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아라비노스 오페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아라비노스 오페론은 대장균에서 L-아라비노스를 분해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집합체이다. 이 오페론은 구조 유전자, 조절 유전자, 조절 영역으로 구성되며, L-아라비노스 이화 작용에 필요한 효소들을 암호화한다. 조절 유전자 araC는 L-아라비노스에 반응하는 조절 단백질 AraC를 암호화하며, AraC 단백질은 아라비노스 유무에 따라 오페론의 전사를 조절한다. 아라비노스가 없을 때는 억제자로 작용하여 DNA 루프를 형성하고, 아라비노스가 있을 때는 활성제 역할을 하여 오페론의 발현을 유도한다. 또한, CAP-cAMP 복합체에 의한 조절과 AraC 단백질의 자기 조절도 이루어진다. L-아라비노스 오페론은 단백질 발현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페론 - 락토스 오페론
락토스 오페론은 대장균과 같은 세균에서 젖당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 군으로, 젖당 분해 효소를 암호화하는 구조 유전자, 조절 유전자,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젖당의 존재 유무에 따라 발현이 조절된다. - 오페론 - 트립토판 오페론
트립토판 오페론은 세균에서 트립토판 생합성에 필요한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그룹으로, 트립토판 농도에 따라 억제자 또는 감쇠 메커니즘을 통해 전사가 조절되며, 바실루스 서브틸리스에서는 TRAP 단백질을 통한 감쇠 조절이 특징적이다. - 유전자 발현 -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과정으로, 다이서 효소에 의해 생성된 작은 간섭 RNA가 RNA 유도 침묵 복합체와 결합하여 표적 mRNA를 분해하거나 번역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방어, 발생 조절, 유전체 안정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유전자 발현 -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은 유성 생식 생물의 염색체 유전자 교차를 통한 유전자 재배열 현상으로,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고 유전학적 지도 작성에 활용되며,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로 이용된다.
L-아라비노스 오페론 | |
---|---|
개요 | |
명칭 | L-아라비노스 오페론 |
다른 이름 | ara 오페론 araBAD 오페론 |
기능 | |
설명 | 대장균에서 L-아라비노스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그룹이다. |
조절 기전 | AraC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 |
활성 조건 | L-아라비노스가 존재할 때 활성화된다. |
억제 조건 | 포도당이 존재하고 CAP이 활성화되면 억제된다. |
유전자 구성 | |
araB | L-리불로키나아제를 암호화한다. |
araA | L-아라비노스 이성질화 효소를 암호화한다. |
araD | L-리불로스-5-인산 4-에피머화 효소를 암호화한다. |
araC | 조절 단백질인 AraC를 암호화한다. |
araI | 개시점 (Initiator), AraC 단백질이 결합하는 DNA 서열이다. |
araO | 억제점 (Operator), AraC 단백질이 결합하여 오페론 발현을 억제하는 DNA 서열이다. |
조절 메커니즘 상세 | |
AraC 단백질 | L-아라비노스가 없을 때: AraC 단백질은 araO2와 araI1 부위에 결합하여 DNA 루프를 형성, 전사를 억제한다. L-아라비노스가 있을 때: L-아라비노스가 AraC 단백질에 결합하면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 araI1과 araI2에 결합, 전사가 활성화된다. |
CAP (카타볼라이트 활성화 단백질) | 포도당이 없을 때 활성화되어 araBAD 오페론의 전사를 촉진한다. |
DNA 루핑 | AraC 단백질이 araO2와 araI1에 동시에 결합하여 DNA 루프를 형성하는 과정. |
전사 활성화 | L-아라비노스가 AraC에 결합하여 araBAD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는 과정. |
연구 | |
중요성 |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의 중요한 모델 시스템이다. |
연구자 | 로버트 슐라이프 (Robert Schleif) 등이 연구에 기여했다. |
2. 구조
L-아라비노스 오페론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조 유전자 묶음인 ''araBAD'', 조절 유전자 ''araC'', 그리고 이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영역이다.[7][27]
- 구조 유전자 (''araBAD''): ''araB'', ''araA'', ''araD'' 세 유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L-아라비노스의 이화 작용에 필요한 효소들을 암호화한다. 이 유전자들은 ''araBAD'' 프로모터(''PBAD'')로부터 함께 전사된다.[7][27][2]
- 조절 유전자 (''araC''): 구조 유전자들의 상류에 위치하며, 아라비노스에 반응하여 오페론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단백질 AraC를 암호화한다. ''araC'' 유전자는 자신의 프로모터(''PC'')로부터 ''araBAD''와 반대 방향으로 전사된다.[4][24][2]
- 조절 영역: 구조 유전자와 조절 유전자 주변에 위치하며,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여러 DNA 서열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AraC 단백질이 결합하는 조작자 영역(''araO1'', ''araO2'')과 개시자 영역(''araI1'', ''araI2''), 그리고 CAP-cAMP 복합체가 결합하여 탄소원 억제를 매개하고 포도당 결핍 시 ''araBAD''의 발현을 촉진하는 CAP 결합 부위가 있다.[7][27][8][28]
구조 유전자 ''araBAD''와 조절 유전자 ''araC''는 각각 독립적인 프로모터(''PBAD''와 ''PC'')를 가지며, RNA 중합 효소는 각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전사를 시작한다.[4][24]
2. 1. 구조 유전자 (''araBAD'')
구조 유전자 ''araB'', ''araA'', ''araD''는 L-아라비노스 이화 작용에 관여하는 효소를 암호화한다.[7][27] 각 유전자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araA''는 L-아라비노스 이성질화 효소를 암호화하며, 이는 L-아라비노스와 L-리불로스 사이의 이성질화를 촉매한다.
