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at the Rega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ive at the Regal은 1964년 11월 21일 미국 시카고의 리갈 시어터에서 녹음된 B.B. 킹의 라이브 앨범이다. 듀크 제스로, 레오 로치, 케네스 샌즈, 조니 보드, 바비 포테, 소니 프리먼 등이 참여했으며, 멤피스 슬림, 존 리 후커 등의 곡과 B.B. 킹의 자작곡 10곡이 수록되었다. 이 앨범은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롤링 스톤지 선정 "역대 최고의 음반 500"에서 141위, "역대 최고의 라이브 음반 50"에서 5위를 기록했고, 2006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15년 B.B. 킹 사후에는 여러 국가의 앨범 차트에 재진입했으며, 에릭 클랩튼, 지미 헨드릭스, 마크 노플러 등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라이브 음반 - Got Live If You Want It! (EP)
1965년에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EP 음반인 Got Live If You Want It! (EP)는 슬림 하포의 곡을 패러디한 제목으로, 영국 EP 차트 1위를 기록하고 CD, 디지털, 바이닐 레코드로 재발매되었다. - 1965년 라이브 음반 - In Concert (더 더블리너스의 음반)
더 더블리너스의 1965년 음반 《In Concert》는 아일랜드 민요와 독립 운동 관련 곡들을 담고 있으며, "오래된 오렌지 플루트"는 논란을 일으켰지만 라이브 공연 분위기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B.B. 킹의 라이브 음반 - Blues Is King
B.B. 킹의 앨범 《Blues Is King》은 올뮤직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그의 기타 연주와 보컬 조화, 자작곡 "Blues Is King"을 포함한 다양한 수록곡, 그리고 여러 음악가들의 참여로 그의 음악적 역량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B.B. 킹의 라이브 음반 - Live in Cook County Jail
《Live in Cook County Jail》은 B.B. 킹이 쿡 카운티 교도소에서 수감자들을 위해 공연한 실황 앨범으로, 교도소 환경 개선과 희망 전달을 위해 기획되었으며, 다양한 뮤지션이 참여하여 블루스, 재즈, 가스펠 등 여러 장르가 혼합된 음악을 선보여 상업적 성공과 사회적 유산을 남겼다. - 시카고의 음악 - 시카고 블루스
시카고 블루스는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남부에서 북부 도시로 이주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들이 클래식 블루스로부터 발전시킨 음악 장르로, 전기 기타와 증폭된 하모니카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머디 워터스와 하울링 울프 같은 대표 음악가를 배출했고 현재까지도 시카고의 대표적인 음악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시카고의 음악 - 시카고 극장
시카고 극장은 시카고 루프 지역에 위치한 공연장으로, 1921년 개장하여 영화 상영과 라이브 공연을 모두 선보였으며, 1986년 복원 공사를 거쳐 재개장하여 현재 다양한 공연을 제공하고 미국 국가 사적지 및 시카고 랜드마크로 지정되어 있다.
Live at the Rega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Live at the Regal |
종류 | 라이브 |
가수 | B.B. 킹 |
![]() | |
발매일 | 1965년 |
녹음일 | 1964년 11월 21일 |
녹음 장소 | 리갈 시어터, 일리노이주 시카고 |
장르 | 블루스 |
길이 | 34분 46초 |
레이블 | ABC |
프로듀서 | 조니 페이트 |
음반 평가 | |
AllMusic | 5/5 |
The Rolling Stone Jazz Record Guide | 5/5 |
MusicHound Blues | 5/5 |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 5/5 |
The Penguin Guide to Blues Recordings | 별 4개 + "왕관" |
차트 성적 (2015년, 리이슈) | |
스위스 | 44위 |
미국 | 56위 |
오스트리아 | 65위 |
독일 | 85위 |
영국 | 96위 |
이전 음반 및 다음 음반 | |
이전 음반 | My Kind of Blues (1961년) |
다음 음반 | Confessin' the Blues (1966년) |
2. 녹음 및 구성
《Live at the Regal》은 1964년 11월 21일 시카고의 리갈 시어터에서 녹음되었다.[11] B.B. 킹은 이전에 리갈 시어터에서 "수백 번" 공연했다고 말했다.[11]
당시 킹의 백 밴드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11]
악기 | 연주자 |
---|---|
피아노 | 듀크 제트로 (Duke Jethro) |
베이스 | 레오 라우치 (Leo Lauchie) |
트럼펫 | 케네스 샌즈 (Kenneth Sands) |
테너 색소폰 | 조니 보드 (Johnny Board) |
테너 색소폰 | 바비 포르테 (Bobby Forte) |
드럼 | 소니 프리먼 (Sonny Freeman) |
《Live at the Regal》에는 총 10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B.B. 킹의 자작곡과 다른 블루스 음악가들의 곡을 커버한 곡들이 함께 실려 있다.
