세바 (2025년 6월 30일까지) |
6. 2. 은퇴 번호
KF 티라나는 2014-15 KF 티라나 시즌부터 티로나 파나틱스를 기리기 위해 12번을 12번째 선수의 번호로 영구 결번했다.[1]7. 기타 클럽
KF 티라나는 축구 외에도 여자 축구팀인 KF 티라나 아스, 남자 농구팀인 BC 티라나, 여자 농구팀인 BC 티라나, 남자 배구팀인 KV 티라나, 여자 배구팀인 KV 티라나 등 다른 스포츠 클럽들을 운영하고 있다.
7. 1. KF 티라나 B
KF 티라나 B는 티라나를 연고지로 하는 알바니아 축구 클럽이다. 1932년에 창단되었지만 해산되었다가 2013년 1월 22일에 재창단되었다.[73]7. 2. KF 티라나 U-21
KF 티라나 U-21은 티라나를 연고지로 하는 알바니아 축구 클럽이다. 2019년에 창단되었다.7. 3. 리저브 및 아카데미
KF 티라나 리저브 및 아카데미(Klubi i Futbollit Tirana Rezervat dhe Akademiasq)는 KF 티라나의 리저브 팀이며, 알바니아 U-19 슈퍼리가와 알바니아 U-17 슈퍼리가의 북부 섹션에서 활동한다.8. 수상 내역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축구를 대표하는 명문 클럽으로, 국내외 대회에서 수많은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유형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국내 | Kategoria Superiore | 26* | 1911, 1930, 1931, 1932, 1934, 1936, 1937, 1939, 1942, 1964-65, 1965-66, |
Kategoria e Parë | 1 | 2017-18 | |
쿠파 e 쉬치페리스 | 16 | 1938-39, 1962-63, 1975-76, 1976-77, 1982-83, 1983-84, 1985-86, 1993-94, 1995-96, 1998-99, --, 2000-01, 2001-02, 2005-06, 2010-11, 2011-12, 2016-17 | |
수페르쿠파 e 쉬치페리스 | 12 | 1994, 2000, 2002, 2003, 2005, 2006, 2007, 2009, 2011, 2012, --, 2017, 2022 | |
더블 | 3 | 1939, 1995-96, 1998-99 | |
유럽 | 발칸스 컵 | 준우승 | 1983 |
마이너 | 타치 오일 컵 | 1 | 2008 |
- * 티라나는 1939년과 1942년 시즌 동안 두 번의 선수권 대회를 더 우승했지만, AFA는 아직 공식적으로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 1967년의 선수권 대회는 UEFA가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여하는 "가짜" 챔피언을 허용하지 않도록 한 엄청난 부정 행위로 인해 UEFA에 의해 인정되지 않았다.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수페르리가 최다 우승(26회), 알바니아 컵 최다 우승(16회), 알바니아 슈퍼컵 최다 우승(12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74][75]
유럽 대회에서는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3회),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1회), UEFA 컵 위너스 컵 16강(1회)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발칸 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경험도 있다.
