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는 1395년에 설치되어 2023년 6월 11일 특별자치도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도이다. 강릉과 원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춘천시가 도청 소재지이다. 1945년 분단 이후 남한에 속했으며, 2023년 특별자치도 출범 이전에는 7개의 시와 11개의 군으로 구성되었다. 총 면적은 20,569km²이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과 영서 지방으로 나뉜다. 주요 도시로는 춘천, 강릉, 원주 등이 있으며,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명소, 국립공원, 스포츠 팀과 행사를 보유하고 있다. 교통으로는 도로, 버스, 철도, 항공, 해운 등이 발달했으며, 여러 자매 도시들과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설치 - 구례소방서
구례소방서는 전라남도 구례군을 관할하는 소방서로, 1993년 순천소방서 구례파출소로 시작하여 2023년 구례소방서로 개서되었으며, 구례119안전센터 등을 관할하고 초대 서장은 박상진이다. - 2023년 설치 - 곡성소방서
전라남도 곡성군을 관할하는 곡성소방서는 1991년 개서하여 곡성119안전센터와 겸면119지역대를 두고 119구조대, 119구급대를 운영하며 화재 진압 및 구조·구급 활동을 수행한다. - 한국의 지역 -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호남 지방의 광역자치단체로, 마한의 영역에서 시작되어 전라도에서 분리되었고, 제주도와 광주광역시가 분리된 후 무안군에 도청을 두고 서해와 남해안에 접하며 농업과 산업이 발달했고, 현재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한국의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강원특별자치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강원특별자치도 |
다른 이름 | 강원도 |
한자 표기 | 江原特別自治道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Kangwŏn T'ŭkpyŏl Chach'ido |
로마자 표기 (개정) | Gangwon Teukbyeol Jachido |
행정 구역 종류 | 특별자치도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관동 (영서: 서부 강원, 영동: 동부 강원) |
최대 도시 | 원주 |
도청 소재지 | 춘천 |
하위 행정 구역 | 7시, 11군 |
도지사 | 김진태 (국민의힘) |
면적 | 16,875 km² |
인구 | 1,537,339 명 (2022년 10월 기준) |
인구 밀도 | 91 명/km² |
ISO 코드 | KR-42 |
방언 | 강원 (영서: 서부 강원 방언, 영동: 동부 강원 방언) |
공식 웹사이트 | 강원특별자치도 공식 웹사이트 (영어) |
상징 | |
도화 | 철쭉 |
도목 | 한국 잣나무 |
도조 | 두루미 |
마스코트 | 강원이, 특별이 |
경제 | |
총생산 (GDP) | 53조 원 (2022년) / 420억 달러 (2022년) |
추가 정보 | |
![]() | |
![]() | |
![]() | |
![]() |
2. 역사
조선 팔도 중 하나였던 강원도는 1395년에 설치되었다. 도의 이름은 주요 도시인 강릉(江陵)과 도청 소재지 원주(原州)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1895년 강원도는 서쪽의 춘천부(春川府)와 동쪽의 강릉부(江陵府)로 개편되었고, 원주는 충주 지역에 편입되었다. 1896년 한국이 13개 도로 재편성되면서 두 부는 다시 합쳐져 강원도가 재설치되었다. 원주는 강원도에 다시 속하게 되었지만, 도청 소재지는 춘천으로 옮겨졌고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강원도(Kōgen-dō)로 불렸다.
1945년, 북위 38도선에 따라 강원도는 남쪽은 미국 점령 지역, 북쪽은 소련 점령 지역으로 분단되었다. 이후 1946년 원산이 북쪽에 편입되어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948년 강원도 남부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일부가 되었다. 한국 전쟁 휴전 협정(1953년)의 결과로 남북 강원도의 경계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군사분계선이 되었다.
전체적으로 산이 많고 평지는 적으며, 철원군 등 내륙 지역은 한국에서 가장 추운 곳이다. 감자와 옥수수를 특산품으로 한다. 북부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부근과 백두대간 일대에는 다양한 생태계가 있으며, 철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다. 또한, 표범고양이, 하늘다람쥐 등 희귀종 또는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2019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49] 화강암 지대가 비교적 많은 지역으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2011년과 2012년 전국 주택 7885가구의 실내 라돈 농도를 측정한 결과, 환경기준 초과율이 42.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50]
평창군, 정선군, 강릉시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2024년 강원 동계유스올림픽의 개최지였다. 동계올림픽 개최에 맞춰 동서 방향의 철도 노선인 경강선이 건설되었다.
2022년 5월 29일, 국회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안」이 통과됨에 따라[51], 2023년 6월 11일부터 '''강원도'''에서 '''강원특별자치도'''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2] 다만, 제주특별자치도·세종특별자치시와 달리, 소관하는 기초자치단체는 자치권을 유지하고 있다.[53] 강원특별자치도의 영어 명칭은 "Gangwon State"로 변경되었다(구 강원도 시대에는 "Gangwon Province"이었다).[54][55]
2. 1. 행정 구역 변천
- 1946년 춘천군 춘천읍을 춘천부(현재 춘천시)로 승격하고, 춘천군을 춘성군으로 개칭하였다.[73]
- 1955년 강릉군 강릉읍 등을 강릉시로, 원주군 원주읍 등을 원주시로 각각 승격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원주군을 원성군으로 각각 개칭하였다.[74][75]
- 1962년 강원도 울진군을 경상북도로 이관하였다.[76]
- 1963년 양양군 속초읍을 속초시로 승격하였다.[77]
- 1980년 명주군 묵호읍, 삼척군 북평읍을 동해시로 승격하였다.[78]
- 1981년 삼척군 장성읍, 황지읍을 태백시로 승격하였다.[79]
- 1986년 삼척군 삼척읍을 삼척시로 승격하였다.[80]
- 1989년 원성군을 원주군으로 개칭하였다.[81]
- 1992년 춘성군을 춘천군으로 개칭하였다.[82]
- 1995년 춘천시와 춘천군, 원주시와 원주군, 강릉시와 명주군, 삼척시와 삼척군이 통합되어 도농 통합시인 춘천시·원주시·강릉시·삼척시가 되었다.[83]
- 2023년 6월 9일: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식이 열렸다.[84]
- 2023년 6월 11일: 기존의 강원도에서 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되어 출범하였다.

