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acOS 서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acOS 서버는 Apple에서 개발한 서버 운영 체제로, 1999년 3월에 처음 출시되었다. 이후 여러 버전의 업데이트를 거치며 다양한 서버 기능을 제공해왔으며, 특히 2007년 출시된 Mac OS X Server 10.5 (레퍼드 서버)부터는 협업 기능이 강화되었다. 2011년부터는 macOS에 번들로 제공되거나 Mac App Store를 통해 판매되었으나, 2022년 4월 지원이 중단되었다. macOS 서버는 파일 및 프린팅 서비스, 디렉터리 서비스, 메일 서비스, 웹 호스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프로파일 관리자, Open Directory, Xsan 등의 주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맥 OS - 맥 OS X 서버 1.0
    맥 OS X 서버 1.0은 애플이 1999년에 출시한 서버 운영 체제로, 클래식 맥 OS와 넥스트스텝 기술을 결합하여 넷부트 서버, 아파치 웹 서버, 퀵타임 스트리밍 서버 등의 기능을 제공했지만, 높은 가격과 일부 단점으로 인해 빠르게 단종되었다.
  • 맥 OS - 시스템 7
    시스템 7은 1991년 애플이 출시한 매킨토시 운영 체제의 주요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싱글 태스킹 한계를 극복하고 개인 파일 공유, 별칭, 드래그 앤 드롭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PowerPC 기반 컴퓨터를 지원한다.
  • 애플의 운영 체제 - 맥 OS X 서버 1.0
    맥 OS X 서버 1.0은 애플이 1999년에 출시한 서버 운영 체제로, 클래식 맥 OS와 넥스트스텝 기술을 결합하여 넷부트 서버, 아파치 웹 서버, 퀵타임 스트리밍 서버 등의 기능을 제공했지만, 높은 가격과 일부 단점으로 인해 빠르게 단종되었다.
  • 애플의 운영 체제 - WatchOS
    watchOS는 애플 워치를 위한 iOS 기반 운영체제로, Digital Crown을 이용한 앱 확대/축소, 햅틱 터치, HealthKit을 통한 건강 지표 측정 및 추적 기능을 제공하며, 2015년 출시 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이 강화되었다.
  • MacOS - 메일 (애플)
    메일은 애플에서 개발한 이메일 클라이언트로, macOS에 통합되어 다양한 기능과 인터페이스 변화를 거쳤으며, iCloud 동기화, 이메일 추적 차단, 이메일 전송 취소, 예약 발송 등을 지원한다.
  • MacOS - 개러지밴드
    애플이 개발한 개러지밴드는 로직 프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음악 제작 소프트웨어로, 가상 악기, MIDI 편집 기능, 팟캐스트 제작, 악기 레슨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macOS와 iOS에서 아마추어부터 전문가까지 폭넓게 사용된다.
MacOS 서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Mac OS X Snow Leopard Server, 데스크톱에서 서버 관리 실행 중
개발사애플
계열매킨토시
유닉스
소스 모델클로즈드 소스 (오픈 소스 구성 요소 포함)
최초 출시일1999년 3월 16일
최신 버전5.12
최신 릴리스 날짜2021년 12월 8일
사용 언어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중국어 간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 한국어, 스페인어, 중국어 번체
프로그래밍 언어C, C++, Objective-C, 설정용 HTML
커널 종류하이브리드 커널 (XNU) (대부분 모놀리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아쿠아
라이선스상업 독점 소프트웨어
지원 플랫폼x86-64
(이전 PPC, IA-32)
작동 상태2022년 4월 21일 중단
단종
웹사이트Mac OS X Server
추가 정보
APIAPSL, EULA
시스템
기반Darwin

2. 역사

Mac OS X Server 버전 10.1–10.6의 박스 아트


맥 OS X 서버는 단체 내 협업, 소통, 정보 공유를 위한 서버 운영 체제이다.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다윈에 기반하며, 개방형 기술 표준과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한다. 파일 공유, 연락처 및 달력 공유, 일정 관리, 보안 메신저, 화상 회의, 이메일, 위키, 블로그, 팟캐스트, 웹사이트 구축 등 다양한 서비스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했다. 초기에는 애플이 설계한 Xserve 같은 랙 장착형 서버 컴퓨터의 기본 운영 체제로 제공되었고, Mac Mini나 Mac Pro에도 선택적으로 사전 설치되거나 별도로 판매되었다.

맥 OS X 서버의 역사는 일반 사용자용 Mac OS X보다 먼저 시작되었다. 첫 버전인 Mac OS X Server 1.0은 1999년 3월에 출시되었으며, 이는 넥스트의 OPENSTEP과 Mac OS 8.5.1을 결합한 랩소디를 기반으로 했다.

2001년 10.0 (치타 서버)이 출시되며 새로운 아쿠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아파치, PHP, MySQL 등 주요 서버 기술이 포함되었다. 이후 버전들은 꾸준히 성능 개선과 기능 추가를 거듭했다. 10.1 (푸마 서버)은 성능과 안정성을 높였고,[6] 10.2 (재규어 서버)에서는 LDAP 기반의 오픈 디렉토리가 도입되며 기존 NetInfo 아키텍처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10.4 (타이거 서버)에서는 64비트 응용 프로그램 지원, Xgrid, iChat Server 등이 추가되었고,[7][8] 2006년에는 인텔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유니버설 바이너리 버전이 나왔다.