8. 1. 국내 대회
KF 티라나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 중 하나로, 국내 대회에서 수많은 우승을 차지했다.유형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국내 | 알바니아 수페르리가 | 26 | 1930, 1931, 1932, 1934, 1936, 1937, 1964-65, 1965-66, 1967-68, 1969-70, 1981-82, 1984-85, 1987-88, 1988-89, 1994-95, 1995-96, 1996-97, 1998-99, 1999-00, 2002-03, 2003-04, 2004-05, 2006-07, 2008-09, 2019-20, 2021-22 |
쿠파 e 쉬치페리스 | 16 | 1938-39, 1962-63, 1975-76, 1976-77, 1982-83, 1983-84, 1985-86, 1993-94, 1995-96, 1998-99, 2000-01, 2001-02, 2005-06, 2010-11, 2011-12, 2016-17 | |
수페르쿠파 e 쉬치페리스 | 12 | 1994, 2000, 2002, 2003, 2005, 2006, 2007, 2009, 2011, 2012, 2017, 2022 |
1930년 알바니아 수페르리가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이후, 1937년까지 6번의 우승을 달성하며 초창기 알바니아 축구를 주도했다.[9] 특히 1930년부터 1932년까지는 리그 3연패를 달성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엔베르 호자가 이끄는 공산 정권이 들어서면서, KF 티라나는 정치적인 탄압을 받았다.[13] 1946년에는 클럽 이름이 강제로 '17 넨토리'(11월 17일)로 바뀌었는데, 이는 티라나 해방을 기념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후 10년 동안 클럽은 공산 정권의 지원을 받는 파르티자니 티라나와 디나모 티라나에 밀려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1960년대와 1980년대에 각각 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경쟁력을 회복했다. 1991년 공산 정권이 붕괴되면서 클럽은 원래 이름인 KF 티라나로 돌아올 수 있었다.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수페르리가 최다 우승(26회), 알바니아 컵 최다 우승(16회), 알바니아 슈퍼컵 최다 우승(12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74][75]
8. 2. 유럽 대회
KF 티라나가 처음으로 유럽 대회에 나간 것은 1965-66 시즌 유러피언 컵이었다.[74] 그 후 UEFA 챔피언스리그가 도입되던 1992년까지 6번의 유러피언 컵 대회에 진출하였으며, 예선전이 도입된 챔피언스리그에서도 2007-08 시즌을 포함하여 여섯 번 진출하였다.[74] UEFA 컵위너스컵에는 1983-84, 1986-87, 1994-95 시즌에 출전하여 총 세 번 진출하였는데, 1986-87 시즌의 2라운드 진출이 최고 성적이다.[74] 1971년에 만들어진 UEFA컵에는 총 여섯 번 진출하였는데, 전부 예선 라운드에서 탈락하고 말았다.[74]KF 티라나는 모든 국내 대회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럽 대회에서도 알바니아 팀들 중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유럽에서 14번의 승리를 거두었다(경기 없이 추첨으로 한 번 직접 승리 포함).[77][4]
그들은 유럽 대회에서 4번이나 16강에 진출했으며, 그중 3번은 1980년대에 유럽 챔피언 클럽스 컵(현재는 챔피언스 리그)에서 달성하여, 알바니아 팀 중 유럽 대회에서 가장 멀리 진출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77][4]

화이트 앤 블루스는 알바니아 축구 클럽 중 역대 최고 IFFHS 랭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1986–87 시즌의 좋은 결과로 인해 1987년 세계 31위까지 랭크되었다.[77][4]
티라나는 유럽 무대에서 아약스, 바이에른 뮌헨과 같은 "강호"들과 대결했다.[77][4] 디나모 부쿠레슈티, 페렌츠바로시, CSKA 소피아, 영 보이즈, 위트레흐트, 디나모 자그레브, IFK 예테보리, 말뫼 FF, 스탕다르 리에주, 마카비 텔아비브 FC.,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베식타스 JK 등과 같은 팀들과도 맞붙었다.[77][4]
팀의 몇 안 되는 좋은 성적 중 하나인 2004–05 시즌에는, 1라운드에서 벨라루스의 FC 고멜을 합계 2-1로 이기고, 2라운드에서 페렌츠바로시와 대결했다.[77][4]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3-2로 패한 티라나는 부다페스트에서 1-0으로 앞서갔지만, 페널티킥을 놓치고 두 번이나 골대를 맞히면서 필요한 추가 골을 넣지 못했고,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탈락했다.[77][4] 합계 점수는 3-3으로 끝났다.[77][4]
또 다른 좋은 성과는 2020–21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이었다.[77][4] 챔피언스 리그 1라운드에서 FC 디나모 트빌리시를 원정에서 2-0으로 이긴 후, 다음 라운드에서 레드 스타에게 에어 알바니아 스타디움에서 0-1로 패하며 유로파 리그 3라운드로 진출했다(운 좋은 추첨).[77][4] 티라나는 이로 인해 베른에서 BSC 영 보이즈와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르게 되었고, 3-0으로 패하며 조별 리그 진출에 실패했다.[77][4]