3. 지리
강원특별자치도는 산이 많고 평지가 적은 지형이다. 철원군 등 내륙 지역은 한국에서 가장 추운 곳 중 하나이며, 감자와 옥수수가 특산품이다.[5] 북부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부근과 백두대간 일대에는 다양한 생태계가 보존되어 있으며, 철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다. 표범고양이, 하늘다람쥐 등 희귀종 또는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2019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49] 화강암 지대가 비교적 많아 실내 라돈 농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50]
농산물로는 감자와 옥수수, 수산물로는 오징어와 명태가 유명하다. 광물 자원으로는 철, 석탄, 형석, 석회석, 텅스텐이 있으며, 수력 발전소와 화력 발전소도 있다.
3. 1. 위치 및 면적
강원특별자치도는 한반도 중앙부 동쪽에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과 영서로 크게 구분된다.[85] 군사분계선(북위 38선)을 사이에 두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도 강원도가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명칭의 유래가 된 강릉과 원주는 모두 대한민국에 있다. 면적은 일본의 이와테현보다 약간 넓다.3. 2. 지형
강원특별자치도는 대부분 산악 지형이며, 500m에서 1,000m 사이의 중간 산야 지대가 43.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의 영동과 서쪽의 영서로 크게 구분된다.[85] 영동은 경사가 급하여 해안 평야 발달이 미약하고, 영서는 경사가 완만하여 남한강, 북한강 등의 큰 하천이 발달했다.[85]3. 3. 기후
강원특별자치도는 북위 37°와 38° 사이의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한랭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다. 또한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쳐 있기 때문에 영동 지역과 영서 지역의 기후 또한 다른 특성을 보인다.[85]강원특별자치도의 연평균 기온은 영동 11°C, 영서 10.8°C로 최저 6.6°C에서 최고 13.1°C의 분포를 보인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은 철원에서 관측된 -29.2°C와 홍천에서 41°C이다. 연 강수량은 1300mm에서 1900mm로, 산간 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강수량을 보이며, 대한민국 다설지 중 하나이다.[86] 봄철 영동 지방에서는 건조한 국지 강풍이 빈번히 발생한다.[86]
강원특별자치도의 쾨펜의 기후 구분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대부분 온난 습윤 기후에 속한다. 태백산맥은 영동 지방과 영서 지방의 기후를 다르게 만든다.[5] 내륙 지방은 한국에서 가장 춥고 여름에는 서늘한 반면, 동해안 지역은 해양성 기후이기 때문에 혹독한 추위는 아니다. 하지만 강수량이 적은 한국 내에서 가장 많은 눈이 내리는 지역이며, 강릉, 속초, 동해 등에서는 1m가 넘는 적설을 기록하기도 했다.
지역 | 1월 평균 기온 | 8월 평균 기온 |
---|---|---|
강릉 | 0.3°C | 24.4°C |
속초 | -0.2°C | 23.7°C |
태백 | -4.9°C | 20.8°C |
홍천 | -5.6°C | 24°C |
원주 | -4.8°C | 24.5°C |
춘천 | -4.5°C | 24.3°C |
철원 | -5.3°C | 24°C |
3. 4. 지질
강원특별자치도는 한반도 중앙부 동쪽에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과 영서로 크게 구분된다.[85] 지형은 대부분 산악 지형이며, 특히 500m에서 1,000m 사이의 중간 산야 지대가 43.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85]강원도에는 철, 석탄, 형석, 석회석, 텅스텐 등의 광물 자원이 있다.