10.5 (레퍼드 서버)는 PowerPC 기반 매킨토시를 지원하는 마지막 주요 버전이었으며, RADIUS 서버, 루비 온 레일즈 등을 포함했다.[10][11] 당시 가격은 무제한 클라이언트 라이선스 기준 999USD였다.[9] 10.6 (스노 레퍼드 서버)는 완전한 64비트 운영 체제로 전환되었고, iCal Server, 주소록 서버, 위키 서버 등이 개선되었다.[12] 가격은 499USD로 인하되었다.[9]

2011년 라이언 출시와 함께 큰 변화가 있었다. 처음에는 서버 기능을 운영 체제에 통합할 계획이었으나,[13] 최종적으로는 맥 앱 스토어를 통해 49.99USD의 추가 기능 형태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4][9] 이는 이전 버전에 비해 매우 저렴한 가격이었다. 라이언 서버부터는 iOS 모바일 기기 관리가 가능해졌고,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MySQL 라이선스 정책 변화에 대응하여 PostgreSQL로 변경되었다.[16] 마운틴 라이언에서는 서버 앱 가격이 19.99USD로 더욱 인하되었다.[17][18]

OS X 요세미티에서 실행되는 Server 앱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macOS 서버의 기능은 점차 축소되었다. Server 5.7(2018년)부터 캘린더, 연락처, 메일, DNS, DHCP, VPN, 웹사이트 등 많은 오픈 소스 기반 서비스 제공이 중단되고,[2] 프로필 관리자, Open Directory, Xsan 관리 기능 위주로 재편되었다.[2] 이후 업데이트는 주로 프로필 관리자 기능 개선에 집중되었다.

결국 2022년 4월, 애플은 macOS 서버 제품 라인의 지원 중단을 발표했다. Server 앱은 몬터레이 이후 버전의 macOS를 지원하지 않으며, 신규 판매도 중단되었다.[2] 이로써 1999년부터 시작된 macOS 서버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참고로 초기에 출시된 Mac OS X Server 1.x 계열과 이후 Mac OS X v10.x 기반 서버는 GUI뿐 아니라 커널과 API 차이로 인해 서로 호환되지 않는 별개의 시스템이다.

2. 1. Mac OS X 서버 1.0 (랩소디)

맥 OS X 서버 1.01999년 3월에 출시된 맥 OS X 서버의 첫 번째 버전으로, 일반 사용자용 Mac OS X 버전보다 2년 앞서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랩소디 5.3에 기반을 두었는데, 이는 넥스트의 OPENSTEP 운영 체제와 Mac OS 8.5.1을 결합한 형태였다. GUI맥 OS 8의 플래티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오픈스텝의 넥스트 기반 인터페이스가 혼합된 모습을 보였다.

이 운영 체제는 기존 맥 OS 기반 응용 프로그램을 별도의 창에서 실행하기 위한 '블루 박스'(Blue Box)라는 런타임 환경을 포함하고 있었다. 랩소디의 옐로우 박스(Yellow Box) 환경용 응용 프로그램과 맥 OS 응용 프로그램을 혼합하는 '투명 블루 박스' 구현에 대한 논의도 있었으나, 이는 이후 Mac OS X의 클래식 환경에서 실현되었다.

주요 기능으로는 애플 파일 서비스, 매킨토시 관리자, 퀵타임 스트리밍 서버, WebObjects, NetBoot 등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FireWire 장치는 사용할 수 없었다. Mac OS X 서버 1.0의 마지막 릴리스는 1.2v3이다.

2. 2. Mac OS X 서버 10.0 (치타 서버)

2001년 5월 21일에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새로운 아쿠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입했으며, 아파치, PHP, MySQL, 톰캣, WebDAV 지원, 매킨토시 관리자(Macintosh Manager), NetBoot 등의 기능을 포함했다.

2. 3. Mac OS X 서버 10.1 (푸마 서버)

2001년 9월 25일에 출시되었다.[6][29] Mac OS X Server 10.0에 비해 향상된 성능, 시스템 안정성 증가, 파일 전송 시간 감소를 특징으로 했다. RAID 0 및 RAID 1 저장 구성과 NetBoot의 Mac OS 9 9.2.1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다.[6]

2. 4. Mac OS X 서버 10.2 (재규어 서버)

2002년 7월 18일에 발표되었으며[30], 같은 해 8월 23일(또는 24일)에 출시되었다.

Mac OS X 서버 10.2에서는 업데이트된 오픈 디렉토리 사용자 및 파일 관리가 포함되었으며, 이 버전부터 넥스트(NeXT)에서 사용하던 NetInfo 아키텍처 대신 LDAP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오픈 디렉토리가 처음으로 구현된 사례이다. 새로운 워크그룹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설정을 크게 개선했고, NetBoot 및 NetInstall 기능도 주요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었는데, 여기에는 NTP, SNMP, 웹 서버(아파치 HTTP 서버), 메일 서버(Postfix 및 Cyrus), LDAP(OpenLDAP), AFP, 프린트 서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삼바 버전 3이 탑재되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클라이언트 및 서버와의 통합 기능이 강화되었다. 데이터베이스로는 MySQL v4.0.16, 웹 스크립트 언어로는 PHP v4.3.7이 포함되었다.