티라나는 UEFA 컨퍼런스 리그 첫 번째 예선 라운드에서 FC 디나모 바투미와 대결하여 바투미에서 2-1로 승리(티라나에서 1-1 무승부, 레기 루쉬캬의 골)를 거두었고, 2라운드에서는 터키의 강호 베식타스 J.K.를 만나 베식타스 스타디움에서 3-1로, 에어 알바니아 스타디움에서 2-0으로 승리했다.[77][4]
- '''챔피언스 리그 최고 성적:''' 16강 (1982–83, 1988–89, 1989–90)
- '''유로파 리그 최고 성적:''' 플레이오프 (2020–21)
- '''컨퍼런스 리그 최고 성적:''' 2차 예선 (2022–23), (2023–24)
- '''컵 위너스 컵 최고 성적:''' 16강 (1986–87)
- '''발칸 컵 최고 성적:''' 준우승 (1981–83)
- '''유럽 홈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승리:''' 티라나 5-0 슬리에마 원더러스 (1989년 9월 27일)
- '''유럽 홈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패배:''' 티라나 2-6 NK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1996년 7월 24일)
- '''유럽 원정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승리:''' FC 고멜 0-2 티라나 (2004년 7월 14일)
FC 디나모 트빌리시 0-2 티라나 (2020년 8월 19일) - '''유럽 원정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패배:''' 올레순 5-0 티라나 (2012년 7월 26일)
- '''유럽 대회 최다 출전 선수:''' 엘비스 시나 (31)
- '''유럽 대회 최다 득점 선수:''' 인드리트 포르투지 (10)
8. 3. 기타 대회
KF 티라나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26번의 리그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74] 1930년 알바니아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알바니아 최초의 공식 축구 대회이기도 했다.[9] 또한 알바니아 컵 최다 우승(16회)과 알바니아 슈퍼컵 최다 우승(12회)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가장 최근 우승은 2022년 알바니아 슈퍼컵이다.[75]유형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마이너 | 타치 오일 컵 | 1 | 2008 |
9. 클럽 기록 및 통계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축구를 대표하는 명문 클럽 중 하나로, 오랜 역사와 함께 다양한 기록과 통계를 자랑한다.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컵에서 16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알바니아 슈퍼컵에서도 11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리그에서는 1993-94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며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004-05 시즌에는 26승 6무 4패, 승점 84점으로 한 시즌 최다 승점 및 최다 승리 기록을 세웠다.[13]
시즌 | 디비전 | 알바니아 컵 | 알바니아 슈퍼컵 | ||||||||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93-94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26 | 13 | 7 | 6 | 36 | 16 | 33 | 우승 | 우승 |
1994-95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0 | 19 | 6 | 5 | 57 | 27 | 44 | 준우승 | |
1995-96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4 | 19 | 10 | 5 | 52 | 22 | 55 | 우승 | |
1996-97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22 | 14 | 4 | 4 | 40 | 9 | 46 | 2라운드 탈락 | |
1997-98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34 | 19 | 8 | 7 | 54 | 18 | 65 | 8강 탈락 | |
1998-99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0 | 18 | 7 | 5 | 48 | 20 | 61 | 우승 | |
1999-00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27 | 16 | 5 | 6 | 41 | 15 | 53 | 8강 탈락 | 우승 |
2000-01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26 | 16 | 6 | 4 | 56 | 13 | 54 | 우승 | 준우승 |
2001-02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26 | 19 | 5 | 2 | 52 | 15 | 62 | 우승 | 우승 |
2002-03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26 | 19 | 3 | 4 | 57 | 17 | 60 | 준결승 탈락 | 우승 |
2003-04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4 | 8 | 4 | 90 | 36 | 80 | 준결승 탈락 | 준우승 |
2004-05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6 | 6 | 4 | 82 | 32 | 84 | 준우승 | 우승 |