- ''araB''는 리불로키나아제를 암호화하며, 이는 L-리불로스를 인산화하여 L-리불로스-5-인산을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 ''araD''는 L-리불로스-5-인산 4-에피머라아제를 암호화하며, L-리불로스 5-인산과 D-자일룰로스-5-인산 사이의 에피머화를 촉매한다.

아래 표는 대장균에서 L-아라비노스가 이화되는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기질 | 효소 | 기능 | 가역성 | 생성물 |
---|---|---|---|---|
L-아라비노스 | AraA | 이성질화 효소 | 예 | L-리불로스 |
L-리불로스 | AraB | 리불로키나아제 | 아니요 | L-리불로스-5-인산 |
L-리불로스-5-인산 | AraD | 에피머라아제 | 예 | D-자일룰로스-5-인산 |
이렇게 생성된 L-리불로스-5-인산과 D-자일룰로스-5-인산은 모두 오탄당 인산 경로의 대사 산물이며, 이 경로는 오탄당의 대사를 육탄당의 대사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6][26]
2. 2. 조절 유전자 (''araC'')

조절 유전자 ''araC''는 L-아라비노스 오페론의 상류에 위치하며, 아라비노스에 반응하는 조절 단백질인 AraC를 암호화한다.[4][24] AraC 단백질은 동종이량체로 기능하며, L-아라비노스 오페론의 조작자 영역(''araO1'', ''araO2'')과 개시자 영역(''araI1'', ''araI2'')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araBAD'' 구조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한다.[7][27]
각 AraC 단량체는 DNA 결합 도메인과 이량체화 및 아라비노스 결합 도메인, 이렇게 두 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된다.[9][10] 아라비노스가 이량체화 도메인에 결합하면 AraC 단백질은 입체 구조 변화를 겪는다.[6] 이 형태 변화는 알로스테릭 유도 물질인 아라비노스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11]
''araC''와 ''araBAD''는 각각 별개의 프로모터, 즉 ''araC'' 프로모터 (''PC'')와 ''araBAD'' 프로모터 (''PBAD'')를 가진다. 이들 프로모터에 RNA 중합 효소가 결합하여 전사가 시작되며,[4][24] ''araBAD''와 ''araC''는 각각의 프로모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사된다.[2][22]
또한, AraC 단백질은 자신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스스로의 발현을 억제하는 부정적 자기 조절(negative autoregulation)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이량체 형태의 AraC가 ''araC'' 유전자 조절 영역 내의 특정 조작자 부위(''araO1'')에 결합하여 ''araC'' 자신의 전사를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2. 3. 조절 영역
L-아라비노스 오페론의 조절 영역은 구조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여러 DNA 서열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조작자 영역(''araO1'', ''araO2'')과 개시자 영역(''araI1'', ''araI2'')이 있다.[7][27] 또한, CAP-cAMP 복합체가 결합하는 CAP 결합 부위가 존재한다. 이 복합체는 세포 내 포도당이 부족할 때 결합하여 탄소원 억제를 매개하고 ''araBAD''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양성 조절 역할을 한다.[8][28]조절 유전자 ''araC''는 L-아라비노스 오페론의 상류에 위치하며, 아라비노스에 반응하여 오페론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단백질인 AraC를 암호화한다. ''araC'' 유전자와 구조 유전자 묶음인 ''araBAD''는 각각 독립적인 프로모터를 가지고 있다. RNA 중합 효소는 이들 프로모터, 즉 ''araC'' 프로모터 (''PC'')와 ''araBAD'' 프로모터 (''PBAD'')에 각각 결합하여 전사를 시작한다.[4][24] ''araBAD''와 ''araC''는 각각의 프로모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사된다.[2][22]
3. 기능
L-아라비노스 오페론은 대장균과 같은 세균이 주변 환경에 L-아라비노스가 있을 때 이를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도록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이 오페론은 L-아라비노스를 분해하여 세포 에너지 대사에 필요한 물질로 전환하는 효소들의 합성을 통제한다.
