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MBC의 지역 방송국이다. 1968년 영동방송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71년 강릉문화방송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15년 삼척MBC와 합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TV 방송과 라디오 방송을 송출한다. TV는 UHD 및 HD 방송을, 라디오는 AM과 FM 채널을 운영하며, 강원 영동 및 영서 북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한다. 지상파 DMB 방송도 송출하고 있으며, 김상호, 민기원, 성스리, 김나연 아나운서 등이 소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의 단체 - KBS강릉방송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KBS강릉방송국은 1941년 개국하여 HLKR 호출 부호를 부여받았으며, 강원도 영동 지역에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고 지역 사회 소식을 전달하는 방송국이다.
  • 강릉시의 단체 - 강릉어항사무소
    강릉어항사무소는 강릉 지역 어항의 개발, 건설,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책임지는 조직으로, 어항 운영 전반과 어업 활동 지원, 이용자 편의 증진을 주요 업무로 수행하며 소장과 개발팀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춘천불교방송
    춘천불교방송은 2002년 춘천에서 개국하여 강원도 지역 방송망을 확장해 왔으며, 춘천, 속초, 양양, 강릉 등에서 방송되고 2023년 6월 11일 춘천시 중앙로 10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 1968년 설립된 단체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1968년 설립된 단체 - 아시아 럭비 연맹
    아시아 럭비 연맹은 아시아 지역의 럭비 종목을 관할하는 기구이며, 36개국 및 지역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고 다양한 대회를 주최하며 이사회 등으로 조직을 구성한다.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기본 정보
제목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영문명MBC Gangwon Yeongdong Broadcasting Gangneung
약칭MBC강원영동 강릉
창립일1968년 3월 29일
개국일라디오 (1968년 6월 22일)
본사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가작로 267 (포남2동)
사장한정우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MBC강원영동
공식 사이트MBC강원영동 홈페이지

2. 본사·지사 소재지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가작로 267에 본사가 있고, 속초시 번영로 170에 속초사무소가 있다.

2. 1. 본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가작로 267에 위치한다.

2. 2. 속초사무소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번영로 170에 위치한다.

3. 연혁

연도내용
1967년
~
1979년
개국 초기 상세 내용 참조
1980년대1980년대 상세 내용 참조
1990년대1990년대 상세 내용 참조
2000년대
~
현재
디지털 시대 상세 내용 참조


3. 1. 개국 초기 (1967년 ~ 1979년)

연도내용
1967년11월 10일: 무선국 허가
1968년3월 29일: 영동방송주식회사(YBC) 설립등기
1968년6월 12일: 주파수 변경(1360㎑에서 1290㎑로), 호출부호 변경(HLSO를 HLAF로)
1968년6월 22일: 개국 (성내동 임시스튜디오)
1968년7월 1일: 서울사무소 개설
1969년8월 31일: 사옥 준공 (현 임당동 스튜디오)
1971년9월 15일: 강릉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변경
1973년12월 31일: 비상주파수 설치(575kHz, 1kW)
1977년11월 1일: 어린이 합창단 창단
1978년11월 23일: 주파수 1290kHz에서 1287kHz로 변경, 비상주파수 575kHz에서 864kHz로 변경


3. 2. 1980년대


  • 1980년 12월 31일: 서울사무소가 폐쇄되었다.[1]
  • 1983년 10월 17일: TV중계소가 개소되었다. (UHF CH 31, 출력 10kW)[1]
  • 1984년 3월 21일: 자동차도서관 "영동호"가 개관되었다.[1]
  • 1984년 12월 1일: 방송 송·중계소 위탁운영이 시작되었다.[1]
  • 1984년 12월 29일: 간이TV중계소(신설악)가 신설되었다.[1]
  • 1985년 6월 22일: FM방송이 개국되었다. (FM 94.3㎒)[1]
  • 1985년 9월 6일: TV연주소가 개국되었다.[1]
  • 1986년 2월 23일: 속초TV중계소가 개국되었다. (CH 23, 출력 100W)[1]
  • 1986년 12월 17일: 양양TV중계소(CH 33, 출력 100W), 옥계TV중계소(CH 41, 출력 100W)가 개국되었다.[1]
  • 1987년 9월 8일: 포남동 신사옥이 착공되었다.[1]
  • 1988년 12월 17일: 포남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1]
  • 1989년 1월 20일: 대관령TV중계소가 개국되었다. (CH 41, 출력 500W)[1]

3. 3. 1990년대

1991년 10월 24일 일본 아키타TV(秋田テレビ|아키타테레비일본어)와 우호제휴를 체결하였다.[1] 1992년 6월 20일 청학기 전국여자 고교축구대회를 창설하였다. 1993년 8월 28일 고성TV중계소(CH 25, 출력 500W)를 개국하였다. 1998년 12월 11일 괘방산송신소를 신축 이전하였다. 1999년 11월 30일 경포송신소를 신축 이전 준공하였다. 1999년 12월 30일 표준FM(FM 96.3MHz)을 개국하였다.