2005-06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2위 | 36 | 17 | 11 | 8 | 54 | 33 | 62 | 우승 | 우승 |
2006-07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3 | 22 | 6 | 5 | 64 | 33 | 72 | 8강 탈락 | 우승 |
2007-08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6위 | 33 | 14 | 7 | 12 | 46 | 36 | 49 | 준우승 | |
2008-09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3 | 19 | 11 | 3 | 58 | 27 | 68 | 준우승 | 우승 |
2009-10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3위 | 33 | 15 | 7 | 11 | 38 | 32 | 52 | 8강 탈락 | |
2010-11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33 | 11 | 11 | 11 | 42 | 31 | 44 | 우승 | 우승 |
2011-12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3위 | 26 | 16 | 5 | 5 | 33 | 21 | 53 | 우승 | 우승 |
2012-13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26 | 12 | 7 | 7 | 30 | 23 | 43 | 2라운드 탈락 | |
2013-14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6위 | 33 | 14 | 8 | 11 | 36 | 31 | 50 | 2라운드 탈락 | |
2014-15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4위 | 36 | 21 | 8 | 7 | 47 | 27 | 71 | 준결승 탈락 | |
2015-16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36 | 13 | 14 | 9 | 37 | 25 | 53 | 8강 탈락 | |
2016-17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9위 | 36 | 8 | 15 | 13 | 29 | 32 | 39 | 우승 | |
2017-18 | 카테고리아 에 파라 | 1위 | 26 | 21 | 4 | 1 | 66 | 13 | 64 | 8강 탈락 | 우승 |
2018-19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7위 | 36 | 12 | 11 | 13 | 44 | 35 | 47 | 준우승 | |
2019-20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1 | 7 | 8 | 67 | 35 | 70 | 준우승 | |
2020-21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5위 | 36 | 15 | 13 | 8 | 41 | 26 | 58 | 2라운드 탈락 | 준우승 |
2021-22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1위 | 36 | 22 | 7 | 7 | 64 | 27 | 73 | 2라운드 탈락 | |
2022-23 | 카테고리아 수페리에르 | 위 | 36 |
유럽 대항전에서는 UEFA 챔피언스리그 (과거 유러피언 컵)와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UEFA 컵위너스컵 등 다양한 대회에 참가했다. 1980년대에는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인 유러피언 컵에서 세 차례(1982-83, 1988-89, 1989-90) 16강에 진출하며 강세를 보였다.[1]
국내 리그에서는 엘비스 시나가 392경기로 최다 리그 출장 기록을, 인드리트 포르투지가 152골로 최다 리그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9. 1. 국내 기록
KF 티라나는 알바니아 축구 리그에서 다양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홈 경기 최다 점수차 승리는 1936년 7월 5일 플라무르타리 블로러를 상대로, 1937년 6월 6일 베셀리드자 레저를 상대로, 1960년에 에르제니를 상대로 기록한 11-0 승리이다.[76] 홈 경기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47년에 블라즈니아 슈코더르와 스켄데르베우 코르체를 상대로 기록한 0-6 패배이다. 원정 경기 최다 점수차 승리는 1932년 6월 12일 엘바사니를 상대로 한 9-2 승리와 1953년 포그라데치를 상대로 한 8-1 승리이다. 원정 경기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92년 베사 카바예에게 당한 1-7 패배이다.개인 기록으로는 엘비스 시나가 392경기로 최다 리그 출장 기록을, 인드리트 포르투지가 152골로 최다 리그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한 시즌 최다 승점은 2004-05 시즌의 84점이며, 최소 승점은 1940년의 7점이다. 한 시즌 최다 승리는 2004-05 시즌의 26승, 최소 승리는 1931년, 1933년, 1940년, 1942년의 3승이다. 최다 무승부는 1974-75 시즌과 2016-17 시즌의 15무, 최소 무승부는 1939년과 1946년의 0무이다. 최다 패배는 1972-73, 1976-77, 1991-92, 2016-17, 2018-19 시즌의 13패, 최소 패배는 1932년, 1936년, 1937년, 1939년, 1942년의 0패이다. 최고 골득실은 1936년의 +66이며, 최악 골득실은 1972-73 시즌의 -5이다.