서버 관리, 워크그룹 매니저, 서버 모니터, 네트워크 이미지 유틸리티, Mac 매니저 등의 관리 도구가 함께 제공되었다. Mac OS X 서버 10.2 버전의 최종 업데이트는 10.2.8이며, 보안 업데이트는 2005년 1월에 종료되었다.

2. 5. Mac OS X 서버 10.3 (팬서 서버)

2003년 10월 24일 출시되었다[31].

Mac OS X Server 10.3은 업데이트된 오픈 디렉토리 사용자 및 파일 관리를 포함한다. 이 버전부터 넥스트에서 유래한 NetInfo 아키텍처 대신 LDAP를 기반으로 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워크그룹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설정을 크게 개선했다.

NTP, SNMP, 웹 서버(아파치), 메일 서버(Postfix 및 Cyrus), LDAP (OpenLDAP), AFP, 프린트 서버 등 많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서비스가 기본으로 제공되었다. 삼바 버전 3이 포함되어 윈도우 클라이언트 및 서버와의 긴밀한 통합이 가능해졌다. MySQL v4.0.16과 PHP v4.3.7도 포함되었다.

Mac OS X Server 10.3 계열의 최종 버전은 10.3.9이며, 보안 업데이트는 2007년 11월에 종료되었다.

2. 6. Mac OS X 서버 10.4 (타이거 서버)

2005년 4월 29일에 출시되었다.[32] 타이거 서버에는 64비트 응용 프로그램 지원, 접근 제어 목록, Xgrid, 링크 집성, 이메일 스팸 필터링(스팸어쌔신 사용), 바이러스 탐지(ClamAV 사용), 게이트웨이 설정 지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버, XMPP를 사용하는 iChat Server, 부트 캠프 지원, 대시보드, 그리고 오픈 소스 Blojsom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웹로그 서버(Java)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51][7][8]

2006년 8월 10일, 애플파워PC인텔 프로세서를 모두 지원하는 맥 OS X 서버 최초의 유니버설 바이너리 버전인 10.4.7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인텔 기반의 맥 프로Xserve 시스템도 공개되었다.

Mac OS X 서버 10.4 버전대의 최종 업데이트는 2007년 11월 14일에 출시된 10.4.11 버전이다. 보안 업데이트는 2009년 9월에 배포된 Security Update 2009-005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2. 7. Mac OS X 서버 10.5 (레퍼드 서버)

OS X 레오파드 10.5 서버 스크린샷


Mac OS X 서버 10.5(레퍼드 서버)는 2007년 10월 26일에 출시되었다.[33] 이 버전은 오픈 브랜드 UNIX 03 등록 제품으로, 모든 UNIX 03 호환 코드를 컴파일할 수 있다. 또한, 애플 Xserve G5 및 Power Mac G5와 같은 PowerPC 기반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을 지원하는 마지막 주요 버전이다. 무제한 클라이언트 라이선스 기준으로 999USD에 판매되었다.[9]
주요 기능 및 개선 사항:

  • 관리 기능 간소화: 새롭게 디자인된 서버 어시스턴트는 주요 서버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설정을 돕는다. 서버 설정 애플리케이션은 주요 서버 서비스 관리를 지원하며, 서버 상태 대시보드를 통해 서버 서비스 상태, 디스크 공간, CPU 사용량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 팟캐스트 프로듀서: 맥 OS X 레퍼드의 팟캐스트 캡처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용자가 오디오 및 비디오를 캡처하고, 퀵타임 콘텐츠를 레퍼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업로드된 콘텐츠는 다양한 기기에서 볼 수 있도록 최적화된 포맷으로 자동 등록된다.
  • 위키 서버: 사용자가 위키 형태의 협업 웹 사이트를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룹 달력, 블로그, 메일링 리스트 아카이브 생성이 가능하며, 멤버들과 함께 블로그 글 작성, 태그 달기, 파일 및 이미지 업로드, 댓글 작성, 키워드 검색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모든 변경 이력을 관리하여 언제든지 이전 버전으로 복구할 수 있다.
  • 아이캘 서버: 개인이 달력과 일정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CalDAV 표준을 지원한 최초의 상용 달력 서버이다.
  • RADIUS 서버: 네트워크 인증을 위해 FreeRADIUS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지원과 함께 제공되지만, 완전한 기능을 갖춘 FreeRADIUS 서버로 수정할 수 있다.[10]
  • 루비 온 레일즈: GitHub 등에서 사용되는 서버 측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루비 온 레일즈를 기본으로 포함한 첫 번째 버전이다.[11]
  • 구조 향상: 대부분의 서비스가 64비트로 구동되어 64비트 하드웨어의 성능을 활용할 수 있다. 동시에 32비트 응용 소프트웨어와도 호환되어 두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이 네이티브로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 NetInfo 제거: NEXTSTEP에서 계승된 디렉터리 서비스인 NetInfo가 완전히 제거되고 Open Directory와 dsLocal로 대체되었다.