오페론 내 주요 구조 유전자인 ''araA'', ''araB'', ''araD''는 L-아라비노스 분해에 관여하는 특정 효소들을 각각 암호화한다. 이 효소들은 순차적인 반응을 통해 L-아라비노스를 D-자일룰로스-5-인산으로 전환시킨다. 최종 생성물인 D-자일룰로스-5-인산은 세포의 중심 대사 경로 중 하나인 오탄당 인산 경로로 유입되어 에너지 생산이나 다른 생합성 과정에 이용된다.[6][26] 결과적으로 L-아라비노스 오페론은 세포가 L-아라비노스를 효율적으로 대사하여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하도록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
3. 1. L-아라비노스 대사 경로
''araBAD'' 오페론에 의해 암호화되는 효소들은 L-아라비노스를 D-자일룰로스-5-인산으로 전환한다. 이 대사 과정은 세 가지 주요 효소 반응을 포함한다.- ''araA'' 유전자는 L-아라비노스 이성질화 효소(L-arabinose isomerase)를 암호화한다. 이 효소는 L-아라비노스를 L-리불로스로 이성질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 반응은 가역적이다.
- ''araB'' 유전자는 리불로키나아제(ribulokinase)를 암호화한다. 이 효소는 ATP를 사용하여 L-리불로스를 인산화시켜 L-리불로스-5-인산을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 반응은 비가역적이다.
- ''araD'' 유전자는 L-리불로스-5-인산 4-에피머라아제(L-ribulose-5-phosphate 4-epimerase)를 암호화한다. 이 효소는 L-리불로스-5-인산과 D-자일룰로스-5-인산 사이의 에피머화(epimerization)를 촉매한다. 이 반응은 가역적이다.
기질 | 효소 | 기능 | 가역성 | 생성물 |
---|---|---|---|---|
L-아라비노스 | AraA | 이성질화 효소 | 예 | L-리불로스 |
L-리불로스 | AraB | 리불로키나아제 | 아니요 | L-리불로스-5-인산 |
L-리불로스-5-인산 | AraD | 에피머라아제 | 예 | D-자일룰로스-5-인산 |
최종적으로 생성된 D-자일룰로스-5-인산은 오탄당 인산 경로(pentose phosphate pathway)의 중간 대사 산물이다. 이 경로는 오탄당(5탄당)의 대사를 육탄당(6탄당)의 대사와 연결하여 세포의 주요 에너지 생산 및 생합성 경로로 이어지게 한다.[6][26]
4. 조절
L-아라비노스 오페론의 발현은 CAP(Catabolite activator protein, 이화물 활성 단백질)-cAMP 복합체와 AraC 단백질이라는 두 가지 주요 조절 인자에 의해 정교하게 통제된다.
AraC 단백질은 동종이량체로 기능하며, L-아라비노스의 존재 유무에 따라 L-아라비노스 오페론의 작동 부위(operator) 및 개시 부위(initiator)와 상호작용하여 ''araBAD'' 유전자 전사를 양성적 또는 음성적으로 조절한다. 각 AraC 단량체는 DNA에 결합하는 도메인과 이량체 형성을 담당하며 아라비노스와 결합하는 도메인으로 구성된다.[9][29][10][30] 아라비노스가 결합하면 AraC 단백질은 입체 구조가 변하며, 이는 알로스테릭 유도 물질인 아라비노스에 의해 조절되는 중요한 특징이다.[6][26][11][31]
또한, AraC 단백질은 자신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스스로의 합성을 억제하는 자기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는 AraC 이량체가 특정 작동 부위(''araO1'')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CAP-cAMP 복합체는 주로 세포 내 포도당 농도에 반응하여 오페론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카타볼라이트 억제라는 중요한 조절 방식의 일부이다.