1930년 수페르리가가 시작된 이래, KF 티라나는 2022-23 시즌 종료 기준으로 총 2096경기를 치렀다. 이 기간 동안 3438골을 넣고 1873골을 실점했으며, 1079승, 543무, 474패를 기록하여 총 3132점을 획득했다. 클럽의 총 골득실은 +1565, 승리 득실은 +605이다.
기록 | 득점 | 승리 | 무승부 | 패배 | 골 득실 | 승리 득실 | 승점 | 경기 |
---|---|---|---|---|---|---|---|---|
합계 | 3438–1873 | 1079 | 543 | 474 | +1565 | +605 | 3132 | 2096 |
9. 2. 유럽 기록
KF 티라나는 1965-66시즌 유러피언 컵에 처음으로 유럽대회에 참가했다. 이후 UEFA 챔피언스리그가 도입된 1992년까지 6번의 유러피언 컵 대회에 진출하였으며, 예선전이 도입된 챔피언스리그에서도 2007-08시즌을 포함하여 여섯 번 진출하였다. UEFA 컵위너스컵에는 1983-84, 1986-87, 1994-95시즌에 출전하여 총 세번 진출하였는데, 1986-87시즌의 2라운드 진출이 최고 성적이다. 1971년에 만들어진 UEFA컵에는 총 여섯 번 진출하였는데, 전부 예선 라운드에서 탈락했다.[1]대회 | 최고 성적 |
---|---|
챔피언스 리그 | 16강 (1982–83, 1988–89, 1989–90) |
유로파 리그 | 플레이오프 (2020–21) |
컨퍼런스 리그 | 2차 예선 (2022–23, 2023–24) |
컵 위너스 컵 | 16강 (1986–87) |
발칸 컵 | 준우승 (1981–83) |
구분 | 내용 |
---|---|
유럽 홈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승리 | 티라나 5–0 슬리에마 원더러스 (1989년 9월 27일) |
유럽 홈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패배 | 티라나 2–6 NK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1996년 7월 24일) |
유럽 원정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승리 | FC 고멜 0–2 티라나 (2004년 7월 14일) FC 디나모 트빌리시 0-2 티라나 (2020년 8월 19일) |
유럽 원정 경기 역대 최다 점수차 패배 | 올레순 5–0 티라나 (2012년 7월 26일) |
유럽 대회 최다 출전 선수 | 엘비스 시나 (31경기) |
유럽 대회 최다 득점 선수 | 인드리트 포르투지 (10골) |
9. 3. 선수 기록
KF 티라나의 선수 기록은 다음과 같다. 리그 최다 출장 기록은 엘비스 시나가 보유하고 있으며, 총 392경기에 출전했다. 리그 최다 득점 기록은 인드리트 포르투지가 가지고 있으며, 총 152골을 기록했다.[13]- '''역대 홈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
- * 티라나 11–0 플라무르타리 블로러 (1936년 7월 5일)[76]
- * 티라나 11–0 베셀리드자 레저 (1937년 6월 6일)
- * 티라나 11–0 에르제니 (1960년)
- '''역대 홈 리그 최다 점수차 패배:'''
- * 티라나 0–6 블라즈니아 슈코더르 (1947년)
- * 티라나 0–6 스켄데르베우 코르체 (1947년)
- '''역대 원정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
- * 엘바사니 2–9 티라나 (1932년 6월 12일)
- * 포그라데치 1–8 티라나 (1953년)
- '''역대 원정 리그 최다 점수차 패배:''' 베사 카바예 7-1 티라나 (1992년)
- '''최다 리그 출장:''' 엘비스 시나 (392)
- '''최다 리그 골:''' 인드리트 포르투지 (152)
- '''한 시즌 최다 승점:''' 84 (2004–05)
- '''한 시즌 최소 승점:''' 7 (1940년)
- '''한 시즌 최다 승리:''' 26 (2004–05)
- '''한 시즌 최소 승리:''' 3 (1931년, 1933년, 1940년, 1942년)
- '''한 시즌 최다 무승부:''' 15 (1974–75), (2016–17)
- '''한 시즌 최소 무승부:''' 0 (1939년, 1946년)