포함된 소프트웨어 버전:

style="width:120px;height:35px;" |10.510.5.110.5.210.5.310.5.410.5.510.5.610.5.710.5.8
PHP5.2.45.2.45.2.45.2.55.2.55.2.65.2.65.2.85.2.11
MySQL5.0.455.0.455.0.455.0.455.0.455.0.455.0.675.0.675.0.82
Apache2.2.62.2.62.2.62.2.82.2.82.2.82.2.92.2.112.2.13
BIND9.4.1-P19.4.1-P19.4.1-P19.4.1-P19.4.2-P19.4.2-P29.4.2-P29.4.3-P19.4.2-P3


업데이트 및 지원 종료:


  • Mac OS X 서버 v10.5 계열의 최종 버전은 10.5.8 v1.1(빌드 9L34)로, 2009년 8월 31일에 출시되었다.[34] 이는 2009년 8월 5일에 출시된 10.5.8(빌드 9L30)의 문제점을 수정한 버전이다.
  • 2011년 6월의 보안 업데이트 2011-004[35][36]를 마지막으로 보안 업데이트 지원이 종료되었다.

2. 8. Mac OS X 서버 10.6 (스노 레퍼드 서버)

'''출시일''': 2009년 8월 28일[9]

스노 레퍼드 서버는 499USD에 판매되었으며, 무제한 클라이언트 라이선스를 포함했다.[9] 이는 2009년 6월 WWDC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같은 해 9월 출시가 예고되었다.[9] 일본에서는 8월 24일 발표 후 8월 28일부터 53800JPY에 판매되었다.[37]

'''새로운 기능'''[52][9]:

  • 완전한 64비트 운영 체제: 4GB 이상의 RAM을 갖춘 시스템에서는 64비트 커널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최대 16TB의 메모리를 처리할 수 있다.[52][12]
  • 아이캘 서버 2: 향상된 CalDAV 지원, 새로운 웹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푸시 알림 기능이 추가되었고, 아이캘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이메일 초대장을 보낼 수 있게 되었다.
  • 주소록 서버: CardDAV 프로토콜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가 개인 연락처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여러 Mac 컴퓨터나 동기화된 아이폰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위키 서버 2: 서버 측 Quick Look 기능을 지원하며, 아이폰에서도 위키 콘텐츠를 볼 수 있게 되었다.
  • 새로운 메일 서버 엔진: 푸시 이메일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메시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애플아이폰에서는 이 푸시 기능이 지원되지 않았다.
  • Podcast Producer 2: 이중 소스 비디오를 지원하며, 새로운 Podcast Composer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었다. 이 앱은 제목, 전환, 효과 추가 및 형식 저장, 위키, 블로그, 아이튠즈, iTunes U, Final Cut Server, Podcast Library 공유 등 팟캐스트 제작 과정을 자동화하는 워크플로 생성을 돕는다.
  • Mobile Access Server: 아이폰Mac 사용자가 기업 웹사이트, 온라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캘린더, 연락처 등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별도 소프트웨어 없이 역방향 프록시 서버 역할을 하며, SSL 암호화 및 인증을 제공한다.


이후 맥 OS X 라이언부터는 일반 맥 OS X과 통합될 예정이었으나,[52] WWDC 2011 발표 이후 다시 분리되었다. 당시 가격은 49.99USD로 책정되었다.[52]

Mac OS X 서버 v10.6 계열의 최신 버전은 10.6.8 v1.1 (빌드 10K549)이며, 2011년 7월 25일에 출시되었다. 이는 2011년 6월 23일에 출시된 10.6.8 (빌드 10K540) 버전의 문제점을 수정한 것이다.[38][39]

2. 9. 서버 앱 (Server app)



2011년 2월 Mac OS X Lion 개발자 프리뷰 출시와 함께, 애플은 Lion부터 macOS 서버 기능을 운영 체제에 기본 포함하고 별도 제품으로 판매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발표했다.[13] 그러나 몇 달 후, 애플은 계획을 변경하여 서버 구성 요소를 Lion 운영 체제의 추가 기능 형태로 Mac App Store를 통해 49.99USD에 판매하기로 결정했다.[14] 이는 Mac App Store를 통해 배포된 첫 서버 버전이었다. Lion으로 업그레이드하고 OS X Server 추가 기능을 구매하는 총 비용은 약 50USD로,[9] 이전 버전인 Snow Leopard Server(499USD)보다 훨씬 저렴해졌다. Lion Server는 이전 버전과 마찬가지로 무제한 클라이언트 라이선스를 제공했으며, iCal Server, Wiki Server, Mail Server의 새로운 버전이 포함되었다.[15] 특히, Lion Server부터 iOS 모바일 기기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오라클썬 마이크로시스템즈를 인수한 후 MySQL의 라이선스 정책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에 맞춰, 애플은 Lion Server부터 PostgreSQL을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채택하여 MySQL을 대체했다.[16]

