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탄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탄당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단당류로, 알데히드기(알도헥소스) 또는 케톤기(케토헥소스)를 포함한다. 알도헥소스는 4개의 키랄 중심을 가져 16가지 입체 이성질체를 가지며, D-글루코스와 같은 중요한 당을 포함한다. 케토헥소스는 3개의 키랄 중심을 가지며 과당이 대표적이다. 육탄당은 고리형 구조(헤미아세탈 또는 헤미케탈)를 형성하며, α와 β 형태의 변광회전을 통해 서로 변환될 수 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육탄당은 생물학적 중요성이 크며, D-포도당은 주요 에너지원이고, 과당은 단맛을 내는 데 기여한다. 디옥시헥소스는 수산기가 수소로 대체된 육탄당으로, 퓨코스, 람노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육탄당 | |
---|---|
개요 | |
![]() | |
![]() | |
화학식 | C6H12O6 |
일반식 | H(CHOH)n−1C(O)(CHOH)6−nH |
작용기 | OH, CO, CHO |
상세 정보 | |
분류 | 단당류, 탄수화물 |
탄소 원자 수 | 6 |
케톤기 위치 | C=O (2번 탄소) |
알데히드기 위치 | CH=O (1번 탄소) |
이성질체 | D-형, L-형 |
종류 | 글루코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만노스 소르보스 타가토스 푸코스 |
기타 종류 | Psicose 알로스 알트로스 글루코스 만노스 굴로스 아이도스 갈락토스 탈로스 리보스 |
2. 분류
헥소스(Hexose영어)는 탄소 원자 6개를 포함하는 단당류이다. 헥소스는 작용기에 따라 1번 탄소에 알데하이드기를 갖는 알도헥소스와 2번 탄소에 케톤기를 갖는 케토헥소스로 분류할 수 있다.[2][3]
2. 1. 알도헥소스
알도헥소스는 1번 탄소에 알데하이드기를 갖는 헥소스이다.[2][3] 4개의 키랄 중심을 가지므로 16가지(24)의 입체이성질체가 가능하다. D/L 배열은 5번 탄소의 하이드록시기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광학 활성과는 관련이 없다.8가지 D-알도헥스는 다음과 같다.
이들 D-이성질체 중에서 D-알트로스를 제외한 나머지는 자연계에서 생성된다. L-알트로스는 세균 ''Butyrivibrio fibrisolvens''로부터 분리되었다.[4]
헤르만 에밀 피셔는 D-알도헥소스의 배열을 쉽게 기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억술을 고안했다.
: '''All''' '''altr'''uists '''gl'''adly '''ma'''ke '''gu'''m '''i'''n '''gal'''lon '''ta'''nks.
이는 알로스('''all'''ose), 알트로스('''altr'''ose), 글루코스('''gl'''ucose), 만노스('''ma'''nnose), 굴로스('''gu'''lose), 이도스('''i'''dose), 갈락토스('''gal'''actose), 탈로스('''ta'''lose)를 의미한다.
2. 1. 1. 고리형 헤미아세탈
알도헥소스는 고리형 헤미아세탈을 형성할 수 있다.[16] 아래 그림은 D-글루코스와 D-만노스의 헤미아세탈 형태를 보여준다.사슬형에서의 탄소 번호는 헤미아세탈 형태에서의 탄소 번호와 동일하다. 사슬형에서 대칭 탄소였던 1번 탄소가 헤미아세탈을 형성하면서 고리형에선 비대칭 탄소가 된다. 비대칭 탄소가 하나 더 늘어나면서 글루코스와 만노스(다른 알도헥소스도 마찬가지)는 2개의 고리형(α와 β 아노머)을 갖게 된다. 수용액에서 고리형과 사슬형은 서로 평형을 이룬다. 그러나 사슬형은 결정화되진 않는다. 따라서 두 고리형은 결정화될 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글루코스는 +112°의 비선광도 및 146 °C의 녹는점을 갖는 알파 결정 뿐만 아니라 +19°의 비선광도와 150 °C의 녹는점을 갖는 베타 결정을 형성한다.[16]
2. 2. 케토헥소스
케토헥소스는 케톤기를 갖는 헥소스이다.[2][3][5] 3개의 키랄 중심을 가지므로 8가지(23)의 입체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이 중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은 4가지 D-이성질체 (프시코스, 프럭토스(과당), 소르보스, 타가토스)뿐이다.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육탄당만이 효모에 의해 발효될 수 있다. 케토헥소스 중에서는 2-케토헥소스가 중요하며, 그중에서도 과당이 가장 중요하다.
2. 2. 1. 3-케토헥소스
3번 위치에 카보닐기를 가지고 있는 케토헥소스는 자연계에서 발견되지 않으며, 합성하기 어렵다.[13]1897년, 과당을 염기, 특히 수산화 납(II)로 처리하여 얻은 발효 불가능한 생성물에 "글루토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이는 "글루코스"와 "과당"의 합성어이며 3-케토헥소스라고 주장되었다.[10][11]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 이 물질은 다양한 다른 화합물의 혼합물임이 밝혀졌다.[11][12]
''자일로''-3-헥술로스의 명확한 합성 및 분리는 1961년 조지 U. 유엔과 제임스 M. 스기하라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13]
3. 고리형 구조
대부분의 탄소가 5개 이상인 단당류와 마찬가지로, 각 알도헥소스 또는 2-케토헥소스는 개방형 사슬 형태에서 분자내 반응을 통해 카르보닐기와 수산기 중 하나 사이에서 유도된 하나 이상의 고리형(폐쇄 사슬) 형태로 존재한다.