- '''한 시즌 최다 패배:''' 13 (1972–73, 1976–77, 1991–92, 2016–17, 2018–19)
- '''한 시즌 최소 패배:''' 0 (1932년, 1936년, 1937년, 1939년, 1942년)
- '''최고 골득실:''' +66 (1936년)
- '''최악 골득실:''' -5 (1972–73)
9. 3. 1. 최다 출장 선수
다음은 KF 티라나에서 모든 대회를 통틀어 최다 출장 횟수를 기록한 상위 10명의 선수 목록이다.순위 | 선수 | 연도 | 출장 | 골 |
---|---|---|---|---|
1 | 엘비스 시나 | 1996–2006 2007–2008 2009–2014 | 392 | 8 |
2 | 아르벤 밍가 | 1975–1991 1994–1997 | 387 | 136 |
3 | 블렌디 날바니 | 1990–1991 1992–1993 1994–2001 2004–2011 | 327 | 1 |
4 | 네빌 데데 | 1994–2004 2006–2007 2009–2010 | 299 | 30 |
5 | 아구스틴 콜라 | 1980–1991 1994–1997 | 298 | 133 |
6 | 에란도 카라베치 | 2009–2020 | 273 | 10 |
7 | 에르욘 혹살라리 | 2011–2014 2015–2022 2023–2024 | 262 | 11 |
8 | 미렐 조사 | 1980–1991 | 253 | 40 |
9 | 레자르트 다불라 | 1998–2006 2008–2013 | 245 | 9 |
10 | 에르빈 불쿠 | 1998–2006 2014–2016 | 235 | 15 |
9. 3. 2.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연도 | 골 | 출장 |
---|---|---|---|---|
1 | 인드리트 포르투지 | 1993–1998, 2000–2005, 2007–2008 | 152 | 210 |
2 | 아르벤 밍가 | 1971–1990, 1994–1997 | 136 | 387 |
3 | 아구스틴 콜라 | 1980–1991, 1994–1997 | 133 | 298 |
4 | 슈켈킴 무차 | 1978–1988 | 88 | 192 |
5 | 페트리트 디브라 | 1970–1980 | 70 | 187 |
6 | 데비 무카 | 1998–1999, 2003–2010 | 61 | 201 |
7 | 스켄데르 휴카 | 1963–1974 | 60 | 157 |
8 | 마히르 할릴리 | 2000–2005 | 46 | 133 |
9 | 파블로 부코비쿠 | 1957–1958, 1961–1971 | 45 | 147 |
10 | 함디 살리히 | 2005–2007 | 42 | 52 |
9. 3. 3.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득점왕
시즌 | 선수 | 골 | 경기 |
---|---|---|---|
1930 | 레제프 마치, 에밀 하이날리 | 3 | 3 |
1932 | 하키 코르차 | 4 | 3 |
1934 | 마르크 구라시 | 12 | 5 |
1936 | 리자 루슈타 | 11 | 5 |
1937 | 리자 루슈타 | 25 | 5 |
1978–79 | 페트리트 디브라 | 14 | 26 |
1984–85 | 아르벤 밍가 | 13 | 17 |
1987–88 | 아구스틴 콜라 | 18 | 33 |
1988–89 | 아구스틴 콜라 | 19 | 32 |
2000–01 | 인드리트 포르투지 | 31 | 25 |
2001–02 | 인드리트 포르투지 | 24 | 24 |
2002–03 | 마히르 할릴리 | 20 | 22 |
2005–06 | 함디 살리히 | 29 | 35 |
2006–07 | 비오레신 시나니 | 23 | 29 |
2008–09 | 미겐 멤멜리 | 22 | 29 |
2022–23 | 플로렌트 하사니 | 16 | 35 |
9. 3. 4. 최다 우승 선수
# | 챔피언 | 횟수 | 시즌 |
---|---|---|---|
1 | 네빌 데데 | 8 | 1995, 1996, 1997, 1999, 2000, 2003, 2004, 2007 |
블렌디 날바니 | 8 | 1995, 1996, 1997, 1999, 2000, 2005, 2007, 2009 | |
3 | 크레나르 알리메흐메티 | 7 | 1985, 1988, 1989, 1996, 1997, 1999, 2000 |
엘도라도 메르코치 | 7 | 1995, 1996, 1997, 1999, 2003, 2004, 2005 | |
