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데이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G데이콤은 1982년 설립된 한국데이터통신에서 시작하여, PC통신 천리안, 시외 전화 사업 등을 운영한 대한민국의 통신 회사이다. LG그룹에 인수된 후, 2006년 LG데이콤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LG파워콤과 합병하여 초고속인터넷, 인터넷 전화 myLG070, IPTV 서비스를 제공했다. 2010년 LG텔레콤과 합병하여 LG유플러스로 변경되었다. myLG070은 LG데이콤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로, 070 번호를 사용하며, 2010년 LG유플러스로 합병된 후 U+ 070으로 서비스명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LG데이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LG데이콤 |
원어 | LG Dacom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한국데이터통신: 1982년 3월 29일 |
해체 | 한국데이터통신: 1991년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인물 | 부회장 이상철 |
산업 | 통신업 |
자본금 | 416,400,000,000원 (2007년) |
매출액 | 1,353,100,000,000원 (2007년) |
자산 총액 | 2,022,600,000,000원 (2007년) |
주주 | (주)LG (30.0%), 외국인 (27.9%), 기타 (42.11%) (2007년) |
모기업 | LG그룹 |
자회사 | (주)LG파워콤, (주)데이콤멀티미디어인터넷 |
종업원 | 1,382명 (2007년) |
웹사이트 | LG데이콤 |
2. 역사
1981년 체신부의 '데이터통신 육성추진계획'에 따라 1982년 3월 29일 '''한국데이터통신'''이 설립되었다.[1] 한국데이터통신은 그해 4월 대한민국 최초의 부가가치 통신사업자가 되었다. 삼성그룹과 LG그룹이 합작하여 설립하였으며, 두 회사의 지분을 균등하게 유지하여 대기업집단과 무관하게 경영권을 유지하던 통신 전문업체였다.
1990년 9월 PC통신 천리안(PC-Serve)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1991년 11월 법인명을 (주)데이콤으로 변경하였다. 같은 해 12월 미국, 홍콩, 일본으로의 국제 전화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1996년 1월 시외 전화 사업권을 획득하였다.
2000년 1월, LG그룹이 지분을 늘려 경영권을 확보하면서 데이콤은 완전 민영화되었다. 2002년 12월 16일 LG파워콤 지분 45.5%를 취득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고, 2006년 9월 22일 법인명을 (주)LG데이콤으로 변경하며 LG그룹의 계열사가 되었다. 2010년 1월 1일, LG파워콤, LG텔레콤과 함께 통합 LG텔레콤으로 합병되었고, 기존의 서비스는 통합 법인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2010년 7월 1일 사명을 LG유플러스로 변경하였다.
2. 1. 한국데이터통신 설립
1982년 3월 29일 체신부의 ‘데이터통신 육성추진계획’에 따라 '''한국데이터통신'''이 설립되었다. 그해 4월 대한민국 최초로 부가가치 통신사업자가 되었다.[1] 삼성그룹과 LG그룹의 합작 투자로 설립되었으며, 두 회사의 지분을 균등하게 유지하여 대기업집단과 무관하게 경영권을 유지하던 통신 전문업체였다.2. 2. 데이콤의 주요 사업
1982년 3월 29일 한국데이터통신이 설립되었고, 같은 해 4월 대한민국 최초로 부가가치 통신사업자가 되었다.[1] 1990년 9월 PC통신 천리안(舊 PC-Serve)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1991년 11월 법인명을 (주)데이콤으로 변경하고, 같은 해 12월 미국, 홍콩, 일본으로의 국제 전화 사업을 시작하였다. 1996년 1월 시외 전화 사업권을 획득하였다.2. 3. LG그룹 인수 및 합병
2000년 1월 LG그룹이 지분을 늘려 경영권을 확보하면서 완전 민영화되었다.[1] 2002년 12월 16일 LG파워콤 지분 45.5%를 취득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고, 2006년 9월 22일 법인명을 (주)LG데이콤으로 변경하며 LG그룹의 계열사가 되었다. 기업용 인터넷 서비스 보라넷, 인터넷 스토리지 서비스 웹하드, 인터넷 데이터센터 KIDC를 운영하였으며, 가정용 결합상품으로 LG파워콤과 초고속인터넷서비스 XPEED, 인터넷 전화 myLG070, IPTV myLGtv를 운영하였다. 2010년 1월 1일 LG파워콤, LG텔레콤과 합병하여 통합 LG텔레콤이 출범하였고, 기존 서비스는 통합 법인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2010년 7월 1일 사명을 LG유플러스로 변경하였다.3. myLG070 (U+ 070)
myLG070은 2007년 6월 20일 LG데이콤이 시작한 초고속 인터넷 기반 인터넷전화 서비스로, 전화 통화와 문자 메시지 기능을 제공했다. 2010년 1월 1일 LG텔레콤, LG파워콤과의 합병으로 통합LG텔레콤의 서비스가 되었으며, 2010년 7월 1일 사명 변경(통합LG텔레콤 → LG U+)에 따라 서비스명도 U+ 070으로 변경되었다.
070 번호가 부여되며, 이사를 해도 번호가 바뀌지 않는다. 기존 전화번호도 번호이동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myLG070은 두 개의 Wi-Fi SSID를 제공한다.
3. 1. 서비스 개요
myLG070은 2007년 6월 20일 LG데이콤이 시작한 초고속 인터넷 기반 인터넷전화 서비스로, 전화 통화와 문자 메시지 기능을 제공했다.[1] 2010년 1월 1일 LG텔레콤, LG파워콤과의 합병으로 통합LG텔레콤의 서비스가 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일 사명 변경(통합LG텔레콤 → LG U+)에 따라 서비스명도 U+ 070으로 변경되었다.3. 2. 특징
070-XXXX-XXXX 형태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며, 이사를 하더라도 번호가 바뀌지 않는다. 기존 전화번호도 번호이동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나, 기존 번호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부가 요금이 계속 부과된다.3. 3. 요금제
myLG070의 요금제는 다음과 같다.[1]구분 | 요금 |
---|---|
시내/시외 (3분) | 시내/시외 구분 없이 39원 |
이동통화 (10초) | 7.25원 (이동전화요금할인제) |
국제전화 (1분) | 50원 (myLG070에서 002를 눌러 유선전화와 통화한 경우에 적용) |
myLG070 간 | 무료 |
3. 4. SSID
myLG070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두 개의 Wi-Fi SSID를 제공한다. 하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제공하고 하나는 전화 통화를 위해서 제공하는데, 전화 통화를 위해 제공하는 SSID인 myLG070은 공통이어서 myLG070이 제공하는 다른 AP(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동작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