4. 1. AraC 단백질에 의한 조절
L-아라비노스 시스템은 CAP-cAMP 활성인자뿐만 아니라, AraC 단백질의 결합을 통해 양성적 또는 음성적으로 조절된다. AraC는 동종이량체로 기능하며, L-아라비노스 오페론의 작동 부위(operator)와 개시 부위(initiator)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araBAD''의 전사를 조절한다. 각 AraC 단량체는 DNA 결합 도메인과 이량체화 도메인이라는 두 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된다.[9][29] 이량체화 도메인은 아라비노스 결합에 관여하며,[10][30] 아라비노스가 결합하면 AraC는 입체 구조 변화를 겪어 두 가지 뚜렷한 형태를 갖게 된다.[6][26] 이 형태 변화는 알로스테릭 유도 물질인 아라비노스의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11][31]
또한, AraC는 자신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자체 발현을 음성적으로 자기 조절한다. 이량체 형태의 AraC가 특정 작동 부위(''araO1'')에 결합하면 AraC 합성이 억제된다.

아라비노스가 없을 때 (음성 조절)아라비노스가 없으면 세포는 아라비노스를 분해하는 ''araBAD'' 유전자의 산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때 이량체 AraC는 억제자로 작용한다. 한 단량체는 ''araBAD'' 유전자의 작동 부위 중 하나인 ''araO2''에 결합하고, 다른 단량체는 멀리 떨어진 DNA 부위인 ''araI1''에 결합한다.[12][32] 이 결합 방식은 DNA가 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DNA 루프(loop)를 형성하게 한다.[13][33] 이 구조는 RNA 중합효소가 ''araBAD'' 프로모터에 접근하여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14][34] 결과적으로 구조 유전자 ''araBAD''의 전사가 억제된다.[15][35]

아라비노스가 있을 때 (양성 조절)''araBAD'' 오페론의 발현은 포도당이 없고 아라비노스가 있을 때 활성화된다. 아라비노스가 존재하면 AraC와 CAP는 함께 활성인자(activator)로 작용한다.[16][36]
아라비노스가 AraC의 이량체화 도메인에 결합하면 AraC의 입체 구조가 변한다. 이 변화로 인해 AraC-아라비노스 복합체는 ''araO2''에서 떨어져 나가고 DNA 루프 구조가 풀린다. 대신, AraC-아라비노스 복합체는 인접한 두 개의 DNA 부위인 ''araI1''과 ''araI2''에 결합하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더 유리해진다. 한 단량체는 ''araI1''에, 다른 단량체는 ''araI2''에 결합하는데, ''araI2''에 대한 결합은 아라비노스에 의해 알로스테릭하게 유도된다. 이 배치에서는 AraC 단량체 중 하나가 ''araBAD'' 프로모터 근처에 위치하게 되어, RNA 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전사를 시작하도록 돕는다.[17][37]
4. 2. CAP-cAMP 복합체에 의한 조절 (카타볼라이트 억제)
''araBAD'' 오페론의 발현은 포도당이 없고 아라비노스가 있을 때 활성화된다. 아라비노스가 존재할 때, AraC와 CAP는 함께 작동하여 활성제 역할을 한다.[16]
CAP(Catabolite activator protein, 이화물 활성 단백질)는 대장균(E. coli)이 가장 선호하는 당인 포도당이 없을 때만 전사 활성인자로 작용한다.[18] 포도당이 부족하면 세포 내 cAMP(cyclic AMP) 농도가 높아지고, cAMP는 CAP 단백질과 결합하여 CAP-cAMP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복합체는 ''araI1''과 ''araO1'' 사이에 위치한 CAP 결합 부위에 결합한다.[19] CAP-cAMP 복합체의 결합은 ''araI1''과 ''araO2'' 사이의 DNA 고리 구조를 열어주어, AraC 단백질이 ''araI2'' 부위에 더 잘 결합하도록 돕는다. 결과적으로 RNA 중합효소가 ''araBAD''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것을 촉진하여, L-아라비노스를 대사하는 데 필요한 ''araBAD'' 유전자의 발현을 활성화시킨다. 이는 포도당이 없을 때 다른 당(여기서는 아라비노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세포의 조절 메커니즘인 카타볼라이트 억제(catabolite repression)의 한 예이다.