Mountain Lion 역시 별도의 서버 에디션 없이 출시되었다. 대신, 'Server'라는 이름의 서버 관리 응용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필 및 Xsan 관리 도구가 포함된 OS X Server 패키지가 Mac App Store에서 19.99USD에 판매되었다.[17][18] Mountain Lion Server도 Lion Server처럼 무제한 클라이언트 라이선스를 제공했으며, 한 번 구매하면 여러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Server 앱은 점차 기능이 축소되었다. Server 5.7(2018년 9월 28일 출시)부터는 캘린더 서버, 연락처 서버, 메일 서버, DNS, DHCP, VPN 서버, 웹사이트와 같은 오픈 소스 기반 서비스들이 더 이상 포함되지 않았다.[2] 포함된 주요 기능은 프로필 관리자, Open Directory, Xsan 관리로 제한되었다.[2] 이후 버전들(Server 5.8, 5.9, 5.10, 5.11, 5.12)은 주로 프로필 관리자의 기능(새로운 제한, 페이로드, 명령 추가 등)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다.[47] Server 5.12.2(2021년 12월 8일 출시)에서는 GUI를 통한 Xsan 관리 기능이 제거되고 명령줄 인터페이스만 남게 되었다.[47]

결국 2022년 4월 21일, 애플은 macOS Server의 지원 중단을 공식 발표했다.[28] Server 앱은 Monterey까지만 지원하며, 이후 버전의 macOS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2][48] 이미 Server 앱을 다운로드한 사용자는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신규 구매 및 설치는 불가능해졌다. 이로써 Mac OS X Server 시절부터 이어져 온 애플의 서버 제품 라인은 사실상 종료되었다.

3. 서버 관리 도구

macOS 서버는 서버 관리를 위해 다양한 도구를 제공해왔다. 초기 OS X Server 시절에는 서버 관리자, 서버 환경설정, 워크그룹 매니저 등 여러 개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를 설정하고 관리했다. 이러한 도구 중 일부는 일반 에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었으며, 특정 하드웨어(Xserve RAID) 관리를 위한 전용 유틸리티(RAID Admin)도 제공되었다.[19]

하지만 OS X 마운틴 라이언 (버전 10.8) 출시를 기점으로, 기존의 분산된 관리 도구들은 'Server'라는 단일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합되었다. 이 'Server' 앱은 Mac App Store에서 별도로 구매 및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며, macOS 운영체제와는 독립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서버 구성, 유지보수,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3. 1. macOS Mountain Lion 이전

맥 OS X 서버는 서버 관리를 위한 다양한 설정 도구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 도구들은 서버가 아닌 에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주요 관리 도구 중 하나는 서버 관리자(Server Administrator) 앱으로, 사용자가 서버 서비스를 구성하고 켜거나 끌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RAID Admin은 주로 Xserve RAIDRAID 설정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유틸리티였다. 이 도구는 Java로 작성되어 윈도우리눅스에서도 실행할 수 있었다.[19]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도구들이 번들로 제공되었다.

  • 서버 환경설정(Server Preferences) (응용 프로그램)
  • 서버 어시스턴트
  • 서버 모니터
  • 시스템 이미지 유틸리티
  • 워크그룹 매니저
  • Xgrid 관리자

3. 2. macOS Mountain Lion 이후

OS X 마운틴 라이언 (버전 10.8) 출시 이후, 기존의 다양한 서버 관리 도구들은 "Server"라는 이름의 앱 하나로 통합되었다. 이 앱은 Mac App Store를 통해 구매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OS X 운영체제와는 별개로 업데이트된다. Server 앱은 하나 이상의 macOS Server 설치를 구성하고, 유지 관리하며,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 OS X Mavericks 출시와 함께 2013년 10월, Server 3.0이 Mac App Store에서 단독 애플리케이션으로 출시되었다.[45] 이 버전에서는 Workgroup Manager 10.9를 별도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46]
  • OS X Yosemite 출시와 함께 2014년 10월 17일, Server 앱의 새로운 버전이 Mac App Store에 출시되었다. 이 시점부터 워크그룹 매니저(Workgroup Manager)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게 되었다.

4. 서버 서비스

MacOS 서버는 단체 내 협업, 소통, 정보 공유를 위한 서버 운영 체제였다.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다윈에 기반하며, 개방형 기술 표준과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했다.

초기 macOS 서버는 파일 공유, 연락처 정보와 달력 공유, 이벤트 계획, 보안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실시간 화상 회의, 전자 메일 송수신, 위키 기여 및 댓글 작성, 회사 블로그 운영, 팟캐스트 제작 및 배포, 웹 사이트 구축 등 다양한 서비스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했다. 주요 서비스 중 일부는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트위스티드 프레임워크를 활용했다.[20]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CardDAV 표준을 구현한 주소록 서버,[20] CalDAV 표준을 구현한 iCal 서버,[20] XMPP 기반의 iChat 서버,[21] 웹 기반 협업 도구인 Wiki 서버 등이 있었다. 이 외에도 DNS, 메일 서비스, 파일 공유, DHCP, VPN, Open Directory, NetBoot, 미디어 스트리밍 등 다양한 네트워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했다.

하지만 2018년 9월 30일에 출시된 Server 앱 버전 5.7.1부터 이러한 서비스의 대부분이 중단 및 제거되었다.[20] 현재 macOS 서버는 주로 프로파일 관리자, Open Directory, Xsan 관리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며,[27] 과거 제공되었던 많은 기능들은 폐지되거나 macOS 기본 운영 체제에 통합되었다.