원래 듀크 제트로는 오르간을 연주할 예정이었으나, 공연 당일 그의 오르간이 고장 나면서 킹은 제트로에게 피아노를 연주하도록 지시했다.[12] 제트로가 피아노를 칠 줄 모른다고 말하자, 킹은 "그냥 앉아서 시늉이나 해. 어차피 대부분 그렇게 하잖아!"라고 농담조로 답했다고 전해진다.[12]
3. 곡 목록
3. 1. 수록곡
'''사이드 1'''
# "Every Day I Have the Blues" (멤피스 슬림) – 2:38
# "Sweet Little Angel" (B.B. 킹, 줄스 타우브) – 4:12
# "It's My Own Fault" (존 리 후커) – 3:29
# "How Blue Can You Get" (제인 페더) – 3:44
# "Please Love Me" (킹, 줄스 타우브) – 3:01
'''사이드 2'''
# "You Upset Me Baby" (조 조세아, 맥스웰 데이비스) – 2:22
# "Worry, Worry" (데이비스 플럼버, 타우브) – 6:24
# "Woke Up This Mornin'" (킹) – 1:45
# "You Done Lost Your Good Thing Now" (킹, 조세아) – 4:16
# "Help the Poor" (찰리 싱글턴) – 2:58
4. 참여 음악가
앨범 녹음에는 B.B. 킹과 그의 백 밴드가 참여했다. 피아니스트 듀크 제스로는 원래 오르간을 연주할 예정이었으나 악기 문제로 피아노를 연주하게 되었다.[35]
- B.B. 킹 – 기타, 보컬
- 레오 로치 – 베이스[34]
- 듀크 제스로 – 피아노[34][35]
- 소니 프리먼 – 드럼[34]
- 바비 포르테 – 테너 색소폰[34]
- 조니 보드 – 테너 색소폰[34]
- 케니 "케네스" 샌즈 – 트럼펫[34]
- E. 로드니 존스 – 진행자
- 퍼비스 스팬 – 진행자
4. 1. 기술
- 론 스틸 시니어 – 녹음 엔지니어
- 돈 브론스타인 – 커버
5. 평가
올뮤직의 다니엘 지오프레는 이 앨범에 만점인 5점을 부여하며 "이 음반의 모든 곳에서 명인의 기타 연주가 울려 퍼지며, 그의 오랜 경력 중 최고의 연주가 여기에 담겨 있다", "B.B. 킹의 팬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의 블루스 팬들에게도 절대적으로 소장해야 할 작품"이라고 높이 평가했다.[22]
음악 전문지 『롤링 스톤』은 "역대 최고의 음반 500" 목록에서 이 앨범을 141위로 선정했으며[23], "역대 최고의 라이브 음반 50" 목록에서는 5위에 올렸다.[24] 또한, 2006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영예를 안았다.[25]
기타 전문지 『기타 월드』는 2017년 "B.B. 킹의 기타가 가장 위대했던 순간 10"이라는 기획 기사에서 이 앨범에 수록된 곡 "Sweet Little Angel"의 연주를 1위로 선정하며 그 가치를 인정했다.[26]
5. 1. B.B. 킹의 자평
B.B. 킹 본인은 후년에 "많은 사람들이 평론가들에게 사랑받은 'Live at the Regal'을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반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좋은 음반이지만,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반은 아니다. 나는 'My Kind of Blues'(1961년)를 가장 좋아한다.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나뿐이지만"이라고 언급했다.[27]6. 차트 성적
오리지널 릴리스 당시에는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2015년 5월 14일 B.B. 킹이 사망한 이후 여러 국가에서 종합 앨범 차트에 재진입했다.
