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주문화방송은 1970년 7월 9일 원주방송으로 개국하여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 1987년 11월 26일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으며, 강원 영서 남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현재 TV와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며, 2023년 3월 8일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하고 FM 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2000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요양급여 비용 심사, 적정성 평가, 의약품 유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COVID-19 대응에도 기여한다. - 원주시 - 천주교 원주교구
천주교 원주교구는 1965년에 설립되어 강원특별자치도와 충청북도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현재 조규만 주교가 교구장직을 맡고 있고 배론성지, 풍수원 성당 등을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춘천불교방송
춘천불교방송은 2002년 춘천에서 개국하여 강원도 지역 방송망을 확장해 왔으며, 춘천, 속초, 양양, 강릉 등에서 방송되고 2023년 6월 11일 춘천시 중앙로 10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원주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명칭 (한국어) | 원주문화방송 주식회사 |
회사 명칭 (한자) | 原州文化放送 株式會社 |
회사 명칭 (영어) | Won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약칭 | 원주MBC |
구분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70년 7월 9일 |
개국일 | 라디오: 1970년 9월 19일 음악FM: 1986년 8월 28일 TV: 1987년 11월 26일 |
이전 명칭 | 원주방송(주) (1970년 ~ 1971년)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자본금 | 1,258,500,000원 (2015.12) |
매출액 | 12,799,602,180원 (2015) |
영업 이익 | 911,442,115원 (2015) |
순이익 | 1,010,317,568원 (2015) |
자산 총액 | 38,604,960,977원 (2015.12) |
주주 | 문화방송: 60% 재단법인 천주교원주교구유지재단: 40% |
직원 수 | 39명 (2015.12) |
본사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학성길 67 (학성동) |
사장 | 전병덕 (대표이사 사장) |
모기업 | 문화방송 |
웹사이트 | 원주문화방송 |
2. 연혁
- 1970년 7월 9일 : '''원주방송'''으로 개국하여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였다.[1]
- 1978년 11월 23일 : AM 라디오 주파수가 1240kHz에서 1242kHz로 변경되었다.[1]
- 1987년 11월 26일 : 텔레비전 방송(34ch)을 시작하였다.
2. 1. 개국 초기 (1970년대)
1970년 7월 9일 '''원주방송주식회사'''(약칭 '''WBC''') 법인이 설립되었다.[1] 1970년 9월 19일 AM 라디오가 개국하였다. ('''WBC라디오원주''', 호출부호 HLSX, 주파수 1590㎑, 출력 1㎾)[1] 1970년 12월 22일 주파수가 1590㎑에서 1300㎑로 변경되었다.[1]1971년 9월 9일 원주방송주식회사에서 원주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가 변경되었다.[1] 1975년 4월 15일 AM 라디오 출력이 1㎾에서 10㎾로 증강되었다.[1] 1975년 6월 12일 호출부호가 HLSX에서 HLSB로 변경되었다.[1]
1978년 11월 23일 ITU협정에 따라 AM 라디오 주파수가 1300㎑에서 1242㎑로 변경되었다.[1]
2. 2. 발전기 (1980년대)
1984년 6월 30일,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에 백운산 TV 송신소가 개국되었다(UHF CH 34, 10kW).[1] 1986년 8월 28일에는 음악 FM 방송(FM 98.9㎒, 3kW, 백운산송신소)이 개국되었다. 1987년 11월 26일 TV 연주소가 개국하면서 TV 지방 뉴스가 시작되었다. 1988년 9월 4일, 원주MBC 노동조합이 창립되었다.2. 3. 성장기 (1990년대)
- 1992년 5월 25일 : 문막 TVR 개국
- 1992년 10월 30일 : 백운산 TV 송신소 · 태기산 TV 중계소 무인자동 송출 (Recons 설치완료)
- 1994년 5월 21일 : AM송신소 신축 이전 (소초면 장양리 → 소초면 흥양리)[1]
- 1994년 8월 23일 : TV중계차 도입 (차량 8.5ton, 카메라 3대, M/W 2세트)
- 1997년 11월 21일 : 백운산송신소 건물 신축 및 장비이전
- 1997년 12월 9일 : 표준FM 개국 (92.7MHz, 백운산송신소)[1]
- 1999년 11월 30일 : 태기산 중계소 건물 신축 및 장비이전
2. 4. 변혁기 (2000년대)
2000년 10월 25일 태기산 중계소에서 표준FM 방송(FM 102.5㎒, 1㎾)을 개국하였다.[1] 2001년 7월 26일에는 영월 중계소(국지산)에서 표준FM 방송(FM 92.7㎒, 90W)을 개국하였다. 2002년 10월 30일 태기산 중계소 철탑을 신설하고 안테나를 이전하였으며, 11월 15일에는 평창 TVR 국사를 이전하고 FM중계소를 신설하였다. 2003년 12월 19일 백운산송신소 철탑을 신설하였다.2004년 8월 10일 백운산, 태기산 디지털TV방송국 허가 추천을 취득하고, 백운산, 태기산 아날로그TV 예비송신기를 교체하였다. 10월 28일 TV 출력을 증강하여 백운산은 10㎾, 태기산은 5㎾로 출력을 높였다.