4. 1. 주소록 서버 (Address Book Server)

주소록 서버는 WebDAV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CardDAV 표준을 지원하는 연락처 서버이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개인 연락처를 저장하고 여러 과 동기화된 아이폰에서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다. CardDAV를 구현한 최초의 상용 서버이기도 하며,[20] Mac OS X Server 10.6 스노 레퍼드 버전부터 추가되었다.

4. 2. iCal 서버 (iCal Server)

iCal 서버는 웹DAV를 기반으로 구축된 최초의 상업용 캘린더 서버로, CalDAV 표준을 구현했다. 이 서버는 macOS 서버 10.5 (레오파드)에 추가되었으며, 오픈 소스 Apache License 2.0 하에 Darwin Calendar Server라는 이름으로도 출시되었다.[20]

서버는 'caldavd'라는 이름의 데몬 백그라운드 서비스로 동작하며, 애플 이외의 운영체제FreeBSD와 여러 종류의 리눅스에도 포팅되어 설치할 수 있다. 캘린더 데이터 저장을 위해서는 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20]

2009년 출시된 스노 레퍼드 운영체제에 포함된 아이캘 서버 2는 향상된 CalDAV 지원, 새로운 웹 달력 응용 소프트웨어, 푸시 알림, 비 아이캘 사용자에게 이메일 초대장을 보내는 기능 등을 지원한다.

4. 3. iChat 서버 (iChat Server)

iChat 서버는 Mac OS X Server 10.4에 추가된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서버이다.[21] 이 서버는 2007년 10월 Mac OS X 10.5 Server가 출시되면서 버전 2로 업그레이드되었다.[21] iChat 서버의 이름은 애플의 iChat 온라인 채팅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서 따왔으며, 초기 버전은 jabberd 1.4.3을 기반으로 하였다.[22] 버전 2는 jabberd2 2.0s9를 기반으로 하며, 서버 연합(federation)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23] 이를 통해 XMPP를 지원하는 다른 시스템의 채팅 클라이언트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기반 채팅 보관 기능도 지원한다.[24]

4. 4. 위키 서버 (Wiki Server)

위키 서버(Wiki Server)는 macOS Server v10.5 Leopard부터 macOS High Sierra까지 버전에 포함되었던 서비스 모음이다. 이 서비스는 웹 기반의 위키, 웹로그(블로그), 캘린더(CalDAV 지원), 연락처(CardDAV 지원) 기능을 제공했다.[52]

스노 레퍼드 서버에서는 위키 서버 2가 도입되어, 서버에서의 퀵 룩 기능과 아이폰용 위키 콘텐츠 보기를 지원하는 등 기능이 개선되었다.

또한 위키 서버는 디렉토리 보기와 그룹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Cocoa 응용 프로그램인 '디렉토리'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macOS 10.14 모하비 출시에 맞춰 2018년 9월 30일에 공개된 Server 5.7.1 버전부터 Server 앱에서 위키 서버 관련 기능이 제거되었다.

4. 5. 기타 서비스

macOS 서버는 조직 내 협업, 통신, 정보 공유 환경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주로 오픈 소스 기술과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2018년 9월 Server.app 5.7.1 버전부터는 프로파일 관리자, Open Directory, Xsan 관리 기능에 집중하면서 많은 기존 서비스들이 폐지되거나 macOS 기본 운영체제로 통합되었다.[27]