5 | 아뎀 카라피치 | 6 | 1930, 1931, 1932, 1934, 1936, 1937 |
아르벤 밍가 | 6 | 1982, 1985, 1988, 1989, 1995, 1996 | |
아구스틴 콜라 | 6 | 1982, 1985, 1988, 1989, 1995, 1997 | |
아르디안 메마 | 6 | 1989, 1995, 1996, 1997, 1999, 2000 | |
소콜 불쿠 | 6 | 1996, 1997, 1999, 2000, 2003, 2004 | |
엘비스 시나 | 6 | 1997, 1999, 2000, 2003, 2004, 2005 | |
데비 무카 | 6 | 1999, 2003, 2004, 2005, 2007, 2009 | |
레자르트 다불라 | 6 | 1999, 2000, 2003, 2004, 2005, 2009 | |
에르빈 불쿠 | 6 | 1999, 2000, 2003, 2004, 2005, 2007 | |
이스리 히디 | 6 | 1999, 2000, 2003, 2004, 2005, 2007 | |
15 | 마르크 구라시 | 5 | 1930, 1931, 1934, 1936, 1937 |
루돌프 구라시 | 5 | 1930, 1931, 1934, 1936, 1937 | |
에밀 하이날리 | 5 | 1930, 1931, 1932, 1936, 1937 | |
플로리안 리자 | 5 | 1988, 1989, 1996, 1997, 2000 | |
인드리트 포르투지 | 5 | 1995, 1996, 1997, 2003, 2004 | |
알핀 갈로 | 5 | 1995, 1996, 1997, 1999, 2000 | |
알반 타파이 | 5 | 1999, 2000, 2003, 2004, 2005 | |
사이미르 파투시 | 5 | 2003, 2004, 2005, 2007, 2009 | |
23 | 셀만 스테르마시 | 4 | 1930, 1931, 1932, 1934 |
휘센 쿠시 | 4 | 1930, 1931, 1932, 1936 | |
파블로 부코비쿠 | 4 | 1965, 1966, 1968, 1970 | |
루이지 바이티치 | 4 | 1965, 1966, 1968, 1970 | |
파트미르 프라셰리 | 4 | 1965, 1966, 1968, 1970 | |
스켄데르 휴카 | 4 | 1965, 1966, 1968, 1970 | |
바흐리 이시카 | 4 | 1965, 1966, 1968, 1970 | |
알리 메마 | 4 | 1965, 1966, 1968, 1970 | |
오스만 메마 | 4 | 1965, 1966, 1968, 1970 | |
니코 자차 | 4 | 1965, 1966, 1968, 1970 | |
슈켈킴 무차 | 4 | 1982, 1985, 1988, 1989 | |
미렐 조사 | 4 | 1982, 1985, 1988, 1989 | |
레오나르드 리티 | 4 | 1982, 1985, 1988, 1989 | |
베드리 오무리 | 4 | 1982, 1985, 1988, 1989 | |
부야르 샤라 | 4 | 1982, 1985, 1988, 1989 | |
아네스티 스토야 | 4 | 1985, 1988, 1989, 1995 | |
안시 아골리 | 4 | 2003, 2004, 2005, 2009 | |
겐티안 하이 다리 | 4 | 2003, 2004, 2005, 2007 |
10.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통계
1930년 수페르리가 창설 이후 KF 티라나는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리그 초창기 3연패를 달성하기도 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 정권 하에서 디나모 티라나, 파르티자니 티라나 등에 밀려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대와 1980년대에 각각 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부활했고, 1991년 팀 명칭을 SK 티라나로 환원했다. ''2022–23 시즌 종료 기준.''
10. 1. 최근 시즌 통계
길베르토 포르투나토pt 5UEL
플레이오프
UCO
2차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