4. 행정 구역
강원특별자치도는 7개의 시와 1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87개의 읍·면·동과 4,203개의 통·리, 21,951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87] 주민이 거주하지 않는 5개 면(철원군 근동면‧원동면‧원남면‧임남면, 고성군 수동면)과 그에 속한 29개 리, 면장 미실시 1개 면(철원군 근북면(김화읍에서 관할))과 그에 속한 4개 리 가운데 3개의 리는 제외된다.[87]
이북5도위원회에서 관할하는 미수복지구로는 김화군, 이천군, 통천군, 평강군, 회양군 전체 지역과, 철원군·양구군·고성군 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있다.[87]
지도 | 번호 | 명칭 | 한국어 | 한자 | 인구 (2016)[45] | 하위 행정구역 |
---|---|---|---|---|---|
— 시 — | |||||
1 | 원주시 | 원주시|原州市한국어 | 341,130 | 읍 1, 면 8, 행정동 16 | |
2 | 춘천시 (도청 소재지) | 춘천시|春川市한국어 | 283,951 | 읍 1, 면 9, 행정동 15 | |
3 | 강릉시 | 강릉시|江陵市한국어 | 215,721 | 읍 1, 면 7, 행정동 13 | |
4 | 동해시 | 동해시|東海市한국어 | 93,958 | 행정동 10 | |
5 | 속초시 | 속초시|束草市한국어 | 82,670 | 행정동 8 | |
6 | 삼척시 | 삼척시|三陟市한국어 | 70,371 | 읍 2, 면 6, 행정동 4 | |
7 | 태백시 | 태백시|太白市한국어 | 47,333 | 행정동 8 | |
— 군 — | |||||
8 | 홍천군 | 홍천군|洪川郡한국어 | 70,961 | 읍 1, 면 9 | |
9 | 철원군 | 철원군|鐵原郡한국어 | 48,699 | 읍 4, 면 7 | |
10 | 횡성군 | 횡성군|橫城郡한국어 | 46,662 | 읍 1, 면 8 | |
11 | 평창군 | 평창군|平昌郡한국어 | 43,782 | 읍 1, 면 7 | |
12 | 정선군 | 정선군|旌善郡한국어 | 38,993 | 읍 4, 면 5 | |
13 | 영월군 | 영월군|寧越郡한국어 | 40,330 | 읍 2, 면 7 | |
14 | 인제군 | 인제군|麟蹄郡한국어 | 33,061 | 읍 1, 면 5 | |
15 | 고성군 | 고성군|高城郡한국어 | 30,749 | 읍 2, 면 4 | |
16 | 양양군 | 양양군|襄陽郡한국어 | 27,515 | 읍 1, 면 5 | |
17 | 화천군 | 화천군|華川郡한국어 | 26,489 | 읍 1, 면 4 | |
18 | 양구군 | 양구군|楊口郡한국어 | 24,264 | 읍 1, 면 4 |
강원특별자치도의 주요 도시는 도청 소재지인 춘천시를 비롯하여 강릉시, 속초시, 원주시, 동해시이다.[44]
4. 1. 자치 단체
이름 | 한자 | 세대수 (2015)[88] | 인구 (명, 2020)[89] | 면적 (km2) |
---|---|---|---|---|
춘천시 | 春川市 | 115,044 | 282,544 | 1,116.64 |
원주시 | 原州市 | 138,380 | 353,928 | 867.36 |
강릉시 | 江陵市 | 93,774 | 213,189 | 1,039.82 |
동해시 | 東海市 | 40,338 | 90,560 | 180.07 |
태백시 | 太白市 | 22,293 | 42,800 | 303.52 |
속초시 | 束草市 | 37,084 | 82,636 | 105.3 |
삼척시 | 三陟市 | 34,601 | 65,409 | 1,186.05 |
홍천군 | 洪川郡 | 31,443 | 69,192 | 1,816.05 |
횡성군 | 橫城郡 | 20,821 | 46,533 | 997.71 |
영월군 | 寧越郡 | 19,990 | 38,710 | 1,127.46 |
평창군 | 平昌郡 | 20,601 | 41,665 | 1,464.16 |
정선군 | 旌善郡 | 19,519 | 36,937 | 1,219.58 |
철원군 | 鐵原郡 | 22,017 | 44,706 | 890.3 |
화천군 | 華川郡 | 13,668 | 24,868 | 909.1 |
양구군 | 楊口郡 | 11,140 | 22,350 | 700.85 |
인제군 | 麟蹄郡 | 15,594 | 31,623 | 1,646.36 |
고성군 | 高城郡 | 15,324 | 26,798 | 664.34 |
양양군 | 襄陽郡 | 13,374 | 27,926 | 628.9 |
강원특별자치도 | 江原特別自治道 | 685,005 | 1,542,374 | 16,874.59 |
강원특별자치도는 7개 시와 11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44]
4. 2. 역대 도지사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 제39대 (민선 8기): 김진태 (2022년 7월 1일 ~ 현재)
- 제38대 (민선 7기): 최문순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제37대 (민선 6기): 최문순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제36대 (민선 5기): 최문순 (2011년 4월 28일 ~ 2014년 6월 30일): 2011년 4월 27일 보궐선거에서 당선. 이광재 전 지사의 잔여 임기를 수행함.
- 제35대 (민선 5기): 이광재 (2010년 7월 1일 ~ 2011년 1월 27일): 2010년 6월 2일 지방선거에서 당선되었으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2011년 1월 직을 상실함.[57][58]
- 제34대 (민선 4기): 김진선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5. 인구
강원특별자치도의 인구는 2020년 기준 154만 2,374명이다. 1960년대까지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고 있다. 한국 전쟁의 영향으로 1950년에는 인구가 크게 감소하기도 하였다.[90]
2017년 7월 기준으로 연령별 인구를 살펴보면, 55~59세 인구가 14만 5,381명으로 가장 많고, 45~49세(13만 413명), 50~54세(12만 6,711명) 순이다. 90세 이상 인구는 9,128명이다.[6]
5. 1. 연도별 인구
5. 2. 연령별 인구
As of영어 2017년 7월 기준 강원특별자치도의 연령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6]연령 | 인구 수 | 인구 비율(%) |
---|---|---|
0~4세 | 54,051명 | 3.5 |
5~9세 | 64,751명 | 4.2 |
10~14세 | 67,518명 | 4.4 |
15~19세 | 91,641명 | 6.0 |
20~24세 | 101,954명 | 6.7 |
25~29세 | 81,733명 | 5.4 |
30~34세 | 81,084명 | 5.3 |
35~39세 | 101,268명 | 6.6 |
40~44세 | 112,657명 | 7.4 |
45~49세 | 130,413명 | 8.6 |
50~54세 | 126,711명 | 8.3 |
55~59세 | 145,381명 | 9.6 |
60~64세 | 112,321명 | 7.4 |
65~69세 | 76,161명 | 5.0 |
70~74세 | 69,839명 | 4.6 |
75~79세 | 64,648명 | 4.2 |
80~84세 | 38,110명 | 2.5 |
85~89세 | 18,018명 | 1.2 |
90세 이상 | 9,128명 | 0.6 |
6. 문화
설악산, 오대산 등 많은 경승지가 있으며, 북한 지역의 금강산에서 경상북도 북부에 걸쳐 관동팔경이라 불리는 8곳의 경승지가 있다.