미국에서는 1965년 발매 당시 빌보드 R&B 앨범 차트에서 6위를 기록했으나, 종합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는 진입하지 못했다.[16] 이후 1971년에 처음으로 빌보드 200 차트에 78위로 진입했으며[16], 킹의 사망 이후인 2015년 5월 30일자 차트에서는 최고 순위인 56위를 기록했다.[21]
영국에서는 1965년 발매 당시 UK 앨범 차트에 진입하지 못했으나, 킹의 사망 후인 2015년 5월 23일자 차트에서 96위로 차트에 올랐다.[19] 스위스에서는 2014년 9월 28일자 앨범 차트에서 74위를 기록했고, 2015년 5월 24일자 차트에 재진입하여 최고 순위인 44위를 기록했다.[15]
차트 (2014–15)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 차트)[13] | 75 |
스위스 앨범 (슈바이처 히트파라데)[15] | 44 |
영국 앨범 (UK 앨범 차트)[19] | 96 |
미국 빌보드 200[14][21] | 56 |
7. 영향
이 앨범은 많은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에릭 클랩튼은 이 앨범을 자신에게 지대한 영향을 준 작품으로 꼽으며, "만약 그(B.B. 킹)의 업적을 잘 모른다면, 젊은 연주자였던 시절의 나에게 원점이 되었던 B.B. 킹의 '라이브 앳 더 리갈'을 추천하겠어"라고 말했다.[26] 지미 헨드릭스는 제프 벡 그룹 시절의 론 우드와 블루스 필청 음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드에게 이 앨범의 복사본을 건네주었다고 한다.[26] 또한, 마크 노플러는 2015년 B.B. 킹의 부고에 즈음하여 "나는 15세 때 '라이브 앳 더 리갈'을 처음 듣고, 그의 연주와 노래의 울림과 정감, 그리고 그것들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에 압도당했다"라고 코멘트했다.[28]
참조
[1]
웹사이트
B.B. King - Live at the Regal
https://www.allmusic[...]
null
[2]
서적
The Rolling Stone Jazz Record Guide
Rolling Stone
[3]
서적
MusicHound Blues: The Essential Album Guide
Visible Ink Press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5]
서적
The Penguin Guide to Blues Recordings
Penguin Books
[6]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18
[7]
간행물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1-08-02
[8]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16
[9]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Universe
2010-03-23
[10]
서적
All Time Top 1000 Albums
Virgin Books
2000
[11]
서적
B.B. King: There is Always One More Time
https://archive.org/[...]
Hal Leonard Corporation
[12]
웹사이트
Valley man who was organist for BB King remembers the music legend
https://abc30.com/en[...]
2019-09-06
[13]
웹사이트
The ARIA Report
http://www.aria.com.[...]
2019-09-06
[14]
간행물
B.B. King Chart History -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2019-09-06
[15]
문서
B.B. King - Live At The Regal - hitparade.ch
https://hitparade.ch[...]
[16]
웹사이트
B.B. King - Award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8-12-01
[17]
문서
B.B. King - Live At The Regal - austriancharts.at
https://austrianchar[...]
[18]
문서
Offizielle Deutsche Charts
https://www.offiziel[...]
[19]
문서
B.B. KING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s://www.official[...]
[20]
웹사이트
Live at the Regal - B.B. King (ABC-Paramount, 1965)
https://blues.org/bl[...]
The Blues Foundation
2018-12-01
[21]
웹사이트
B.B. King Live At The Regal Chart History -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18-12-01
[22]
웹사이트
Live at the Regal - B.B. King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8-12-01
[23]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8-12-01
[24]
웹사이트
50 Greatest Live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8-12-01
[25]
웹사이트
GRAMMY Hall Of Fame
https://www.grammy.c[...]
Recording Academy
2018-12-01
[26]
웹사이트
B.B. King's 10 Greatest Guitar Moments
https://www.guitarwo[...]
Future plc
2018-12-01
[27]
웹사이트
Jazz news: B.B. King (1925-2015)
https://news.allabou[...]
All About Jazz
2018-12-01
[28]
웹사이트
Eric Clapton and Mark Knopfler pay tribute to BB King
https://www.irishexa[...]
Irish Examiner
2018-12-01
[29]
웹인용
B.B. King - Live at the Regal
https://www.allmusic[...]
2019-09-06
[30]
서적
The Rolling Stone Jazz Record Guide
Rolling Stone
[31]
서적
MusicHound Blues: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32]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33]
웹인용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18
[34]
서적
B.B. King: There is Always One More Time
https://archive.org/[...]
Hal Leonard Corporation
[35]
웹인용
Valley man who was organist for BB King remembers the music legend
https://abc30.com/en[...]
2019-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