2. 5. 디지털 시대 (2010년대 ~ 현재)
2005년 12월 28일 원주문화방송은 백운산과 태기산에서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했다.[1] 2010년 12월 23일 문막 디지털TV 중계소를 개국했다.[1]2012년 10월 25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1] 2013년 10월 16일 태기산 중계소 및 DTVR 확정 채널을 완료했다.[1]
2017년 12월 29일 원주MBC는 평창·횡성 UHD 방송을 개국했다. 이는 서울 본사의 UHD 방송을 송출하는 것이다.[1]
2022년 9월 8일 AM 라디오(1242kHz, 10kW)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 FM 방송으로 전환했다.[1] 2023년 3월 8일 AM 라디오 송출을 완전히 종료했다.[1]
3. 방송 프로그램
원주문화방송은 TV와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TV 방송은 1984년 6월 30일 백운산TV송신소 설치와 1987년 11월 26일 TV연주소 완공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2005년 12월 28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강원 영서 남부지역과 경기도 여주시, 양평군,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한다.[1]
라디오 방송은 1970년 9월 19일 원주방송(주) 개국과 함께 시작되었다. 현재 AM라디오 1개 채널과 FM라디오 2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강원도 영서 남부, 경기도 여주시, 양평군,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을 가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1]
;보도 프로그램
- MBC 5시 뉴스와 경제 원주 - 월~금 오후 5:00 ~ 5:05 (진행: 변정연)[1]
- MBC 뉴스데스크 원주 월~금 밤 8:20 ~ 8:35/일 밤 8:15~8:25 (진행: 변정연/일요일 박지현)[1]
;교양·예능 프로그램
- 보통의존재 - 원주권역 : 매주 금 오후6시[1]
- 강원 365 - 매주 화/수 오후6시[1]
- 생방송 전국시대[1]
- 살맛나는 세상 (OBS경인TV)[1]
- MBC 가요베스트[1]
- 문화콘서트 난장 (광주MBC)[1]
3. 1. TV 방송
1984년 6월 30일 백운산TV송신소에서 설치되었고, 1987년 11월 26일 TV연주소를 갖추면서 개국하였고, 2005년 12월 28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강원 영서 남부지역과 경기도 여주시, 양평군,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1];보도
- MBC 5시 뉴스와 경제 원주 - 월~금 오후 5:00 ~ 5:05 진행 : 변정연[1]
- MBC 뉴스데스크 원주 월~금 밤 8:20 ~ 8:35/일 밤 8:15~8:25 진행 : 변정연/일요일 박지현[1]
;교양·예능
- 보통의존재 - 원주권역 : 매주 금 오후6시[1]
- 강원 365 - 매주 화/수 오후6시[1]
- 생방송 전국시대[1]
- 살맛나는 세상 (OBS경인TV)[1]
- MBC 가요베스트[1]
- 문화콘서트 난장 (광주MBC)[1]
3. 2. 라디오 방송
1970년 9월 19일 원주방송(주)의 개국과 함께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었다. 현재 AM라디오 1개 채널과 FM라디오 2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강원도 영서 남부, 경기도 여주시, 양평군,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을 가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1];보도
- MBC 5시 뉴스와 경제 원주 - 월~금 오후 5:00 ~ 5:05 (진행: 변정연)
- MBC 뉴스데스크 원주 - 월~금 밤 8:20 ~ 8:35 (진행: 변정연) / 일 밤 8:15~8:25 (진행: 박지현)
;교양·예능
3. 2. 1. 원주MBC 라디오
프로그램명 | 요일 | 시간 | 진행자 |
---|---|---|---|
MBC 정오종합뉴스 | 월~금 | 5분 | 김용석 |
MBC 15시 뉴스 | 5분 | 변정연 | |
MBC 17시 뉴스 | 5분 | 박지현 | |
변정연의 시사메이트 | 55분 | 변정연 | |
트로트 팡팡 | 토~일 | 115분 | 노기환, 김용석 |
3. 2. 2. 원주MBC FM4U
프로그램명 | 요일 | 시간 | 진행자 |
---|---|---|---|