춘천시는 텔레비전 드라마 「겨울연가」 등의 촬영지로 유명하며, 이 외에도 다른 도시와 관광 명소에서 영화 촬영이 이루어져 영화·드라마 촬영지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 양양군에는 양양국제공항이 있다.
정선군의 강원랜드리조트에 있는 카지노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이용 가능한 카지노로 알려져 있다.[23]
6. 1. 문화재와 역사
강원특별자치도에는 여러 문화재가 있다. 최소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92]되고 있다.통일신라 시대에 주조된 상원사 동종과 남북국시대의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고려시대의 강릉 임영관 삼문, 조선시대의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등이 대표적이며, 오죽헌, 경포대 같은 문화재도 있다.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월정사나 오세암 등의 유명한 사찰이나 암자가 많이 있다.[8]
횡성 고씨(橫城 高氏)의 관향은 횡성군이다.
6. 2. 박물관
2002년 중앙 정부 차원에서 강원도 내 문화재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립춘천박물관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93] 지역 정부 차원에서는 박수근미술관[94], 오죽헌시립박물관, 태백석탄박물관 등이 있으며, 민간 차원에서는 참소리 축음기 에디슨 박물관[95] 등 특별한 주제를 가진 박물관들이 운영되고 있다.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뮤지엄 산 또한 강원도 원주시에 있다.[96]6. 3. 축제
강원특별자치도 각 시군 단체에서 축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강릉시에서는 유네스코가 세계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걸작 목록에 등재한 강릉 단오제[97] 등 여러 축제들이 열리고 있다. 강릉 단오제는 유네스코의 인류 무형문화유산 걸작으로 등재되었다.[12]6. 4. 음식
강원특별자치도는 산악 지대와 고원 지대가 많아 감자, 메밀 등으로 만든 음식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100] 강원도 전 지역에서 나물밥을 먹으며, 정선군은 곤드레밥, 영월군은 메밀전병, 화천군은 화천산천어영양돌솥밥과 화천삼나물밥, 양구군은 양구 시레기가 유명하다.[98][99] 해안 지역에서는 생선 요리와 젓갈류 등이 발전하였는데,[100] 동해시는 동해생선찜, 속초시는 속초 오징어 순대, 삼척시는 삼척복어요리 등이 유명하다. 이러한 강원도의 토속 음식들은 극히 소박하고 조리법이 간단하다.[100]6. 5. 관광
설악산, 오대산 등 많은 경승지가 있으며, 북한 지역의 금강산에서 경상북도 북부에 걸쳐 관동팔경이라 불리는 8곳의 경승지가 있다.춘천시는 텔레비전 드라마 「겨울연가」 등의 촬영지로 유명하며, 이 외에도 다른 도시와 관광 명소에서 영화 촬영이 이루어져 영화·드라마 촬영지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 양양군에는 양양국제공항이 있다.
정선군의 강원랜드리조트에 있는 카지노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이용 가능한 카지노로 알려져 있다.[23]
6. 5. 1. 국립공원 & 자연경관
강원특별자치도에는 태백산맥으로 인해 수려한 산이 많아 국립공원들과 천연기념물들이 각지에 분포하고 있다.- 설악산 국립공원: 최고봉인 대청봉을 중심으로 암석 지형의 경관미를 갖추고 있다. 1982년 유네스코(UNESCO)에 의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설정되었다.[101]
- 오대산 국립공원: 백두대간 중심축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5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오대산은 대한민국 불교 문화의 성지 중 한 곳으로 꼽힌다.[102]
- 치악산 국립공원: 오대산에서 서남쪽으로 분기된 산으로, 원주시와 가깝다. 원주시와 국립공원 관리공단이 협약을 맺어 둘레길을 건설하고 있다.[103]
- 태백산 국립공원: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영산'으로 알려졌으며, 2016년 8월 22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104]
철원 화산 지대를 통과하는 한탄강은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등의 천연기념물을 가지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래프팅 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한탄강 인근에서 발견된 신증후성 출혈열 바이러스는 한탄강 유역에서 따와 이름 지어졌으며,[105] 현재 한타바이러스 속은 이 한탄바이러스에서 이름을 따와서 붙여진 속이다.