  • '''파일 및 프린팅 서비스''': AFP, SMB/CIFS, NFS 등 여러 파일 공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macOS 및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원활한 파일 공유를 가능하게 했다. 10.3 Panther Server부터 삼바 3를 탑재하여 윈도우 환경과의 호환성을 강화했다. 네트워크 프린터 공유 기능도 포함되었다. (파일 공유 기능은 macOS Server 5.3 이후 macOS에 통합)
  • '''디렉터리 서비스 및 인증''': Open Directory를 통해 사용자 계정, 그룹, 컴퓨터 목록 등 디렉토리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인증 서비스를 제공했다. 10.2 Jaguar Server에서는 기존의 넥스트 Netinfo 아키텍처 대신 업계 표준인 LDAP 기반으로 전환하여 호환성을 높였다. RADIUS 서버 기능도 제공하여 VPN 이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 사용자 인증을 관리했다. 오픈 디렉토리는 현재 macOS Server에서도 제공되는 핵심 기능이다.
  • '''메일 서비스''': Postfix(SMTP 서버), Cyrus(POP3/IMAP 서버) 등 오픈 소스 솔루션을 기반으로 메일 서버 기능을 제공했다. 10.4 Tiger Server부터 SpamAssassin을 이용한 스팸 필터링과 ClamAV를 통한 바이러스 검사 기능이 통합되어 보안을 강화했다. 메일링 리스트 관리 기능도 지원했다. (macOS Server 5.6.3 이후 폐지)
  • '''웹 호스팅''': 아파치 웹 서버를 기본 내장하고 PHP,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여 웹사이트 및 웹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환경을 제공했다. 10.5 Leopard Server에서는 위키 서버, 블로그 등 웹 기반 협업 기능이 강화되었다. (관련 기능 대부분 macOS Server 5.6.3 이후 폐지)
  • '''협업 서비스''': 10.5 Leopard Server에서 위키 서버 기능이 도입되어 웹 기반 콘텐츠 생성 및 공유, 협업 환경을 제공했다. 그룹 캘린더, 블로그, 메일링 리스트 아카이브 기능도 통합되었다. iCal 서버는 CalDAV 표준을 지원하여 다양한 클라이언트에서 일정 공유 및 관리를 가능하게 했으며, iChat 서버는 XMPP 프로토콜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징 및 채팅 환경을 제공했다. (Wiki, Calendar, Contacts, Message 서버 기능은 macOS Server 5.6.3 이후 폐지)
  • '''미디어 스트리밍''': 퀵타임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동영상 및 오디오 콘텐츠의 스트리밍 배포가 가능했다. 10.5 Leopard Server의 팟캐스트 프로듀서 기능은 팟캐스트 콘텐츠 제작 및 배포 과정을 자동화했다.
  • '''클라이언트 관리''': NetBoot와 NetInstall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한 Mac 클라이언트 운영체제 배포 및 부팅 환경을 제공하여 대규모 관리를 용이하게 했다. 10.2 Jaguar Server에서 관련 기능이 개선되었다. 현재 macOS Server의 핵심 기능인 프로파일 관리자는 기기 설정, 보안 정책 적용 등을 중앙에서 관리한다. (NetInstall 기능은 macOS Server 5.6.3 이후 폐지)
  • '''네트워킹 및 VPN''': BIND 기반의 DNS 서버, DHCP 서버를 통해 기본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했다. NTP 서버를 통한 시간 동기화, SNMP를 통한 장비 상태 모니터링 기능도 포함되었다. VPN 서버 기능(L2TP/IPsec, PPTP)으로 외부에서의 안전한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했다. (DNS, DHCP, VPN 서버 기능은 macOS Server 5.6.3 이후 폐지)
  • '''분산 컴퓨팅''': 10.4 Tiger Server부터 Xgrid 기술을 지원하여 여러 Mac 컴퓨터를 클러스터로 묶어 고성능 컴퓨팅 작업을 분산 처리할 수 있었다.
  • '''기타 서비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버, 캐시 서버, Time Machine 서버 등 부가적인 관리 및 편의 기능을 제공했다. Xsan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SAN 볼륨 관리 기능은 현재 macOS Server에서도 계속 지원된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캐시, Time Machine 서버 기능은 각각 macOS Server 5.6.3, 5.6.3, 5.3 이후 폐지)

5. 기술적 사양

'''파일 및 프린트 서비스'''



'''디렉토리 서비스 및 인증'''

  • 오픈 디렉토리 (OpenLDAP, Kerberos, SASL)
  • 윈도우 NT 도메인 서비스 (Lion Server에서 제거됨, 이전에는 Samba 2 사용)
  • 백업 도메인 컨트롤러 (BDC)
  • LDAP 디렉토리 커넥터
  • 액티브 디렉토리 커넥터
  • BSD 구성 파일 (/etc)
  • RADIUS


'''메일 서비스'''

'''캘린더링'''

  • iCal 서버 (CalDAV, iTIP, iMIP)


'''웹 호스팅'''

  • Apache 웹 서버 (2.2 및 1.3)
  • SSL/TLS (OpenSSL)
  • WebDAV
  • Perl (5.8.8), PHP (5.2), Ruby (1.8.6), Rails (1.2.3)
  • MySQL 5 (Lion Server에서 PostgreSQL로 대체됨)
  • Capistrano, Mongrel


'''협업 서비스'''

  • 위키 서버 (RSS)
  • iChat 서버 3 (XMPP)


'''애플리케이션 서버'''

'''미디어 스트리밍'''

  • QuickTime 스트리밍 서버 6 (Lion Server에서 제거됨)
  • QuickTime Broadcaster 1.5


'''클라이언트 관리'''

  • 관리된 환경 설정
  • NetBoot
  • NetInstall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버
  • 휴대용 홈 디렉토리
  • 프로필 관리자 (Lion Server에 새로 추가됨)


'''네트워킹 및 VPN'''

  • DNS 서버 (BIND 9)
  • DHCP 서버
  • NAT 서버
  • VPN 서버 (L2TP/IPSec, PPTP)
  • 방화벽 (IPFW2)
  • NTP


'''분산 컴퓨팅'''

  • Xgrid 2


'''고가용성 기능'''

'''파일 시스템'''

'''관리 기능'''

  • 서버 어시스턴트
  • 서버 관리
  • 서버 환경 설정
  • 서버 상태 위젯
  • 작업 그룹 관리자
  • 시스템 이미지 유틸리티
  • Secure Shell (SSH2)
  • 서버 모니터
  • RAID 유틸리티
  • SNMPv3 (Net-SNMP)