4. 3. AraC 단백질의 자기 조절
AraC 단백질은 자신의 농도가 너무 높아질 경우, 스스로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음성 자기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16][36] 세포 내 AraC 단백질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지면, 이량체 형태의 AraC 단백질이 ''araC'' 유전자의 오퍼레이터 부위인 ''araO1''에 결합한다.[20][40] 이 결합은 RNA 중합효소가 ''araC''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접근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 전사 과정을 차단한다.[20][40] 결과적으로 새로운 AraC 단백질의 합성이 억제되어, 세포 내 AraC 단백질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16][36]5. 단백질 발현 시스템에서의 응용
L-아라비노스 오페론은 1970년대부터 분자 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 되어 왔으며, 유전학, 생화학, 생리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었다.[3][23] 이 오페론은 단백질 발현 시스템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는 ''araBAD'' 프로모터가 외부 조절 물질(아라비노스)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원하는 유전자를 ''araBAD'' 프로모터 뒤에 연결하여, 배지에 아라비노스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pGLO 플라스미드가 있다. 이 플라스미드는 ''PBAD'' 프로모터의 조절 하에 녹색 형광 단백질(GFP)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배지에 아라비노스를 첨가하면 GFP가 생산되어 녹색 형광을 띠게 된다.
참조
[1]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1
[2]
논문
Regulation of the L-arabinose operon of ''Escherichia coli''
[3]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gene
Addison-Wesley
2008
[4]
논문
AraC protein, regulation of the l-arabinose operon in, and the light switch mechanism of AraC action
[5]
논문
DNA looping and unlooping by AraC protein.
1990
[6]
논문
AraC protein: A love-hate relationship
[7]
논문
The regulatory region of the l-arabinose operon: A physical, genetic and physiological study
1975
[8]
논문
The Escherichia coli L-arabinose operon: binding sites of the regulatory proteins and a mechanism of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1980
[9]
논문
Functional domains of the AraC protein.
1993
[10]
논문
Arm-domain interactions in AraC.
1998
[11]
서적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Freeman
2015
[12]
논문
Regulation of the regulatory gene for the arabinose pathway, ''araC''
1976
[13]
논문
Apo-AraC actively seeks to loop
[14]
논문
Regulation of the ''Escherichia coli'' L-arabinose operon studied by gel electrophoresis DNA binding assay
1984
[15]
서적
Molecular 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12
[16]
서적
Molecular genetics of bacteria
ASM Press
2013
[17]
서적
Genetics : from genes to genomes
https://archive.org/[...]
McGraw-Hill Education
2010
[18]
서적
Molecular biology : principles and practice
W.H. Freeman
2012
[19]
서적
Modern genetic analysis: integrating genes and genomes
https://archive.org/[...]
W.H. Freeman
2002
[20]
논문
Mechanism of ''araC'' autoregulation and the domains of two overlapping promoters, ''Pc'' and ''PBAD'', in the L-arabinose regulatory region of ''Escherichia coli''.
[21]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1
[22]
논문
Regulation of the L-arabinose operon of ''Escherichia coli''
[23]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gene
Addison-Wesley
2008
[24]
논문
AraC protein, regulation of the l-arabinose operon in, and the light switch mechanism of AraC action
[25]
논문
DNA looping and unlooping by AraC protein.
1990
[26]
논문
AraC protein: A love-hate relationship
[27]
논문
The regulatory region of the l-arabinose operon: A physical, genetic and physiological study
1975
[28]
논문
The Escherichia coli L-arabinose operon: binding sites of the regulatory proteins and a mechanism of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1980
[29]
논문
Functional domains of the AraC protein.
1993
[30]
논문
Arm-domain interactions in AraC.
1998
[31]
서적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Freeman
2015
[32]
논문
Regulation of the regulatory gene for the arabinose pathway, ''araC''
1976
[33]
논문
Apo-AraC actively seeks to loop
[34]
논문
Regulation of the ''Escherichia coli'' L-arabinose operon studied by gel electrophoresis DNA binding assay
1984
[35]
서적
Molecular 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12
[36]
서적
Molecular genetics of bacteria
ASM Press
2013
[37]
서적
Genetics : from genes to genomes
https://archive.org/[...]
McGraw-Hill Education
2010
[38]
서적
Molecular biology : principles and practice
W.H. Freeman
2012
[39]
서적
Modern genetic analysis: integrating genes and genomes
https://archive.org/[...]
W.H. Freeman
2002
[40]
논문
Mechanism of ''araC'' autoregulation and the domains of two overlapping promoters, ''Pc'' and ''PBAD'', in the L-arabinose regulatory region of ''Escherichia coli''.
[41]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1
[42]
간행물
Regulation of the L-arabinose operon of ''Escherichia co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