민통선이 있어 사람들이 들어갈 수 없는 철원평야에는 임진강 부분과 마찬가지로 멸종 위기 동물인 두루미가 철새로 오는 것으로 유명하다.[106]
양구의 해안면 해안분지는 암석의 풍화와 침식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한국전쟁 당시 종군기자가 '화채그릇'(Punch Bowl)을 닮았다고 해서 펀치볼로 유명한 분지이다.[107]
6. 5. 2. 관광지
남이섬, 통일전망대, 소양강댐, 정동진 등 많은 관광 명소와 천연기념물이 있다.[23] 평창군에는 소설가 이효석을 기리는 이효석 문학관이 있다. 동해안에는 경포해수욕장을 포함한 많은 해수욕장이 있다. 강릉시 해변을 따라 조성된 강릉커피거리에서는 매년 강릉커피축제가 열린다.[23] 정선군에는 내국인 출입이 가능한 카지노인 강원랜드가 있다.[23]7. 교통
강원특별자치도는 산이 많고 평지가 적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교통망 발달이 더뎠으나,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교통망이 확충되었다. 특히, 동서 방향의 철도 노선인 경강선이 건설되어 KTX가 운행되면서 서울과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111]
강원특별자치도는 동해와 접해 있어 묵호항, 속초항, 호산항 등의 여러 항구를 가지고 있다. 묵호항은 태백산맥에서 채굴한 시멘트와 석탄을 선적하는 중심지 역할을 하며,[118] 속초항은 어항, 철광석 적출항, 관광항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118] 호산항에는 한국가스공사의 삼척 LNG 생산기지가 건설되어 2014년 개항과 동시에 LNG 수송선이 접안하였다.[119]
항공 교통으로는 원주공항과 양양국제공항이 여객을 수송한다. 원주공항은 횡성군 횡성읍에 있는 국내 공항이며,[115] 양양국제공항도 현재 국내선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116]
7. 1. 도로
강원특별자치도의 총 도로 연장은 9800km이며, 이 중 75.1%가 포장되어 있다.[108][31] 관동 지방에는 진부령(인제 ∼ 간성), 한계령(인제 ∼ 양양), 대관령(원주 ∼ 강릉)과 같은 예전부터 있었던 고갯길이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의 일부인 국도 제7호선이 강원특별자치도를 통과한다.고속도로는 인천광역시를 기점으로 강릉을 종점으로 하는 영동고속도로와, 경기도 광주시를 기점으로 원주시를 종점으로 하는 광주원주고속도로, 경상도지역을 연결하는 중앙고속도로와 동해안 지역을 통하는 동해고속도로, 서울과 양양을 연결하여 영동고속도로를 분산하는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있다.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인제양양터널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제일 긴 도로 터널이다.
7. 2. 버스
강원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의 다른 지역 시외버스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모든 시군에는 시외버스 터미널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강원도 내 다른 지역이나 강원도 바깥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1] 또한,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해 지역 내 다른 시군이나 외부 도시, 구,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한다.[2]7. 3. 철도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는 보통 광복 혹은 일제강점기 시절 태백 산간지방의 지하자원 개발을 목표로 하는 산업철도에 기반[109][110]을 두고 있다.현재 강원특별자치도의 남서부에 간선 철도인 중앙선이 지나며, 서울 ∼ 춘천 간에는 경춘선이 있다. 또한 산업철도로 출발하여 중앙선에서 분기하여 강릉까지 가는 영동선이 있으며, 동해에서 삼척까지 분기하는 삼척선이 존재한다. 또한 제천에서 분기한 태백선이 존재하며, 중앙선 · 태백선 · 영동선의 일부가 강릉시까지 전철화 공사가 완공되었다. 경춘선은 간선철도 겸 수도권 전철의 한 부분이 되었다. 2012년 6월 착공된 경강선 구간 중 현재 완공된 구간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22일부터 KTX 열차가 운행 중[111]이며, 2020년 3월 2일에는 경강선의 지선인 강릉삼각선을 신설하여 일부 강릉선 KTX가 강릉삼각선을 통해 정동진 및 동해까지 운행한다.
2017년 경강선에서 운행중인 KTX를 속초시까지 연장시키는 동서고속화철도사업 계획이 발표되었으며[112], 2025년까지 공사를 완료할 계획을 갖고 있다.[113]
강원특별자치도를 지나가는 간선 철도 중에 경원선과 동해북부선은 군사분계선으로 인해 도중에 끊겨져 있으며, 북한 지역에서 고성군 북단의 제진역까지 연결되어 있다.
7. 4. 항공
강원특별자치도에는 여러 개의 군사 공항과 민간 공항이 있으며, 그 중 2개의 공항이 여객을 수송한다. 원주공항은 김해국제공항과 마찬가지로 군사 기지를 공유하고 있으며[114], 군 공항이 아닌 민간 공항은 양양국제공항이 유일하다.원주공항은 횡성군 횡성읍에 있으며, 현재 국내 공항으로[115] 운용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도 현재 국내 공항으로 이용[116]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은 길이 2500m, 폭 45m의 활주로 1본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43000건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고, 연간 317만 명의 여객을[117] 처리할 수 있다. 원주공항은 강원도 횡성군에 있으며, 현재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가장 최북단에 있다.
7. 5. 해운
강원특별자치도는 동해와 접해 있어 여러 항구들을 가지고 있다. 묵호항은 태백산맥에서 채굴한 시멘트와 석탄을 선적하는 중심지 역할을 한다.[118] 속초항은 어항, 철광석 적출항, 관광항 등 여러 기능이 결합된 무역항 기능을 맡고 있다.[118] 호산항에는 한국가스공사의 삼척 LNG 생산기지가 건설되고 있으며, 2014년 개항과 동시에 LNG 수송선이 접안하였다.[119]7. 5. 1. 승객 수송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국내선과 해외선 페리 항로가 존재하며, 속초항에는 크루즈를 접안할 수 있다.[120]2018년 2월 기준 강원도의 페리 항로는 다음과 같다.
8. 스포츠
강원특별자치도는 다양한 스포츠 팀과 스포츠 행사를 보유하고 있다.