이 반응은 카보닐기()를 수산기로, 수산기를 두 탄소 원자 사이의 에테르 브리지()로 바꿔, 하나의 산소 원자와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고리를 생성한다.
고리가 탄소 원자 5개(총 6개 원자)를 가지는 경우, 폐쇄형은 동일한 고리를 가진 고리형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피란의 이름을 따서 피라노스라고 불린다. 고리가 탄소 원자 4개(총 5개)를 가지는 경우, 이 형태는 화합물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이름을 따서 푸라노스라고 불린다.[14] 폐쇄형에서 탄소의 관례적인 번호 매기기는 개방형 사슬 형태와 동일하다.
당이 위치 1에 카르보닐기를 가진 알도헥소스인 경우, 반응은 탄소 4 또는 탄소 5의 수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5원 또는 6원 고리를 가진 헤미아세탈을 생성한다. 당이 2-케토헥소스인 경우, 탄소 5의 수산기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5원 고리를 가진 헤미케탈을 생성한다.
폐쇄는 카르복실 탄소를 키랄 중심으로 바꿔, 새로운 수산기의 위치에 따라 두 가지 구성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선형 형태의 각 헥소스는 "α"와 "β" 접두사로 식별되는 두 가지 뚜렷한 폐쇄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D-글루코스와 D-과당의 폐쇄 형태, 하워스 투영법.
1926년부터 결정질 고체 상태의 헥소스가 고리형 형태를 취한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α"와 "β" 형태는 일반적으로 뚜렷한 종으로 별도로 결정화된다. 예를 들어, D-글루코스는 +112°의 비선광도와 146 °C의 녹는점을 갖는 α 결정을 형성하고, +19°의 비선광도와 150 °C의 녹는점을 갖는 β 결정을 형성한다.[14]
선형 형태는 결정화되지 않으며, 폐쇄 형태와 평형을 이루는 수용액에서 소량으로만 존재한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형태는 그러한 폐쇄 형태 사이의 중간 단계로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α"와 "β" 형태는 개방형 사슬 형태로 되돌아간 다음 반대 구성으로 닫힘으로써 서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과정을 변광회전이라고 한다.
4. 변광회전
탄수화물의 알데하이드 및 케톤 작용기는 인접한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하여 같은 분자 내에서 헤미아세탈과 헤미케탈을 각각 형성한다. 그 결과 생기는 고리 구조는 피란과 관련있으며 피라노스라고 불린다. 고리는 자발적으로 개폐되며 카보닐기와 인접한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에 대해 회전이 일어나도록 하여 두 개의 구분되는 입체배열(α와 β)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변광회전이라고 한다.[14]
"α"와 "β" 형태는 개방형 사슬 형태로 되돌아간 다음 반대 구성으로 닫힘으로써 서로 변환될 수 있는데, 이 과정 또한 변광회전이라고 한다.
5. 화학적 성질
모든 육탄당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몇 가지 일반적인 특성을 공유하지만, 각 거울상 이성질체 쌍은 고유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7] 2-케토헥소스는 넓은 pH 범위에서 안정적이며, 알도헥소스보다 약간 덜 안정하다.
6. 자연 발생 및 이용
D-글루코스는 생화학에서 가장 중요한 알도헥소스로, 많은 생물체에서 대사의 주요 연료이다. 2-케토헥소스인 프시코스, 과당, 타가토스는 D영어-이성질체로 자연 발생하며, 소르보스는 L영어-이성질체로 자연 발생한다.
D영어-소르보스는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의 상업적 합성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8] D영어-타가토스는 음식에서 소량 발견되는 드문 자연 발생 케토헥소스이다.[9] D영어-과당은 많은 과일의 단맛을 담당하며 일반적인 설탕인 수크로스의 구성 요소이다.
7. 디옥시헥소스
"헥소스"라는 용어는 때때로 하나 이상의 수산기(-OH)가 수소 원자(-H)로 대체된 디옥시헥소스를 포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모체 헥소스에 "'x'-디옥시-" 접두사를 붙여 명명되며, 여기서 'x'는 영향을 받는 수산기가 있는 탄소를 나타낸다. 생물학적으로 흥미로운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D-Psicose"
https://pubchem.ncbi[...]
Pubchem
2018-04-26
[2]
서적
Essentials of Carbohydrate Chemistry and Biochemistry
Wiley-VCH
[3]
서적
Essentials of Carbohydrate Chemistry
Springer
[4]
특허
Microbial production of L-altrose
[5]
서적
The vocabulary of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Wiley
[6]
웹사이트
"{{sc|D}}-Psicose"
https://pubchem.ncbi[...]
Pubchem
2018-04-26
[7]
웹사이트
Fructose
https://pubchem.ncbi[...]
Pubchem
2018-04-26
[8]
웹사이트
"Sorbose, {{sc|D}}-"
https://pubchem.ncbi[...]
Pubchem
2018-04-26
[9]
웹사이트
Tagatose
https://pubchem.ncbi[...]
Pubchem
2018-04-26
[10]
간행물
"Action des alcalis sur les sucres. VI: La glutose et la pseudo‐fructose"
1897-09
[11]
간행물
Chemical Nature of Glutose
1949-03
[12]
간행물
Studies on the Chemical Decomposition of Simple Sugars. XIII. Separation of the So-called Glutose (a 3-Ketohexose)
1962-12
[13]
간행물
[14]
서적
Organic Chemistry
[15]
특허
Microbial production of L-altrose
https://worldwide.es[...]
1990-10-30
[16]
서적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Allyn and Bac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