3. 4. 디지털 시대 (2000년대 ~ 현재)

2001년 6월 22일 인터넷방송을 개국하여 TV와 라디오 실시간 방송 및 VOD, AOD 서비스를 시작하였다.[1]

2005년 12월 28일 괘방산송신소에서 디지털TV 방송을 개국하였다. 물리 채널은 14번, 출력은 2.5kW였다.

2006년 4월 18일 중국 닝보전시대(宁波电视台|닝보 텔레비전중국어)와 우호제휴를 체결하였다.

2007년 12월 21일 CH 13A, 출력 2kW로 지상파DMB 방송을 개시하였다.

2012년 10월 25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하였다.

2013년 10월 16일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의 디지털 방송 주파수를 재배치하였다.

2014년 2월 19일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삼척MBC와의 합병을 승인받았다.

2015년 1월 1일 MBC강원영동으로 출범하였다.

4. TV 방송

1983년 10월 괘방산TV송신소가 설치되었고, 2년 후인 1985년 9월 6일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의 TV연주소가 정식으로 개국하였다. 2005년 12월 28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면서 고품질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강원 영동, 영서 북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1]

아날로그TV 방송은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를 기해 종료되었다.[1]

4. 1. 프로그램

일 10분월~금 20:20 ~ 20:45
일 20:10 ~ 20:20성스리



==== 교양·예능 ====

4. 1. 1. 보도

일 10분월~금 20:20 ~ 20:45
일 20:10 ~ 20:20성스리


4. 1. 2. 교양·예능

4. 2. 방송 송출 시설망

호출부호중국어는 HLAF-DTV이다. 가상채널은 11-1이다.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괘방산 송신소CH 534kWCH 142kW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고성 중계소colspan=2 rowspan=5|CH 3490W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산56-1
속초 중계소CH 2350W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도문동 산321 목우재
양양 중계소CH 2890W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 산158-4
대관령 중계소CH 2590W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옥계 중계소CH 2320W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 주수리 산25-4 밥봉


5. 라디오 방송

1968년 6월 22일, 강원도 최초의 민영방송사로 영동방송(주)이 개국하면서 강원문화방송의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었다. 현재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강원 영동, 영서 북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한다.

5. 1. 프로그램

강원영동 강릉방송국은 표준FM과 FM4U 두 채널을 통해 라디오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표준FM은 시사와 보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FM4U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5. 1. 1. MBC강원영동 강릉 라디오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http://www.mbceg.co.kr/program/radio_03 라디오 동서남북평일55분민기원
MBC 정오종합뉴스평일5분민기원
MBC 15시 뉴스평일5분성스리


5. 1. 2. MBC강원영동 강릉 FM4U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에서 송출하는 MBC강원영동 강릉 FM4U 프로그램 정보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김용석의 브런치카페매일1시간김용석 (원주MBC)[1]
정오의 희망곡 김지후입니다2시간김지후 (춘천MBC)
오후의 발견성스리 (MBC강원영동)


5. 2. 방송 송출 시설망

MBC강원영동 강릉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경포 송신소AM 1287㎑10㎾HLAF강원 강릉시 운정동 585
괘방산 송신소FM 96.3㎒3㎾HLAF-SFM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오봉산 중계소FM 99.7㎒100W-강원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산56-1[1]
양양 중계소FM 100.7㎒90W-강원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 산158-4
MBC강원영동 강릉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괘방산 송신소FM 94.3㎒5㎾HLAF-FM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오봉산 중계소FM 96.9㎒100W-강원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산56-1[1]
양양 중계소FM 90.7㎒90W-강원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 산158-4


6. 지상파 DMB 채널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과 함께 투자하여 강원도 내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 방송 및 운영 중이다.[1]

7. 직원

MBC강원영동의 현직 직원은 다음과 같다.

7. 1. 아나운서

7. 2. 강릉 보도국

직책이름
보도국장조규한
취재팀장김인성
취재차장박은지
취재기자이준호, 이아라, 이웅, 배연환
취재부장홍한표, 김형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