K리그1의 강원 FC, KBL의 원주 DB 프로미,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하이원과 대명 킬러웨일즈 등 다양한 프로 스포츠 팀들이 강원특별자치도를 연고로 활동하고 있다.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2018년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이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개최되었다.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또한 강원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43]
8. 1. 주요 스포츠 팀
리그 | 팀명 | 창단 연도 | 홈 경기장 |
---|---|---|---|
K리그1 | 강원 FC | 2008년 | 강릉종합운동장 |
K3리그 | 강릉시민축구단 | 1999년 | |
K4리그 | 춘천시민축구단 | 2010년 | |
WK리그 | 화천 KSPO 여자축구단 | 2011년 | |
KBL | 원주 DB 프로미 | 1996년 |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 하이원 | 2004년 |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 대명 킬러웨일즈 | 2016년 |
강원 FC는 강원특별자치도를 연고지로 하며, 강원도가 소유하고 있다. 김진선 강원도지사는 2008년 4월 28일에 이를 발표했고,[38] 2008년 12월 18일에 창단되었다.[39]
원주 DB 프로미는 원주를 연고로 하는 프로 농구단이다. 1996년에 창단되었으며, 대한석탄공사와의 협력을 통해 석탄을 기증한 바 있다.[42]
하이원은 강원랜드의 아이스하키팀으로 2009년 9월에 창단되었다. 하이원을 포함하여 대한민국에는 프로 아이스하키팀이 3개 팀 뿐이다.[40]
대명 킬러웨일즈는 2016년에 창단되었으며, 원래 강원도 지역을 연고지로 했다.[41]
8. 2. 주요 스포츠 행사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은 1999년 1월 30일부터 2월 6일까지 강원도에서 개최되었다.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종합 2위를 차지했다.2018년 동계 올림픽은 2018년 2월 9일부터 2월 25일까지,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은 2018년 3월 9일부터 3월 18일까지 개최되었다. 거의 모든 종목이 평창군에서 열렸고, 알파인 스키 종목은 정선군에서, 일부 실내 종목은 강릉시에서 개최되었다.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또한 강원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43]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자연환경
http://www.provin.ga[...]
강원도청
2016-04-27
[2]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3]
뉴스
Gangwon State's Grand Debut
https://state.gwd.go[...]
Gangwon State
2023-06-20
[4]
웹사이트
국내기후자료 – 강원도
http://www.weather.g[...]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e
[5]
웹사이트
자연환경
http://www.provin.ga[...]
2016-04-27
[6]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7]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8]
뉴스
구석기・신석기 선조들 먹고살던 동굴 정선서 발견
http://www.hani.co.k[...]
한겨례
2016-08-12
[9]
뉴스
춘천박물관, 개관 15주년 기념 전시관 재개관 개막
http://news1.kr/arti[...]
뉴스1
2017-10-30
[10]
뉴스
'박수근 고향' 양구, 박수근을 입었다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18-01-29
[11]
뉴스
[최보식이 만난 사람] 강릉 '참소리 축음기·에디슨 박물관' 손성목 관장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10-12-20
[12]
웹사이트
강릉단오제
http://heritage.unes[...]
Korea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3]
웹사이트
강원도 대표음식 30선
http://www.provin.ga[...]
강원도청
[14]
뉴스
[영상]"강원도 대표 먹거리 30선"
http://gangwon.news1[...]
뉴스1 강원
2016-12-30
[15]
웹사이트
강원도 전통음식의 특징
http://archive.hansi[...]
한식아카이브
[16]
웹사이트
Mount Sorak
http://www.unesco.or[...]
UNESCO &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17]
뉴스
오대산국립공원 지정 43주년을 맞이하여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8-02-05
[18]
뉴스
치악산국립공원 지역에 68km 둘레길 생긴다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4-11-19
[19]
뉴스
'민족의 영산' 태백산 스물두번째 국립공원 되다
http://www.hani.co.k[...]
한겨례
2016-04-15
[20]
뉴스
유행성출혈열 백신을 찾아낸 의학자, 이호왕
http://www.hani.co.k[...]
한겨례
2010-10-25
[21]
뉴스
철원 평야...전세계 두루미 30% 찾는 '철새 낙원'된 이유는
http://news.joins.co[...]
JoongAng Ilbo
2018-01-28
[22]
뉴스
<걷고 싶은 길> 최북단 숲길 양구 펀치볼 둘레길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5-12-11
[23]
뉴스
제15회 강릉커피축제 다음 달 12일부터 15일까지 개최
https://news.kbs.co.[...]
2023-09-25
[24]
웹사이트
태백선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5]
웹사이트
영동선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6]
뉴스
경강선 KTX 개통...서울-강릉 반나절 생활권 열렸다
http://bizn.donga.co[...]
2017-12-22
[27]
뉴스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예비타당성 통과...사업 확정(종합)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6-07-08
[28]
뉴스
공군 FA-50 편대, '확고한 영공방위 결의' 초계비행
http://www.yonhapnew[...]
2018-01-01
[29]
웹사이트
원주공항 – 운영스케쥴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30]
웹사이트
양양국제공항 – 운영스케쥴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31]
웹사이트
총도로연장
http://stat.gwd.go.k[...]
연강원도청
[32]
웹사이트
동해중부 사고다발지역안내
http://www.mpss.go.k[...]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33]
뉴스
삼척 호산항 6월 개항...LNG 선박 입·출항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4-02-03
[34]
뉴스
속초에 국제 크루즈 터미널 준공
http://www.hani.co.k[...]
한겨례
2017-09-21
[35]
웹사이트
운항정보
http://www.seaspovil[...]