김용석의 브런치카페 | 월~일 | 60분 | 김용석 |
정오의 희망곡 김지후입니다 | 120분 | 춘천 수중계 | |
오후의 발견 성스리입니다 | 강원영동 수중계 |
4. 방송 송출 시설망
원주문화방송은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 송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TV 방송
1984년 6월 30일 백운산TV송신소 설치, 1987년 11월 26일 TV연주소를 갖추면서 개국, 2005년 12월 28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강원 영서 남부지역과 경기도 여주시, 양평군,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한다.[1]송신소 | UHD | HD | 송신소 위치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출력 | ||
백운산 송신소 | 46 | 1kW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 ||
문막 중계소 | 15 | 20W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산55-1 | ||
매지 소출력 | 46 | 0.05W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 | ||
태기산 중계소 | 22 | 2kW | 21 | 1kW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태기리 산1-5 |
둔내 소출력 | 21 | 0.05W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 | ||
진부 중계소 | 43 | 20W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송정리 산77-2 | ||
평창 중계소 | 38 | 10W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여만리 산46 장암산 | ||
미탄 중계소 | 26 | 20W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율치리 산50-3 돈너미산 |
4. 2. 라디오 방송
원주문화방송은 표준FM 채널인 원주MBC 라디오(호출부호 HLSB-SFM)와 FM4U 채널인 원주MBC FM4U(호출부호 HLSB-FM)를 운영하고 있다. 원주MBC 라디오는 FM 92.7㎒와 102.5㎒로, 원주MBC FM4U는 FM 98.9㎒로 방송된다. 각 채널별 송신소와 중계소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4. 2. 1. 원주MBC 라디오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
백운산 송신소 | FM 92.7㎒ | 1㎾ | HLSB-SFM | 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
태기산 중계소 | FM 102.5㎒ | 1㎾ | HLSB-SFM | 강원 횡성군 둔내면 태기리 산1-5 태기산 |
평창 중계소 | FM 102.5㎒ | 50W | HLSB-SFM | 강원 평창군 평창읍 하리 산3-5 노성산 |
영월 중계소 | FM 92.7㎒ | 90W | HLSB-SFM | 강원 영월군 영월읍 팔괴리 산237 |
4. 2. 2. 원주MBC FM4U
4. 3. 지상파 DMB
춘천문화방송, MBC강원영동(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과 함께 투자하여 강원특별자치도 내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 방송 및 운영 중이다.; MY MBC
- 호출 부호: HLAN-TDMB
- 춘천문화방송,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과 공동 운영.
송신소 | 물리 채널(주파수) | 공중선 전력 |
---|---|---|
대룡산 | K-13Ach () | 2kW |
대암산 | 500W | |
백운산 | 2kW | |
태기산 | 2kW | |
양양 | 90W | |
과방산 | 2kW | |
초록봉 | 90W | |
호산 | 20W | |
함백산 | 2kW |
5. 조직
6. 본사 소재지
7. 역대 연중 캠페인
연도 | 캠페인 | |
---|---|---|
2010년 | 희망愛너지, 원주문화방송 | |
2011년 | 지역사랑 밝은 세상, 희망의 창 원주문화방송 | |
2012년 | 힘내라 강원경제 희망을 이야기 합시다. | |
2013년 | 대한민국의 미래, 청정강원 | 원주문화방송가 열어갑니다. |
2017년 | 강원의 미래, 원주문화방송와 함께 | |
2022년 | 당신의 등 뒤에 우리가 있습니다. | |
2023년 | 함께 달리겠습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