참조

[1] 웹사이트 Mac OS X Version 10.6 on Intel-based Macintosh computers http://www.opengroup[...] The Open Group 2014-12-04
[2] 웹사이트 About macOS Server 5.7.1 and later https://support.appl[...] Apple Inc. 2022-05-12
[3] 웹사이트 Mac OS X Server Snow Leopard - UNIX https://www.apple.co[...] Apple 2012-11-25
[4] 웹사이트 Apple - macOS Server - Read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Apple Inc. 2016-11-02
[5] 웹사이트 OS X Server: Admin tools compatibility information http://support.apple[...] Apple Inc. 2012-07-25
[6] 웹사이트 Major Mac OS X Server v10.1 Update Now Available https://www.apple.co[...] 2020-11-21
[7] 웹사이트 Apple - Mac OS X Server - Collaboration Services https://www.apple.co[...] 2012-11-25
[8] 웹사이트 Apple Previews Mac OS X Server "Tiger" https://www.apple.co[...] 2004-06-28
[9] 뉴스 In depth with Lion OS X Server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11-08-02
[10] 웹사이트 10.5: Enable full RADIUS support on OS X Server http://www.macosxhin[...]
[11] 웹사이트 Ruby on Rails will ship with OS X 10.5 (Leopard) https://weblog.rubyo[...] 2006-08-07
[12] 웹사이트 Apple - Mac OS X Server Snow Leopard - 64-bit Computing https://www.apple.co[...] 2009-08-26
[13] 간행물 Apple Releases Developer Preview of Mac OS X Lion https://www.apple.co[...] Apple 2011-02-24
[14] 간행물 Mac OS X Lion With 250 New Features Available in July From Mac App Store https://www.apple.co[...] Apple 2011-06-06
[15] 웹사이트 OS X Lion Server -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support.apple[...] 2011-11-15
[16] 웹사이트 Dead database walking: MySQL's creator on why the future belongs to MariaDB https://www2.compute[...] Computerworld 2013-03-28
[17] 웹사이트 OS X Server http://movies.apple.[...] Apple Inc. 2012-06-01
[18] 웹사이트 Server, simplified: A power user's guide to OS X Server https://arstechnica.[...] 2012-07-29
[19] 간행물 Apple Unveils New Xserve RAID Storage System https://www.apple.co[...] Apple 2004-01-06
[20] 서적 Snow Leopard Server Wiley 2009-11-01
[21] 문서 Leopard features https://www.apple.co[...]
[22] 문서 jabberd14 copyright and version number from source http://opensource.ap[...]
[23] 문서 jabberd2 copyright and version number from source http://opensource.ap[...]
[24] 뉴스 Inside Apple's Leopard Server OS http://www.informati[...] InformationWeek 2007-03-27
[25] 웹사이트 osx:ipfailover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macOS Server を Mac App Store で https://web.archive.[...] Apple 2022-04-22
[27] 뉴스 macOS Server 5.7.1 における変更点 https://support.appl[...] 2019-07-30
[28] 웹사이트 About macOS Server 5.7.1 and later https://support.appl[...] 2022-04-22
[29] 웹사이트 Mac OS X Server バージョン10.1アップデートを発表 https://www.apple.co[...] 2022-04-22
[30] 문서 アップル、世界で最も管理の容易なサーバソフトウェア、Mac OS X Server v10.2を発表 http://www.apple.com[...]
[31] 웹사이트 アップル、Mac OS X Server "Panther"を発表 https://www.apple.co[...] 2022-04-22
[32] 웹사이트 アップル、Mac OS X Server "Tiger"を発表 https://www.apple.co[...] 2022-04-22
[33] 문서 アップル、Mac OS X Server Leopardを発表 http://www.apple.com[...]
[34] 문서 Mac OS X Server 10.5.8 Update v1.1 http://support.apple[...]
[35] 문서 Mac OS X v10.6.8 のセキュリティコンテンツおよび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 2011-004 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36] 웹사이트 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 2011-004 (Leopard サーバシステム用) http://support.apple[...]
[37] 웹사이트 Mac OS X 10.6 Snow Leopard Server Unlimited クライアント http://store.apple.c[...]
[38] 웹사이트 Mac OS X Server v10.6.8 アップデート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39] 웹사이트 Mac OS X Server v10.6.8 統合アップデート http://support.apple[...]
[40] 웹사이트 アップル - Lion Server - みんなのサーバ。 http://www.apple.com[...]
[41] 웹사이트 Lion Server v10.7.3 アップデート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42] 웹사이트 OS X Lion v10.7.3 および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 2012-001 のセキュリティコンテンツ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43] 웹사이트 サーバ管理ツール 10.7.3 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44] 웹사이트 ワークグループマネージャ 10.8 http://support.apple[...]
[45] 웹사이트 アップル - Macはあっという パワーフルなサーバになります。 http://www.apple.com[...]
[46] 웹사이트 Workgroup Manager 10.9 http://support.apple[...]
[47] 웹사이트 macOS Server の新機能 https://support.appl[...] 2019-12-03
[48] 웹사이트 macOS Server https://apps.apple.c[...] Apple 2022-04-21
[49] 웹인용 About macOS Server 5.7.1 and later https://support.appl[...] Apple Inc.|Apple 2022-05-12
[50] 웹인용 Mac OS X Server Snow Leopard - UNIX https://www.apple.co[...] Apple 2010-04-30
[51] 웹인용 Apple https://web.archive.[...] 2012-11-25
[52] 웹인용 Apple - Mac OS X Server Snow Leopard - 64-bit Computing https://www.apple.co[...] 2009-08-26
[53] 웹인용 Mac OS X Server -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2009-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