씨스포빌
[36]
웹사이트
노선정보
http://www.sspvjd.co[...]
씨스포빌
2018-02-09
[37]
웹사이트
schedule
https://web.archive.[...]
DBS Cruise Ferry
2018-02-09
[38]
뉴스
프로축구연맹, 11일 이사회서 강원FC 창단 승인
http://news.naver.co[...]
Yonhap News Agency
2008-11-05
[39]
뉴스
K-리그 '신상' 강원FC, 공식명칭 및 엠블럼 발표
http://news.naver.co[...]
스포탈코리아
2008-12-18
[40]
뉴스
[어바웃, 이 종목] 퍽 쟁탈전, 퍽! 주먹도 꽂힌다
https://web.archive.[...]
Hankook Ilbo
2018-01-17
[41]
뉴스
아이스하키 제 3구단 '대명 킬러웨일즈' 출범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16-05-23
[42]
뉴스
김주성, 원주시에 연탄 1만1000장 기증...직접 배달도
http://sports.chosun[...]
연스포츠조선
2017-11-20
[43]
웹사이트
Gangwon 2024: legacy of PyeongChang 2018 lives on in first Winter Youth Olympic Games awarded to Asia - Olympic News
https://olympics.com[...]
2021-07-15
[44]
웹사이트
행정지역
https://web.archive.[...]
Gangwon Province
2018-02-09
[45]
웹사이트
인구수 (주민등록)
https://web.archive.[...]
Gangwon Province
2018-02-09
[46]
웹사이트
자매결연지역
https://web.archive.[...]
연강원도 국제교류과
2018-02-09
[47]
웹사이트
江原特別自治道公式ホームページ
http://www.provin.ga[...]
2016-09-11
[4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49]
웹사이트
Gangwon Eco-Peace Biosphere Reserve, Republic of Korea
https://en.unesco.or[...]
2019-06-14
[50]
뉴스
한국의 주택의 2할에서 고농도 라돈 검출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3-01-25
[51]
웹사이트
강원도, 제주 이어 두번째 ‘특별자치도’ 된다…1년뒤 출범
https://www.donga.co[...]
2022-05-29
[52]
웹사이트
강원특별자치도 6월 11일 출범···"628년 만의 대전환"
http://www.ktv.go.kr[...]
2023-03-30
[53]
웹사이트
특별자치, 제주 아니었어? 벌써 절반인 8곳 경쟁…이게 뭔일
https://www.joongang[...]
2023-01-13
[54]
웹사이트
강원특별자치도 영문 표기 ‘강원 스테이트(Gangwon State)’로 결정···6월 11일부터 사용
https://m.khan.co.kr[...]
2023-03-06
[55]
웹사이트
강원특별자치도 경찰청 영문 표기
https://www.gwpolice[...]
[56]
문서
강원도/강원특별자치도 지사
[57]
뉴스
江原道知事が失職、「朴淵次ロビー」事件で有罪確定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11-01-27
[58]
뉴스
韓国:江原道知事、就任と同時に職務停止 有罪判決受け
https://web.archive.[...]
每日新聞
2010-07-02
[59]
문서
강원도 교육감 선출 방식 및 임기
[60]
웹사이트
韓国江原特別自治道教育庁公式ホームページ
https://www.gwe.go.k[...]
2023-06-23
[61]
문서
강원도/강원특별자치도 교육감
[62]
웹사이트
協定書締
http://www.clair.or.[...]
[63]
문서
강원특별자치도 및 이북 5도에 대한 설명
[64]
웹사이트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및 미래산업글로벌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 약칭: 강원특별법 )
https://www.law.go.k[...]
2023-06-07
[65]
웹사이트
相次ぐ大学の廃校、そのしわ寄せで地元経済も危うい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66]
웹인용
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https://www.index.go[...]
2023-12
[67]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2024-11
[68]
웹인용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http://www.index.go.[...]
[69]
웹인용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https://kosis.kr/sta[...]
2022-12-22
[70]
웹인용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https://kosis.kr/sta[...]
2022-12-22
[71]
웹인용
찾아오시는 길
https://state.gwd.go[...]
강원특별자치도청
2023-06-16
[72]
웹사이트
https://state.gwd.go[...]
[73]
법률
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05-23
[74]
법률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08-13
[75]
법률
법률 제372호 원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08-13
[76]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77]
법률
법률 제1176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78]
법률
법률 제3188호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79-12-28
[79]
법률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80]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81]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82]
법률
법률 제4417호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12-14
[83]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84]
뉴스
위상 높아진 강원특별자치도, 내일 출범 기념식
https://www.news1.kr[...]
뉴스1
[85]
웹인용
자연환경
http://www.provin.ga[...]
2018-02-09
[86]
웹인용
국내기후자료 - 강원도
http://www.weather.g[...]
2018-02-09
[87]
웹인용
행정지역
http://www.provin.ga[...]
2018-02-09
[88]
웹인용
강원도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s://meta.narasta[...]
통계청
2018-02-09
[89]
웹인용
인구수 (주민등록)
http://stat.gwd.go.k[...]
강원도
2018-02-09
[90]
문서
남북 분단으로 인한 지역 변화
[91]
문서
1953년 휴전협정 이후 지역 수복
[92]
뉴스
구석기・신석기 선조들 먹고살던 동굴 정선서 발견
http://www.hani.co.k[...]
한겨례
2018-02-10
[93]
뉴스
춘천박물관, 개관 15주년 기념 전시관 재개관 개막
http://news1.kr/arti[...]
뉴스1
2018-02-10
[94]
뉴스
'박수근 고향' 양구, 박수근을 입었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8-02-10
[95]
뉴스
[최보식이 만난 사람] 강릉 ‘참소리 축음기·에디슨 박물관’ 손성목 관장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8-02-10
[96]
뉴스
직접 설계한 뮤지엄 산에서 개인전 여는 안도 타다오, 그가 말하는 청춘과 희망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23-03-31
[97]
웹인용
강릉단오제
http://heritage.unes[...]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8-02-10
[98]
웹인용
강원도 대표음식 30선
http://www.provin.ga[...]
강원도청
2018-02-13
[99]
뉴스
[영상]"강원도 대표 먹거리 30선"
http://gangwon.news1[...]
뉴스1 강원
2018-02-10
[100]
웹인용
강원도 전통음식의 특징
http://archive.hansi[...]
한식아카이브
2018-02-10
[101]
웹인용
Mount Sorak
http://www.unesco.or[...]
UNESCO &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2018-02-10
[102]
뉴스
오대산국립공원 지정 43주년을 맞이하여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8-02-10
[103]
뉴스
치악산국립공원 지역에 68km 둘레길 생긴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2-10
[104]
뉴스
‘민족의 영산’ 태백산 스물두번째 국립공원 되다
http://www.hani.co.k[...]
한겨례
2018-02-10
[105]
뉴스
유행성출혈열 백신을 찾아낸 의학자, 이호왕
http://www.hani.co.k[...]
한겨례
2018-02-10
[106]
뉴스
철원 평야…전세계 두루미 30% 찾는 '철새 낙원'된 이유는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1-28
[107]
뉴스
<걷고 싶은 길> 최북단 숲길 양구 펀치볼 둘레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2-11
[108]
웹인용
총도로연장
http://stat.gwd.go.k[...]
강원도청
2018-02-09
[109]
웹인용
태백선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8-02-09
[110]
웹인용
영동선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8-02-09
[111]
뉴스
경강선 KTX 개통…서울-강릉 반나절 생활권 열렸다
http://bizn.donga.co[...]
동아일보
2017-12-22
[112]
뉴스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예비타당성 통과…사업 확정(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7-08
[113]
뉴스
춘천~속초 동서고속철 노선·역사 첫 공개…5개역 신설, 2025년 완공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7-07-14
[114]
뉴스
공군 FA-50 편대, '확고한 영공방위 결의' 초계비행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1-01
[115]
웹인용
원주공항 - 운영스케쥴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18-02-09
[116]
웹인용
양양국제공항 - 운영스케쥴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18-02-09
[117]
문서
국내선 207만명, 국제선 110만명
[118]
웹인용
동해중부 사고다발지역안내
http://www.mpss.go.k[...]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119]
뉴스
삼척 호산항 6월 개항…LNG 선박 입·출항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2-03
[120]
뉴스
속초에 국제 크루즈 터미널 준공
http://www.hani.co.k[...]
한겨례
2017-09-21
[121]
웹인용
노선정보
http://www.sspvjd.co[...]
씨스포빌
[122]
웹인용
운항정보
http://www.seaspovil[...]
씨스포빌
[123]
웹인용
schedule
http://www.dbsferry.[...]
DBS Curise Ferry
[124]
뉴스
프로축구연맹, 11일 이사회서 강원FC 창단 승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1-05
[125]
뉴스
최순호 감독 , 강원FC 초대 사령탑 맡아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08-11-16
[126]
뉴스
숭실대 임경현, 전체 1순위로 부산아이파크行…약 31% 지명돼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11-20
[127]
뉴스
K-리그 '신상' 강원FC, 공식명칭 및 엠블럼 발표
https://news.naver.c[...]
스포탈코리아
2008-12-18
[128]
뉴스
김주성, 원주시에 연탄 1만1000장 기증...직접 배달도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7-11-20
[129]
웹인용
자매결연지역
http://210.179.205.1[...]
2018-02-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재난 사태 선포 6일째'…비도 비껴간 강릉 '최악 가뭄' 악화일로
9월3일 알림
춘천·양구 '국도 46호선' 병목에…'4차선 확장 촉구'
강원 온라인 쇼핑몰, '추석 맞이 기획전' 개시…최대 66% 할인
하루 3000톤 퍼나른다…'최악 가뭄'에 전국서 강릉으로
땀 흘리며 '식수' 얻는 주민들…'최악 가뭄' 강릉, 75% 제한 급수
강원도, '강릉 가뭄' 재난 2단계 가동…모든 행정력 총력 대응
앞으로 2년 공동주택 물량 계속 줄어…전국 다해도 43만가구
‘성별영향평가’로 여성 ‘경력단절’ 예방…개선된 4천건 뭐가 있나
군 장병, 부대 인근서 2차 민생쿠폰 사용 가능
[자막뉴스] 모든 게 다 '수준 이하'…폐사 속출에 농가 초비상
24일 뒤면 물 완전 고갈 빨래, 설거지 못하는 강릉 상황 / 스브스뉴스
상지대, ICT-AI 분야 제2차 사회공헌 얼라이언스 성료…25개 기관·기업과 협력 강화
전국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 가격 평당 2천만 원 첫 돌파
강원 고성 해수욕장서 스노클링하다…1명 심정지
강릉 정형외과 환자 ‘23명’ 집단감염…병원 내의 동일 감염원 전파 가능성
강원도 "강릉 의료사고…동일 감염원에 의한 집단 감염 추정"
상지대, 도내 고교생 대상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해파리와의 전쟁…동해안 '피서객을 지켜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